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164A -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 Google Patents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164A
KR20230172164A KR1020220072658A KR20220072658A KR20230172164A KR 20230172164 A KR20230172164 A KR 20230172164A KR 1020220072658 A KR1020220072658 A KR 1020220072658A KR 20220072658 A KR20220072658 A KR 20220072658A KR 20230172164 A KR20230172164 A KR 20230172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upler
pipes
straight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윤
Original Assignee
권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윤 filed Critical 권태윤
Priority to KR102022007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164A/ko
Publication of KR20230172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오,배수관이나 지하 횡주관 등과 같은 각종 합성수지재 직관의 단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직관의 단부를 커플러에 의해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이 커플러는 외경부 일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분할된 몸체가 힌지에 의해 조립됨과 동시에 하나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풀고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경부 측에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에 의해 수용홈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 내에는 상호 연결해야 할 양측 직관의 단부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링스톱퍼와, 이 링스톱퍼의 내주 둘레면 양측으로 조립되어 직관의 외경부를 각각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링과, 상기 커플러의 걸림턱과 탄성링 사이에 직관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이 배설되어 있다.

Description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No hub coupling joint unit for Pipes}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오,배수관이나 지하 횡주관 등과 같은 각종 합성수지재 직관(直管)의 단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 산업용 플랜트나 빌딩 혹은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에는 실 생활에 필요한 냉, 온수나 가스 등의 유체(流體)는 물론 생활 하수를 해당 목적지까지 운반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로 제작된 배관이 설치된다.
대부분의 배관은 주변의 온도변화와 운반중인 유체물질의 압력 등에 의해 신축현상이 발생하거나 혹은 미세 지진 등과 같은 외부 충격은 물론 열팽창 등의 온도차에 의해 배관이 파손되거나 변형이 생기게 되어 누수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에 있어서는 배관의 신축현상을 보상하기 위해 지하층의 경우 다소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루프배관을 설치하거나 입상관의 경우에 신축이음이 있는 부위의 양쪽에 가이드를 마련한 상태에서 그 양 끝단에 앵커(Anchor)를 설치하게 된다.
통상,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제 직관은 다양한 직경의 다이(Die)를 이용하여 인발(引拔) 작업으로 길게 뽑아내는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거나 관 사이에 여러 방식의 결속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시킴으로써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직관의 연결방식과 관련하여 일예를 들어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통부(3)를 갖는 이음본체(2)와, 삽입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파이프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이 형성된 클램프링(5)과, 클램프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클램프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슬릿에 외경 방향으로 튕겨져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과,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규제하기 위해 클램프링(5)의 외측으로 끼워진 규제슬리브(10b)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관 이음 방식은, 확경편의 완전한 탈락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나 튕겨져 나간 확경편이 커버와 규제슬리브 사이에 끼일 경우 확실한 관 이음을 확보할 수 없으며, 클램프링의 슬릿에 끼워져 있던 확경편이 탈락하고 클램프링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축하여 파이프의 외주면을 고정할 때, 클램프링의 확경편이 끼워져 있던 부분에서 파이프의 외주면을 완전히 압박할 수 없게 되어 기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 높을 경우에 유체 누설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더구나, 클램프링에서 분리된 확경편이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를 사용할 경우 확경편이 규제슬리브와 파이프 외주면과 커버 사이의 공간에 유지되기 때문에 다른 파이프와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가 설치된 관 이음을 회전시킬 경우 간섭이 일어나 연결 작업에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등록특허 제0941883호나 제0976588호 등을 포함한 다수의 공보에는 배관을 연결할 때 연결구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을 위한 다수 개의 볼트가 동일한 깊이로 체결되도록 함은 물론 패킹의 일측을 이중단부로 형성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배관 연결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구조는 모두 나사 체결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뒤떨어지고, 더구나 다수의 부품들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이 상당히 비싸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0941883호(2010.02.04 등록) : 배관 연결구. 등록특허 제0976588호(2010.08.11 등록) : 배관 연결구. 등록특허 제1523307호(2015.05.20 등록) : 관 연결 조립체. 