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417B1 -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4417B1 KR101854417B1 KR1020170107867A KR20170107867A KR101854417B1 KR 101854417 B1 KR101854417 B1 KR 101854417B1 KR 1020170107867 A KR1020170107867 A KR 1020170107867A KR 20170107867 A KR20170107867 A KR 20170107867A KR 101854417 B1 KR101854417 B1 KR 1018544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nger plate
- plate
- finger
- base plate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8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36 vulcanized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제1 핑거 플레이트,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와 교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제2 핑거 플레이트,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된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된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된 제1 차수 부재 결합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된 제2 차수 부재 결합부 및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 및 상기 제2 차수 부재 결합부에 의해 양 단부가 고정되는 차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밀착시키는 밀착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교량에 사용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구조물의 교량상판(슬래브)은 하중, 온도변화,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 프리스트레싱 등에 의해 변형(팽창 및 수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상판(슬래브)끼리는 적당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이격시켜 주게 되고, 이격된 공간에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통과)하도록 하고 교량상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이음부에는 변형에 유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빗 모양(또는 손가락 모양)의 핑거를 갖는 핑거 플레이트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상기 핑거형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비배수형과 배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배수형의 경우, 우수받이를 핑거 플레이트 아래에 설치하고, 별도의 집수구와 배수 연결관을 이용하여 상기 우수받이를 따라 이동한 우수를 처리한다. 비배수형의 경우, 핑거 플레이트 아래에 차수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집수구와 배수 연결관을 사용하지 않고, 교량의 슬래브 상면(교면)으로 교면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비배수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사용되는 차수 부재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능의 상실 또는 손상 등으로 인하여 교체의 필요성이 있으나, 종래의 비배수형 신축이음장치의 경우, 차수 부재의 개별 교체가 용이하지 않아, 신축이음장치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차수 부재의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나타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수 부재의 개별 교체가 용이하며,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제1 핑거 플레이트,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와 교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제2 핑거 플레이트,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된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된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된 제1 차수 부재 결합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된 제2 차수 부재 결합부 및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 및 상기 제2 차수 부재 결합부에 의해 양 단부가 고정되는 차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밀착시키는 밀착 커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수평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 커버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착 커버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을 향하며 제1 수직 길이를 갖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를 향하며 상기 제1 수직 길이 보다 큰 제2 수직 길이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수 부재는, 상기 수평 돌출부의 상면과 상기 밀착 커버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심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는, 상기 밀착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커버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밀착 커버에 삽입되는 커버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돌출부는,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밀착 커버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면에 대향하는, 상기 밀착 커버의 하면은,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수평 돌출부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밀착 커버 및 상기 수평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돌출부의 상면 및 상기 수평 돌출부의 상면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수직 연장부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함입되어 홈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홈 내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 연장부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함입되어 홈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홈 내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축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와 인접하는 제3 핑거 플레이트,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와 인접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경사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며,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경사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를 향하고 하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제1 경사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를 향하고 하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제1 경사 측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를 향하고 상기 하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제2 경사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를 향하고 상기 하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제2 경사 측면을 가진다.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의 제2 경사 측면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의 제2 경사 측면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배수형 신축이음장치에서, 차수 부재의 고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차수 부재의 손상 등에 의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 차수 부재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 부재의 연결 부위를 밀착시킴으로써,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 부재에 천공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차수 부재의 천공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천공으로부터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차수 부재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차수 부재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II' 선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차수 부재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차수 부재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차수 부재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II' 선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차수 부재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차수 부재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차수 부재 결합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제1 핑거 플레이트(111) 및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와 교축에 평행한 제1 방향(D1)으로 이격된 제2 핑거 플레이트(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는,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를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112)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12)들은, 교축에 수직한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는, 하부에 배치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와 결합된다.