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512B1 - 플랜지용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플랜지용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512B1
KR102044512B1 KR1020180007700A KR20180007700A KR102044512B1 KR 102044512 B1 KR102044512 B1 KR 102044512B1 KR 1020180007700 A KR1020180007700 A KR 1020180007700A KR 20180007700 A KR20180007700 A KR 20180007700A KR 102044512 B1 KR102044512 B1 KR 10204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ange
extension member
grounding device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344A (ko
Inventor
강준경
한창우
이문호
Original Assignee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512B1/ko
Priority to US16/961,814 priority patent/US11391401B2/en
Priority to PCT/KR2018/016424 priority patent/WO2019143035A1/ko
Publication of KR2019008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1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alising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the two pipe ends of the joint or between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0Connections between or with tubula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용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40)의 단부에 있는 플랜지(41)를 사용하여 파이프(40)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1) 사이에 밸브(50) 등이 설치되어 소정의 간격이 있는 경우에 상기 플랜지(41) 사이의 접지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되어 내부에 탄성부재(20)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는 상기 일측 플랜지(41)에 밀착된다. 상기 탄성부재(20)의 일단부에 지지되어 연장부재(3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12)의 입구(14)를 통해 타단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타측 플랜지(41)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41) 사이의 간격이 다양하더라도 한 종류의 접지장치를 사용하여 접지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플랜지용 접지장치{Earthing apparatus for flange}
본 발명은 플랜지용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플랜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접지를 수행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STATCOM의 냉각시스템에는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파이프가 있다. 이들 파이프는 제조시에 일정한 길이로 만들어지므로, 그 길이 이상으로 유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유로를 연장하게 된다. 또한 유로의 설계과정에서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들 파이프 사이를 연결하는 것은 파이프의 단부에 있는 플랜지를 서로 연결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파이프 단부의 플랜지를 서로 맞대어서 결합할 수도 있지만, 파이프의 단부와 단부 사이에 밸브나 유량계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 사이가 상기 밸브나 유량계의 소요공간만큼의 틈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이들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의 접지를 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사용하고, 이 와이어의 양단을 양측의 파이프에 직접 용접하거나 용접된 구조에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0-0573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 단부의 플랜지 사이가 다양한 크기의 틈을 가지고 결합되는 경우에 이들 플랜지 사이의 접지를 확실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틈을 가지고 결합되는 플랜지 사이의 접지를 수행하는 접지장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파이프의 단부에 있는 플랜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있고 양측의 플랜지 사이를 접지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일측 단부의 입구를 통해 개방되고 타측 단부가 일측 플랜지에 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일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타측 플랜지에 밀착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는 제1위치설정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일측 플랜지에 형성된 제1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에는 제2위치설정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타측 플랜지에 형성된 제2안착홈에 안착된다.
삭제
상기 제1위치설정돌부가 있는 하우징의 타측 단부 외면에는 상기 제1위치설정돌부를 둘러서 다수개의 제1회전방지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제1회전방지홈에 안착된다.
상기 제2위치설정돌부가 있는 연장부재의 타단부 외면에는 상기 제2위치설정돌부를 둘러서 다수개의 제2회전방지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제2회전방지홈에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의 입구 내면에는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후단 외면을 둘러서는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상기 걸림턱 부분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내경과 같거나 커서 밀착된 상태로 연장부재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걸이턱 부분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재의 외경과 같거나 커서 역시 밀착된 상태로 연장부재가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파이프의 단부에 있는 플랜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있고 상기 플랜지 사이를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하여 플랜지 사이를 접지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일측 단부의 입구와 타측 단부의 하우징관통부를 통해 개방되고 타측 단부가 일측 플랜지에 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일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타측 플랜지에 밀착되고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부재관통부가 형성된 연장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관통부가 있는 하우징의 타측 단부 외면에는 다수개의 제1회전방지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제1회전방지홈에 안착된다.