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577B1 -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577B1
KR820000577B1 KR7802808A KR780002808A KR820000577B1 KR 820000577 B1 KR820000577 B1 KR 820000577B1 KR 7802808 A KR7802808 A KR 7802808A KR 780002808 A KR780002808 A KR 780002808A KR 820000577 B1 KR820000577 B1 KR 820000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shaft
gea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쓰아끼 하야시
히데오 시이야마
미끼오 기노시다
히로시 낭아이
Original Assignee
히로 게이다로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 게이다로오,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 게이다로오
Priority to KR780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5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의 실시 태양을 예시하며,
제1도는 트랙터의 평면도.
제2도는 주행 변속장치의 기어 트레인을 표시하는 선도.
제3도는 밋숀 케이스 내의 앞부분을 표시하는 전개 종단축면도.
제4도는 밋숀 케이스내의 뒷부분을 표시하는 전개 종단측면도.
제5도는 조작레버와 제1, 제2변속 기구와의 연관 관계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6도는 동일한 부분의 종단 배면도.
제7도는 레버의 장착부를 표시하는 개략 사시도.
제8도는 안내 프레임의 평면도.
제9도는 지축과 U자 형상의 프레임체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쉬프트(shift)포오크의 사시도.
제11도는 속도 조견표 판넬의 평면도.
제12도는 주변속 레버의 조작 경로를 표시하는 선도.
본 발명은 제1변속 기구와 제2변속 기구와의 공동작동에 의하여 주행변속을 행하는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변속 기구와 제2변속 기구를 별개로 설치한 2개의 조작레버로서 변속조작을 하지 않고 각각 다른 두 방향으로 조작되는 한 개의 조작 레버로서 변속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 한 개의 조작 레버의 제1변속 기구를 변속하기 위하여 조작하가 방향과 제2변속 조작기구를 변속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방향으로 동일방향으로 설정한 것이다.
종래에는 두 개의 제1,제2변속 기구를 변속 조작하는 수단으로서 변속기구의 각각에 대응하여 별개로 설치한 두 개의 조작 레버를 사용하여서 행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양 레버를 잡을 경우에 변환을 요하는 것으로 되어 조작이 번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착오조작을 일으키기 쉬웠었다.
이 때문에 양변속 기구를 상이한 두 방향으로 조작 자재하도록 한 한 개의 조작레버만을 사용하여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종래의 경우 레버의 제1방향의 조작으로서 양 변속 기구 중의 한쪽을 조작하고 레버의 제2방향의 조작으로서 다른 쪽의 변속기구를 조작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제1,제2방향이 모두 양 변속 기구를 조작하기 위하여 큰 조작력을 요하는 것으로 되어 원활한 조작을 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음과 아울러, 레버가 제1 및 제2방향 모두 넓은 범위에 걸쳐서 조작되는 것으로되어 변속할려고 레버를 잡았을 때에 레버의 위치를 알기 곤란하게 되는 염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제1, 제2변속 조작기구를 1개의 조작 레버로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또한 1개의 조작 레버로서 2개의 변속 기구를 조작하는 종래 형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이러한 1개의 조작레버로서 정확하고 또한 원활한 변속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는 제1변속 기구와 제2변속 기구와의 공동작동에 의하여 주행 변속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이한 두 방향으로 조작 자재한 한 개의 조작레버로서 양변속 기구를 조작함에 있어, 전기한 제1변속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제1변속조작 경로를 제1방향으로 향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변속 조작경로의 복수의 각각 그 변속 위치에서 제2방향으로 향하여 보조 조작 경로를 연설하고, 또 다시 이들이 각각 그 경로에서 제1방향으로 향하여 제2변속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제2변속조작경로를 복수개 연설하고 있다.