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는 제1 앵커(118)와 결합된다. 상기 제1 앵커(118)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앵커(118)는, 스터드 앵커일 수 있으며, 교량 슬라브의 콘크리트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앵커(118)와 결합하는, 제1 고정 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를 결합하는 제1 결합 부재(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결합 부재(116)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를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122)들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22)들은, 상기 교축에 수직하는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의 돌출부(112)들과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의 돌출부(122)들은, 상기 교축에 수직하는 방향(D2)을 따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는, 하부에 배치된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7)와 결합된다.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7)는 제2 앵커(128)와 결합된다. 상기 제2 앵커(128)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7)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교량 슬라브의 콘크리트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7)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앵커(128)와 결합하는, 제2 고정 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7)를 결합하는 제2 결합 부재(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의 하면에는, 제1 차수 부재 결합부(1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127)의 하면에는, 제2 차수 부재 결합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130) 및 상기 제2 차수 부재 결합부(140)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의 돌출부(112)들과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의 돌출부(122)들 아래에 배치된 차수 부재(150)의 가장 자리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차수 부재(150)를 고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차수 부재(150)는, 합성 고무, 천연 고무, 가황 고무 등과 같은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스틸, 도금 스틸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수 부재(150)는, 상기 교축에 수직한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차수 부재(15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U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V자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차수 부재 결합부(130)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에 결합되는 지지부(132), 상기 지지부(132)와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132)를 향하여 밀착시키는 밀착 커버(13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32)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의 하면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32a) 및 상기 수직 연장부(132a)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를 향하여 돌출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수평 돌출부(132b)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 커버(134)는, 상기 수평 돌출부(132b)의 상면과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의 하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돌출부(132b)의 상면과 상기 밀착 커버(134)의 하단 사이에,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밀착 커버(134)는, 상기 지지부(132)의 측면을 향하며, 제1 수직 길이(L1)을 갖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를 향하며, 상기 제1 수직 길이(L1) 보다 큰 제2 수직 길이(L2)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돌출부(132b)의 상면과 상기 밀착 커버(134)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차수 부재(150)에서, 상기 밀착 커버(134)의 제1 부분과 상기 수평 돌출부(132b)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 연장부(132a)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1 단부(154)의 두께가, 상기 밀착 커버(134)의 제2 부분과 상기 수평 돌출부(132b)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부(152)의 두께보다 크다.
또한, 상기 밀착 커버(134)는, 커버 결합 부재(136)에 의해, 상기 지지부(13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결합 부재(136)는, 상기 밀착 커버(134)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132)의 측면에 삽입되는 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에는 보강 심(15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강 심(153)은 금속 등과 같은, 경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며, 플레이트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가압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심(153)의 수직 폭은, 상기 상기 밀착 커버(134)의 제2 부분과 상기 수평 돌출부(132b) 사이의 간극 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차수 부재(150)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차수 부재(150)의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를 상기 지지부(132)의 수평 돌출부(132b) 위에 배치시키고, 상기 밀착 커버(134)를 상기 수직 연장부(132a)의 측면 및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에 밀착시킨 후, 상기 커버 결합 부재(136)를 상기 밀착 커버(134)와 상기 수직 연장부(132a)에 삽입하여, 상기 차수 부재(150)와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130)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조립 과정에서, 상기 차수 부재(150)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어도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는, 신축성이 큰 물질,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상기 밀착 커버(134) 및 상기 차수 부재(150)의 고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차수 부재(150)의 손상 등에 의해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 밀착 커버(134) 및 상기 차수 부재(150)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 부재(150)와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130)의 연결 부위를 밀착시킴으로써,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 부재(150)에 천공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차수 부재(150)의 천공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천공으로부터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수 부재 결합부(140)의 구성은,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13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II-II' 선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수평 영역 및 상기 수평 영역으로부터 교축에 수직한 방향(D2)으로 인접한 외곽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제1 수평 영역(110)에 배치된 제1 핑거 플레이트(111), 상기 제1 수평 영역(110)으로부터 교축에 평행한 제1 방향(D1)으로 인접한 제2 수평 영역(120)에 배치된 제2 핑거 플레이트(121), 상기 제1 수평 영역(110)으로부터 교축에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제3 수평 영역(210)에 배치된 제3 핑거 플레이트(211) 및 상기 제2 수평 영역(120)으로부터 교축에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제4 수평 영역(220)에 배치된 제4 핑거 플레이트(2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영역으로부터 교축에 수직한 방향(D2)으로 인접한 외곽 영역에는 경사 플레이트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평 영역(110)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과 반대되는 제3 방향(D3)으로 인접한 제1 외곽 