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838A -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 및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 - Google Patents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 및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838A
KR20120008838A KR1020100070068A KR20100070068A KR20120008838A KR 20120008838 A KR20120008838 A KR 20120008838A KR 1020100070068 A KR1020100070068 A KR 1020100070068A KR 20100070068 A KR20100070068 A KR 20100070068A KR 20120008838 A KR20120008838 A KR 20120008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euroform
yoke
leakage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754B1 (ko
Inventor
박진삼
안태상
임종만
황정현
Original Assignee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7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시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코킹재 및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는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함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유로폼의 측면보강재 사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측면보강재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와 높이를 가지는 강판과 강판의 양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보강재에 각각 접촉되는 고무판으로 구성되고, 측면보강재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핀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 및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Cocking Member For Preventing Water Leak Of Euroform And Transverse Wailing Integrated Cocking Member}
본 발명은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시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코킹재 및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에 관한 것이다.
유로폼은 벽식 거푸집으로써 국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 유통되는 거푸집이다.
도 4는 가장 전형적인 유로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유로폼(40)은 코팅합판으로 된 직사각형 형태의 면판(41), 면판(41)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4개의 측면보강재(42a,42b,42c,42d) 그리고 면판(41)의 폭방향으로 고정된 측면보강재와 평행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된 다수 개의 횡보강재(43)를 포함한다. 즉, 유로폼(40)은 강재 프레임인 측면보강재(42a,42b,42c,42d)와 횡보강재(43)의 골격에 코팅합판으로 된 면판(41)을 부착시킨 구조로서 모듈화된 제품으로 다양한 크기와 부속품으로 구성된다. 유로폼은 반복 사용할 수 있어 자재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의 단순화 및 표준화로 인건비 절약에도 큰 도움을 준다. 특히, 유로폼에 사용되는 합판이 수명을 다해도 강재 프레임은 불순물 제거, 프레임 교정, 도색작업 및 신재 합판부착 과정을 거쳐 신제품과 다름없는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국내 가설업체가 상당량을 보유하고 있는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하기 위한 사례가 있으며 현재에도 일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용방법은 유로폼을 이용하여 슬래브 거푸집을 조립한 뒤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페이스트 함유된 수분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면판 상부를 합판으로 이루어진 누수방지판으로 보강하는 것이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측면보강재(42a,42b,42c,42d)가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구멍(423) 또는 틈을 통해 면판(41)의 상면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에 포함된 수분이 누출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판(41)의 상부에 누수방지판(미도시)이 부착된다.
그러나 누수방지판은 현장에서 몇 회 사용되고 폐기되는 것이므로 자원낭비가 문제로 되고, 상층으로 이동시 결합된 유로폼을 해체하기 위해 누수방지판을 모두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설치시에는 유로폼 면판과 누수방지판을 못으로 체결함으로써 기성폼인 유로폼의 면판을 훼손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벽체 타설을 위한 거푸집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포롬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시에 유로폼 접합부분에서의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누수방지판 사용에 따른 위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유로품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시 누수방지를 위해 적용되는 누수방지판의 폐기에 따른 자원낭비, 유로폼 면판에 결속 및 해체시의 번거로움 및 그에 따른 공사기간 지연, 유로폼의 훼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는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함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유로폼의 측면보강재 사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측면보강재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와 높이를 가지는 강판과 강판의 양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보강재에 각각 접촉되는 고무판으로 구성되고, 측면보강재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핀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는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함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유로폼의 측면보강재 사이로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유로폼과 유로폼이 접합되는 부분의 하면에 놓여져 유로폼을 지지하는 멍에재와, 멍에재의 상면에 접합되고 측면보강재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와 측면보강재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는 강판과, 강판의 양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보강재에 각각 접촉되는 고무판으로 구성되고, 측면보강재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핀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품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시 누수방지를 위해 적용되는 누수방지판이 불필요하여 누수방지판의 폐기에 따른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거푸집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누수방지판의 재단, 조립 및 해체의 작업 공정이 대폭 축소됨으로써 공기단축이 가능하고 기성 유로폼의 성능에 적합한 최소 동바리가 배치됨으로써 경제적이다. 또한 누수방지판 결속이 없으므로 일부 동바리 열 존치(필라 서포트)가 용이함으로 거푸집 해체시기 단축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를 이용하여 유로폼을 서로 연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접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를 이용해 유로폼을 서로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연결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가장 전형적인 유로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누수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를 이용하여 유로폼을 서로 연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접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코킹재(10)는 강판(11)과 강판(11)의 양측면에 접착된 고무판(12a,12b)으로 구성된다.