즉 양 변속 기구를 서로 다른 2방향으로 조작 자재한 1개의 조작 레버만을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제1변속 기구에 대응하는 제1변속 조작경로 및 제2변속 기구에 대응하는 제2변속 조작 경로를 동일한 제1방향으로 향하여 큰 조작력을 요하는 레버의 주조작방향이 단일방향으로 될 수 있도록 하는 까닭으로 종래와 같이 양변속 기구의 조작이 행하기가 용이하도록 된 것이며, 또 레버를 제1변속 조작경로와 제2변속 조작경로에 걸쳐서 접속하는 보조 조작 경로의 제2방향에 따르는 길이는 그다지 길게 설정하지 않아도 좋은 것이며 이것에 따라서 레버가 제2방향으로 이동 조작되는 범위를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레버는 제2방향의 이동조작 범위가 적은 상태로서 조작되므로 종래와 같이 레버가 제1 및 제2방향에 광범위하게 걸쳐서 조작되는 것에 비교하여 레버의 조작위치가 알기 쉬운 것이며 이것으로써 이들의 효과의 상잉(相剩)작용에 의하여 양 변속기구를 한 개의 레버로서 정확하고 또한 원활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 변속 기구를 하등에 고장이 생기는 일없이 항상 양호하게 변속 조작할 수 있는 주행 변속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기타의 목적 및 이익은 이하의 기재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태양을 호적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제1도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며, 기체 앞부분의 본넷트(1)에 피복된 상태로서 엔진(2)(제2도 참조)이 탑재됨과 아울러 기체 후부에 있어서 1쌍의 뒷바퀴(3a)(3b)의 사이의 상당한 위치에 조종 좌석(4)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주행 변속장치에 대하여 제2도 내지 제4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즉, 전기한 좌석(4)의 하부에 상당하는 개소에 설치된 밋숀 케이스(5)에는 전기한 엔진(2)의 출력이 전달되는 입력축(6)과 평행하는 평행하는 제1변속축(7), 이 제1변속축(7)과 동 축심상의 제2변속축(8), 이 제2변속축(8)과 접속구(9)를 개재하여서 연결된 제3변속축(10), 이 제3변속축(10)과 평행하는 출력축(11) 및 전기한 제1변속축(7)과 평행하는 후진 변속축(12)이 지승되며, 또한 전기한 출력축(11)과 연동되는 뒷바퀴(3a)(3b)의 차동장치(13)가 장비되어 있다.
전기한 입력축(6)에 전진 1속 기어(6a), 전진 2속기어(6b), 전진 3속기어(6c), 전진 4속기어(6d) 및 후진기어(6e)가 고착되어 있다. 전기한 제1변속축(7)에 전기한 입력축(6)에 고착된 전진용 기어(6a)(6b)(6c)(6d)와 교합하는 제1,제2,제3,제4변속기어(7a)(7b)(7c)(7d)가 축심 주위에 회동자재하게 지승됨과 아울러 이 제1변속축(7)의 전기한 제1, 제2변속기어(7a)(7b)의 사이 및 전기한 제3,제4변속기어(7c)(7d)의 사이에 상당하는 개소에 기어(7e)(7f)가 고착되며 또한 이들 기어(7e)(7f)의 외주부에 축심 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전기한 각 변속기어(7a)...의 기부에 교합, 이간(離間)이 자재한 내치(內齒) 기어(14a)(14b)가 교합되어 있다.
전기한 후진 변속축(12)에 전기한 입력축(6)에 고착한 후진기어(6e)와 교합되는 기어(12a)와 전기한 제1변속축(7)에 고착한 기어(7g)와 교합하는 후진변속기어(12b)가 축심 주위에 회동자재하게 지승됨과 아울러 전기한 기어(12a)의 기부(基部) 외주부에 축심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전기한 후진 변속기어(12b)의 기부 외주부에 교합 이간 자재한 내치기어(14c)가 축심 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각 내치기어(14a)(14b)(14c)를 택일적으로 이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전진속도를 4단(F1)(F2)(F3)(F4)으로 변속함과 아울러 후진상태(R)를 현출하는 주변속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입력축(6)에는 전기한 제1변속축(7)에 고착된 기어(7h)와 항시 교합하는 지름이 큰 기어(6f)와 전기한 제2변속축(8)에는 스플라인에 연결된 슬라이드 기어(8a)와 교합 자재한 지름이 작은 기어(6g)를 1쌍으로 형성한 기어가 축심주위에 회동자재하게 지승됨과 아울러 전기한 슬라이드 기어(8a)가 그 축심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전기한 지름이 작은 기어(6g)에 교합하는 상태와 전기한 제1변속축(7)의 단부에 교합하는 상태로 변환 자재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슬라이드 기어(8a)를 이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큰 변속비로써 주행속도를 2단으로 변속하는 제1보조 변속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출력축(11)에는 전기한 제3변속축(10)에 고착한 기어(10a)에 교합 자재하도록 한 지름이 큰 슬라이드 기어(11a)와 전기한 제3변속축(10)에 고착한 기어(10b)에 교합 자재하도록 한 지름이 작은 슬라이드기어(11b)를 일체 형성한 슬라이드기어가 스플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슬라이드 기어(11a)(11b)를 이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주행속도를 2단으로 변속하는 제2보조 변속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주행 변속장치는 전기한 주(主) 변속기구, 전기한 제1보조 변속기구 및 전기한 제2보조 변속기구의 공동동작 작용에 따라서 전진속도를 16단으로 변속하고 또한 후진속도를 2단으로 변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주행 변속장치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변속조작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주변속 기구는 상술하지는 않지만 밋숀 케이스(5)의 상부에 추착된 주변속 레버(15)의 전후방향 및 옆방향을 결합한 요동조작에 의하여 변속조작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제12도 참조) 전기한 제1, 제2보조 변속기구는 전기한 1쌍의 뒷바퀴(3a)(3b)를 피복하는 휀더(16a)(16b)중의 좌측의 것(16b)은 기체 내부쪽 개소에 설치된 1쌍의 조작레버(17)로서 조작되는 것이며 여기에 대하여 제5도 내지 제8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즉 전기한 밋숀 케이스(5)의 옆쪽 상부를 피복하는 커버판(18)(제1도 참조)에 U자 모양 프레임체(19)(제9도 참조)가 볼트로 연결됨과 아울러 전기한 레버(17)의 안내프레임(20)(제8도 참조)이 그 하부를 U자 모양 프레임체(19)와 함께 체작되고 그 상부를 휀더(16b)의 측면에 볼트로 연결되는 상태로서 설치되어 있다.