영역(310)에는 제1 경사 플레이트(31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수평 영역(210)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한 제2 외곽 영역(410)에는 제2 경사 플레이트(4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311)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311)의 상면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411)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411)의 상면은,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21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차수 부재(150)는,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311) 및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41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외곽 영역(310), 상기 제1 수평 영역(110), 상기 제3 수평 영역(210) 및 상기 제2 외곽 영역(410)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교축에 수직한 방향(D2, D3)의 양 단부가 상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수 부재(150) 내로 유입되는 우수 등을 가둠으로써, 비배수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에서,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211)에 대향하는 측면은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211)에 대향하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의 제1 경사 측면과 하면은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에서,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311)에 대향하는 측면은,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311)에 대향하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의 제2 경사 측면과 하면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는, 교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평행사변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211)에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에 대향하는 측면은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에 대향하는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211)의 제1 경사 측면과 하면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211)에서,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411)에 대향하는 측면은,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411)에 대향하는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211)의 제2 경사 측면과 하면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211)는, 교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311),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11) 및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411)들은, 상면들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서로 밀착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211)의 제1 경사 측면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의 제1 경사 측면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1)의 제2 경사 측면은,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311)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411)의 제2 경사 측면은,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411) 아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핑거 플레이트를 갖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핑거 플레이트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볼트 등이 파손되거나 이탈하는 경우, 핑거 플레이트의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핑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가 인접하는 다른 핑거 플레이트 또는 경사 플레이트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볼트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핑거 플레이트의 이탈을 억제하여, 사고 등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수 부재와의 결합력 및 밀착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차수 부재 결합부의 변형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차수 부재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차수 부재 결합부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에 결합되는 지지부(132), 상기 지지부(132)와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132)를 향하여 밀착시키는 밀착 커버(1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3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32a) 및 상기 수직 연장부(132a)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를 향하여 돌출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수평 돌출부(132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커버(134)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를 관통하여, 상기 밀착 커버(134)에 삽입되는, 커버 결합 부재(136)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차수 부재 결합부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에 결합되는 지지부(132), 상기 지지부(132)와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132)를 향하여 밀착시키는 밀착 커버(1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3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32a) 및 상기 수직 연장부(132a)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를 향하여 돌출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수평 돌출부(132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돌출부(132b)는, 상기 수직 연장부(132a)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밀착 커버(134)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에 대향하는, 상기 밀착 커버(134)의 하면은, 상기 수직 연장부(132a)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수평 돌출부(132b)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밀착 커버(134) 및 상기 수평 돌출부(132b)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차수 부재 결합부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에 결합되는 지지부(132), 상기 지지부(132)와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132)를 향하여 밀착시키는 밀착 커버(1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3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32a) 및 상기 수직 연장부(132a)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를 향하여 돌출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수평 돌출부(132b)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돌출부(132b)의 상면 및 상기 수평 돌출부(132b)의 상면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수직 연장부(132a)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함입되어 홈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는 부분적으로 상기 홈 내에 삽입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차수 부재 결합부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7)에 결합되는 지지부(132), 상기 지지부(132)와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132)를 향하여 밀착시키는 밀착 커버(1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3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32a) 및 상기 수직 연장부(132a)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1)를 향하여 돌출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수평 돌출부(132b)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연장부(132a)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함입되어 홈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150)의 제1 단부(154)는 부분적으로 상기 홈 내에 삽입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육상 교량, 해상 교량 및 유사한 건축물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 교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제1 핑거 플레이트;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와 교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제2 핑거 플레이트;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된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된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된 제1 차수 부재 결합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된 제2 차수 부재 결합부;