강판(11)은, 도 2a, 2b에서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강재로 된 판형태로서 유로폼(40)의 측면보강재(42a,42b,42c,42d)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측면보강재(42a,42b,42c,42d)의 높이방향의 상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리브(421,422) 사이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진다. 측면보강재(42a,42b,42c,42d)는 면판(41)의 장변 및 단변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므로 그에 따라 강판(11)은 장변 측면보강재 및 단변 측면보강재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강판(11)은 측면보강재(42a,42b,42c,42d)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서로 결합되는 유로폼의 측면보강재(42a,42b,42c,42d)가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강판(11)의 양측면에는 고무판(12a,12b)이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된다. 접착제는 강재와 고무재의 접착이 가능하고 그들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접착제를 이용하여 강판(11)과 고무판(12a,12b)을 부착한 후 일정한 압력과 열을 가하면 그들 사이의 접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고무판(12a,12b)은 일정한 탄성을 가져 이웃하는 유로폼을 체결수단(예를 들어, 웨지핀(47))을 이용해 결합할 때 탄성변형하면서 서로 대향하는 측면보강재 사이의 공간을 밀실하게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무판(12a,12b)은 강판(11)과 동일한 길이와 높이를 가지고 강판(11)과 접합되었을 때 유로폼의 측면보강재가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을 메울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무판(12a,12b)의 한쪽 면은 강판(11)에 접합되고 다른 쪽 면은 측면보강재(42a,42b,42c,42d)에 접촉하게 된다.
코킹재(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유로폼(40)의 측면보강재(42a,42b,42c,42d)에 형성된 다수 개의 체결용 구멍(4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조립핀 구멍(10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재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강판(11)과 고무판(12a,12b)의 접촉면을 샌드블라스트(Sand Blast) 처리한다. 샌드블라스트란 모래를 압축공기로 뿜어 제품의 표면을 다듬는 공법이다. 모래입자의 크기와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하여 강판(11)과 고무판(12a,12b)의 접촉면을 거칠게 할 경우 접착제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고 마찰계수 또한 높아져 접착력이 향상된다.
샌드블라스트의 처리가 완료되면 고무판(12a,12b)의 접촉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고무판(12a,12b)을 강판(11)의 양측면에 부착하고 일정한 압력과 열을 가하여 고정한다. 이때, 압력은 50 ~200 kgf/㎠, 온도는 130 ~ 1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온도와 압력을 가했을 때 강판(11)과 고무판(12a,12b)의 접착상태가 가장 우수하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구성되고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재는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할 때 대향하는 측면보강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된다. 이를 도 2a, 2b를 참조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유포폼은 규격화된 벽체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으로서 벽체 거푸집으로 사용될 경우 유로폼과 유로폼 사이의 접합면을 통해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이 누출되는 것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사용할 경우 유로폼과 유로폼 사이의 접합면을 통해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재는 도 2a, 2b에서와 같이 유로폼(40)의 측면보강재(42a,42b,42c,42d)가 마주보는 공간에 삽입되고 웨지핀(47)으로 유로폼(40)을 서로 결합할 때 고정되어 유로폼(40)과 유로폼(40) 사이의 접합면을 통해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마주보는 측면보강재(42a,42b,42c,42d) 사이의 빈 공간에서 웨지핀(47)에 의해 고무판(12a,12b)이 압착되어 수밀성을 확보하고 길이방향으로는 측면보강재(42a,42b,42c,42d)와 동일한 간격으로 조립핀 구멍(101)을 형성하여 웨지핀(47)을 이용한 기존 체결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재는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할 때 유로폼과 유로폼 사이의 접합부를 통해 수분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슬래브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유로폼은 멍에재(가로띠장)를 통해 동바리로 지지되는데, 멍에재와 코킹재를 일체화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 조립, 해체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를 이용해 유로폼을 서로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연결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멍에재(13)는 슬래브 거푸집을 구성하는 유로폼(40)과 유로폼(40)이 서로 접합되는 부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각형강관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각목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각목은 크기에 비해 내하력과 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각형강관은 작은 크기로 큰 내하력과 강성을 얻을 수 있고 방향성이 없어 편심으로 작용하는 작업하중이나 비틀림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멍에재(13)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킹재(10)와 동일한 적층구조를 가지는 코킹재(10a)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코킹재(10a)을 구성하는 강판(11a)이 멍에재(13)의 상면에 용접되고 강판(11a)의 양측면에 고무판(12a,12b)이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강판(11a)은 측면보강재(42a,42b,42c,42d)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와 측면보강재(42a,42b,42c,42d)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 바람직하게는 더 큰 높이를 가질 수 있고, 고무판(12a,12b)은 강판(11a)의 양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되고 측면보강재(42a,42b,42c,42d)의 상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리브(421,422) 사이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보강재(42a,42b,42c,42d)에 각각 접촉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코킹재(10a)의 양쪽 멍에재(13)의 상면에 유로폼을 올려 놓고 웨지핀을 체결하는 것으로 유로폼과 유로폼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게 되므로 유로폼의 조립 작업이 보다 간편해지고, 멍에재(13)가 웨지핀에 의해 유로폼과 일체로 고정되므로 작업하중에 의해 멍에재(13)가 이동되어 동바리(50)에 작업하중이 편심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각목으로 이루어진 멍에재를 유로폼에 못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멍에재로 각형강관을 사용하게 되므로 못을 이용해 유로폼과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각형강관으로 된 멍에재를 사용할 경우 철선으로 결속하는 등 별도의 고정방법이 필요한 데 본 발명에서는 코킹재(10a)가 멍에재(13)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로폼을 웨지핀으로 연결하면 멍에재(13)도 일체로 결합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 예에서 코킹재(10)는 유로폼의 측면보강재(42a,42b,42c,42d)보다 높이가 더 높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측면보강재 사이를 통해 수분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측면보강재 사이의 공간을 메울 수 있는 것이라면 높이는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강판
101: 조립핀 구멍
12: 고무판
13: 멍에재
40: 유로폼
40a: 체결용 구멍
41: 면판
42a,42b,42c,42d: 측면보강재
50: 동바리

Claims (4)

  1.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함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유로폼의 측면보강재 사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측면보강재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와 높이를 가지는 강판과 강판의 양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보강재에 각각 접촉되는 고무판으로 구성되고, 측면보강재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핀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강판은 측면보강재의 높이방향으로 상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리브 사이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의 누수 방지용 코킹재.