등록특허 제1891081호(2018.08.17 등록) : 관 연결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호 연결해야 할 직관의 단부를 하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재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직관의 내부에 생성되는 압력으로 인해 직관이 밀려 이탈하는 등의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직관의 결속부위에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에 있어서는,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직관의 단부를 커플러에 의해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이 커플러는 외경부 일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분할된 몸체가 힌지에 의해 조립됨과 동시에 하나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풀고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경부 측에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에 의해 수용홈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 내에는 상호 연결해야 할 양측 직관의 단부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링스톱퍼와, 이 링스톱퍼의 내주 둘레면 양측으로 조립되어 직관의 외경부를 각각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링과, 상기 커플러의 걸림턱과 탄성링 사이에 직관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링은 내경부로 향해 통공을 갖는 결속편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경사져서 형성됨과 동시에 일측 부위에 절결부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무링은 커플러의 양측 걸림턱 내에 각각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내측으로 형성된 요홈에 의해 직관 내부의 압력 발생시 테두리부의 전 둘레에 걸쳐 탄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제작된 합성수지재 직관의 단부를 하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허브(hub)가 형성된 조인트 관이나 소켓 또는 별도의 커플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소모 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제반 공수를 줄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 커플러 내에 장착되는 탄성링 및 고무링에 의해 직관 내부에서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직관이 밀려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양측 직관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관 이음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선 등록특허 제1523307호에 개시된 관 연결 조립체의 연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탄성링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가압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관용 커플링 조인트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a, 도 9b는 직관의 조립 및 분리상태 단면 구성도,
도 10은 링스톱퍼 내에 탄성링 및 고무링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의 a,b는 링스톱퍼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2의 a,b는 탄성링의 사시도 및 평면 구성도,
도 13의 a,b는 고무링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예로서, 선 등록특허 제1523307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발췌하여 설명하고,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등록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관 연결 조립체는 이음관(100), 가압체(200) 및 클램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음관(100)은 연결해야 할 관(P)이 삽입되는 것으로, 단부에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경구가 형성되어 클램프(300)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이러한 이음관(100)은 관(P)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단부에 단차가 형성되며, 삽입부의 내경은 관(P)의 내경보다 5mm 내지 7.5mm 범위 내에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체(200)는 확경구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클램프(300)에 의해 조여지는 가압링(210) 및 탄성링(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가압링(210)이 클램프(300)에 의해 조여짐에 따라 탄성링(220)을 가압하게 되며, 이 탄성링(220)은 합성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가압링(210)과 확경구의 사이로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클램프(300)에 의해 확경구와 가압체(200)가 감싸 조여짐에 따라 탄성링(220)이 가압되면서 관(P)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확경구는 확장경사부(111) 및 가이드부(112)로 이루어진다. 확장경사부(111)는 이음관(100) 단부의 내주면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내주면(111a)과 이음관(100) 단부의 외주면에서 클램프(300)의 내주면에 접하는 제1경사외주면(111b)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가이드부(112)는 확장경사부(111)의 단부, 즉 경사내주면(111a)과 경사외주면(111b)의 단부에서 이음관(100)의 길이방향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경사내주면(111a)의 경사각도(A)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외주측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105도 내지 11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외주면(111b)의 경사각도(B)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외주측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115도 내지 12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압체(200)의 탄성링(220)은 확경구 측으로 삽입되도록 두께가 가이드부(112)의 내경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관(P)이 삽입될 때 상호 간의 마찰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즉 탄성링(220)는 가압밀착면(221), 간격유지면(222) 및 지느러미(2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압밀착면(221)은 가압시에 관(P)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이음관(100)의 삽입부 내경과 일치되게 배치되며, 상기 간격유지면(222)은 가압밀착면(221)의 가압링(210) 측 단부에서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간격유지면(222)의 경사각도(C)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5도 내지 11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느러미(223)는 가압밀착면(221)의 확경구 측 단부에서 선단이 뾰족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가압시에 이음관(100)으로 파고들면서 관(P)들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지느러미(223)의 경사각도(D)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35도 내지 4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 가압체(200)의 가압링(210)은 밀착대향면(211), 돌출외주면(212), 조임력 전달빗면(213), 조임력전달내주면(214), 제2경사외주면(215) 및 조임경사면(2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밀착대향면(211)은 확경구의 가이드부(112)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가압됨에 따라 가이드부에 밀착되는 면이며, 상기 돌출외주면(212)은 밀착대향면(211)의 내주 측 단부에서 이음관(100)의 길이방향과 수평되게 돌출되는 면이다.
