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907B1 - 파이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907B1
KR100886907B1 KR1020070042448A KR20070042448A KR100886907B1 KR 100886907 B1 KR100886907 B1 KR 100886907B1 KR 1020070042448 A KR1020070042448 A KR 1020070042448A KR 20070042448 A KR20070042448 A KR 20070042448A KR 100886907 B1 KR100886907 B1 KR 100886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ower mold
groove
pipe material
form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514A (ko
Inventor
박규환
윤종희
Original Assignee
알미늄프라자 주식회사
현빈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미늄프라자 주식회사, 현빈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미늄프라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9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9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밸브, 노즐 등의 다른 요소와의 용이한 연결을 위해; 단부 인접한 지점에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환형 돌출테(4,4')가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파이프는; 요홈(6)이 마련되는 하부금형(8) 위에 파이프소재(2')를 올려놓고; 상기 파이프소재(2') 내부에 상기 요홈(6)과 요철식으로 끼워맞춰질 수 있는 두께의 성형휠(10)을 끼워 상기 요홈(6)과 동일 선상에 고정시킨 후; 상기 성형휠(10)과 상기 하부금형(8)을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금형(8)을 고정하고 상기 성형휠(10)과 상기 파이프소재(2')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파이프, 연결, 돌기, 홈, 림(rim)

Description

파이프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ipe}
도 1은 종래의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의 제조단계별 단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파이프 4 ; 돌출테
8 ; 하부금형 10 ; 성형휠
12 ; 작동축 14 ; 고정대
16 ; 이동대
본 발명은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다른 파이프 또는 요소와의 연결을 위한 걸림수단이 단부 인접된 지점에 구비되는 변형 단면 구조의 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저압 환경에서 크지 않은 유량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종래의 파이프가 도 1에 도시된다. 도시된 파이프(100)는 알루미늄, 동 또는 그의 합금으로 제작된다. 파이프의 단부 인접한 지점에는 원주방향으로 환형의 홈(102)이 패여 있다. 이 홈(102)에 의해 커넥터와 같은 매개수단을 이용하여 다른 파이프 또는 요소(밸브, 저장조 또는 노즐 등)와의 수밀한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 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저항을 최소로 하기 위해 반원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외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패인 홈을 가지는 파이프는 성형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홈이 파이프 내부로 돌출되는 경우 내벽(102a)이 형성되어,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는 저항을 많이 받게 된다. 즉, 홈(102)에 의한 파이프의 단면축소는 유압손실을 가져오며 소음 등을 발생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간 또는 파이프와 다른 요소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부에 인접되는 지점에 단면변화가 있는 파이프를 제공하되, 이러한 단면변화에 의해서도 유체저항을 최소로 함으로써 유압손실 및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파이프, 밸브, 노즐 등의 다른 요소와의 연결을 위해; 단부 인접한 지점에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1개 이상의 환형 돌출테가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는; 요홈이 마련되는 하부금형 위에 파이프소재를 올려놓고; 상기 파이프소재 내부에 상기 요홈과 요철식으로 끼워맞춰질 수 있는 두께의 성형휠을 끼워 상기 요홈과 동일 선상에 고정시킨 후; 상기 성형휠과 상기 하부금형을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금형을 고정하고 상기 성형휠과 상기 파이프소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파이프소재가 소성변형을 일으켜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환형 돌출테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그의 단면도이다.
파이프(2)의 단부 인접되는 지점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테(4)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테(4)는 소성가공에 의한 것이므로 파이프(2)와 일체를 이루고 있다. 파이프(2)는 동, 알루미늄 또는 이들을 베이스 금속으로 한 합금이 될 수 있다. 다만 상황에 따라 합성수지가 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는 가공방법을 달리할 것 이다.
돌출테(4)는 약간의 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정도면 무난하므로 그 크기를 정확히 확정지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돌출테(4)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돌출테(4)는 파이프 양측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일측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의 제조공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단계별 개략 단면도이다.
상면에 요홈(6)이 마련되어 있는 하부금형(8) 위에 파이프소재(2')를 올려놓는다(도 6(a) 단계). 요홈(6)은 파이프의 원주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선형홈이 바람직하다. 요홈(6)은 성형과정에서 소재의 터짐을 방지하기 위해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태가 무난하다.
파이프소재의 입구를 통해 성형휠(10)이 인입되며, 성형휠(10)은 요홈(6)이 있는 위치에 고정된다(6(b) 단계). 성형휠(10)은 회전중심이 일치하도록 작동축(12)과 연결되어 있다. 작동축(12)은 도시되지 않은 기계장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작동축(12)이 하강하여 성형휠(10)와 하부금형(8)이 파이프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압착하면 도 6(c)의 상태가 되며, 이를 시작으로 파이프의 일지점에는 돌출테(4)가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 하부금형(8)은 고정시키고 성형휠(10) 및 파이프소재(2')를 함께 360°이상 회전시키게 되면,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테(4)가 성형되게 된다(도 6(d) 단계). 이 과정에서 파이프소재(2')로 하여금 하부금형(8)의 정확한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성형휠(10)은 작동축(12)에 축고정되어 그와 함께 회전될 수도 있으며, 작동축(12)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축설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포밍기계(forming machine)에서와 같이 내부응력을 감쇄시키기 위해 점진적으로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테(4)는 파이프소재(2')가 2 ~ 3회전되는 과정에서 완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2)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림(rim) 또는 플랜지 형태의 돌출테(4')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돌출테(4')는 완전히 접혀져 있어 파이프 내부의 단면변화구간이 없다시피 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돌출테(4')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턱이 선명하게 형성되며 그만큼 다른 요소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파이프는 도 6(d)에 의한 성형단계 이후에 도 6(e)에 도시된 성형단계를 부가적으로 거치게 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돌출테(4)를 중심으로 좌우에 파이프형상의 고정대(14)와 이동대(16)가 각각 끼워져 설치된다(도 6(e) 단계). 고정대(14)와 이동대(16)의 어느 일측을 고정시킨후, 상호간의 길이방향으로의 간격을 강제로 좁히게 되면 도 6(f)와 같이 압착된 돌출테(4')가 형성된다. 이후 고정대와 이동대를 분리시키면 도 4에 도시된 파이프가 완성된다. 고정대(14)와 이동대(16)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계적 장비에 대하여는 도시 및 설명이 생략된다.
위와 같은 파이프에 의하면 파이프간의 연결 또는 파이프와 다른 요소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 제공된다. 이는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특정 지점의 단면을 변화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에 의하면, 위와 같은 단면변화에 의해서도 내경이 좁아지는 부분이 없는 파이프가 제공된다. 따라서 유체저항이 증가됨에 따른 유압손실이 거의 없는 파이프가 제공된다.

