KR101021190B1 -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190B1
KR101021190B1 KR1020100086569A KR20100086569A KR101021190B1 KR 101021190 B1 KR101021190 B1 KR 101021190B1 KR 1020100086569 A KR1020100086569 A KR 1020100086569A KR 20100086569 A KR20100086569 A KR 20100086569A KR 101021190 B1 KR101021190 B1 KR 101021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joint type
wat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택
Original Assignee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덕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덕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는 상수도관 본체(110)의 일측 단부에 확장된 소켓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120)에 다른 상수도관 본체(110)의 일측 단부인 관삽입부(130)가 내삽되어 관 연결되며, 관 연결부의 외경이 감싸지도록 상하 반체로 제작된 이탈방지 클램프(200)가 상호 볼트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 클램프(200)는 일측방향에 관삽입부(130)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하는 관 압착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압착부(230)의 반대측 방향에는 소켓부(120)의 원주방향에 돌출 형성시킨 걸림턱(125)에 물려지도록 하는 걸림턱 걸이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 연결부에 타이튼 조인트식 이탈방지 클램프를 설치하여 수밀성 및 이탈 저지성이 뛰어나며, 별도의 작업공구를 이용해 곡관 등의 이형관을 쉽게 관 연결하거나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이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TYTON JOINT TYPE WATER PIPE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관 연결부에 타이튼 조인트식 이탈방지 클램프를 설치하여 수밀성 및 이탈 저지성이 뛰어나며, 별도의 작업공구를 이용해 곡관 등의 이형관을 쉽게 관 연결하거나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이 뛰어난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은 주철관, 내/외면을 코팅한 피복강관, PVC관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수도관은 그 특성상 관 연결부위에서의 수밀성이 좋아야 하고, 연결부위가 수압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저지성이 좋아야 하며, 작업 및 시공이 좋아야 한다.
통상적으로 수도관의 연결부위는 강관의 경우 용접으로 연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칭 메카니칼 조인트식(KSD 4311, KSB 4309)과 타이튼 조인트식(KSD 4311, KSM 3401)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상기 메카니칼 조인트식에 대해 설명하면, 관의 한쪽 소켓에 삼각형의 고무링을 삽입하고 압륜을 고무링 뒤에 체결하고, 소켓과 압륜을 볼트로 조여 고무링이 눌려지도록 하여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이탈저지를 위해 압륜의 소켓체결볼트 사이사이에 관 중심축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볼트를 가압시켜 볼트 선단이 관벽에 박히게 하여 이탈이 저지되도록 하는 방식과 2쪽으로 제작되어 압륜 뒤쪽에 있는 걸림턱에 걸고 관벽을 누르게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타이튼 조인트식에 대해 설명한다. 타이튼 조인트식은 원형의 고무링을 소켓에 미리 넣고, 관을 밀어 넣어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며, 이탈저지는 소켓쪽과 관쪽에 각각 클램프를 채우고, 클램프와 클램프 사이를 긴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PVC관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타이튼식은 수밀성이 우수하고 직관의 경우, 터 파기 장비인 포크레인으로 관을 밀어 넣으면 쉽게 시공이 되므로 직관 연결작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곡관, T자관 등의 이형관은 포크레인을 이용한 연결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타이튼 조인트식 대신 메카니칼 조인트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메카니칼 조인트식은 타이튼 조인트식에 비해 수밀성 및 이탈 저지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 연결부에 타이튼 조인트식 이탈방지 클램프를 설치하여 수밀성 및 이탈 저지성이 뛰어나며, 별도의 작업공구를 이용해 곡관 등의 이형관을 쉽게 관 연결하거나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이 뛰어난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용 작업공구의 설치가 쉽고, 이탈방지 클램프를 걸 수 있도록 상수도관 본체의 소켓부 외경에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작업공구 및 이탈방지 클램프 사이의 미끌림이 방지되어 결합 유지력이 뛰어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탈방지 클램프를 상하 반체로 제작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탈방지 클램프의 일단부에 형성한 관 압착부를 이용해 상수도관 외면이 압착 고정되도록 하되, 관 압착부 내면에 다수의 요철돌기를 형성하여 압착과정에서 상수도관 외면을 요철돌기가 파고들어 미끌림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탈방지 클램프의 타단부에 형성한 걸림턱 걸이부와 상수도관의 소켓부에 형성한 걸림턱이 상호 맞물려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강한 수압에도 견디도록 하여 관 연결부 특히 곡관 등의 이형관 연결부에서의 누수 및 이탈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 반체로 제작된 이탈방지 클램프의 체결축 45ㅀ방향으로 4개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걸림고리를 이용해 소켓부의 걸림턱에 안정적으로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수도관 본체(110)의 일측 단부에 확장된 소켓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120)에 다른 상수도관 본체(110)의 