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505B1 - 배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505B1
KR102262505B1 KR1020190144226A KR20190144226A KR102262505B1 KR 102262505 B1 KR102262505 B1 KR 102262505B1 KR 1020190144226 A KR1020190144226 A KR 1020190144226A KR 20190144226 A KR20190144226 A KR 20190144226A KR 102262505 B1 KR102262505 B1 KR 102262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pipe
coupling
fix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456A (ko
Inventor
최은철
Original Assignee
그린로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로드(주) filed Critical 그린로드(주)
Priority to KR102019014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5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6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hree or more members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one member carrying a substantially radial tightening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을 감싸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양측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탄성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 고정부, 상기 배관을 감싸는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고정부, 상기 배관을 감싸는 제3 본체와 상기 제3 본체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 상기 제2 본체 및 상기 제3 본체는 상기 배관을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 연결 장치{Pipe connector}
실시예는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3 peace 구조의 배관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밀착도와 수밀성을 증대시킨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거나 배관을 기둥 또는 벽체 등의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널리 쓰인다. 클램프는 배관의 외주면을 전부 또는 일부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을 연결하는 클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에 도시된 종래 클램프(100) 가운데는 일단이 힌지(또는 경첩)로 연결되고 타단은 볼트와 너트로 조일 수 있는 구조의 것이 있다. 이는 다수의 클램프를 설치해야 할 때 시간 및 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조임강도 또는 파열강도 면에서는 다소 불리한 점이 있다.
종래 위와 같은 구성의 클램프(100)는, 일단(102a,b)은 요철식으로 절곡된후 둥글게 말려 있고, 타단(103a,b)은 볼트 결합공이 마련되는 2개의 반원통형 판재(104,106)와, 2개의 판재의 일단(102a,b)에 끼워지는 연결핀(108)으로 구성된다. 연결핀(108)은 분리를 방지하고자 조립된 후 양단이 압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100)는 연결핀(108)이라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며, 시중에 공급시 클램프(10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2개의 판재(104,106)를 요철 방식으로 연결하려다 보니 불가피하게 어느 한쪽의 판재(106)는 강도가 저하되게 마련이었다. 예를 들어, 한쪽(104)은 2개의 연결부(110a)에 의해, 다른 한쪽(106)은 2개의 연결부(110b)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소정의 이유로 인해 예를 들면, 제작공정의 잘못, 부식 또는 찌그러짐 등으로 인해 설계상의 내경과 연결하고자 하는 배관의 내경이 다소 오차가 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클램프로 배관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 체결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교각 등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경우 지진 또는 동적하중에 의한 진동에 의해 배관 이음부가 손상되어 누수되는 경우가 많았다.
실시예는 3-peace 구조의 배관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밀착도와 수밀성을 증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접이 불필요하며, 현장시공이 용이한 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관을 감싸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양측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탄성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 고정부; 상기 배관을 감싸는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고정부; 상기 배관을 감싸는 제3 본체와 상기 제3 본체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 상기 제2 본체 및 상기 제3 본체는 상기 배관을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상기 탄성결합부는 제1 삽입홈을 형성하는 절곡부, 절곡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과 상기 제3 결합부에 형성되는 제3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에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2 결합부의 일영역과 상기 제3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3 결합부의 일영역이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정부는 플레이트 구조의 벽체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벽체고정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제1 본체에 구비되는 삽입부가 슬라이딩 구조로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탄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고정부의 타측에는 제2 돌출부가, 상기 제3 고정부의 타측에는 제3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돌출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체결공이 구비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체결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 돌출부를 관통하는 체결봉과 연결되며, 상기 체결본체의 단부는 상기 제3 돌출부에 형성되는 체결본체 관통공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고정부의 타측 단부에는 제2 형합부가 상기 제3 고정부의 타측 단부에는 제3 형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형합부와 상기 제3 형합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가 고정시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적어도 2개의 마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3-peace 구조 및 힌지부를 이용하여 배관밀착도 및 수밀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이 불필요하며 화재 위험이 없으며, 간단한 시공으로 인해 고소작업시 장시간의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을 연결하는 