Claims (2)

  1. 삭제
  2. 요홈(6)이 마련되는 하부금형(8) 위에 파이프소재(2')를 올려놓고; 상기 파이프소재(2') 내부에 상기 요홈(6)과 요철식으로 끼워맞춰질 수 있는 두께의 성형휠(10)을 끼워 상기 요홈(6)과 동일 선상에 고정시킨 후; 상기 성형휠(10)과 상기 하부금형(8)을 압착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금형(8)을 고정하고 상기 성형휠(10)과 상기 파이프소재(2')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파이프소재(2')가 소성변형을 일으켜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환형 돌출테(4,4')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제조방법.
KR1020070042448A 2007-05-02 2007-05-02 파이프 제조방법 KR100886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448A KR100886907B1 (ko) 2007-05-02 2007-05-02 파이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448A KR100886907B1 (ko) 2007-05-02 2007-05-02 파이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514A KR20080097514A (ko) 2008-11-06
KR100886907B1 true KR100886907B1 (ko) 2009-03-05

Family

ID=4028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448A KR100886907B1 (ko) 2007-05-02 2007-05-02 파이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074B1 (ko) * 2021-06-18 2023-08-28 주식회사 한국슈어조인트 엘보 파이프용 가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1343A (ja) 1998-01-08 1999-07-30 Nippon Steel Corp 鋼管の拡管接合継手構造
KR200274838Y1 (ko) * 2002-01-16 2002-05-11 정낙원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290832Y1 (ko) 2002-07-08 2002-10-04 강석근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14274Y1 (ko) 2005-12-29 2006-04-18 이선주 파이프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1343A (ja) 1998-01-08 1999-07-30 Nippon Steel Corp 鋼管の拡管接合継手構造
KR200274838Y1 (ko) * 2002-01-16 2002-05-11 정낙원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290832Y1 (ko) 2002-07-08 2002-10-04 강석근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14274Y1 (ko) 2005-12-29 2006-04-18 이선주 파이프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514A (ko)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87867A1 (ja) ガスケット、及び流路継手構造
JP5577218B2 (ja) フィルタ部材が一体化された管継手の製造方法
JP2014517783A (ja) 連続段階冷却チャネルを備えた成形装置
CN101199979A (zh) 大型锥形筒体的锻造方法
WO2020194646A1 (ja) 逆止弁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逆止弁の製造方法
CN107428037A (zh) 网眼过滤器
PT1995001E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a produção de ligadores para tubos
US20170254684A1 (en) Tube For Measur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A Medium Flowing Through The Tube
KR100886907B1 (ko) 파이프 제조방법
US6399006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olding polymer sweep fittings
JP2007030421A (ja) ゴム製筒体の製造方法
KR100998520B1 (ko) 니플의 제조방법
JP5488042B2 (ja) 鍛造ダイ
CN215109783U (zh) 扩径定位油缸
WO2016170933A1 (ja) メッシュフィルタ
KR20090077464A (ko) 확관 호스 제조용 진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 확관 호스제조방법
CN103817187A (zh) 一种管件弯曲装置
CN101319740B (zh) 一种用于聚四氟乙烯补偿器的波纹管及其制造方法
TWI532543B (zh) 管材液壓複合成形系統及液壓複合成形方法
JP2007030273A (ja) ゴム製筒体の製造方法
CN107186939A (zh) 阴模
JP6308428B2 (ja) 流体配管用金具の製造方法及び流体配管用金具
CN113028170A (zh) 一种耐腐蚀不锈钢法兰及其加工模具
CN202082523U (zh) 一种用于连接电机的水冷却器法兰的法兰接口
JP2020082645A (ja) 樹脂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