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424B1 -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424B1
KR100996424B1 KR1020100068479A KR20100068479A KR100996424B1 KR 100996424 B1 KR100996424 B1 KR 100996424B1 KR 1020100068479 A KR1020100068479 A KR 1020100068479A KR 20100068479 A KR20100068479 A KR 20100068479A KR 100996424 B1 KR100996424 B1 KR 10099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ck
double
joint
side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천섭
안호협
신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스틸
Priority to KR1020100068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0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metal beams or girders, e.g. with steel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두 조인트부 중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 설치하고, 타측 조인트부의 상면에는 걸림편과 평행하게 테이프 접착판을 절곡 성형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과 양면 테이프 사이에 탄성판을 더 부착 설치한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하며, 타측 조인트부의 테이프 접착판 중심선 상에는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를 일체로 더 성형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현장에서 데크플레이트들의 양단부에 형성된 조인트부들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킬 때 데크플레이트 자체 및 슬래브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서로 인접된 데크플레이트들의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과 타측 조인트부의 테이프 접착판 내면이 양면 테이프를 통해 상호 부착되므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데크플레이트들의 조인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완벽히 없앨 수 있어 데크플레이트들의 결합부에 대한 수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조인트부의 틈새를 통해 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을 포함하여 부스러기 및 먼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의 누출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양면 테이프와의 접합 면적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갈고리형 조인트부 자체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비틀리거나 절곡되는 등의 변형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데크플레이트 결합부의 수밀력에 대한 신뢰도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for concrete slab}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플레이트의 바닥판 양단부에서 갈고리 형상을 갖고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조인트부 중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 중심선 상에는 양면 테이프 또는 탄성판과 양면 테이프를 단독 또는 순차적으로 접착 설치하고, 타측 조인트부의 상면에는 걸림편과 평행한 테이프 접착판을 절곡 성형하되, 상기 테이프 접착판에는 필요에 따라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를 일체로 성형시켜 현장에서 데크플레이트들의 양단부를 조인트부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연속적으로 수개의 데크플리이트를 슬래브 상에 재치시킬 때, 데크플레이트의 하중 및 슬래브 콘크리트의 중력과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 서로 인접된 데크플레이트의 조인트부들이 상호 부착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데크플레이트들의 조인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이 대폭 향상되어 조인트부의 틈새를 통해 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을 포함하여 부스러기 및 먼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의 누출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일측의 조인트부에 성형된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를 통해 양면 테이프 및 탄성판과의 접합 면적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인트부 자체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비틀리거나 절곡되는 등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러스 데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트러스(1)와 데크플레이트(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트러스(1)는 통상 상부근, 하부근, 래티스가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된 트러스(1)는 통상 3개가 하나의 데크플레이트(2) 상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 고정되게 된다.
또, 상기 데크플레이트(2)는 소정 면적을 갖는 바닥판(20)과, 상기 바닥판(20)의 양측에서 일체로 절곡 성형되는 갈고리형 조인트부(21)(22)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바닥판(20)에는 스폿용접의 편의를 위해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리브는 래티스의 풋트가 재치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트러스(1)들을 구비한 트러스 데크의 데크플레이트(2)들은 바닥판(20)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절곡 성형된 갈고리형 조인트부(21)(22)들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된 데크플레이트(2)들을 상호 연속해서 결합시키면서 슬래브 상에 설치하게 되며, 이렇게 데크플레이트(2)들이 슬래브 상에 설치 완료되면 상기 트러스 데크의 상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2)의 바닥판(20) 양단부에 성형되는 조인트부(21)(22)가 단순히 갈고리 형상만을 갖고 있어, 데크플레이트들을 상호 결합하였을 때 갈고리형 조인트부(21)(22)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틈새가 발생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수분이 쉽게 누수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서로 인접된 데크플레이트들 끼리 결합되게 하는 갈고리형 조인트부 간의 틈새 부분이 바닥판의 표면상에 위치하고 있어 이 틈새 부분으로 수분의 침투가 용이하고, 특히 갈고리 조인트부 부분이 서로 당겨지거나 떨어지는 경우에는 그 틈새가 매우 크게 형성되어 수분의 누수가 심각해지게 된다.