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 외면에는 다수개의 제2회전방지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제2회전방지홈에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의 입구 내면에는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후단 외면을 둘러서는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상기 걸림턱 부분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내경과 같거나 커서 밀착된 상태로 연장부재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걸이턱 부분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재의 외경과 같거나 커서 역시 밀착된 상태로 연장부재가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랜지용 접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간격을 가지는 플랜지 사이에서 연장부재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의 내외부로 입출되면서 플랜지에 밀착될 수 있어서 플랜지 사이에 접지장치의 양단이 확실하게 밀착되어 다양한 간격을 가지는 플랜지들 사이에서 한종류의 접지장치로 접지 작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서는 하우징에 제1위치설정돌부가 있고 연장부재에 제2위치설정돌부가 있어서 플랜지 사이에서 접지장치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어 파이프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접지장치의 위치가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접지기능을 설계된 대로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제1회전방지돌기가 있고 연장부재에 제2회전방지돌기가 있어서 접지장치가 플랜지에 설치된 상태에서 파이프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회전하지 않게 되어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접지장치가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서는 플랜지 사이를 너트와 협력하여 결합하는 볼트가 접지장치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공간을 접지장치가 차지하지 않고 설치될 수 있게 되어 공간활용을 보다 잘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례가 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실시례가 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0)은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10)은 반드시 원통형상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횡단면이 다각형인 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2)의 입구(14)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14)의 내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턱(16)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장부재(30)가 하우징(10)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턱(16)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입구(14) 내면 전체를 둘러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입구(14)의 반대쪽에는 위치설정돌부(18)가 있다. 상기 위치설정돌부(18)는 원형디스크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위치설정돌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안착홈(42)에 안착되어 플랜지(41)에서 전체 접지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위치설정돌부(18)의 원형디스크 형상의 중심은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일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위치설정돌부(18)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제1회전방지돌기(19)가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9)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9)는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9)는 아래에서 설명될 플랜지(41)의 제1회전방지홈(45)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이 플랜지(41)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는 탄성부재(20)가 위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원통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장부재(30)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플랜지(41)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일부가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입구(14)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부재(30)가 있다. 상기 연장부재(30)는 상기 하우징(10)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장부재(30)는 원기둥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장부재(30)의 후단에는 걸림턱(32)이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걸이턱(16)에 걸어진다. 상기 걸림턱(32) 부분은 상기 연장부재(30)의 다른 부분의 외면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16)에 걸어져 상기 연장부재(3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걸림턱(32) 부분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되어 하우징(10)과 연장부재(30)가 이 부분에서 서로 밀착된 상태가 상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통전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걸이턱(16)이 있는 부분에서의 입구(14)의 내경과 연장부재(30)의 외경이 또한 이와 같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통전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즉, 걸이턱(16) 부분에서의 입구(14)의 내경과 대응되는 연장부재(30)의 외면의 외경이 같거나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밀착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상기 연장부재(30)의 선단에는 제2위치설정돌부(34)가 있다. 상기 연장부재(30)의 길이방향 중심과 동심이 되도록 제2위치설정돌부(34)가 원형디스크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위치설정돌부(34)는 플랜지(41)의 제2안착홈(43)에 안착된다.
상기 제2위치설정돌부(34)가 있는 상기 연장부재(30)의 선단면에는 제2회전방지돌기(36)가 다수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36)는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9)와 같은 구성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플랜지(41)의 제21회전방지홈(46)에 안착된다.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36)도 반구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접지장치가 설치되는 파이프(40) 사이의 플랜지(41)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파이프(40)의 일단부에는 링형상의 플랜지(41)가 있다. 상기 플랜지(4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안착홈(42)과 제2안착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안착홈(42)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위치설정돌부(18)가 안착되고 상기 제2안착홈(43)에는 제2위치설정돌부(34)가 안착된다. 물론 서로 반대의 위치에 제1위치설정돌부(18)와 제2위치설정돌부(340가 안착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41)의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안착홈(42)을 둘러서 제1회전방지홈(45)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홈(42)을 둘러서 제2회전방지홈(46)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방지홈(45)에는 제1회전방지돌기(19)가 안착되고, 상기 제2회전방지홈(46)에는 제2회전방지돌기(36)가 안착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41) 사이는 볼트(47)와 너트(48)가 다수개 사용되어 체결된다. 상기 플랜지(41)들이 서로 직접 밀착된 상태로 볼트(47)와 너트(48)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플랜지(41) 사이에 밸브(50)나 유량계 등의 부품이 위치되어 소정의 간격이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41) 사이가 직접 밀착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접지장치를 사용하여 플랜지(41) 사이를 접지하게 된다.
