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116Y1 - 신축관 - Google Patents

신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116Y1
KR960009116Y1 KR2019940013774U KR19940013774U KR960009116Y1 KR 960009116 Y1 KR960009116 Y1 KR 960009116Y1 KR 2019940013774 U KR2019940013774 U KR 2019940013774U KR 19940013774 U KR19940013774 U KR 19940013774U KR 960009116 Y1 KR960009116 Y1 KR 960009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ubber packing
fixed
pressure ring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348U (ko
Inventor
황수철
Original Assignee
황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수철 filed Critical 황수철
Priority to KR2019940013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116Y1/ko
Publication of KR9600023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1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축관
제1도는 본 고안의 신축관을 보인 반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부분확대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의 한 전형적인 신축관구조를 보인 예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2 : 파이프 24 : 외향경사면
26,26' : 내향플랜지 28 : 연결관
32 : 수직배면 34,34' : 고무패킹
38 : 환상확대두부 40 : 통공
42 : 고정가압령 46,48 : 환상공간부
50 : 외향플랜지 52 : 가압링
54 : 외향플랜지 56 : 볼트-너트체결구
본 고안은 신축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조의 고무패킹이 일축 파이프에 고정된 고무패킹치부수단에 의하여 취부된 상태에서 타측 파이프의 주면에 압축고정되며 내측 고무패킹의 수직면에 신축관내의 수압이 가하여져 고무패킹의 밀폐효과가 한층 상승될 수 있도록 한 신축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신축관은 상수도의 급수관 사이에 연결되어 급수관내의 급수압력변화를 흡수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예를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대향단부 사이에 간격을 둔 두 파이프
(1)(2)사시의 외면에 내측으로 외향경사면(3)을 갖는 내향플랜지(4)(4')가 형성된 연결관(5)이 연결되고 내향플랜지(4)(4')의 외향경사면(3)측으로 이에 접하는 경사면(6)을 갖는 환상의 고무패킹(7)(7')이 삽입되며 이들 고무패킹(7)(7')의 배면측 수직면에 환상가압령(8)(8')이 배치되고 환상가압령(8)(8')에 형성된 외향플랜지(9)에 볼트-너트구성물(10)을 갖는 체결봉(11)이 체결되어 환상가압령(8)(8')이 상대측으로 이동하여 연결관(5)의 내향플랜지(4)(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할 수 있도록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전형적인 구성의 신축관에 있어서는 사용시 파이프(1)(2)내에 수압이 정상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고무패킹(7)(7')의 압축력에 대항하여 파이프(1)(2)가 외측으로 신장이동되며 수압이 정상으로 환원되면 다시 내측으로 수축이동되어 내부수압의 변화를 흡수한다. 그러나 내부수압은 파이프(1)(2)의 외면과 연결관(5)의 내향플랜지(4)(4')의 내측단부 주연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고무패킹(7)(7')에 전달될 수 있으묘 이들 고무패킹(7)(7')의 경사면(6)을 따라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누수가 일어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패킹(7)(7')을 환상가압령(8)(8')으로 필요이상 가압시켜야한다. 이때에 고무패킹(7)(7')은 과중한 압축력을 받아 기계적인 파열이 일어알 수 있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신축관으로 다양한 구조의 것이 소개된 바 있으나 특히 고무패킹부분에서 내부수압파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공통된 결점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내부수압파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잇는 한편 내부수압을 고무패킹에 유도하여 내부수압의 상승시 고무패킹의 압축력이 상승토록 하므로서 밀폐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한 것인 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측단부 사이에 간격을 둔 두 개의 파이프(20)(22)의 외주연측에 내측으로 외향경사면(24)을 갖는 내향플랜지(26)(26')가 형성된 연결관(28)이 연결되고 내향플랜지(26)(26')의 외향경사면(24)측으로 이에 접하는 부축 외주연에 스페이서링(32)을 갖는 환상의 고무패킹(34)(34')을 환착하는 것에 있어서, 일측 파이프(20)의 단부축 외주연에 스페이서링(36)을 환착고정하고 이 스페이서링(36)의 외주연에는 선단에 환상확대두부(38)를 가지고 중간주연에 통공(40)이 형성된 고정가압링(42)의 후단을 환착고정하며, 다시 고정가압링(42)의 환상확대두부(38)사이에 일측 고무패킹(34)이 압축되게 한 상태에서 이에 연결관(28)의 후단부를 용접하여 고정하므로서 두 파이프(20)(22)를 잇는 외주연상에 고정가압링(42)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스페이서링(36)(44)에 의해 동심원상의 환상공간부(46)(48)가 형성되게하며, 연결관(28)의 선단부에는 외향플랜지(50)를 형성하고 외형플랜지(50)의 전방측으로 타측 고무패킹(34')을 가압하는 가압링(52)을 환착하여 그 외향플랜지(54)와 상기 연결관(28)의 외향플랜지(50)를 볼트-너트체결구(56)로 체결하여서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고무패킹(34)(34')이 타측 파이프(22)의 오주면에 환착되며, 이때 일측 고무패킹(34)은 일측 파이프(20)에 제1스페이서링(36)을 통하여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고정가압랑(42)의 환상확대두부(38)가 상기 일측 고무패킹(34)의 수직배면(32)의 중앙부분에 접하여 연결관(28)의 일측내향플랜지(26)와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결합되며, 타측 고무패킹(34')은 연결관(28)의 타측내향플랜지(26')와 가압링(52)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결합되어 이에 대한 타측 파이프(22)의 결합작업과 타측 고무패킹(34')의 압축작업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용이하다. 또한 사용시에 파이프(20)(22)내의 수압이 변화하면 일측 파이프(20)에 대하여 타측 파이프(22)가 신축하게되는 바, 예를 들어 수압이 상승하는 경우 이수압은 고정가압링(42)내측의 환상공간부(46)와 고정가압링(42)의 통공(40)을 통하여 연통된 고정가압링(42) 외측의 환상공간부(46)로 전달되면서 고이 가하여지므로서 고무패킹(34)와 연결관(28)의 내면, 그리고 고무패킹(34)과 타측(34)과 타측파이프(20)의 외면사이에 수압이 집중적으로 가하여져 효과적인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이 고무패킹(34)에서의 압력누출. 즉, 누수가 방지되는 것이다.

