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322Y1 -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 Google Patents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322Y1
KR200197322Y1 KR2020000011621U KR20000011621U KR200197322Y1 KR 200197322 Y1 KR200197322 Y1 KR 200197322Y1 KR 2020000011621 U KR2020000011621 U KR 2020000011621U KR 20000011621 U KR20000011621 U KR 20000011621U KR 200197322 Y1 KR200197322 Y1 KR 200197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steel pipe
corrugated steel
waveform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평산공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산공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산공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1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3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3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4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with longitudinally split or divided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형강관(110)의 결합에 사용되는 가스켓(130)에 있어서 파형강관(110)의 파형(112)에 일치하는 파형(132)을 형성한 것으로서, 가스켓(130)을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밴드(120)의 체결도중 가스켓(130)의 형상이 변하지 않게 되어 가스켓(130)이 접혀지거나 불균일한 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GASKET FOR JOINING CORRUGATED STEEL PIPE}
본 고안은 파형강관 결함용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에 파형을 형성함으로써, 가스켓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맞추고 조립중 가스켓의 변형이 적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을 도 1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파형강관(10)을 이을 경우 각 파형강관(10)의 접촉부위에 가스켓(30)을 싸고, 그 위에 밴드(30)를 체결한다.
이러한 파형강관(10)은 이음부에도 파형(12)이 져 있으므로, 밴드(20) 또한 파형강관(10)의 파형(12)에 일치하는 파형(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밴드(20)의 단부끼리는 볼트(24)와 너트(26)를 사용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가스켓(30)은 고무나 합성수지제로 된 평판을 사용한다. 따라서 가스켓(30)은 밴드(20)가 누르는 압력에 의해 파형강관(10)의 외주면 및 밴드(20)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파형강관(10)의 내부를 지나는 물질이 파형강관(10)의 이음부를 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평판형의 가스켓(30)은 파형강관(10)의 파형(12)에 설치할 때 가스켓(30)이 고정되어야할 정확한 위치를 잡기 어렵다. 따라서 가스켓(30)을 밴드(20)의 아래에서 정확한 중심위치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밴드(20)가 가스켓(30)을 가압하여 파형강관(10)에 밀착시킬 때 가스켓(30)은 굴곡지므로 굴곡되는 쪽은 접혀지며, 밴드(20)가 가스켓(30)에 가하는 압력은 부분적으로 불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켓(30)의 두곳이 먼저 압력을 받을 경우, 그 가운데 부분은 파형강관(10)의 파형에 따라 굴곡되면서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여 찢어지게 되므로, 수밀유지의 기능을 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파형진 파형강관 위에 설치할 때 정확한 위치를 잡기 용이하고, 밴드로 가압할 때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가스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파형강관 결합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가스켓이 적용된 파형강관 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가스켓이 적용된 파형강관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파형강관 112,122,132: 파형
120: 밴드 124: 볼트
126: 너트 130: 가스켓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형강관의 파형에 일치하는 파형이 형성된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켓과 파형강관 및 밴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파형강관(110)은 이음부에 파형(112)이 형성되어 있고, 밴드(120) 또한 파형강관(110)의 파형(112)에 일치하는 파형(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밴드(120)의 단부끼리는 볼트(124)와 너트(126)를 사용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가스켓(130)은 내외면에 파형강관(110)의 파형(112)에 일치하는 파형(1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파형강관(110)의 파형(112)과 가스켓(130)의 파형(132)과 밴드(120)의 파형(122)은 모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스켓(130)은 파형강관(110)위에 설치할 때 가스켓(130)의 파형(132)과 파형강관(110)의 파형(112)이 일치하므로, 가스켓(130)이 고정되어야할 위치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130)은 파형(132)이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전과 결합후의 형태가 변하지 않으므로, 밴드(120)의 결합도중 가스켓(130)이 접혀지거나 불균일한 압력에 의해 가스켓(130)이 찢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가스켓(130)은 수밀유지의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가스켓이 적용된 파형강관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파형강관(110)의 결합부의 파형(112)이 직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가스켓(130)의 파형(132)과 밴드(120)의 파형(122)은 모두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그 작용 및 효과는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형강관(110)의 결합에 사용되는 가스켓(130)에 있어서 파형강관(110)의 파형(112)에 일치하는 파형(132)을 형성한 것으로서, 가스켓(130)을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밴드(120)의 체결도중 가스켓(130)의 형상이 변하지 않게 되어 가스켓(130)이 접혀지거나 불균일한 압력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누수를 양호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파형강관(110)의 결합에 사용되는 가스켓(130)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130)은 상기 파형강관(110)의 파형(112)에 일치하는 파형(1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KR2020000011621U 2000-04-24 2000-04-24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KR200197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621U KR200197322Y1 (ko) 2000-04-24 2000-04-24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621U KR200197322Y1 (ko) 2000-04-24 2000-04-24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322Y1 true KR200197322Y1 (ko) 2000-09-15

Family

ID=1965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621U KR200197322Y1 (ko) 2000-04-24 2000-04-24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32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96B1 (ko) * 2006-10-20 2007-01-04 대한강관 주식회사 금속 리브관 연결장치
KR101803903B1 (ko) * 2017-03-29 2017-12-04 (주)청화금속 파형 강관용 커플링 밴드 클램핑장치
KR20200017023A (ko)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구조 및 그 방법
KR20200070166A (ko) 2020-05-31 2020-06-17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596B1 (ko) * 2006-10-20 2007-01-04 대한강관 주식회사 금속 리브관 연결장치
KR101803903B1 (ko) * 2017-03-29 2017-12-04 (주)청화금속 파형 강관용 커플링 밴드 클램핑장치
KR20200017023A (ko)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구조 및 그 방법
KR20200070166A (ko) 2020-05-31 2020-06-17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37078A (en) Compression coupling
JPH05602Y2 (ko)
KR200197322Y1 (ko)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KR10052219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92586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0937056B1 (ko) 정합식 플랜지
KR200298680Y1 (ko) 파형강판 체결부재
KR200203749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10000770A (ko) 플랜지관용 가스켓
CN220102362U (zh) 一种管卡及其与三通的连接结构
KR100535577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 구조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296257Y1 (ko) 파형강판 연결용 체결부재
JP2945374B1 (ja) パイプ接合部用ガスケット
KR960009116Y1 (ko) 신축관
CN219510352U (zh) 一种管道连接法兰盘
JP4098129B2 (ja) 外水圧対応型止水装置
JPS5940635Y2 (ja) ホ−スと継手の結合構造
KR200169547Y1 (ko) 합성수지관의 이음장치
KR200331307Y1 (ko) 플렌지 타입 익스펜션 커플링
KR20029083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47216Y1 (ko) 관연결구
KR200158352Y1 (ko) 관 연결구
KR200299128Y1 (ko) 관이음장치
KR850002929Y1 (ko) 강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