도 6에서도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위의 실시례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파이프(40) 및 플랜지(41)와 관련된 도면부호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을 그대로 사용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1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110)은 반드시 원통형상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횡단면이 다각형인 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12)의 입구(114)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114)의 내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턱(116)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1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장부재(130)가 하우징(110)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턱(116)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입구(114) 내면 전체를 둘러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하우징(110)에서 상기 입구(114)의 반대쪽에는 하우징관통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관통부(117)는 상기 내부공간(112)이 상기 하우징(110)의 후단을 통해서도 개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플랜지(41)를 관통하는 볼트(47)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관통부(117)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제1회전방지돌기(119)가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19)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19)는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19)는 플랜지(41)의 제1회전방지홈(45)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이 플랜지(41)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2)에는 탄성부재(120)가 위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20)는 원통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탄성부재(1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장부재(130)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플랜지(41)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2)에 일부가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입구(114)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부재(130)가 있다.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장부재(130)는 원기둥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장부재(13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서는 부재관통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부재관통부(131)는 볼트(47)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부재관통부(131)와 상기 하우징관통부(117)가 있음으로 해서 전체 접지장치를 볼트(47)가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장부재(130)의 후단에는 걸림턱(132)이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걸이턱(116)에 걸어진다. 상기 걸림턱(132) 부분은 상기 연장부재(130)의 다른 부분의 외면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116)에 걸어져 상기 연장부재(130)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2)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걸림턱(132) 부분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112)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크게 되어 하우징(110)과 연장부재(130)가 이 부분에서 서로 밀착된 상태가 상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통전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걸이턱(116)이 있는 부분에서의 입구(114)의 내경과 연장부재(130)의 외경이 또한 이와 같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통전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즉, 걸이턱(116) 부분에서의 입구(114)의 내경과 대응되는 연장부재(130)의 외면의 외경이 같거나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밀착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상기 연장부재(130)의 선단면에는 제2회전방지돌기(136)가 다수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136)는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19)와 같은 구성으로 플랜지(41)의 제21회전방지홈(46)에 안착된다.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136)도 반구형상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볼트(47)가 플랜지(41)를 관통함과 동시에 하우징(110)과 연장부재(130)를 관통하여 너트(48)와 체결된다. 따라서, 하우징(110)과 연장부재(130)가 설치된 플랜지(41)에서의 위치가 볼트(47)에 의해 고정되고, 하우징(110)과 연장부재(130)의 회전이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19)가 제1안착홈(42)에 안착되고 제2회전방지돌기(136)가 제2안착홈(43)에 안착됨에 의해 방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플랜지용 접지장치가 조립되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도 5에 도시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볼 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상기 연장부재(30)가 삽입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턱(32)이 상기 걸이턱(16)에 걸어지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걸이턱(16)을 포함하는 선단 부분을 하우징(10)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하여 제작하고, 이들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서로 나사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턱(16)의 부분을 별개로 만들고 연장부재(30)를 내부공간(12)에 조립한 후에 하우징(10)의 입구(14)에 상기 걸이턱(16)을 용접 등에 의해 부착하면 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탄성부재(20)를 위치시키고, 상기 탄성부재(20)의 일단부에 상기 연장부재(30)의 걸림턱(32)이 형성된 후단이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걸이턱(16) 부분이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상태의 접지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41)의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연장부재(30)를 상기 탄성부재(20)를 압착시키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41)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설정돌부(18)가 일측 플랜지(41)의 제1안착홈(42)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재(30)의 제2위치설정돌부(34)가 타측 플랜지(41)의 제2안착홈(43)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부재(30)를 눌러주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재(20)가 복원되면서 상기 연장부재(30)가 상기 하우징(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장부재(30) 선단의 제2위치설정돌부(34)가 제2안착홈(43)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1위치설정돌부(19)와 제2위치설정돌부(34)의 선단이 반드시 제1안착홈(42)과 제2안착홈(43)의 내면에 밀착될 필요는 없다. 즉, 제1위치설정돌부(19)의 외측면과 제1안착홈(42)의 대응되는 내면이 밀착되고, 제2위치설정돌부(34)의 외측면과 제2안착홈(43)의 대응되는 내면이 밀착되는 것으로 족하다.
