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832Y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832Y1
KR200290832Y1 KR2020020020465U KR20020020465U KR200290832Y1 KR 200290832 Y1 KR200290832 Y1 KR 200290832Y1 KR 2020020020465 U KR2020020020465 U KR 2020020020465U KR 20020020465 U KR20020020465 U KR 20020020465U KR 200290832 Y1 KR200290832 Y1 KR 200290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s
clamp
pipe
adapter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근
Original Assignee
강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근 filed Critical 강석근
Priority to KR2020020020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832Y1/ko

Links

Landscapes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두 파이프를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두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어댑터를 끼우고 연결부위의 외주연을 클램프로 조여 체결하므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연결부위를 확고하게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주연의 중간위치에 분할돌기가 형성된 원통형의 어댑터가 두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끼워지고, 연결부위의 외주연에 C형상의 클램프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기존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두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어댑터의 양측 외주연에 돌출테를 형성하고, 파이프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클램프의 양측단부에 가압돌출테를 형성하는 한편 어댑터가 끼워진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방수패드를 감아주고 클램프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connection device a pipe}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두 파이프를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두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어댑터를 끼우고 연결부위의 외주연을 클램프로 조여 체결하므로써 작업이 간편하고 연결부위를 확고하게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기체,액체)의 이송에 사용되는 파이프는 상하수용 관이나 또는 산업용 배관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파이프는 대부분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있다.
상기에서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상하수용 관은 규격화된 크기의 소정길이로 제작되며,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지중에 매설 시공하고, 여기서 파이프의 시공작업은 최초 시공시 또는 부분적인 파손에 의한 보수공사시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방지되게 작업하여 시공되고 있다.
기존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에는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직접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방식과, 또는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상호 어댑터를 끼우고 연결부위의 외주연에서 클램프를 조여 체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에서 어댑터와 클램프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은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제0220056호로 선등록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은 도면의 도 1 과 도 2 와 같이 상호 연결을 위한 두 파이프(1)(1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외주연의 중간위치에 분할돌기(11)가 형성된 원통형의 어댑터(10)를 두 파이프(1)(1a)의 연결부위에 삽입하여 끼우고, 한쌍의 고정편(2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돌기(23)가 형성된 C형상의 클램프(20)를 파이프(1)(1a)의 연결부위 외주연에 체결볼트(22)로 조여 시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두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원통형의 어댑터를 끼운 상태에서 클램프로 연결부위의 외주연을 견고하게 조여 주므로써 클램프의 조임력에 의해 파이프와 어댑터가 밀착되어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방지되고, 두 파이프가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기존 파이프의 연결구조에서는 연결부위의 누수를 방지하고자 파이프와 어댑터의 밀착을 위해 클램프의 강한 조임력이 필요하고, 클램프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클램프의 강한 조임력과 다수개의 돌기가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손상과 변형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 하였으며, 이러한 파이프 연결부위의 손상과 변형은 보수공사시 누수방지 작업에 난해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고안으로, 두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어댑터의 양측 외주연에 돌출테를 형성하고, 파이프의 외주연예 체결되는 클램프의 양측단부에 가압돌출테를 형성하는 한편 어댑터가 끼워진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방수패드를 감아주고 클램프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어댑터의 양측 외주연에 돌출테를 형성하므로써 파이프와의 밀착력을 높여주어 클램프의 강한 조임력이 필요치 않고, 연결부위를 확고하게 밀착시켜 누수가 방지되는 한편 클램프의 양측단부에 가압돌출테를 형성하여 연결부위의 손상과 변형을 줄이고, 상호 연결된 두 파이프의 결합력을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기존 파이프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기존 파이프 연결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파이프 10 : 어댑터
11 : 분할돌기 12 : 돌출테
20 : 클램프 21 : 고정편
22 : 체결볼트 23 : 돌기
