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56Y1 - 파이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56Y1
KR200220056Y1 KR2020000031280U KR20000031280U KR200220056Y1 KR 200220056 Y1 KR200220056 Y1 KR 200220056Y1 KR 2020000031280 U KR2020000031280 U KR 2020000031280U KR 20000031280 U KR20000031280 U KR 20000031280U KR 200220056 Y1 KR200220056 Y1 KR 200220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pipes
tight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근
Original Assignee
강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근 filed Critical 강석근
Priority to KR2020000031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56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의 연결부위 외측에 콘넥터를 끼운후 볼트조임 방식으로 간단하게 체결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외측중앙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킨 받침링을 파이프의 연결부위 내측에 끼우고, 상기 파이프의 연결부위 외측에는 일측이 개구되고 조임날개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기가 형성된 원통형의 콘넥터를 끼우며, 상기 콘넥터의 조임날개에 형성된 볼트공에 볼트를 끼워 조여주므로써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 장치{pipe coupling}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의 연결부위 외측에 콘넥터를 끼운후 볼트조임 방식으로 간단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액,유체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되는 파이프는 소정의 단위 길이로 제작되어 지고, 사용목적에 따라 파이프를 연결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파이프 연결시 간단하고 확실하게 연결시키는 한편 누수를 방지시켜야 한다.
합성수지제 파이프는 상호 연결시킬 때 연결부에 테이프 또는 밴드를 감아서 연결시키거나,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또는 용접시켜 연결하고 있다.
상기된 파이프 연결 방식은 연결부위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내부 압력이 고압일 경우 연결부위에 틈이 발생하여 누수가 진행되는 문제가 있으며, 용접에 의해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 고도의 숙련공과 긴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고안은 2개의 합성수지제 파이프를 연결시킴에 있어서, 테이프를 이용하거나 용접작업을 하지 않고 볼트조임 방식으로 간단하면서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외측중앙에 고정돌기를 형성시킨 받침링을 파이프의 연결부위 내측에 끼우고, 상기 파이프의 연결부위 외측에는 일측이 개구되고 조임날개가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기가 형성된 원통형의 콘넥터를 끼우며, 상기 콘넥터의 조임날개에 형성된 볼트공에 볼트를 끼워 조여주므로써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받침링의 고정돌기에 패킹을 씌워준 상태로 파이프를 연결하면 파이프 연결부위에서의 누수가 방지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상태 평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상태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받침링 실시예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패킹을 끼운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파이프 3 : 패킹 10 : 받침링
11 : 고정돌기 20 : 콘넥터 21 : 돌기
22,23 : 조임날개 24,25 : 볼트공 30 : 볼트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 파이프(1)의 외측을 감싸는 원통형의 콘넥터(20)를 구비하되 상기 콘넥터(20)의 일측은 개구시켜 볼트공(24)(25)이 형성된 조임날개(22)(23)를 돌출 형성시키고, 내측으로는 파이프(1)의 외측에 박히는 돌기(21)를 형성시키며, 콘넥터(20)의 내경은 파이프(1)의 외경보다 작게하여 조임날개(22)(23)의 볼트공(24)(25)에 볼트(30)를 끼워 조임날개(22)(23)가 서로 맞닿을 정도로 조여 주었을때 조임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파이프(1)의 연결부위 내측에 끼워지는 받침링(10)을 구비하되 상기 받침링(10)은 파이프(1)의 내경보다 약간작은 외경을 갖도록 하고 받침링(10)의 외측중앙에는 고정돌기(11)를 형성시켜 파이프(1)가 끼워지는 한계점을 설정해주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돌기(11)는 곡선을 갖도록 절곡하여 형성시켜도 무방하고 도 5와 같이 각진 형태로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고정돌기(11)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돌기(11)를 감싸는 패킹(3)을 끼워주어 파이프(1)(2)가 서로 맞닿는 면에 패킹(3)이 위치하게 하므로써 파이프(1)(2)의 결합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2개의 파이프(1)(2)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 본다.
먼저 파이프(1)의 결합부위 쪽에 받침링(10)을 끼워 준다.
이때 받침링(10)은 직접 물과 접촉하게 되므로 녹슬지 않고 강도가 높은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하며, 고정돌기(11)의 형성부위까지 파이프(1)가 삽입되게 된다.
파이프(1)선단에 받침링(10)이 끼워지면 파이프(1)외측에 콘넥터(20)를 끼워주되 콘넥터(20)를 파이프(1)의 결합부위에서 한쪽으로 이동시켜 놓는다.