일측 단부인 관삽입부(130)가 내삽되어 관 연결되며, 관 연결부의 외경이 감싸지도록 상하 반체로 제작된 이탈방지 클램프(200)가 상호 볼트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 클램프(200)는 일측방향에 관삽입부(130)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하는 관 압착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압착부(230)의 반대측 방향에는 소켓부(120)의 원주방향에 돌출 형성시킨 걸림턱(125)에 물려지도록 하는 걸림턱 걸이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수도관 본체(110)는 직관, 곡관, 편락관, T자관 및 플랜지소켓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켓부(120)는 연결되는 다른 상수도관의 관삽입부(130)의 결합을 안내하는 관유도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관삽입부(130)의 진행방향을 따라 관유도부(121)의 후단에 고무링(150)이 내삽되는 고무링 하우징(123)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링 하우징(123)의 외경면에 환형의 걸림턱(12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삽입부(130)의 선단에 고무링(150)의 내면과 접촉하는 진입방향으로 경사면(161)을 형성한 테이퍼링(16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 클램프(200)는 상하 반체의 반원형 링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반원형 링의 양측 호 끝단에 체결수단(260)이 결합되는 체결부(250)가 형성되고, 일측방향의 원주부에 관삽입부(130)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하는 관 압착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압착부(230)의 반대측 방향의 원주부에 소켓부(120)의 원주방향에 돌출 형성시킨 걸림턱(125)에 물려지는 다수의 걸림턱 걸이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260)는 볼트(261)와 너트(2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 걸이부(210)는 체결부(250) 바닥면을 기준으로 양측 45도 각도에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 연결부에 타이튼 조인트식 이탈방지 클램프를 설치하여 수밀성 및 이탈 저지성이 뛰어나며, 별도의 작업공구를 이용해 곡관 등의 이형관을 쉽게 관 연결하거나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이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 작업공구의 설치가 쉽고, 이탈방지 클램프를 걸 수 있도록 상수도관 본체의 소켓부 외경에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작업공구 및 이탈방지 클램프 사이의 미끌림이 방지되어 결합 유지력이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 클램프를 상하 반체로 제작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 클램프의 일단부에 형성한 관 압착부를 이용해 상수도관 외면이 압착 고정되도록 하되, 관 압착부 내면에 다수의 요철돌기를 형성하여 압착과정에서 상수도관 외면을 요철돌기가 파고들어 미끌림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탈방지 클램프의 타단부에 형성한 걸림턱 걸이부와 상수도관의 소켓부에 형성한 걸림턱이 상호 맞물려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강한 수압에도 견디도록 하여 관 연결부 특히 곡관 등의 이형관 연결부에서의 누수 및 이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 반체로 제작된 이탈방지 클램프의 체결축 45ㅀ방향으로 4개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걸림고리를 이용해 소켓부의 걸림턱에 안정적으로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측면 결합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를 작업공구를 이용해 관 연결하는 작업을 도시한 작업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작업공구의 고정링부재 및 이동링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상수도관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측면 결합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는 상수도관 본체(110)의 일측 단부에 확장된 소켓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120)에 다른 상수도관 본체(110)의 일측 단부인 관삽입부(130)가 내삽되어 관 연결되며, 관 연결부의 외경이 감싸지도록 상하 반체로 제작된 이탈방지 클램프(200)가 상호 볼트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 클램프(200)는 일측방향에 관삽입부(130)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하는 관 압착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압착부(230)의 반대측 방향에는 소켓부(120)의 원주방향에 돌출 형성시킨 걸림턱(125)에 물려지도록 하는 걸림턱 걸이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소켓부(120) 및 관삽입부(130)에 대해 도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소켓부(120)는 연결되는 다른 상수도관의 관삽입부(130)의 결합을 안내하는 관유도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관삽입부(130)의 진행방향을 따라 관유도부(121)의 후단에 고무링(150)이 내삽되는 고무링 하우징(123)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링 하우징(123)의 외경면에 환형의 걸림턱(125)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삽입부(130)의 선단에 고무링(150)의 내면과 접촉하는 진입방향으로 경사면(161)을 형성한 테이퍼링(160)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관삽입부(130)는 상수도관 본체(110)의 일끝단부로서, 관두께가 얇아 테이퍼 가공이 어려운 경우, 별도 테이퍼 가공된 테이퍼링(160)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 테이퍼링(160)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관삽입부(130)의 선단에서 관 삽입시 고무링(150)의 내면과 접촉마찰을 최소화시켜 진입방향으로 고무링(150)이 뒤집히거나 밀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경사면(161)을 형성하게 된 있다.