또, 상기 조임력 전달빗면(213)은 돌출외주면(212)의 확경구 측 단부에서 가압링(210)의 내부 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어 클램프(300)가 조여짐에 따라 조임력이 가압밀착면(221)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임력 전달빗면(213)의 경사각도(E)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125도 내지 13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력 전달내주면(214)은 조임력 전달빗면(213)의 내주 측 단부에서 간격유지면(22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조임력의 전달방향을 조임력 전달빗면(213) 측으로 유도하며, 상기 제2경사외주면(215)은 조임력 전달내주면(214)의 가압링(210) 측 단부에서 외주방향을 따라 가압링(210)의 내부 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어 클램프(300)의 내주면과 접하게 된다. 이 제2경사외주면(215)의 경사각도(F)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105도 내지 11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경사면(216)은 제2경사외주면(215)의 외주 측 단부에서 외주방향을 따라 가압링(210)의 내부 측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어 클램프(300)의 조임에 따라 가압링(210) 압박할 수 있게 한다. 이 조임경사면(216)의 경사각도(G)는 이음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125도 내지 135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링(220)에는 돌출외주면(212), 조임력 전달빗면(213) 및 조임력 전달내주면(214)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224)이 형성되어 가압링(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300)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이 힌지 결합되어 확경구와 가압링(210)을 감쌀 수 있게 되며, 대향되는 면이 상호 체결됨에 따라 확경구와 가압링(210)을 감싼 상태에서 조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프(300)의 내주면에는 확경구와 가압링(210)을 감싸는 테이퍼홈부(310)가 형성된다. 이 테이퍼홈부(310)의 양측면이 조여짐에 따라 제1경사외주면(111b)과 제2경사외주면(215)을 타고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경사각도를 가지게 되며, 조임경사면(216)과 제2경사외주면(215)의 변곡지점에 의해 확경구와 가압링(210)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연결해야 할 양측 관 사이에 별개의 이음관(100)을 개재한 상태에서 클램프(300)를 양쪽에서 각각 장착해야만 하기 때문에 소모 자재의 증가로 인한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임은 물론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또, 가압체(200)를 구성하기 위한 가압링(210)과 탄성링(220)을 결합하여 이음관(100)의 확경부 내로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상호 간의 간섭을 발생시킴에 따라 직관의 조립작업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더구나, 클램프(300)를 조여 관(P)을 연결시켰을 경우 탄성링(220)의 가압밀착면(221)에 의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관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이음관(100)으로부터 관(P)이 이탈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출원인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를 고려하여 커플러에 의한 직관의 결속작업이 간편하도록 함은 물론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내압 발생시에도 연결되어 있는 직관이 밀려나지 않는 조인트 구조체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에 대해 도 8 내지 도 13의 a,b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직관(50)의 단부를 하나의 커플러(60)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상호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직관(50)은 유체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종전과 마찬가지로 통상의 인발 성형방식에 의해 다양한 직경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대개의 경우 건축 구조물의 설계 사양에 따라 일정 길이로 뽑아낸 직관(50)의 단부를 커플러(60)를 이용하여 결속시키게 된다.
이 커플러(60)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둘로 분할된 몸체(61)가 힌지(62)에 의해 조립됨과 동시에 타측의 관통공(63a)을 갖는 플랜지(63b)가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볼트(64a) 및 너트(64b)로 이루어진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에서, 상기 몸체(61)의 경우 둘로 분할되어 1개의 힌지(62)와 체결요소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몸체를 3개로 분할한 후 2개의 힌지와 하나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슴은 물론이다.
상기 커플러(60)를 구성하는 몸체(61)의 내경부 측에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5)에 의해 수용홈(6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플러(60)의 수용홈(66) 내에는 양측에서 조립되는 직관(50)의 단부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링스톱퍼(70)와, 이 링스톱퍼(70)의 외주 둘레면에 탄력있게 장착되어 직관(50)을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링(80)과, 직관(50) 내의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90)이 각각 배설된다.