교축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와 인접하는 제3 핑거 플레이트;
상기 제2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으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와 인접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경사 플레이트;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며,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경사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 및 상기 제2 차수 부재 결합부에 의해 양 단부가 고정되는 차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밀착시키는 밀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를 향하고 하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제1 경사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를 향하고 하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제1 경사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의 하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수평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 커버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커버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을 향하며, 제1 수직 길이를 갖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를 향하며, 상기 제1 수직 길이 보다 큰 제2 수직 길이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 부재는, 상기 수평 돌출부의 상면과 상기 밀착 커버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 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는, 상기 밀착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커버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수 부재 결합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밀착 커버에 삽입되는 커버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돌출부는,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밀착 커버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에 대향하는, 상기 밀착 커버의 하면은,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수평 돌출부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밀착 커버 및 상기 수평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돌출부의 상면 및 상기 수평 돌출부의 상면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수직 연장부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함입되어 홈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홈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연장부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함입되어 홈을 형성하며, 상기 차수 부재의 제1 단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홈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를 향하고 상기 하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제2 경사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를 향하고 상기 하면과 예각을 형성하는 제2 경사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경사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의 제2 경사 측면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경사 플레이트의 일부는 상기 제3 핑거 플레이트의 제2 경사 측면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7867A KR101854417B1 (ko) | 2017-08-25 | 2017-08-25 |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7867A KR101854417B1 (ko) | 2017-08-25 | 2017-08-25 |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4417B1 true KR101854417B1 (ko) | 2018-05-03 |
Family
ID=6224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7867A KR101854417B1 (ko) | 2017-08-25 | 2017-08-25 |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44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6089A (ko) * | 2018-08-06 | 2020-02-14 | 주식회사 일원테크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부재 체결구 및 이의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4708B1 (ko) * | 2009-03-24 | 2009-11-04 | 대경산업(주) |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
KR101166433B1 (ko) * | 2012-03-27 | 2012-07-19 | 이진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1235246B1 (ko) * | 2012-07-05 | 2013-02-20 | 안태환 |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및 시공방법 |
KR101720211B1 (ko) * | 2016-07-27 | 2017-03-28 |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 교량의 측방향 하중 지지형 신축 이음 장치 |
-
2017
- 2017-08-25 KR KR1020170107867A patent/KR1018544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4708B1 (ko) * | 2009-03-24 | 2009-11-04 | 대경산업(주) |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
KR101166433B1 (ko) * | 2012-03-27 | 2012-07-19 | 이진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1235246B1 (ko) * | 2012-07-05 | 2013-02-20 | 안태환 |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및 시공방법 |
KR101720211B1 (ko) * | 2016-07-27 | 2017-03-28 |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 교량의 측방향 하중 지지형 신축 이음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6089A (ko) * | 2018-08-06 | 2020-02-14 | 주식회사 일원테크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부재 체결구 및 이의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4606B1 (ko) |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 |
KR102202700B1 (ko) | 무배수시트 타입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 |
KR101533984B1 (ko) |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 |
KR101933804B1 (ko) | 거푸집 겸용 배수 부재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의 설치 방법 | |
KR101854417B1 (ko) |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2051614B1 (ko) |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 |
KR101571887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365436B1 (ko) |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 |
KR101762145B1 (ko)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보수 교체 공법 및 그 장치 | |
KR101581799B1 (ko) |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할형 신축이음장치 | |
JP7096669B2 (ja) | 道路橋用伸縮装置 | |
JP7192245B2 (ja) | 道路橋伸縮装置用止水装置 | |
KR20120029055A (ko) | 누수방지 효과가 우수한 배수형의 교량 신축이음 구조 | |
KR20190102475A (ko) | 연결바로 조립된 탄성받침 및 그 교체방법 | |
KR101986949B1 (ko) | 신축이음장치 | |
KR101538793B1 (ko) |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 |
JP4214108B2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伸縮可能な後施工型可撓継手装置 | |
KR101962665B1 (ko) | 프리셋팅된 교량 받침 어셈블리 | |
KR20120021579A (ko) |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886708B1 (ko) | 설치가 간편한 신축이음장치 | |
KR102090816B1 (ko) | 멀티레일형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 |
KR102603468B1 (ko) | 배수시트의 설치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 |
KR101084668B1 (ko) |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 |
KR102675167B1 (ko) | 이물질 차단기능을 구비하는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0957039B1 (ko) | 교량용 방수 내진 신축이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