이러한 누수는 데크플레이트 바닥판의 부식으로 이어져 데크플레이트 자체의 내구성과, 구조 성능의 저하 및 하부 면의 얼룩에 따른 도색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는 등의 트러블이 생기게 된다.
또한,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라 하더라도, 콘크리트 부스러기나 먼지 등이 틈새로 새어 나올 경우, 클린룸의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로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629794호가 제시된바 있는데, 이에 제시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는 도 2의 (a)-(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2)는 바닥판(20)과, 이 바닥판(20)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조인트부(21)(22)와, 단부 걸림홈(31)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부(21)(22)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 절곡부 내측 또는 자유단부에 설치되는 실링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실링부재(3)는 도 2의 (a) 및 (b)와 같이 일단 조인트부(21) 또는 타단 조인트부(22)의 절곡부 내측 중 어느 하나의 절곡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거나, 또는 도 2의 (c)와 같이 두 조인트부(21)(22)의 절곡부 내측에 동시에 삽입 설치된 구성, 또는 도 2의 (d)와 같이 조인트부(21) 및/또는 조인트부(22)의 자유단부에 선택적 또는 동시에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양측 조인트부에 설치되는 실링부재 자체가 지름이 작은 원봉 형상을 가짐은 물론 주연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조인트부의 자유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어 제품의 압출 성형시 지름이 작은 원봉 형상의 실링부재 주연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그 목과 깊이가 작은 조인트 단부 결합용 홈을 성형하기 매우 어렵다.
또한 이와 같이 성형된 실링부재를 각각 일단 및 타단 조인트부의 절곡부 내측 설치할 때 홈 부위가 조인트부들의 절곡부 내측에서 공간부를 향해 정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며, 또 조인트부의 자유단부에 고정 설치된 실링부재의 경우 러버 등으로 성형한 실링부재의 홈에 금속판재로 된 데크플레이트의 조인트부의 자유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를 갖고 있어 데크플레이트의 운반 및 설치 중 외부에서 가해지는 약한 압력 또는 충격에도 쉽게 조인트부로부터 이탈 또는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데크플레이트의 조인트부들 자체가 단순히 평판을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시킨 형태를 지니고 있어 외부에서 조인트부에 외압이 가해질 경우 쉽게 꺽이거나 비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어 비록 조인트부의 절곡부 내측 또는 조인트부의 자유단부에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서로 인접한 데크플레이트들의 양 조인트부 결합상태가 매우 양호하지 못하여(즉, 조인트부의 자유단부 일부가 실링부재에 밀착되지 않고 일부가 뜨거나 양 조인트부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 수밀성이 좋지 않게 됨은 물론 실링부재들의 설치와 무관하게 이들 조인트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을 포함하여 부스러기 및 먼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의 누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데크플레이트의 바닥판 양단부에서 갈고리 형상을 갖고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조인트부 중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에 양면 테이프를 접착 설치하거나, 또는 탄성판과 양면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접착 설치하되, 타측 조인트부의 상면에는 걸림편과 평행한 테이프 접착판을 절곡 성형하여, 현장에서 데크플레이트들의 양단부를 조인트부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연속적으로 수개의 데크플리이트를 슬래브 상에 재치시킬 때, 데크플레이트 자체 및 슬래브 콘크리트의 하중과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 서로 인접된 데크플레이트의 조인트부들이 상호 부착(즉,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에 타측 조인트부의 테이프 접착판 내면이 양면 테이프를 통해 상호 부착)되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데크플레이트들의 조인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들의 결합부에 대한 수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조인트부의 틈새를 통해 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을 포함하여 부스러기 및 먼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의 누출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또한 타측 조인트부의 상면에 형성된 테이프 접착판의 중심선 상에는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를 일체로 더 성형시켜 줌으로써 양면 테이프와의 접합 면적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인트부 자체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비틀리거나 절곡되는 등의 변형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절곡 성형된 두 조인트부들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된 데크플레이트들을 상호 연속해서 결합시키면서 슬래브 상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중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 