그리고, 도 1,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기 이탈방지 클램프(200)는 상하 반체의 반원형 링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반원형 링의 양측 호 끝단에 체결수단(260)이 결합되는 체결부(250)가 형성되고, 일측방향의 원주부에 관삽입부(130)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하는 관 압착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압착부(230)의 반대측 방향의 원주부에 소켓부(120)의 원주방향에 돌출 형성시킨 걸림턱(125)에 물려지는 다수의 걸림턱 걸이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압착부(230)의 내면에는 다수의 요철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260)을 이용한 체결과정에서 상수도관 외면을 압착시켜 요철돌기가 파고들어 미끌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요철돌기의 형상은 관압착부(230)의 내면을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도록 하는 탭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압착부(230)가 상수도관 본체(110)의 관삽입부(130)를 압착 고정한 상태이고, 반대측 걸림턱 걸이부(210)이 상수도관 본체(110)의 소켓부(120) 외경에 형성한 걸림턱에 맞물려 관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260)는 볼트(261)와 너트(263)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탈방지 클램프(200)의 양측 호 끝단에 형성된 체결부(250)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 걸이부(210)는 체결부(250) 바닥면을 기준으로 양측 45도 각도에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하 반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4개의 걸림턱 걸이부(210)가 소켓부(120)의 걸림턱(125)와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상수도관 본체(110)는 직관, 곡관, 편락관, T자관 및 플랜지소켓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도 3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예의 구성에 따른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의 관연결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상수도관의 소켓부에 관삽입부를 가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가 결합된 상수도관의 결합부에 작업공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작업공구를 조여서 관연결부가 압착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작업 완료된 관연결부에 이탈방지 클램프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관연결된 상수도용 스테인레스 강관을 작업공구를 이용해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2개의 서로 다른 상수도관의 연결작업을 위해 일측 상수도관의 소켓부(120)에 다른 상수도관의 관삽입부(130)를 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소켓부(120)의 관유도부(121)의 내부 직경을 관삽입부(130)의 외부 직경보다 크게 설계함으로써, 진입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관결합부에 작업공구(300)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작업공구(300)의 고정링부재(310)가 소켓부(120)의 걸림턱(125)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고정링부재(310)와 상대운동이 가능하게 이격 설치되는 이동링부재(320)의 이동방향 내측의 관삽입부(130) 외경에 고정밴드(350)가 설치되도록 한다.
