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793B1 -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 Google Patents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793B1
KR101538793B1 KR1020140073065A KR20140073065A KR101538793B1 KR 101538793 B1 KR101538793 B1 KR 101538793B1 KR 1020140073065 A KR1020140073065 A KR 1020140073065A KR 20140073065 A KR20140073065 A KR 20140073065A KR 101538793 B1 KR101538793 B1 KR 101538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sheet
fixing part
fixing
drainage
conn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원
Original Assignee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하측에 적용되어 우수 및 이물이 교각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수시트의 고정편 구성을 개량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사용 수명을 장구히 하고, 사용 중 배수시트가 우수 및 이물의 중량에 의해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하측에 적용되어 우수 및 이물이 교각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축성을 제공하도록 요철형으로 형성한 배수부의 양측으로 교량의 상판과 핑거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편을 형성한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에는 고정편과 동일한 높이의 금속고정와셔를 인서트 하여 상판과 핑거부재 사이에 고정편이 가압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부와 고정편에는 폭방향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는 보강철 띠를 일정 간격으로 매립 설치하여 배수시트의 처짐 현상 방지와 내구성 향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금속고정와셔의 가장자리에는 경사 접지면 또는 계단 접지면을 형성하여 고정편과의 접지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Drainage sheet for flexibl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하측에 적용되어 우수 및 이물이 교각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수시트의 고정편 구성을 개량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사용 수명을 장구히 하고, 사용 중 배수시트가 우수 및 이물의 중량에 의해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하측에 적용되어 우수 및 이물이 교각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가 설치된다.
상기한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는 배수부의 양측으로 고정편을 형성한 것으로서, 사용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231663호(2013.02.19.)의 교체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09-0100197호(2009.09.23.)의 배수시트 교체시스템이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등 다양한 구성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자의 경우 배수시트의 고정편이 교량의 상판과 핑거부재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가압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고정은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고정편이 상판과 핑거부재 사이에 가압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환경(계절에 의한 온도 변화) 또는 고무의 특성에 의해 고정편이 경화되면서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딱딱해지는 변형이 발생하는데, 이때 상판과 핑거부재 사이에 미세한 틈이 생겨 핑거부재가 흔들리면서 고정편에 충격이 전이되어 경화된 고정편의 균열, 찢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우수나 오물 또는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분진과 같은 오물이 대량으로 유입되는 경우 배수구의 처짐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배수시트의 기능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배수시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231663 B1 2013.02.19. KR 1020090100197 B1 2009.09.23.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배수시트의 고정편에 금속고정와셔를 마련하여 고정편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해서 배수시트의 사용 수명을 장구히 하였으며, 또한 배수시트의 폭방향으로 배수시트의 단면 형상에 부합하는 보강철 띠를 일정간격으로 인서트 성형하여 사용 중 배수시트가 우수 및 이물의 중량에 의해 처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게 한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하측에 적용되어 우수 및 이물이 교각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축성을 제공하도록 요철형으로 형성한 배수부의 양측으로 교량의 상판과 핑거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편을 형성한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에는 고정편과 동일한 높이의 금속고정와셔를 인서트 하여 상판과 핑거부재 사이에 고정편이 가압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부와 고정편에는 폭방향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는 보강철 띠를 일정 간격으로 매립 설치하여 배수시트의 처짐 현상 방지와 내구성 향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금속고정와셔의 가장자리에는 경사 접지면 또는 계단 접지면을 형성하여 고정편과의 접지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는 교량에 적용되는 신축이음장치의 핑거부재와 상판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편에 동일한 높이의 금속고정와셔를 결합한 구성이므로 핑거부재와 상판을 결합할 때 고무재질인 고정편에 가압력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배수시트가 압축되어 가류됨으로 인한 수명 단축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시트의 폭방향으로 스테인리스 구성의 보강철 띠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우수 및 이물의 중량에 의해 배수부가 처짐을 최소화 하고,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우수 및 이물 제거 후 보강철 띠에 의해 신속히 복원되어 형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의 금속고정와셔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에서 금속고정와셔의 다른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의 보강철 띠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에서 보강철 띠의 다른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배수시트의 다른 예들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의 정면도 및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도 3은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의 금속고정와셔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의 보강철 띠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100)의 하측에 적용되어 우수 및 이물이 교각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구성품으로, 주로 고무로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1)를 구성함에 있어서, 배수시트(1)의 내구성 향상과 함께, 형상 변형으로 인한 기능성을 상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2)의 양측으로 고정편(3)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한 단면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하고, 고정편(3)에는 핑거부재(110)와 상판(200)을 조립할 때 사용하는 고정볼트(4)가 내입되는 조립구멍(5)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한 구성으로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배수시트(1)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수시트(1)에 2가지 구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내구성 향상, 형상 변형의 문제점이 없도록 하였다.
첫 번째 포함되는 구성부재는 고정편(3)에 금속고정와셔(6)를 추가로 결합한 것이다. 금속고정와셔(6)는 고정편(3)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핑거부재(110)와 상판(200)을 조립할 때 사용하는 고정볼트(4)가 내입되는 조립구멍(5)을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금속고정와셔(6)는 배수시트(1)를 성형할 때 인서트 하거나, 배수시트(1)를 성형한 상태에서 금속고정와셔(6)를 열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고정와셔(6)를 사각형상으로 구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고정와셔(6)는 고정편(3)과의 결합면적을 높일 목적으로 도 2와 같이 가장자리에 경사 접지면(6a)을 형성하거나, 도 3과 같이 계단 접지면(6b)을 형성하여 접지면적을 넓힘으로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 포함되는 구성부재는 배수시트(1)의 폭방향으로 배수부(2)와 고정편(3)에 걸쳐지도록 스테인리스 재질의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는 보강철 띠(7)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것이다.
상기 보강철 띠(7)는 도 4와 같이 표면에 노출되도록 설치하거나, 도 5와 같이 배수시트(1) 내부에 매립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다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금속고정와셔(6) 사용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종래 고정편(3)만 사용하는 경우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고정편(3)이 상판(200)에 결합된 지지체(210)와 핑거부재(110) 사이에 가압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환경(계절에 의한 온도 변화) 또는 고무의 특성에 의해 고정편(3)이 경화되면서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변형이 발생하는데, 이때 상판(200)에 결합된 지지체(210)와 핑거부재(110) 사이에 미세한 틈이 생겨 핑거부재(110)가 흔들리면서 고정편(3)에 충격이 전이되어 경화된 고정편(3)의 균열, 찢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200)에 결합된 지지체(210)와 핑거부재(110) 사이에 금속고정와셔(6)가 위치하는 형상이므로 외부환경 또는 고무의 특성에 의해 고정편(3)이 경화되면서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핑거부재(110)와 상판(200)에 결합된 지지체(210)에 각각 금속고정와셔(6)의 상하면이 면접되어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고정편(3)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보강철 띠(7) 사용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종래 배수부(2)의 경우 우수나 오물 또는 신축이음장치(100)의 신축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분진과 같은 오물이 대량으로 유입되는 경우 배수구의 처짐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배수시트(1)의 기능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보강철 띠(7)를 사용할 경우 고정편(3) 쪽에서 핑거부재(110)와 상판(200) 사이에 가압상태로 1차 고정되어 배수부(2)를 횡단하는 상태로 배수부(2)를 보강하는 구성이므로 배수부(2)의 변형을 최소화 하여 배수시트(1)의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2:배수부
3:고정편 4:고정볼트
5:조립구멍 6:금속고정와셔
6a:경사 접지면 6b:계단 접지면
7:보강철 띠 100:신축이음장치
110:핑거부재 200:상판
210:지지체