Claims (1)

  1. 두 파이프(20)(22)의 외주연측에 내향플랜지(26)(26')가 형성된 연결관(28)이 연결되고 내향플랜지(26)(26')의 외향경사면(24)측에 수직배면(32)을 갖는 환상 고무패킹(34)(34')을 환착하는 것에 있어서, 일측 파이프(20)의 단부측 주연에 연결관(28)의 사이에 동심원상의 환상공간부(46)(48)가 형성되도록 선단에 환상확대두부(38)와 중간주연에 통공(40)을 갖는 고정가압링(42)의 후단을 고정하고 고정가압링(42)의 외측으로 연결관(28)의 후단부를 고정하여 일측 고무패킹(34)의 수직배면(32)의 고정가압링(42)으로 가압되게 하며 연결관(28)의 선단부에 형성된 외향플랜지(50)에 타측 고무패킹(34')을 가압하는 가압링(52)의 외향플랜지(54)를 볼트-너트체결구(56)로 체결하여서된 신축관.
KR2019940013774U 1994-06-14 1994-06-14 신축관 KR960009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774U KR960009116Y1 (ko) 1994-06-14 1994-06-14 신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774U KR960009116Y1 (ko) 1994-06-14 1994-06-14 신축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348U KR960002348U (ko) 1996-01-19
KR960009116Y1 true KR960009116Y1 (ko) 1996-10-15

Family

ID=1938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774U KR960009116Y1 (ko) 1994-06-14 1994-06-14 신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1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348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02953A (en) Gasket ring and conduit coupling
US2769648A (en) Reinforced t shaped seal for flanged pipe coupling
US3104898A (en) Tube couplers
US5639100A (en) Metal gasket
US2498395A (en) High-pressure swivel hose coupling
US3172670A (en) Seals for hydraulic rams
US2403364A (en) Gasket
KR20190031405A (ko) 신축 이음관 조립체
US2793883A (en) Flexible joint for rigid tubes
US2148038A (en) Coupling
US3510139A (en) Gaskets for sealing joints between the bell and spigot of drain pipe
KR960009116Y1 (ko) 신축관
US2273397A (en) Swivel hose fitting
GB2251905A (en) Compression pipe couplings
JP2000230681A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の接続構造
JPH0716151Y2 (ja) 管継手構造
KR200197322Y1 (ko) 파형강관 결합용 가스켓
KR100547283B1 (ko) 가스켓
US3408097A (en) Gasket ring and conduit coupling
JPH0314624Y2 (ko)
KR200368635Y1 (ko) 신축이음
KR20060003727A (ko) 신축이음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JPS5940627Y2 (ja) フランジ式管継手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