하지만, 상기 연장부재(30)의 선단, 즉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36)가 형성된 선단면은 플랜지(41)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연장부재(30)의 선단면이 플랜지(41)의 표면에 밀착되어야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36)가 상기 제2회전방지홈(46)의 정확하게 들어갈 수 있다. 이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면의 제1회전방지돌기(19)와 관련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9)가 제1회전방지홈(45)에 안착되고 상기 제2회전방지돌기(36)가 제2회전방지홈(46)에 안착되는 것은 상기 제1위치설정돌부(19)가 제1안착홈(42)에 안착되고 상기 제2위치설정돌부(34)가 제2안착홈(4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과 연장부재(30)를 약간 회전시켜 주면 된다. 만약,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9)가 제1회전방지홈(45)에 그리고 제2회전방지돌기(36)가 제2회전방지홈(46)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하우징(10)과 연장부재(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삽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가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4와 도 5에는 접지장치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여러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과 도 9의 상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접지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110)과 연장부재(130)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플랜지(41)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47)와 너트(48)를 활용한다. 즉, 상기 볼트(47)가 상기 하우징(110)과 연장부재(130)를 관통함과 동시에 양측 플랜지(41)를 모두 관통하도록 하여 접지장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볼트(47)를 사용하여 접지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과 연장부재(13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19)와 제2회전방지돌기(136)가 플랜지(41)의 제1회전방지홈(45)과 제2회전방지홈(46)에 안착되면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진동 등에 의해 접지장치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상기 하우징(10,110)과 연장부재(30,13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재질,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합금으로 만들어진다.
도 1에서 도 5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플랜지(41) 사이가 볼트(47)과 너트(48)를 사용하여 체결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볼트(47)와 너트(48)를 사용하여 체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다양한 체결구조를 사용하여 플랜지(41)가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들에서는 하우징(10,110)에 제1회전방지돌기(19,119)가 형성되고 동시에 연장부재(30,130)에 제2회전방지돌기(36,136)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회전방지돌기(19,119)만 형성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입구 16: 걸이턱
18: 제1위치설정돌부 19: 제1회전방지돌기
20: 탄성부재 30: 연장부재
32: 걸림턱 34: 제2위치설정돌부
36: 제2회정방지돌기 40: 파이프
41: 플랜지 42: 제1안착홈
43: 제2안착홈 45: 제1회전방지홈
46: 제2회전방지홈 47: 볼트
48: 너트 50: 밸브
110: 하우징 112: 내부공간
114: 입구 116: 걸이턱
117: 하우징관통부 119: 제1회전방지돌기
120: 탄성부재 130: 연장부재
131: 부재관통부 132: 걸림턱
136: 제2회전방지돌기

Claims (11)

  1. 파이프의 단부에 있는 플랜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있고 양측의 플랜지 사이를 접지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일측 단부의 입구를 통해 개방되고 타측 단부가 일측 플랜지에 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일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타측 플랜지에 밀착되는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는 제1위치설정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일측 플랜지에 형성된 제1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에는 제2위치설정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타측 플랜지에 형성된 제2안착홈에 안착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설정돌부가 있는 하우징의 타측 단부 외면에는 상기 제1위치설정돌부를 둘러서 다수개의 제1회전방지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제1회전방지홈에 안착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설정돌부가 있는 연장부재의 타단부 외면에는 상기 제2위치설정돌부를 둘러서 다수개의 제2회전방지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제2회전방지홈에 안착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
  5.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입구 내면에는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후단 외면을 둘러서는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 부분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내경과 같거나 커서 밀착된 상태로 연장부재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걸이턱 부분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재의 외경과 같거나 커서 역시 밀착된 상태로 연장부재가 이동될 수 있는 플랜지용 접지장치.
  7. 파이프의 단부에 있는 플랜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있고 상기 플랜지 사이를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체결하여 플랜지 사이를 접지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일측 단부의 입구와 타측 단부의 하우징관통부를 통해 개방되고 타측 단부가 일측 플랜지에 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일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타측 플랜지에 밀착되고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부재관통부가 형성된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관통부가 있는 하우징의 타측 단부 외면에는 다수개의 제1회전방지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제1회전방지홈에 안착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 외면에는 다수개의 제2회전방지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제2회전방지홈에 안착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입구 내면에는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후단 외면을 둘러서는 걸림턱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플랜지용 접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 부분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내경과 같거나 커서 밀착된 상태로 연장부재가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걸이턱 부분의 내경은 상기 연장부재의 외경과 같거나 커서 역시 밀착된 상태로 연장부재가 이동될 수 있는 플랜지용 접지장치.