다음, 스크류샤프트(340)를 회전시켜 이동링부재(320)가 고정링부재(310) 측으로 전진하면서, 고정밴드(350)를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링부재(320)와 고정링부재(310) 사이에는 슬라이딩샤프트(330)가 설치됨으로써, 이동링부재(32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350)는 관삽입부(130) 외경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서, 가압력에 의해 관삽입부(130)와 함께 전진하게 되고, 소켓부(120) 내부로 진입하여 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관삽입부(130)의 선단에는 테이퍼링(160)이 설치되어 있어, 관 삽입시, 고무링(150)과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고무링(150)이 뒤집히거나 고무링(15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링(150)은 소켓부(120)와 관삽입부(130) 사이의 빈공간에 압착되어 수밀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관연결된 상수도용 스테인레스 강관을 작업공구를 이용해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데,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밴드(350)를 이동링 부재(320) 후단에 설치한 후, 스크류샤프트(340)를 진입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링부재(320)가 고정링부재(310)의 반대측으로 멀어지도록 하여 고정밴드(350) 와 함께 상수도관 본체(11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용 작업공구(300)의 스크류샤프트(340)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너트의 설치방향을 위치변경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작업공구의 고정링부재 및 이동링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고정링부재(310) 및 이동링부재(320)는 설치 및 제거의 편의성을 위해 반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9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본체(110)를 곡관형태로 제작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본체(110)를 편락관형태로 제작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본체(110)를 T자관형태로 제작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본체(110)를 플랜지소켓관형태로 제작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관 연결부에 타이튼 조인트식 이탈방지 클램프를 설치하여 수밀성 및 이탈 저지성이 뛰어나며, 별도의 작업공구를 이용해 곡관 등의 이형관을 쉽게 관 연결하거나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이 뛰어니고, 전용 작업공구의 설치가 쉽고, 이탈방지 클램프를 걸 수 있도록 상수도관 본체의 소켓부 외경에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작업공구 및 이탈방지 클램프 사이의 미끌림이 방지되어 결합 유지력이 뛰어나며, 이탈방지 클램프를 상하 반체로 제작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 클램프의 일단부에 형성한 관 압착부를 이용해 상수도관 외면이 압착 고정되도록 하되, 관 압착부 내면에 다수의 요철돌기를 형성하여 압착과정에서 상수도관 외면을 요철돌기가 파고들어 미끌림이 방지되도록 하고, 이탈방지 클램프의 타단부에 형성한 걸림턱 걸이부와 상수도관의 소켓부에 형성한 걸림턱이 상호 맞물려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강한 수압에도 견디도록 하여 관 연결부 특히 곡관 등의 이형관 연결부에서의 누수 및 이탈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상하 반체로 제작된 이탈방지 클램프의 체결축 45ㅀ방향으로 4개의 걸림고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걸림고리를 이용해 소켓부의 걸림턱에 안정적으로 걸려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110: 상수도관 본체 120: 소켓부
121: 관유도부 123: 고무링 하우징
125: 걸림턱 130: 관삽입부
140: 합성수지코팅층 150: 고무링
160: 테이퍼링 161: 경사면
200: 이탈방지클램프 210: 걸림턱 걸이부
230: 관 압착부 250: 체결부
251: 볼트 관통홀 260: 체결수단
261: 볼트 263: 너트
300: 작업공구 310: 고정링부재
320: 이동링부재 330: 슬라이딩샤프트
340: 스크류샤프트 350: 고정밴드

Claims (8)

  1. 상수도관 본체(110)의 일측 단부에 확장된 소켓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120)에 다른 상수도관 본체(110)의 일측 단부인 관삽입부(130)가 내삽되어 관 연결되며, 상기 관삽입부(130)의 선단에 고무링(150)의 내면과 접촉하는 진입방향으로 경사면(161)을 형성한 테이퍼링(160)이 설치되고,
    관 연결부의 외경이 감싸지도록 상하 반체로 제작된 이탈방지 클램프(200)가 상호 볼트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 클램프(200)는 일측방향에 관삽입부(130)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하는 관 압착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압착부(230)의 반대측 방향에는 소켓부(120)의 원주방향에 돌출 형성시킨 걸림턱(125)에 물려지도록 하는 걸림턱 걸이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 본체(110)는 직관, 곡관, 편락관, T자관 및 플랜지소켓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20)는 연결되는 다른 상수도관의 관삽입부(130)의 결합을 안내하는 관유도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관삽입부(130)의 진행방향을 따라 관유도부(121)의 후단에 고무링(150)이 내삽되는 고무링 하우징(123)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링 하우징(123)의 외경면에 환형의 걸림턱(125)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클램프(200)는 상하 반체의 반원형 링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반원형 링의 양측 호 끝단에 체결수단(260)이 결합되는 체결부(250)가 형성되고, 일측방향의 원주부에 관삽입부(130)의 외면이 압착되도록 하는 관 압착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압착부(230)의 반대측 방향의 원주부에 소켓부(120)의 원주방향에 돌출 