설치하고, 타측 조인트부의 상면에는 걸림편과 평행하게 테이프 접착판을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과 양면 테이프 사이에 탄성판을 더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양면 테이프 및 탄성판은 데크플레이트 제조공장에서 부착 설치되고, 양면 테이프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대지는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에 의해 떼어져 인접된 데크플레이트들이 상호 결합될 때 타측 데크플레이트의 타측 조인트부 테이프 접착판 내면에 대지가 떼어진 양면 테이프의 외면이 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탄성판은 고무판, 판형 실리콘, 판형 스폰지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측 조인트부에 절곡 성형된 상기 테이프 접착판의 중심선 상에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를 일체로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는 종단면이 "∨" 형상 또는 "∪"을 갖도록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일측 데크플레이트의 일측 조인트부 걸림편 외면에 부착 설치된 양면 테이프는 타측 데크플레이트의 타측 조인트부 테이프 접착판에 절곡 성형된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 데크플레이트의 일측 조인트부 걸림편 외면에 부착 설치된 양면 테이프 및 탄성판은 타측 데크플레이트의 타측 조인트부 테이프 접착판에 절곡 성형된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의 압지력에 의해 그 일부가 눌러지며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의 내면 형상에 대향되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에 의하면, 데크플레이트의 바닥판 양단부에서 갈고리 형상을 갖고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조인트부 중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에는 양면 테이프를 접착 설치하거나, 탄성판과 양면 테이프를 순차적으로 접착 설치하고, 타측 조인트부의 상면에는 걸림편과 평행하게 테이프 접착판을 절곡 성형하여 줌으로써 현장에서 데크플레이트들의 양단부에 형성된 조인트부들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킬 때 데크플레이트 자체 및 슬래브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서로 인접된 데크플레이트들의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과 타측 조인트부의 테이프 접착판 내면이 양면 테이프를 통해 상호 부착되므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데크플레이트들의 조인트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완벽히 없앨 수 있어 데크플레이트들의 결합부에 대한 수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조인트부의 틈새를 통해 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을 포함하여 부스러기 및 먼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의 누출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타측 조인트부의 접촉편 중심선 상에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를 일체로 더 절곡 성형시켜 줌으로써 양면 테이프와의 접합 면적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갈고리형 조인트부 자체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비틀리거나 절곡되는 등의 변형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데크플레이트 결합부의 수밀력에 대한 신뢰도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트러스 데크에 대한 정면도.
도 2의 (a)-(d)는 종래 데크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실링부재들의 설치상태 예시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결합상태 요부 확대 정면도.
도 5의 (a)-(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분해 및 결합상태 요부 확대 정면도.
도 6의 (a)-(c) 내지 도 9의 (a)-(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분해 및 결합상태 요부 확대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요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결합상태 요부 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a)-(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분해 및 결합상태 요부 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a)-(c) 내지 도 9의 (a)-(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의 분해 및 결합상태 요부 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바닥판(20)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절곡 성형된 두 조인트부(21)(22)들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된 데크플레이트(2)들을 상호 연속해서 결합시키면서 슬래브 상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21)(22) 중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1) 외면에 양면 테이프(4)를 부착 설치하고, 타측 조인트부(22)의 상면에는 걸림편(221)과 평행하게 테이프 접착판(222)을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1) 외면과 양면 테이프(4) 사이에 탄성판(5)을 더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양면 테이프(4) 및 탄성판(5)은 데크플레이트 