클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실시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50) 연결 장치는 제1 고정부(10), 제2 고정부(20) 및 제3 고정부(30)의 3-peace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탄성결합부(13)를 이용하여 외력에 저항함과 동시에 밀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고정부(10)는 배관(50)을 감싸는 제1 본체(12)와 상기 제1 본체(12)의 양측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탄성결합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본체(12)는 배관(50)을 감싸는 곡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1 본체(12)의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탄성결합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결합부(13)는 제1 본체(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제1 삽입홈(13c)을 형성하는 절곡부(13b), 절곡부(13b)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1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곡부(13b)의 일영역에는 탄성결합부(13)가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13a)가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보강부(13a)는 탄성형이 일어날 수 있는 위치에 두께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13b)는 적어도 2개의 마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탄성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개의 마루를 구비하는 제1 절곡부(13b)에 의해 제1 삽입홈(13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홈(13c)에는 제2 삽입홈(22a)을 형성하는 제2 결합부(22)의 일영역과 제3 삽입홈(32a)을 형성하는 제3 결합부(32)의 일영역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0)는 플레이트 구조의 벽체고정부(11)를 더 포함하며, 벽체고정부(11)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제1 본체(12)에 구비되는 삽입부가 슬라이딩 구조로 삽입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벽체고정부(11)는 복수의 앵커(11b)를 통해 벽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벽체고정부(11)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1a)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홈에는 제1 고정부(10)에 구비되는 삽입부가 삽입될 수 있다. 배관(50) 연결 장치를 설치할때, 벽체고정부(11)를 통해 우선 배관(50)의 연결 위치를 고정한 후, 제1 고정부(10)를 슬라이딩 결합하여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고정부(20)는 배관(50)을 감싸는 제2 본체(21)와 제2 본체(21)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탄성결합부(13)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22), 제2 본체(21)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돌출부(23) 및 제2 본체(2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형합부(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고정부(30)는 배관(50)을 감싸는 제3 본체(31)와 제3 본체(31)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탄성결합부(13)와 결합하는 제3 결합부(32), 제3 본체(31)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3 돌출부(33) 및 제3 본체(3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3 형합부(34)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2)와 제3 결합부(32) 각각에는 제2 삽입홈(22a)과 제3 삽입홈(32a)이 형성되어 탄성결합부(13)의 제1 결합부(13d)가 삽입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결합부(13d)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삽입홈(22a)과 제3 삽입홈(32a)은 제1 결합부(13d)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3)는 제2 본체(21)의 일영역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제2 돌출부(23)는 체결부(40)가 삽입되기 위해 복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23)에는 제2 관통공(2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본체(31)의 일영역에는 제3 돌출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돌출부(33)에는 체결부(40)가 관통하기 위한 체결본체 관통공(3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본체(21)와 제3 본체(31)의 단부는 제2 고정부(20)와 제3 고정부(30)가 결합시 일정형상을 유지하면서 밀착력을 증대할 수 있는 제2 형합부(24)와 제3 형합부(3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2 형합부(24)와 제3 형합부(34)는 서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를 가지는 형합부는 체결부(40)를 통해 제2 고정부(20)와 제3 고정부(30)가 결합하는 경우,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간을 확보하여 밀착력을 증대할 수 있다.
체결부(40)는 제2 고정부(20)와 제3 고정부(30)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체결부(40)는 복수로 구비되는 제2 돌출부(23)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는 헤드부(41)와 헤드부(41)에 연결되는 체결본체(4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41)에는 체결공(4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41a)에는 제2 관통공(23a)을 관통하는 체결봉(44)이 관통하여 헤드부(41)가 제2 돌출부(23)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관통공(23a)을 관통하는 체결봉(44)의 양단은 체결너트(45)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체결공(41a)이 체결봉(44)에 관통결합함에 따라 헤드부(41)는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막대 구조의 체결본체(42)는 제3 돌출부(33)에 배치되는 체결본체 관통공(33a)을 관통하게 된다. 체결본체(42)의 단부는 체결본체 고정부(43)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본체 고정부(43)는 너트의 구조로 마련되어 체결본체(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통해 회전하여 제2 고정부(20)와 제3 고정부(30)를 고정하게된다. 체결본체 고정부(43)를 가압함으로 일반적으로 배관(50)을 감싸는 구조보다 밀착력을 증대할 수 있으며, 배관(50)의 외주면에 누수 방지를 위해 배치되는 탄성재질의 방수부(60)를 가압하여 밀착력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관(50)의 외주면에는 탄성재질의 방수부(60)가 배치되며, 방수부(60)를 감싸도록 제1 고정부(10), 제2 고정부(20) 및 제3 고정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결합부(13)가 탄성변형을 통해 외력을 수용할 수 있으며, 체결부(40)가 제2 형합부(24)와 제3 형합부(34)를 가압하여 배관(50) 연결시 전체 밀착력을 증대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나는 것 처럼, 본 발명은 복수의 배관(50)을 연결하는 경우에 배관(50)의 연결부에 사용될 수 있으며, 직각형 엘보우 관이나 예각 엘보우 관을 연결시에 탄성변형을 흡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peace 구조 및 힌지부를 이용하여 배관(50)밀착도 및 수밀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이 불필요하며 화재 위험이 없으며, 간단한 시공으로 인해 고소작업시 장시간의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배관 연결 장치 10 : 제1 고정부