그리고 받침링(10)에 다른 파이프(2)를 끼워주되 받침링(10)의 고정돌기(11) 형성부위까지 끼워주므로써 받침링(10)의 외측에는 고정돌기(11)를 중심으로 파이프(1)(2)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파이프(1)(2)가 받침링(10)에 끼워질때 고정돌기(11)쪽으로 밀착되면서 끼워지게 되어 누수가 방지되나, 파이프(1)(2)를 끼우기 전에 고정돌기(11)에 패킹(3)을 씌워줄 경우 파이프(1)(2)가 받침링(10)에 끼워질시 파이프(1)(2)사이에 패킹(3)이 위치하게 되어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파이프(1)(2)에 받침링(10)의 삽입이 완료되면 파이프(1)(2)의 연결부위 외측으로 콘넥터(20)를 이동시켜 콘넥터(20)의 중앙에 파이프(1)(2)의 연결부위를 위치시킨 후 조임날개(22)(23)의 볼트공(24)(25)에 볼트(30)를 끼워서 조여주면 파이프(1)(2)의 연결 작업이 완료된다.
콘넥터(20)의 조임날개(22)(23)가 볼트(30)에 의해 조여질때 콘넥터(20)는 파이프(1)(2)의 내측으로 밀리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힘에 의해 콘넥터(20)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21)가 파이프(1)(2)의 외측을 물어주게 되어 파이프(1)(2)가 빠지지 않고 단단히 연결되어 진다.
이때 콘넥터(20)의 조임에 의해 파이프(1)(2)가 함몰될 위험은 받침링(10)에 의해 해소된다.
본 고안은 용접이나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받침링(10)을 끼운후 콘넥터(20)를 볼트(30)로 조여주므로써 파이프(1)(2)를 간단히 연결시킬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제 파이프의 연결시 볼트 조임만으로 연결시킬 수 있어 파이프 연결 작업이 간단하고,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힘이 강하여 연결부위가 이탈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제 파이프(1)(2)를 연결시킴에 있어서,
    파이프(1)(2)의 내측에 삽입되고 부식되지 않으며 외측 중앙에 돌출된 고정돌기(11)를 형성시킨 받침링(10)과, 파이프(1)(2)의 연결부위 외측에 끼워지고 내측으로 돌기(21)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을 개구시켜 볼트공(24)(25)이 형성된 조임날개(22)(23)를 형성시킨 콘넥터(20)와, 상기 콘넥터(20)의 조임날개(22)(23)에 형성된 볼트공(24)(25)에 끼워져 콘넥터(20)가 파이프(1)(2)를 조여주게 하는 볼트(30)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 장치.
  2. 제 1 항에서, 받침링(10)의 고정돌기(11)에는 패킹(3)을 씌워 파이프(1)(2)가 서로 맞닿는 면에 패킹(3)이 끼워지게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KR2020000031280U 2000-11-08 2000-11-08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220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280U KR200220056Y1 (ko) 2000-11-08 2000-11-08 파이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280U KR200220056Y1 (ko) 2000-11-08 2000-11-08 파이프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56Y1 true KR200220056Y1 (ko) 2001-04-16

Family

ID=7308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280U KR200220056Y1 (ko) 2000-11-08 2000-11-08 파이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0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318A (ko) * 2017-06-02 2018-12-12 서명호 파이프 구조체
KR102668989B1 (ko) * 2022-02-09 2024-05-27 장우상 밸브 액츄에이터용 방화커버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318A (ko) * 2017-06-02 2018-12-12 서명호 파이프 구조체
KR102028180B1 (ko) * 2017-06-02 2019-10-02 서명호 파이프 구조체
KR102668989B1 (ko) * 2022-02-09 2024-05-27 장우상 밸브 액츄에이터용 방화커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511230A (ja) ガスケット付中心リブを備えた単一ボルトバンドクランプおよびそれを用いるパイプ重ね継手
CA2475691C (en) Pipe clamp
JP2003042359A (ja) スペーサレス型管継手とこれに用いるパッキン輪
KR200220056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20190024024A (ko) 풀림 및 누설이 방지되는 플랜지
JP6242680B2 (ja) 管継手
JP4787780B2 (ja) 流体管継手
JP4082554B2 (ja) 管継手用押輪および管継手
JPH0669574U (ja) 鋳鉄管のメカニカル継手
EP0083135A1 (en) A pipe coupling or branch pipe
JP5584583B2 (ja) 樹脂管用継手及び樹脂管用継手を用いた連結方法
JP2534967Y2 (ja) 鋼管接続用のメカニカル継手装置
KR200220029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JP2006029365A (ja) 管継手
JP2007263146A (ja) 管継手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JP3924459B2 (ja) 管接続具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200238545Y1 (ko) 파이프 연결구
RU2042075C1 (ru) Рас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KR200363189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354969Y1 (ko) 이경관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