Claims (3)

  1.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100)의 하측에 적용되어 우수 및 이물이 교각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축성을 제공하도록 요철형으로 형성한 배수부(2)의 양측으로 교량의 상판(200)과 핑거부재(110)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편(3)을 형성한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1)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3)에는 고정볼트(4)가 결합되는 위치에 고정편(3)과 동일한 높이의 금속고정와셔(6)를 인서트 하여 핑거부재(110)와 상판(200)에 결합된 지지체(210)에 금속고정와셔(6)의 상하면이 면접되어 고정편(3)이 가압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고정와셔(6)의 가장자리에는 경사 접지면(6a) 또는 계단 접지면(6b)을 형성하여 고정편(3)과의 접지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2)와 고정편(3)에는 폭방향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는 보강철 띠(7)를 일정 간격으로 매립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KR1020140073065A 2014-06-16 2014-06-16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KR101538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065A KR101538793B1 (ko) 2014-06-16 2014-06-16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065A KR101538793B1 (ko) 2014-06-16 2014-06-16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793B1 true KR101538793B1 (ko) 2015-07-24

Family

ID=5387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065A KR101538793B1 (ko) 2014-06-16 2014-06-16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816B1 (ko) 2019-09-09 2020-03-18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멀티레일형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KR20210002153A (ko) 2019-06-26 2021-01-07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3328A (en) * 1975-03-29 1976-10-06 Yokohama Rubber Co Ltd 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horizontal construction body
KR200335445Y1 (ko) * 2003-08-29 2003-12-06 대경산업(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20066723A (ko) * 2010-11-24 2012-06-25 (주) 국제이엔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용 러버구조
KR101231663B1 (ko) * 2011-12-27 2013-02-19 에이치케이이엔씨(주) 교체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3328A (en) * 1975-03-29 1976-10-06 Yokohama Rubber Co Ltd 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horizontal construction body
KR200335445Y1 (ko) * 2003-08-29 2003-12-06 대경산업(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20066723A (ko) * 2010-11-24 2012-06-25 (주) 국제이엔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용 러버구조
KR101231663B1 (ko) * 2011-12-27 2013-02-19 에이치케이이엔씨(주) 교체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153A (ko) 2019-06-26 2021-01-07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210139206A (ko) 2019-06-26 2021-11-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 상판용 이음장치
KR102090816B1 (ko) 2019-09-09 2020-03-18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멀티레일형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663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 결합 구조물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2111779B1 (ko) 배수시트가 없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KR101538793B1 (ko)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JPH07331758A (ja) 遊間用止水材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JP2018003276A (ja) 導水構造および導水構造の施工方法
US8959860B2 (en) Expansion joint cover assembly for structural members
JP5658178B2 (ja) 伸縮装置用止水材
JP7096669B2 (ja) 道路橋用伸縮装置
KR200417258Y1 (ko) 보도용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1854417B1 (ko)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2013133690A (ja) シート固定装置及び絶縁防水工法
JP2011001722A (ja) 保護シートおよび遊間用止水材ユニット
JP5362929B1 (ja) 遊間用止水材および道路橋伸縮装置
KR101084668B1 (ko)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KR100986717B1 (ko)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연결캡 구조
KR100996424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KR102511958B1 (ko) 원터치 신축 이음 장치
JP2002155581A (ja) 遊間用止水材
JP4262157B2 (ja) 建築用シール材
KR100556019B1 (ko) 방수시트 고정용 레일식 고정구
JP6555794B2 (ja) 止水ゴム用押さえ板
KR102042954B1 (ko) 수밀성이 개선된 교량 신축이음장치
JP6261893B2 (ja) 遊間用止水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