24 : 가압돌출테 30 : 방수패드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부위의 누수를 방지하는 한편 연결부위의 손상과 변형을 줄이고자 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도시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외주연의 중간위치에 분할돌기(11)가 형성된 원통형의 어댑터(10)가 두 파이프(1)(1a)의 연결부위에 끼워지고, 연결부위의 외주연에 C형상의 클램프(20)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기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외주연의 중간위치에 분할돌기(11)가 형성된 어댑터(10)의 양측 외주연에 돌출테(12)를 형성하고, 파이프(1)(1a)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클램프(20)의 양측단부에 가압돌출테(24)를 형성하며, 파이프(1)(1a)의 연결부위 외주연에 방수패드(30)가 부착된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어댑터(10)는 원통형상으로 파이프(1)(1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외주연의 중간위치에 분할돌기(11)가 형성된 기존의 구조에서 파이프(1)(1a)의 연결부위 내측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양측 외주연에 돌출테(12)를 형성한 구성으로, 여기서 돌출테(12)는 파이프(1)(la)의 내측에 어느정도 억지 끼움되는 외경을 갖게 형성된다.
따라서, 어댑터(10)에 형성된 양측 돌출테(12)가 두 파이프(1)(1a)의 연결부위 내측에 어느정도 억지 끼움되므로써, 클램프(20)의 체결시 어댑터(10)와 파이프(1)(1a)와의 밀착력을 한층 높여주게 된다.
한편 파이프(1)(1a)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클램프(20)는 C형상을 갖고, 체결볼트(22)가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편(21)이 형성된 기존의 구조에서 파이프(1)(1a)의 외주연을 감싸 조이는 양측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출테(24)를 형성한 구성으로, 상하 한쌍의 고정편(21)에 체결볼트(22)를 결합하여 클램프(20)를 조임시 양측단부에 형성된 가압돌출테(24)가 파이프(1)(1a)의 외주연에 박히면서 파이프(1)(1a)의 연결부위를 조여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클램프(20)에 형성된 가압돌출테(24)가 두 파이프(1)(1a)의 외주연에 박히면서 조여주므로써 파이프(1)(1a)를 가압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되고, 또한 가압돌출테(24)가 두 파이프(1)(1a)에 박힌 상태로 조여져 클램프(20)가 체결되므로 두 파이프(1)(1a)의 결합력을 한층 높이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7 과 같이 두 파이프(1)(1a)의 연결부위에 어댑터(10)를 끼운 상태에서 두 파이프(1)(1a)가 맞닿는 면과 분할돌기(11)의 외측부위에 실리콘을 충전하고, 연결부위의 외주연에 방수패드(30)를 감아 부착한 다음 클램프(20)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방수패드(30)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한쪽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파이프(1)(1a)의 외주연에 감아 부착되며, 두 파이프(1)(1a)가 어댑터(10)에 맞물린 상태에서 연결부위의 외주연에 감아 부착하므로 누수를 방지하는 한편 연결부위의 손상과 변형을 줄여주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어댑터(10)에 형성된 양측 돌출테(12)가 두 파이프(1)(1a)의 연결부위 내측에 어느정도 억지 끼움되어 어댑터(10)와 파이프(1)(1a)와의 밀착력을 높여주므로써 클램프(20)의 강한 조임력이 필요없고, 어느정도의 조임력만으로 연결부위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어댑터(10)에서 분할돌기(11)를 중심으로 양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돌출테(12)를 복수개로 형성하면 클램프(20)의 조임력에 의해 연결부위의 누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두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더욱 확고하게 밀폐시키는 한편 두 파이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며, 또한 클램프의 강한 조임력이 불필요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한 한편 연결부위의 손상과 변형을 줄여주므로써 보수공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외주연의 중간위치에 분할돌기가 형성된 원통형의 어댑터가 두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끼워지고, 연결부위의 외주연에 C형상의 클램프를 체결하여 구성되는 기존의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외주연의 중간위치에 분할돌기(11)가 형성된 어댑터(10)의 양측 외주연에 돌출테(12)를 형성하고, 두 파이프(1)(1a)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클램프(20)의 양측단부에 가압돌출테(24)를 형성하며, 두 파이프(1)(1a)의 연결부위 외주연에 방수패드(30)가 부착된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2020020020465U 2002-07-08 2002-07-08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90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465U KR200290832Y1 (ko) 2002-07-08 2002-07-08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465U KR200290832Y1 (ko) 2002-07-08 2002-07-08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832Y1 true KR200290832Y1 (ko) 2002-10-04

Family

ID=7312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465U KR200290832Y1 (ko) 2002-07-08 2002-07-08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8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907B1 (ko) 2007-05-02 2009-03-05 알미늄프라자 주식회사 파이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907B1 (ko) 2007-05-02 2009-03-05 알미늄프라자 주식회사 파이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565B1 (ko)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KR200290832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KR20030010129A (ko)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0772118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70070335A (ko) 파이프연결구
KR200414274Y1 (ko) 파이프연결구
KR200363189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JP3167634B2 (ja) 分岐サドル継手
KR100772712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0540783B1 (ko) 배관용 연결구
KR200354969Y1 (ko) 이경관 체결구
KR200489471Y1 (ko)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KR20010029396A (ko) 배수로관용 연결 조임장치
CN220688329U (zh) 一种管道连接件
JP2541236Y2 (ja) 可撓管用接続装置
JPS6112469Y2 (ko)
CN2162580Y (zh) 软管接头
KR200220056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283818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200179521Y1 (ko) 배관용 연결 소켓링
KR20050103021A (ko) 배관 이음부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