제조공장에서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1)에 부착 설치되고, 양면 테이프(4)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대지(41)는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에 의해 떼어져 인접된 데크플레이트(2)들을 상호 결합할 때 타측 데크플레이트(2)의 타측 조인트부(22) 테이프 접착판(222) 내면에 대지(41)가 떼어진 양면 테이프(4)의 외면이 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탄성판(5)은 자체적으로 탄성력이 양호한 고무판, 판형 실리콘, 판형 스폰지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타측 조인트부(22)에 절곡 성형된 상기 테이프 접착판(222)의 중심선 상에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를 일체로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는 종단면이 "∨" 형상 또는 "∪"을 갖도록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일측 데크플레이트(2)의 일측 조인트부(21) 걸림편(221) 외면에 부착 설치된 양면 테이프(4)는 타측 데크플레이트(2)의 타측 조인트부(22) 테이프 접착판(222)에 절곡 성형된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 데크플레이트(2)의 일측 조인트부(21) 걸림편(221) 외면에 부착 설치된 상기 양면 테이프(4) 및 탄성판(5)은 타측 데크플레이트(2)의 타측 조인트부(22) 테이프 접착판(222)에 절곡 성형된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에 의해 그 일부가 눌러지며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의 내면 형상에 대향되는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도 3 및 도 4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0)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절곡 성형되는 두 조인트부(21)(22) 중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21) 외면에 양면 테이프(4)를 부착 설치하고, 타측 조인트부(22)의 상면에는 대략 "V"자 형상을 갖는 홈을 형성시켜 해당 조인트부(22)의 걸림편(221)과 평행하게 테이프 접착판(222)이 절곡 성형되도록 하여, 수개의 데크플리이트를 연속해서 슬래브 상에 재치시킬 때 일측 데크플레이트(2)의 일측 조인트부(21) 걸림편(221) 외면과 타측 데크플레이트(2)의 타측 조인트부(22)의 테이프 접착판(222) 내면이 상기 양면 테이프(4)에 의해 상호 일체로 부착되는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양면 테이프(4)는 데크플레이트를 공장에서 제조할 때 바닥판(20)의 양단부에서 절곡 성형되는 두 조인트부(21)(22) 중 일측 조인트부(21)의 갈고리형 걸림편(221) 외면에 대지(41)가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에서 자동부착기를 통해 자동으로 또는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부착 설치되고, 타측의 조인트부(22) 상면에 성형되는 테이프 접착판(222)은 걸림편(221)를 절곡 성형할 때 저면이 대략 "V"자 형상을 갖는 프레스에 의해 해당 조인트부(22)의 걸림편(221)과 평행하게 절곡 성형된다.
또한, 상기 양면 테이프(4)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대지(41)는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에 의해 떼어진 다음, 인접된 데크플레이트(2)들을 도 4의 (a)와 같이 상호 결합한 다음 데크플레이트(2)의 자중 또는 데크플레이트(2)들의 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의 하중 등에 의해 테이프 접착판(222)이 구비된 데크플레이트가 하강하며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1)에 부착된 상기 양면 테이프(4)의 외면이 타측 데크플레이트(2)의 타측 조인트부(22) 테이프 접착판(222) 내면에 부착되어 서로 인접한 데크플레이트(2)의 두 조인트부(21)(22)가 도 4의 (b)와 같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호 밀착되는 형태에서 일체로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데크플레이트(2)들의 조인트부(21)(22)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새가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과 타측 조인트부(22)의 테이프 접착판(222) 사이를 부착시켜 주는 상기 양면 테이프(4)에 의해 없어지게 되므로 데크플레이트(2)들의 결합부에 대한 수밀성이 대폭 향상되어 조인트부(21)(22)의 틈새를 통해 슬래브 콘크리트로부터 수분을 포함하여 부스러기 및 먼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양면 테이프(4)는 재질이나 두께 등에 따라 금속판재로 된 데크플레이트(2) 조인트부(21)(22)들 사이의 수밀력을 포함하여 이들에 부착되는 부착력 등에 많은 차이가 생길 수 있게 되는데, 특히 양면 테이프(4)의 두께가 얇고 접착제가 엷게 도포된 경우 자체의 탄성력과 부착력의 저하로 인해 두 조인트부(21)(22) 사이에서의 수밀력도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바닥판(20)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절곡 성형되는 두 조인트부(21)(22) 중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21) 외면에 양면 테이프(4)를 단층으로 부착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비교적 그 두께가 두껍고 접착제도 두텁게 도포된 양면 테이프(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5의 (a)-(c)와 같이, 상기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1) 외면과 양면 테이프(4) 사이에 자체적으로 탄성력이 매우 양호한 고무판이나 판형 실리콘 또는 판형 스폰지 등으로 성형한 탄성판(5)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더 부착 설치하여 주었는데, 이 경우에 상기 탄성판(5)이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므로 상기 양면 테이프(4)는 일 실시 예에 비하여 비교적 얇은 것을 설치하여도 무관하다.
