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922Y1 - 배관용 분기관 - Google Patents

배관용 분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922Y1
KR200347922Y1 KR20-2004-0001461U KR20040001461U KR200347922Y1 KR 200347922 Y1 KR200347922 Y1 KR 200347922Y1 KR 20040001461 U KR20040001461 U KR 20040001461U KR 200347922 Y1 KR200347922 Y1 KR 200347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branch pipe
fitting
saddl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인
Original Assignee
(주)동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테크 filed Critical (주)동양테크
Priority to KR20-2004-0001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이음작업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인력과 시간을 감축시켜 주며, 데드 스페이스 없는 매끈한 관이음이 이루어짐으로 와류현상 및 유체저항이 방지되는 한편, 스케일 등의 증착 및 이에 따른 부식이 방지되어 배관부재의 유체누설 방지 및 향후 배관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배관수명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배관용 분기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메인파이프(2)와 지관(3)을 연결하기 위하여 메인파이프(2)상에 형성된 분기홀(2a) 주위에 면접촉되는 새들피팅(30)과, 이 새들피팅의 타측에 지관결합부(20)가 형성되는 분기관에 있어서,
상기 새들피팅(30)으로부터 돌출되어 메인파이프 분기홀(2a)의 내주면 전둘레에 밀착 끼움되며 상기 분기홀(2a)의 곡률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피팅 돌출연(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분기관{A BRANCH PIPE FOR PIPE ARRANGEMENT}
본 고안은 배관부재의 분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인파이프의 분기홀 내주연 전둘레에 밀착되는 피팅 돌출연이 새들피팅에 형성되고 새들피팅 외연에 소정의 용접 베벨각이 형성됨으로써 용접이음작업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인력과 시간을 감축시켜 주며, 데드 스페이스 없는 매끈한 관이음이 이루어짐으로 와류현상 및 유체저항이 방지되는 한편, 스케일 등의 증착 및 이에 따른 부식이 방지되어 배관부재의 유체누설 방지 및 향후 배관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배관수명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배관용 분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 소방수, 가스 등의 유체가 공급 유통되는 메인파이프에는 지관을 연결하는 매개수단으로서 메인파이프에 형성되는 분기홀 주위에 결합되는 새들피팅이 구비된 분기관이 부여된다.
이와 같은 분기관은 유체 송급에 사용되는 특성상 철저한 기밀이 요구됨으로 특히 메인파이프와 분기관 새들피팅과의 밀봉 접합은 물론 향후 이음부 부식으로 인한 기밀누설 방지문제가 대단히 중요하다.
이 분야의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 20-0285533호(명칭: 배관용 분기관 연결피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분기관(100)은 메인파이프상에 형성시킨 분기홀 주위에 면접촉되도록 하는 새들피팅(130)이 형성되고 타측에 지관결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파이프(2) 분기홀(2a)의 내주면 일측에 걸리는 결합고리(151) 및 상기 결합고리(151)가 분기홀(2a) 내에서 유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돌기(153)가 형성되어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메인파이프의 분기홀(2a) 내주면에 상기 분기관 새들피팅(130)에 형성된 결합고리(151) 및 돌기(153)가 끼워져 유동이 방지되도록 가조립된 상태에서 새들피팅(130)의 둘레에 용접이음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관(3) 설치작업을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결합고리(151) 및 돌기(153)가 돌출 형성됨으로 이들이 끼워지는 분기홀(2a)의 내주면상에서 상기 결합고리(151)와 돌기(153) 사이에 요입공간, 데드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이러한 데드 스페이스는 유체의 와류현상 및 유체저항이 발생되어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한편, 스케일 또는 슬러지가 증착되어 메인파이프 및 분기관에 부식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부식발생은 유체 누설을 불러오고 고비용이 소요되는 보수공사 등 배관관리를 어렵게 하며 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파이프의 분기홀 내주연 전둘레에 밀착되는 피팅 돌출연이 새들피팅에 형성되고 새들피팅 외연에 소정의 용접 베벨각이 형성됨으로써 용접이음작업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인력과 시간을 감축시켜 주며, 데드 스페이스 없는 매끈한 관이음이 이루어짐으로 와류현상 및 유체저항이 방지되는 한편, 스케일 등의 증착 및 이에 따른 부식이 방지되어 배관부재의 유체누설 방지 및 향후 배관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배관수명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 배관용 분기관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음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의 지관결합부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분기관 2: 메인파이프
2a: 분기홀 3: 지관
20: 지관결합부 30: 새들피팅
31: 외연 50: 피팅 돌출연
100: 종래 기술의 분기관 151: 결합고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분기관은,
메인파이프와 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메인파이프상에 형성된 분기홀 주위에 면접촉되는 새들피팅과, 이 새들피팅의 타측에 지관결합부가 형성되는 분기관에 있어서
상기 새들피팅으로부터 돌출되어 메인파이프 분기홀의 내주면 전둘레에 밀착 끼움되며 분기홀의 곡률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피팅 돌출연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팅 돌출연은 분기관 본체의 내주연이 다이렉트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새들피팅의 외연은 메인파이프의 접속면에 대하여 소정의 용접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배관용 분기관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이음상태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배관용 분기관(1)은, 메인파이프(2)와 지관(3)을 연결하기 위하여 메인파이프(2)상에 형성된 분기홀(2a) 주위에 면접촉되는 새들피팅(30)과, 이 새들피팅의 타측에 지관결합부(20)가 형성되되, 상기 새들피팅(30)으로부터 돌출되어 메인파이프 분기홀(2a)의 내주면 전둘레에 밀착 끼움되며 상기 분기홀(2a)의 곡률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피팅 돌출연(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피팅 돌출연(50)은 분기관 본체의 내주연(11)이 다이렉트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새들피팅의 외연(31)은 소정의 용접 베벨각(θ)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접 베벨각은 30°∼ 33 °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20°∼ 50°각도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지관결합부(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관(3)이 삽입되어 소켓용접되도록 단차(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관(3)과 나사결합되도록 나사(22)가 형성되거나, 끝단에 지관(3)과 맞대기용접이음되도록 소정의 용접 베벨각(23)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분기관(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메인파이프(2)에 분기홀(2a)을 천공 형성하고 분기관(1)을 설치함에 있어서, 먼저 상기 피팅 돌출연(50)을 메인파이프의 분기홀(2a)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피팅 돌출연(50)은 메인파이프 분기홀(2a)의 내주연 전둘레에 맞춤 끼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동이 방지되는 가조립상태로 되어 종래 기술에서 수반되는 가용접과정이 배제되어 용접이음 작업단계를 단축시켜준다.
다음, 새들피팅(50)의 외연 전둘레에 걸쳐 메인파이프(2)에 대한 용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용접부위에는 용접수축이 따르게 됨으로써 인접한 상기 피팅 돌출연(50)에 수축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피팅 돌출연(50)이 분기홀(2a)의 내주면 전둘레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 없는 매끈한 관이음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되지 않음으로 분기관 이음부에 와류현상 및 유체저항이 방지되는 한편, 스케일이나 슬러지가 증착될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새들피팅의 외연에 용접각이 형성됨으로써 용접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는 정확한 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분기관은,
메인파이프의 분기홀 내주연 전둘레에 밀착되는 피팅 돌출연이 새들피팅에 형성되고 새들피팅 외연에 소정의 용접 베벨각이 형성됨으로써 용접이음작업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인력과 시간을 감축시켜 주며, 데드 스페이스 없는 매끈한 관이음이 이루어짐으로 와류현상 및 유체저항이 방지되는 한편, 스케일 등의 증착 및 이에 따른 부식이 방지되어 배관부재의 유체누설 방지 및 향후 배관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배관수명을 극대화시키는 잇점을 갖는 기술이다.