11 : 벽체고정부 11a : 슬라이딩홈
11b : 앵커 12 : 제1 본체
13 : 탄성결합부 13a : 보강부
13b : 절곡부 13c : 제1 삽입홈
13d : 제1 결합부 20 : 제2 고정부
21 : 제2 본체 22 : 제2 결합부
22a : 제2 삽입홈 23 : 제2 돌출부
23a : 제2 관통공 24 : 제2 형합부
30 : 제3 고정부 31 : 제3 본체
32 : 제3 결합부 32a : 제3 삽입홈
33 : 제3 돌출부 33a : 체결본체 관통공
34 : 제3 형합부 40 : 체결부
41 : 헤드부 41a : 체결공
42 : 체결본체 43 : 체결본체 고정부
44 : 체결봉 45 : 체결너트
50 : 배관 60 : 방수부

Claims (9)

  1. 배관을 감싸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양측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탄성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 고정부;
    상기 배관을 감싸는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고정부;
    상기 배관을 감싸는 제3 본체와 상기 제3 본체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 상기 제2 본체 및 상기 제3 본체는 상기 배관을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탄성결합부는 제1 삽입홈을 형성하는 절곡부, 절곡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부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과 상기 제3 결합부에 형성되는 제3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2 결합부의 일영역과 상기 제3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3 결합부의 일영역이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플레이트 구조의 벽체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벽체고정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제1 본체에 구비되는 삽입부가 슬라이딩 구조로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탄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6. 배관을 감싸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양측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탄성결합부를 구비하는 제1 고정부;
    상기 배관을 감싸는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고정부;
    상기 배관을 감싸는 제3 본체와 상기 제3 본체의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결합부와 결합하는 제3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3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 상기 제2 본체 및 상기 제3 본체는 상기 배관을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타측에는 제2 돌출부가, 상기 제3 고정부의 타측에는 제3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3 돌출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체결공이 구비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체결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2 돌출부를 관통하는 체결봉과 연결되며, 상기 체결본체의 단부는 상기 제3 돌출부에 형성되는 체결본체 관통공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의 타측 단부에는 제2 형합부가 상기 제3 고정부의 타측 단부에는 제3 형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형합부와 상기 제3 형합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고정부가 고정시 형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적어도 2개의 마루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KR1020190144226A 2019-11-12 2019-11-12 배관 연결 장치 KR102262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26A KR102262505B1 (ko) 2019-11-12 2019-11-12 배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26A KR102262505B1 (ko) 2019-11-12 2019-11-12 배관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456A KR20210057456A (ko) 2021-05-21
KR102262505B1 true KR102262505B1 (ko) 2021-06-09

Family

ID=7615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226A KR102262505B1 (ko) 2019-11-12 2019-11-12 배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159B1 (ko) * 2023-07-11 2023-12-19 주식회사 라온테크 연결마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592U (ko) * 1997-12-29 1999-07-26 양재신 결합 및 분리형 클램프
KR20070016945A (ko) * 2005-08-05 2007-02-08 모레토 에스피에이 파이프를 지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456A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43B2 (en) Joint structure for quickly connecting corrugated pipe
RU27106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болта с потайной головкой
US5507500A (en) Expandable compression ring with locking members
KR102262505B1 (ko) 배관 연결 장치
US7467814B2 (en) Flange
JP304599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伸縮継手
JP2001123607A (ja) 雪止め体の取付構造
KR100652878B1 (ko) 클램프 구조
KR100462291B1 (ko)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KR200443458Y1 (ko) 배관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구조
KR101854417B1 (ko)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62620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44490Y1 (ko) 유압손실이 없는 내진용 클램프
JP2001012190A (ja) 中空構造物の継手構造
KR102351804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JPH04182532A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
KR20190139544A (ko) 시공이 간편한 합성목재 데크 시스템
JPS6043543A (ja) 筒状地下構造物の継手
JP2002070494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
KR20230172164A (ko)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KR100308547B1 (ko) 철근연결구
CN214461233U (zh) 一种机械接头用弹性箍、机械接头及预制构件组合
KR100800007B1 (ko) 파이프용 커넥터
JPH07167360A (ja) 伸縮可撓管継手の仮締構造
KR101035553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상수도관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