  3. 유로폼을 슬래브 거푸집으로 전용함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유로폼의 측면보강재 사이로 콘크리트 페이스트 내 수분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유로폼과 유로폼이 접합되는 부분의 하면에 놓여져 유로폼을 지지하는 멍에재와,
    멍에재의 상면에 접합되고 측면보강재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와 측면보강재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는 강판과, 강판의 양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접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보강재에 각각 접촉되는 고무판으로 구성되고, 측면보강재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핀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강판은 측면보강재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고, 고무판은 측면보강재의 상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리브 사이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재가 일체화된 멍에재.
KR1020100070068A 2010-07-20 2010-07-20 슬래브 거푸집용 유로폼 시스템 KR101179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68A KR101179754B1 (ko) 2010-07-20 2010-07-20 슬래브 거푸집용 유로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68A KR101179754B1 (ko) 2010-07-20 2010-07-20 슬래브 거푸집용 유로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38A true KR20120008838A (ko) 2012-02-01
KR101179754B1 KR101179754B1 (ko) 2012-09-04

Family

ID=4583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068A KR101179754B1 (ko) 2010-07-20 2010-07-20 슬래브 거푸집용 유로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743B1 (ko) * 2014-01-06 2015-12-16 삼성물산 주식회사 내부 거푸집 겸용 월 베이퍼 베리어(Wall Vapor Barrier)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LNG) 저장탱크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1587798B1 (ko) 2014-11-13 2016-01-25 김성탄 철근 구조에 따라 가변 가능한 간격재 결합이 가능한 유로폼
KR102099182B1 (ko) * 2018-10-23 2020-04-09 안태옥 천정 구조물의 거푸집 고정구조
KR200493607Y1 (ko) * 2020-06-16 2021-04-29 이용주 건축용 복합 유로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911B1 (ko) 2006-02-13 2006-07-20 주식회사 동남아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거푸집 패널 구조
KR100850801B1 (ko) 2008-02-21 2008-08-29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754B1 (ko) 201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754B1 (ko) 슬래브 거푸집용 유로폼 시스템
KR101011070B1 (ko) 강판콘크리트 구조와 이질 구조간의 접합 방법
KR100798101B1 (ko) 고강성형 강재 거푸집
KR101525476B1 (ko) 지지보강재가 구비된 조립식 철제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706086B1 (ko) 단열재가 결합된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KR101018411B1 (ko)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1483911B1 (ko) 채널 매립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20100004638U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20080001874U (ko) 기둥 거푸집
FI62888C (fi) Foertillverkat betongarmeringselement och foerfarande vid tillverkning av armeringsanslutningar
KR102007937B1 (ko) 영구거푸집 패널이 구비된 선조립 철골조립체
KR20230056360A (ko) 프리캐스트 벽체 조립을 위한 수직 접합 시공구조
JP2018150749A (ja) デッキプレート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200144131Y1 (ko)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KR100895055B1 (ko) 콘크리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장치가 구비된 거푸집
KR102446198B1 (ko) 거푸집 연결체
KR101683713B1 (ko) 조립식 거푸집
KR100996424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KR101687403B1 (ko) Pc 기둥의 접합 구조
KR200391961Y1 (ko) 옹벽 마감용 패널
JP7353061B2 (ja) 目地型枠の固定方法及び仮受け器具
CN220790314U (zh) 一种可拆卸式直角墙体装配结构及水处理装置
KR102668948B1 (ko) 데크플레이트 배열시 연결부 간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