Claims (6)

  1. 메인파이프(2)와 지관(3)을 연결하기 위하여 메인파이프(2)상에 형성된 분기홀(2a) 주위에 면접촉되는 새들피팅(30)과, 이 새들피팅의 타측에 지관결합부(20)가 형성되는 분기관에 있어서,
    상기 새들피팅(30)으로부터 돌출되며 메인파이프 분기홀(2a)의 내주면 전둘레에 밀착 끼움되기 위하여 상기 분기홀(2a)의 곡률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피팅 돌출연(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 돌출연(50)은 분기관 본체의 내주연(11)이 다이렉트로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기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피팅의 외연(31)은 메인파이프(2)의 접속면에 대하여 소정의 용접 베벨각(θ)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기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결합부(20)는 지관(3)과 소켓용접되도록 단차(2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기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결합부(20)는 지관(3)과 나사결합되도록 나사(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기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결합부(20)는 끝단에 지관(3)과 맞대기용접이음되도록 소정의 용접 베벨각(2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분기관.
KR20-2004-0001461U 2004-01-19 2004-01-19 배관용 분기관 KR200347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61U KR200347922Y1 (ko) 2004-01-19 2004-01-19 배관용 분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461U KR200347922Y1 (ko) 2004-01-19 2004-01-19 배관용 분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922Y1 true KR200347922Y1 (ko) 2004-04-28

Family

ID=4934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461U KR200347922Y1 (ko) 2004-01-19 2004-01-19 배관용 분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92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837B1 (ko) * 2013-10-22 2015-06-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라이저의 분기 구조
KR102328611B1 (ko) * 2021-01-26 2021-11-19 (주)피엘에스 파이프 장치
KR102463410B1 (ko) 2022-06-07 2022-11-04 (주)건우테크 새들 융착기
KR102474763B1 (ko) 2022-06-07 2022-12-06 (주)건우테크 새들홀 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837B1 (ko) * 2013-10-22 2015-06-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라이저의 분기 구조
KR102328611B1 (ko) * 2021-01-26 2021-11-19 (주)피엘에스 파이프 장치
KR102463410B1 (ko) 2022-06-07 2022-11-04 (주)건우테크 새들 융착기
KR102474763B1 (ko) 2022-06-07 2022-12-06 (주)건우테크 새들홀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39539A1 (en) Pipe joining device
US20020038954A1 (en) Protected welded joint for fluid transport pipes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KR200347922Y1 (ko) 배관용 분기관
CN111322471A (zh) 一种水下沉管拼接用组件及其使用方法
CN103574197A (zh) 一种嵌入有o型密封圈且可焊接的钢制法兰
KR100740166B1 (ko) 바이패스관의 구조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CN215053224U (zh) 一种地下室防水结构
CN212643815U (zh) 一种可快速拆接的市政用给排水管道接头
CN210263294U (zh) 一种市政用下水道
KR100937056B1 (ko) 정합식 플랜지
RU2228484C2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с внутренним антикоррозионным покрытием
CN208951456U (zh) 一种高效污水排污管道
KR200396405Y1 (ko) 플랜지관
JP2008190700A (ja) 縮径継手部を有するバルブ
JPH0237889Y2 (ko)
CN219493386U (zh) 一种变径连接管道快速连接器
KR200364270Y1 (ko) 맨홀의 관연결부재
CN219493385U (zh) 一种管道快速连接器
KR200318955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0203811Y1 (ko) 식수용파이프 이음용 관단코어
KR200480413Y1 (ko) 배관의 이음구조
KR20180000828U (ko) 수밀 성능이 향상된 단관 플랜지붙이 관 구조
CN210739637U (zh) 一种给排水管连接装置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