KR1020180007700A 2018-01-22 2018-01-22 플랜지용 접지장치 KR102044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700A KR102044512B1 (ko) 2018-01-22 2018-01-22 플랜지용 접지장치
US16/961,814 US11391401B2 (en) 2018-01-22 2018-12-21 Flange grounding device
PCT/KR2018/016424 WO2019143035A1 (ko) 2018-01-22 2018-12-21 플랜지용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700A KR102044512B1 (ko) 2018-01-22 2018-01-22 플랜지용 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344A KR20190089344A (ko) 2019-07-31
KR102044512B1 true KR102044512B1 (ko) 2019-11-13

Family

ID=6730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700A KR102044512B1 (ko) 2018-01-22 2018-01-22 플랜지용 접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91401B2 (ko)
KR (1) KR102044512B1 (ko)
WO (1) WO2019143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101B1 (ko) * 2021-03-08 2021-10-08 주식회사 동남엔지니어링 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CN113418062A (zh) * 2021-05-19 2021-09-21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排水管隔音结构
KR102668625B1 (ko) * 2023-08-18 2024-05-23 에스앤티모티브 주식회사 총열의 조립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41220Y (zh) * 2004-09-10 2005-11-1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压接式导电端子
KR100959303B1 (ko) * 2010-01-25 2010-05-25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CN204459535U (zh) * 2014-11-10 2015-07-08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静电跨接法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598A (en) * 1901-07-02 1901-11-12 Quimby N Evans Expansion-joint for pipes.
US1202502A (en) * 1912-02-10 1916-10-24 Charles Forth Pipe-joint.
US1475289A (en) * 1922-01-16 1923-11-27 Diescher & Sons S Expansion joint
SU1201606A1 (ru) * 1984-07-02 1985-12-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114 Фла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JPH0637255Y2 (ja) * 1990-11-20 1994-09-28 日東工器株式会社 配管継手
DK1218659T3 (da) * 1999-10-07 2004-10-04 Tuchenhagen Gmbh Anordning til lösbar forbindelse af rör, der er udsat for varmeudvidelser
GB0030997D0 (en) * 2000-12-20 2001-01-31 Quip Ltd P Apparatus for connecting flanged pipes
US20060226386A1 (en) * 2005-04-11 2006-10-12 Kramer Kenneth C Jr Coupler with expanding fittings
KR100937056B1 (ko) * 2007-09-04 2010-01-1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정합식 플랜지
JP5135129B2 (ja) 2008-08-29 2013-01-30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装置
KR20140005676U (ko) 2013-04-26 2014-1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지 플랜지를 포함하는 배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60004247U (ko) * 2015-06-02 2016-1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랜지 어셈블리
CN105135136A (zh) * 2015-09-24 2015-12-09 江苏广通管业制造有限公司 一种防轴向变形的橡胶膨胀节
CN108758148A (zh) * 2018-09-02 2018-11-06 江苏长风波纹管有限公司 带耐磨衬里金属膨胀节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41220Y (zh) * 2004-09-10 2005-11-1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压接式导电端子
KR100959303B1 (ko) * 2010-01-25 2010-05-25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CN204459535U (zh) * 2014-11-10 2015-07-08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静电跨接法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71787A1 (en) 2021-03-11
KR20190089344A (ko) 2019-07-31
US11391401B2 (en) 2022-07-19
WO2019143035A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512B1 (ko) 플랜지용 접지장치
TWI488379B (zh) 整體性導電鎖定同軸連接器
US5620291A (en) Quick disconnect fastener
JP5362672B2 (ja) ケーブル接続アセンブリ
JP6793567B2 (ja) 特に自動車技術向けのコンタクトスタッド、端子、および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
US8562371B2 (en) Connection device between an electrical cable and a conducting structure, especially for a current return circuit
US20060141827A1 (en) Snap fit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operating tool for facilitating the connection of a connector assembly to an electrical box
BRPI0706410A2 (pt) conector de derivação de cunha em combinação
US8480423B2 (en) Contact region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mber
US9601975B2 (en) High altitude, high voltage rear terminal block assembly
US9797535B2 (en) Bonding clip for fluid conduit coupling
US6846201B2 (en) Electrical cable clamp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88333B1 (ko) 상분리 버스 덕트 조인트 조립체
CN102870289B (zh) 可附接的插塞式连接器
CN105098394A (zh) 整体式接地毂
EP2840661B1 (en) Snap-fit junction device
US8197288B1 (en) Terminal block having adjoining transverse surfaces with protrusions
KR101268194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CN213989265U (zh) 装配式双导线设备线夹
KR102249090B1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CN111697389A (zh) 一种推拉锁紧电连接器
CN114830447A (zh) 用于连接器的电缆凸耳
JPH10172663A (ja) コネクタ
US2475574A (en) Conduit connector
US776670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table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