이와 같이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1) 외면에 탄성판(5)과 양면 테이프(4)를 순차적으로 부착 설치하게 되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데크플레이트(2)들의 조인트부(21)(22) 사이에서 상기 탄성판(5)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및 충격력 등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변화되고, 상기 양면 테이프(4)는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 외면과 타측 조인트부(22)의 테이프 접착판(222) 내면 사이를 도 5의 (c)와 같이 상호 일체로 접착시켜 주는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데크플레이트(2)들의 조인트부(21)(22)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틈새가 양면 테이프(4)와 탄성판(5)에 의해 완전히 없어지게 되므로 데크플레이트(2)들의 결합부에 대한 수밀성을 양면 테이프(4)만 설치할 때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어 조인트부(21)(22)들의 틈새를 통해 각종 이물질의 누출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양면 테이프(4) 및 탄성판(5)은 데크플레이트 제조공장에서 부착 설치되고, 양면 테이프(4)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대지(41)는 공사현장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떼어진 다음, 인접된 데크플레이트(2)들을 도 5의 (b)와 같이 상호 결합하게 되면, 데크플레이트(2)의 자중 또는 이후 상기 데크플레이트(2)들의 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의 하중 등에 의해 테이프 접착판(222)이 구비된 데크플레이트가 하강하며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1)에 부착된 상기 양면 테이프(4)의 외면이 타측 데크플레이트(2)의 타측 조인트부(22) 테이프 접착판(222) 내면에 부착되어 서로 인접한 데크플레이트(2)의 두 조인트부(21)(22)가 도 5의 (c)와 같이 상호 일체로 부착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6의 (a)-(c) 및 도 7의 (a)-(c)와 같이 양면 테이프(4) 단독으로, 또는 도 8의 (a)-(c) 및 도 9의 (a)-(c)와 같이 양면 테이프(4)와 탄성판(5)이 순차적으로 부착 설치된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1)과 상호 결합되는 타측 조인트부(22)의 테이프 접착판(222) 중심선 상에 종단면이 "∨" 형상 또는 "∪"을 갖는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를 일체로 더 절곡 성형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가 일체로 절곡 성형된 타측 조인트부(22)의 테이프 접착판(222)은 외부에서 비교적 강한 압력 또는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비틀리거나 절곡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데크플레이트들의 결합부에 대한 수밀에 따른 신뢰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시킬 경우(물론,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1) 외면에 단층으로 부착 설치된 양면 테이프(4)는 비교적 두꺼운 것으로 단정) 도 6의 (a) 및 도 7의 (a)와 같이 일측 데크플레이트(2)의 일측 조인트부(21) 걸림편(211) 외면에 부착 설치된 양면 테이프(4)은, 타측 데크플레이트(2)의 타측 조인트부(22) 테이프 접착판(222)에 절곡 성형된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에 의해 데크플레이트들의 결합시 또는 콘크리트 타설시 도 6의 (c) 및 도 7의 (c)와 같이 눌러지며 테이프 접착판(222)을 포함한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의 내면을 감싸는 형태에서 일체로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적용시킬 경우, 도 8의 (a) 및 도 9의 (a)와 같이 일측 데크플레이트(2)의 일측 조인트부(21) 걸림편(211) 외면에 부착 설치된 상기 양면 테이프(4) 및 탄성판(5)은, 데크플레이트들의 결합시 또는 콘크리트 타설시 타측 데크플레이트(2)의 타측 조인트부(22) 테이프 접착판(222)에 절곡 성형된 상기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의 압력에 대응하여 그 일부가 동시에 도 8의 (c) 및 도 9의 (c)와 같이 눌러지며 테이프 접착판(222)을 포함한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의 내면 형상에 대향하여 오목하게 변형되며 감싸는 형태에서 일체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타측 조인트부(22) 테이프 접착판(222)의 중심선 상에도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223)를 일체로 더 절곡 성형시켜 줌으로써 양면 테이프(4)가 단층으로 부착 설치되거나, 또는 탄성판(5)과 양면 테이프(4)가 순차적으로 부착 설치된 일측 조인트부(21)의 걸림편(211) 외면과의 접합 면적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어 데크플레이트의 결합부에 대한 수밀력을 그만큼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신뢰도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타측 조인트부(22)의 테이프 접착판(222) 자체가 외부에서 가해질 수 있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비틀리거나 절곡되는 것과 같은 변형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2 : 데크플레이트
