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838Y1 -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838Y1
KR200274838Y1 KR2020020001376U KR20020001376U KR200274838Y1 KR 200274838 Y1 KR200274838 Y1 KR 200274838Y1 KR 2020020001376 U KR2020020001376 U KR 2020020001376U KR 20020001376 U KR20020001376 U KR 20020001376U KR 200274838 Y1 KR200274838 Y1 KR 200274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ting groove
present
inlet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낙원
Original Assignee
정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낙원 filed Critical 정낙원
Priority to KR2020020001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8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838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부는 온수탱크(30)에 연결되고 타단 개구부는 소정 크기로 만곡지게 확관시킨 확관부(22)가 형성된 유입 및 유출파이프(2)와; 외주연에 나사부(44)가 형성되고, 후단 개구부에 상기 확관부(22)가 삽입되는 안착홈(46)을 형성시킨 연결소켓(4)과; 상기 안착홈(46)에 삽입되는 오링(6);으로 구성되므로 용접에 의하지 않고 단순한 체결에 의해 파이프와 연결소켓이 밀폐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노출되더라도 부식의 위험이 없어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 Pipe's connecting structure }
본 고안은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탱크의 유입파이프와 유출파이프의 말단에 연결소켓을 설치할 때 용접에 의하지 않고 단순한 체결에 의해 파이프와 연결소켓이 밀폐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이프와 연결소켓의 결합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탱크와 연결된 유입 또는 유출파이프(2")에 연결소켓(4")을 끼우고 그 끝단을 연마시킨 후 용접에 의해 접합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상기 접합이 완료된 연결소켓(4")에 체결너트를 체결하여 별도의 급수파이프와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용접에 의한 파이프(2")와 연결소켓(4")을 접합하는 구조는 장시간 사용시 용접부(60")가 습기에 의해 부식되어 파손됨으로써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온수탱크의 유입파이프와 유출파이프의 말단에 연결소켓을 설치할 때 용접에 의하지 않고 단순한 체결에 의해 파이프와 연결소켓이 밀폐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종래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유입 및 유출파이프 4 : 연결소켓
6 : 오링 22 : 확관부
44 : 나사부 46 : 요입홈
48 : 안착홈
이하 본 고안의 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A)는 일단부는 온수탱크(30)에 연결되고 타단 개구부는 소정 크기로 만곡지게 확관시킨 확관부(22)가 형성되며, 소정 위치의 외주연에 환턱(24)이 형성된 유입 및 유출파이프(2)와; 외주연에 나사부(44)가 형성되고, 후단 개구부에 상기 확관부(22)가 삽입되는 요입홈(46)이 형성되고, 전단 개구부에 소정의 안착홈(48)을 형성시킨 연결소켓(4)과; 상기 안착홈(46)에 삽입되는 오링(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요입홈(46)과 안착홈(48)이 형성된 연결소켓(4)과 오링(6)을 유입 및 유출파이프(2)에 관통시켜 끼워넣어 상기 환턱(24)이 안착홈(48)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된 유입 및 유출파이프(2)와 연결소켓(4)을 고정틀에 의해 고정시킨 후 유입 및 유출파이프(2)의 끝단 개구부를 펀칭기로 펀칭시켜 확관되도록 하여 확관부(22)를 형성시켜 상기 요입홈(46)에 밀착되도록 한다.
즉, 확관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소켓(4)과 오링(6)은 유입 및 유출파이프(2) 에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유입 및 유출파이프(50)를 상기 연결소켓(4)에 체결너트(52)를 사용하여 체결고정시키는 것이다.
이하 미설명부호 32는 배수관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후단 개구부 내측에 테이퍼 된 요입홈(46')을 형성하고, 전단 개구부에 소정의 안착홈(48')을 형성시킨 연결소켓(4')과; 끝단 개구부는 상기 요입홈(46')에 맞도록 확관된 확관부(22')가 형성되고, 소정 위치의 외주연에 환턱(24')을 형성시켜 된 유입 및 유출파이프(2')와; 오링(6');으로 구성된 것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는 안착홈이 형성된 연결소켓과 오링을 유입 및 유출파이프에 관통시켜 끼우고, 상기 결합된 유입 및 유출파이프와 연결소켓을 고정틀에 의해 고정시킨 후 파이프의 끝단 개구부를 펀칭기로 펀칭시켜 확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착홈에 밀착되도록 한 것으로, 용접에 의하지 않고 단순한 체결에 의해 파이프와 연결소켓이 밀폐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습기에 노출되더라도 부식의 위험이 없어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일단부는 온수탱크(30)에 연결되고 타단 개구부는 소정 크기로 만곡지게 확관시킨 확관부(22)가 형성된 유입 및 유출파이프(2)와; 외주연에 나사부(44)가 형성되고, 후단 개구부에 상기 확관부(22)가 삽입되는 안착홈(46)을 형성시킨 연결소켓(4)과; 상기 안착홈(46)에 삽입되는 오링(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후단 개구부 내측에 테이퍼 된 요입홈(46')을 형성하고, 전단 개구부에 소정의 안착홈(48')을 형성시킨 연결소켓(4')과; 끝단 개구부는 상기 요입홈(46')에 맞도록 확관된 확관부(22')가 형성되고, 소정 위치의 외주연에 환턱(24')을 형성시켜 된 유입 및 유출파이프(2')와; 오링(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20020001376U 2002-01-16 2002-01-16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274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76U KR200274838Y1 (ko) 2002-01-16 2002-01-16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76U KR200274838Y1 (ko) 2002-01-16 2002-01-16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838Y1 true KR200274838Y1 (ko) 2002-05-11

Family

ID=7307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376U KR200274838Y1 (ko) 2002-01-16 2002-01-16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8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907B1 (ko) * 2007-05-02 2009-03-05 알미늄프라자 주식회사 파이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907B1 (ko) * 2007-05-02 2009-03-05 알미늄프라자 주식회사 파이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998A (ja) 衛生洗浄装置
KR200381579Y1 (ko) 분기관 이음 소켓
KR100878840B1 (ko) 급수분배기의 분배관
CN108953793A (zh) 一种建筑装修用的水管接头结构
KR200274838Y1 (ko) 급수파이프의 연결구조
CA2393554A1 (en)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JP2007138980A (ja) 管継手
JP5451130B2 (ja) 管接続装置
JP2006328793A (ja) 配管構造
JP3721218B2 (ja) 給水栓継手
KR200295997Y1 (ko) 수도꼭지 연결장치
JP2001324069A (ja) 弁装置の管接続構造
KR200347922Y1 (ko) 배관용 분기관
JP3954737B2 (ja) エンジンおよびラジエータ間を連結する合成樹脂製上、下部水ホースの接続構造
KR200270224Y1 (ko) 수도배관 고정구
JP3133487U (ja) 三方継手
JPH0237889Y2 (ko)
JP3458270B2 (ja) 給水栓の取付構造
KR200340235Y1 (ko) 수도계량기의 연결관
KR200194963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JP3758135B2 (ja) 温水洗浄便座装置のクランプ装置
KR200344501Y1 (ko) 배관 체결구
KR100821902B1 (ko) 배관 연결 소켓어셈블리
CN210770791U (zh) 一种水龙头接头
KR200279780Y1 (ko) 온수히터용 브래킷의 발열히터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