도 11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스톱퍼(70)는 원통몸체(71)의 내경부 중앙에 돌출편(72)이 형성되어 직관(50)을 양쪽에서 끼워 조립할 때 직관(50)의 단부가 걸려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삽입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편(72)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단턱(73)이 형성됨에 따라 각각 탄성링(80)을 끼워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링(80)은 내경부에 통공(81a)을 갖는 결속편(81b)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동시에 일측 부위에 절결부(82)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결속편(81b)의 경우 도면에서는 내경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5개씩 형성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 둘레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슴은 물론이며, 소정 간격을 두고 3개 내지 4개씩 돌출되도록 형성하거나 비대칭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링(80)의 내경부 측으로 돌출되는 결속편(81b)들은 약간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 형성됨에 따라 탄력을 갖게 되고, 일측 절결부(82)에 의해 링스톱퍼(70)의 내주 둘레면 양측에 형성된 단턱(73)으로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링(90)은 커플러(60)의 양측 걸림턱(65) 내에 각각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내측으로 형성된 요홈(91a)에 의해 직관(50) 내부의 압력 발생시 테두리부(91b)의 전 둘레에 걸쳐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커플러(60)의 걸림턱(65)과 탄성링(80)의 사이에 배치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링스톱퍼(70)의 내경부 양측으로 탄성링(80)을 조립하여 단턱(73)에 안착시킨 후 고무링(90)을 끼워넣어 간단히 커플러(60)의 수용홈(66) 내로 배치함에 따라 하나의 일체형 커플러(6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양쪽 두개의 직관(50) 단부를 커플러(60) 내의 링스톱퍼(70)에 형성된 돌출편(72) 측으로 끼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플러(60)의 몸체(61) 일측에 구비된 플랜지(63b)의 관통공(63a)을 통해 조립된 볼트(64a)에 너트(64b)에 체결함으로써 양 직관(50)의 단부를 연결하게 되며, 이 때 탄성링(80)에 형성된 결속편(81b)들이 직관(50)의 외경부에 압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에 의하면, 소정 길이로 제작된 합성수지재 직관의 단부를 하나의 커플러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허브(hub)가 형성된 조인트 관이나 소켓 또는 별도의 커플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소모 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제반 공수를 줄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 커플러 내에 장착되는 탄성링 및 고무링에 의해 직관 내부에서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직관이 밀려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양측 직관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50: 직관 60: 커플러
61: 몸체 62: 힌지
63a: 관통공 63b: 플랜지
64a: 볼트 64b: 너트
65: 걸림턱 66: 수용홈
70: 링스톱퍼 71: 원통몸체
72: 돌출편 73: 단턱
80: 탄성링 81a: 통공
81b: 결속편 82: 절결부
90: 고무링 91a: 요홈
91b: 테두리부

Claims (3)

  1. 건축 구조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는 직관(50)의 단부를 커플러(60)에 의해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이 커플러(60)는 외경부 일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분할된 몸체(61)가 힌지(62)에 의해 조립됨과 동시에 하나의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풀고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경부 측에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65)에 의해 수용홈(66)이 형성되며,
    이 수용홈(66) 내에는 상호 연결해야 할 양측 직관(50)의 단부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링스톱퍼(70)와,
    이 링스톱퍼의 내주 둘레면 양측으로 조립되어 직관의 외경부를 각각 압착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링(80)과,
    상기 커플러의 걸림턱과 탄성링 사이에 직관 내부로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링(90)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80)은 내경부로 향해 통공(81a)을 갖는 결속편(81b)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경사져서 형성됨과 동시에 일측 부위에 절결부(82)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90)은 커플러의 양측 걸림턱 내에 각각 개재되어 있는 동시에 내측으로 형성된 요홈(91a)에 의해 직관 내부의 압력 발생시 테두리부(91b)의 전 둘레에 걸쳐 탄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KR1020220072658A 2022-06-15 2022-06-15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KR20230172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658A KR20230172164A (ko) 2022-06-15 2022-06-15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658A KR20230172164A (ko) 2022-06-15 2022-06-15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164A true KR20230172164A (ko) 2023-12-22

Family

ID=8930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658A KR20230172164A (ko) 2022-06-15 2022-06-15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16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83B1 (ko) 2009-07-17 2010-02-16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100976588B1 (ko) 2008-03-18 2010-08-18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101523307B1 (ko) 2014-06-03 2015-05-2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KR101891081B1 (ko) 2018-05-14 2018-09-28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88B1 (ko) 2008-03-18 2010-08-18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100941883B1 (ko) 2009-07-17 2010-02-16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101523307B1 (ko) 2014-06-03 2015-05-27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KR101891081B1 (ko) 2018-05-14 2018-09-28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753B2 (en) Pipes coupling with integrated grip
US20150316187A1 (en) Holding device for pipe joint and pipe joint using same
US20190063643A1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US20070222217A1 (en) Pipe fittings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230172164A (ko)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KR20240003080A (ko)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KR200482592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JP4597889B2 (ja) 管継手
KR102262505B1 (ko) 배관 연결 장치
KR20230161628A (ko)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KR101973850B1 (ko) 관 연결용 조인트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170129573A (ko) 배관 결속용 구조체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US5860678A (en) Self-threading joining system for flexible or semirigid pipes
JP2009544914A (ja) パイプ継手組立体およびそのためのアダプタ
KR102351804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100493329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700063B1 (ko) 호스 연결구
KR20190000417A (ko) 파이프 고정장치
US20210317934A1 (en) Retaining r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US11885447B2 (en) Pipe coupling and anch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