20 : 바닥판 21,22 : 조인트부
211, 221 : 걸림편 222 : 테이프 접착판
223 :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
4 : 양면 테이프 41 : 대지
5 : 탄성판

Claims (9)

  1. 바닥판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절곡 성형된 두 조인트부들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된 데크플레이트들을 상호 연속해서 결합시키면서 슬래브 상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중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 중 타측 조인트부의 상면에는 걸림편과 평행하게 테이프 접착판을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 조인트부의 걸림편 외면과 양면 테이프 사이에 탄성판을 더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데크플레이트 제조공장에서 부착 설치되고, 양면 테이프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대지는 공사현장에서 작업자에 의해 떼어져 인접된 데크플레이트들이 상호 결합될 때 타측 데크플레이트의 타측 조인트부 테이프 접착판 내면에 대지가 떼어진 양면 테이프의 외면이 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고무판, 판형 실리콘, 판형 스폰지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측 조인트부에 절곡 성형된 테이프 접착판의 중심선 상에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를 일체로 더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강성 증대겸 압지용 절곡부는 종단면이 "∨" 형상 또는 "∪"을 갖도록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8. 삭제
  9. 삭제
KR1020100068479A 2010-07-15 2010-07-15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KR10099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479A KR100996424B1 (ko) 2010-07-15 2010-07-15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479A KR100996424B1 (ko) 2010-07-15 2010-07-15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424B1 true KR100996424B1 (ko) 2010-11-24

Family

ID=4341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479A KR100996424B1 (ko) 2010-07-15 2010-07-15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4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344A (ko) 2017-03-15 2018-09-28 (주)디앤에프 슬래브용 트러스 데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344A (ko) 2017-03-15 2018-09-28 (주)디앤에프 슬래브용 트러스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354B2 (en) Structure reinforcement system
CA2731865C (en) Box culvert
IE911998A1 (en) Method for sealing connections between sheet piles, and¹sheet piles employing said method
KR100996424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KR101202372B1 (ko) 파형강판용 수밀결합구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CN210797919U (zh) 墙体变形缝的防水构造
JP4839147B2 (ja) 取付部材の防水構造
KR20120008838A (ko)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 및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
CN110984237B (zh) 变形缝复合堵漏密封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CN212078025U (zh) 变形缝复合堵漏密封系统
KR100935417B1 (ko) 방수공법
KR101779163B1 (ko) 앵커 볼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시공 방법
JPS6363828A (ja) コンクリ−ト構造体の防水接合方法
CN210507840U (zh) 外贴式止水带
JP2891670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可撓継手構造及びその可撓継手構造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製品
CN211172458U (zh) 一种建筑结构伸缩缝的防水结构
KR100403389B1 (ko) 수로 또는 구조물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일체식신축이음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로 또는 구조물의 연속시공방법
CN220058368U (zh) 与既有结构连接的变形缝堵疏结合装置
CN210459313U (zh) 管廊变形缝防水结构
JPH0439342Y2 (ko)
KR101155848B1 (ko) 덕트 시공용 커넥터
JP5209853B2 (ja) 長尺床シートと下地との接着による床構造体
KR200201192Y1 (ko) 수팽창성 수밀형 고무 지수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