형성시킨 걸림턱(125)에 물려지는 다수의 걸림턱 걸이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 압착부(230) 내면에 다수의 요철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260)는 볼트(261)와 너트(2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 걸이부(210)는 체결부(250) 바닥면을 기준으로 양측 45도 각도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KR1020100086569A 2010-09-03 2010-09-03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KR101021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69A KR101021190B1 (ko) 2010-09-03 2010-09-03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69A KR101021190B1 (ko) 2010-09-03 2010-09-03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190B1 true KR101021190B1 (ko) 2011-03-15

Family

ID=4393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569A KR101021190B1 (ko) 2010-09-03 2010-09-03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1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434B1 (ko) 2011-07-26 2012-03-29 부덕실업 주식회사 상수도용 스테인레스 강관
WO2012149010A2 (en) * 2011-04-29 2012-11-01 Harold Kennedy & Associates, Inc. Pipe connecting apparatus
KR101406776B1 (ko) 2014-03-04 2014-06-17 (주)한도엔지니어링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AT13768U1 (de) * 2012-03-29 2014-08-15 Klaus Beck Formteil mit mindestens einer Steckmuffe aus Kunststoff sowie mit einer ringförmigen Lippendichtung und Rohr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solchen Formteil
ES2504916A1 (es) * 2014-01-29 2014-10-08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Junta rotativa para ensamblar tubos fijos con tubos rotatorios
KR20190053647A (ko)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타이튼 조인트 방식의 관 연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955Y1 (ko) * 2003-04-02 2003-07-04 주식회사 아세아조인트 관 조인트의 구조
KR100662520B1 (ko) * 2005-10-12 2007-01-02 블루그린링크(주) 강우수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955Y1 (ko) * 2003-04-02 2003-07-04 주식회사 아세아조인트 관 조인트의 구조
KR100662520B1 (ko) * 2005-10-12 2007-01-02 블루그린링크(주) 강우수 정화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9010A2 (en) * 2011-04-29 2012-11-01 Harold Kennedy & Associates, Inc. Pipe connecting apparatus
WO2012149010A3 (en) * 2011-04-29 2013-01-10 Harold Kennedy & Associates, Inc. Pipe connecting apparatus
KR101131434B1 (ko) 2011-07-26 2012-03-29 부덕실업 주식회사 상수도용 스테인레스 강관
AT13768U1 (de) * 2012-03-29 2014-08-15 Klaus Beck Formteil mit mindestens einer Steckmuffe aus Kunststoff sowie mit einer ringförmigen Lippendichtung und Rohr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solchen Formteil
ES2504916A1 (es) * 2014-01-29 2014-10-08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Junta rotativa para ensamblar tubos fijos con tubos rotatorios
KR101406776B1 (ko) 2014-03-04 2014-06-17 (주)한도엔지니어링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20190053647A (ko)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타이튼 조인트 방식의 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190B1 (ko) 타이튼 조인트식 상수도관 연결구조
RU245999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трубная муфта со встроенным захватом
JP6623261B2 (ja) 管継手
EP3062007B1 (en) Fitting with draw mechanism
US20070024056A1 (en) Conduit coupling
US8096591B2 (en) Split joint restraint device with dual pipe size capability
NO330726B1 (no) Rorkoplingsanordning
EP1033518B1 (en) Pipe coupling
KR100976588B1 (ko) 배관연결구
KR20110086691A (ko) 파이프 조인트
CN100582549C (zh) 自补偿紧固式大口径快接头
KR100999881B1 (ko) 상수도용 스테인레스 강관
KR20110033548A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US11028950B2 (en) Pipe coupling
JP5611726B2 (ja) 管継手
CA2732048C (en) Split joint restraint device with dual pipe size capability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KR101752754B1 (ko) 압륜식 관 결속장치
KR101131434B1 (ko) 상수도용 스테인레스 강관
KR101143365B1 (ko) 유체이송관의 배관을 위한 이음구
KR20044056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101331816B1 (ko) 주름관의 연결구 체결구조
JP5917198B2 (ja) 伸縮可撓式継手とこれを用いたサドル付分水栓
US20200256488A1 (en) Pipe Joint Restraint
JPS5851493Y2 (ja) 継手管の抜け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