전기한 프레임(19)에 그 축심을 기체 옆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서 지축(21)(제9도 참조)이 관통 지승되며, 이 지축(21)에 전기한 제1보조 변속기구와의 제1연계 부재(22), 전기한 제2보조 변속 기구와의 제2연계 부재(23) 및 전기한 레버(17)의 기부에 연설한 U자 모양 부재(24)를 전후 축심 주위에만 회동자재하게 주지하는 지지부재(25)가 축심 주위에 회동자재하게 추지됨과 아울러 이 지축(21)의 전기한 제1연계 부재(22)와 지지부재(25)와의 사이에 상당하는 부분에 통상부재(26)가 이 부재(26)와 지축(21)에 걸쳐서 관통하는 롤핀(27)(제9도 참조)을 사용하여 축심 방향으로 이동 불능 및 축심 주위에 회동 불능한 상태로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전기한 지축(21)은 그 단부에 관통 지착되는 롤핀(28)(제9도 참조)이 전기한 U자 모양 프레임체(19)에 형성된 계입공(19a)에 계입하여 지축 축심주위의 회동을 억제하는 것에 의하여 축심 주위의 회동이 억제되며, 아울러 전기한 통상부재(26)가 그 1단면을 전기한 U자 모양 프레임체(19)의 내면에 접하는 제1연계부재(22)에 수용 지착되어 지지되고 또한 기타 단면(端面)을 전기한 U자 모양 프레임체(19)의 내면에 접하는 제2연계 부재(23)에 접하여 지지되는 지지부재(25)에서 수용지착 지지되어 축심 방향의 이동이 억제되는 것에 따라서 축심방향의 이동이 억제되어 있다.
전기한 제1보조 변속기구의 슬라이드 기어(8a)에 계합하는 쉬프트 포오크(29)가 전기한 밋숀 케이스(5)의 상하 축심 주위에 회동자재하게 지승된 상하축(30)의 케이스 내단부에 고착한 접동 아암(31)의 선단의 상하 축심 둘레에 회동자재하게 추지 되어서 설치됨과 아울러 전기한 상하측(30)의 케이스 외단부에 고착한 요동아암(32)의 전기한 제1연계 부재(22)와 링크(33)를 개재하여 연등되어 있으며 이것으로써 전기한 제1연계부재(22)를 전후로 요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슬라이드 기어(8a)를 이동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한 쉬프트 포오크(29)는 먼저 판재의 뽑아내는 가공에 따라서 전기한 슬라이드 기어(8a)에 개합하는 2분할부(29a)를 보유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음에 굴곡 성형에 따라서 전기한 요동아암(31)과의 추지부(29b)가 형성되어서 소망의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제10도 참조).
전기한 제2보조 변속기구의 슬라이드 기어(11a)(11b)에 계합하는 쉬프트 포오크(34)가 쉬프트 포오크축(35)에 축심 방향으로 이동자재하게 지승됨과 아울러 전기한 밋숀 케이스(5)에 회동자재하게 지승된 횡축(36)의 케이스 내단부에 고착한 요동아암(37)이 전기한 쉬프트 포오크(34)에 계합되며, 또한 전기한 횡축(36)의 케이스 외단부에 고착한 요동아암(38)이 전기한 제2연계부재(23)와 링크(39)를 개재하여 연동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으로써 전기한 제2연계부재(23)를 전후로 요동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슬라이드 기어(11a)(11b)를 이동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제1연계부재(22)의 옆에서 요동하여 오는 전기한 레버(17)를 계입하는 하나의 계합공(22a)이 형성됨과 아울러 전기한 제2연계부재(23)에 전기한 제1연계부재(22)를 변속하기 위하여 앞쪽 또는 뒷쪽으로 요동 조작한 후 그 각 변속위치(Q1)(Q2)에서 옆으로 요동하여 오는 레버(17)를 계입하는 두 개의 계입공(23a)(23b)이 형성되어 있다.
전기 안내 프레임(20)에 제1보조 변속기구를 조작할 때에 레버(17)를 제1방향으로서의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변속 안내구(40a)가 전후 방향을 향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이 제1변속 안내구(40a)의 전후단에 상당하는 각 변속위치(Q1)(Q2)의 각각에서 레버(17)를 제2방향으로서의 옆방향으로 향하여 안내하는 보조안내구(40b)(40c)가 옆방향으로 향하여 뻗어 나가며 이들 뻗어나간 단부에서 각각 전기한 제2보조 변속기구를 조작할 때에 레버(17)를 제1방향으로서의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변속 안내구(40d)(40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레버(17)를 제1변속 안내구(40a)에 따르는 제1변속 조작경로(A)에 따라서 전후로 요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1연계부재(22)를 요동시켜서 제1보조 변속기구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며, 전기한 경로(A)의 전후단에 상당하는 제1보조 변속 기구의 변속위치(Q1)(Q2)에서 보조 안내구(40b)(40c)에 따르는 보조조작 경로(B1)(B2)에 따라서 레버(17)를 옆으로 요동하고 다음에 제2변속 안내구(40d)(40e)에 따르는 제2변속 조작경로(C1)(C2)에 따라서 레버(17)를 전후 요동하여 각 경로(C1)(C2)의 전후단에 상당하는 변속위치(P1)(P2) 및 (P3)(P4)에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2보조 변속기구를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기한 레버(17)가 제1연계부재(22)에서 이탈되어서 제2연계부재(23)에 계입되어 있을 때에 제1연계부재(22)가 예측치 않게 요동하여 고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하에 설명하는 견제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즉 전기한 통상부재(26)를 지축(21)에 지착하는 롤핀(27)에 견제금속구(41)가 추지되어 있다.
이 견제금속구(41)는 그 옆쪽 요동에 따라서 전기한 제1연계부재(22)에 형성한 공(42a) 또는 (42b)에 계입하여 제1연계부재(22)의 요동을 억제하는 견제작용 자세와 전기한 공(42a) 또는 (42b)에서 이탈한 견제 해제 자세로 변환 자재하게 구성되며, 또한 스프링(43)으로서 견제 해제 자세쪽으로 탄성부세 되어 있다.
또 전기한 조작레버(17)에 연설한 U자 모양 부재(24)의 선단에 전기한 견제금속구(41)를 견제적용 자세쪽에서 접하여 압압하는 핀(44)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레버(17)를 제1변속 조작경로(A)에 따라서 조작한 후 보조작 경로(B1) 또는 (B2)에 따라서 옆쪽으로 요동조작할 때에 전기한 핀(44)에 의하여 견제금속구(41)를 압압 요동시켜서 이 금속구(41)를 공(42a)(42b)에 계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연계부재(22)의 예측치 못한 요동을 견제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11도는 좌석(4)의 근처의 기틀 부분에 부설되는 주행 변속장치의 전진 주행 변속상태의 조견표(早見表)판넬을 표시한 것이며, 표시된 문자(V)의 하부에는 전진주행 속도의 표시눈금이 설치되어 있고 표시된 문자(W)의 하부에는 주변속기구에 의한 변속상태를 표시하는 문자(F1)(F2)(F3)(F4)가 설치되며, 또 표시된 문자(x)의 하부에는 제1, 제2보조 변속기구에 의한 변속상태를 표시하는 문자(P1)(P2)(P3)(P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기한 문자(F1)..., (P1)..는 먼저 설명한 변속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또 이 조견표 판넬에는 트랙터에 각종 부속장치를 연결한 제작업 형태에 적합한 주행 속도를 선택하기 쉽도록 하기 때문에 전기한 속도의 눈금의 옆쪽에 적절한 작업속도 범위를 표시하는 표시된 문자(S1)...가 달려 있으며 (S1)은 구의 굴삭작업, (S2)는 이식작업, (S3)은 로오터리 경운작업, (S4)는 묘포의 써레질 정지작업, (S5)는 풀베기 작업, (S6)은 가래질 작업이며 또한 (S7)은 노상 주행할 때 등의 적합한 속도범위를 표시한다.
또 도면중(45)는 동력 취출축(power take-off)축이며, 전기한 입력축(6)으로 부터의 출력이 기어변속기구(46)에 의하여 4단으로 변속되어서 전달되는 것이다.
또 (47)은 트랙터의 앞바퀴 구동용의 전동축이며 전기한 출력축(11)과 기어 연동됨과 아울러 접동 기어(47a)를 축심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출력축(11)과의 연동이 해제된 상태로 변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48)은 전기한 레버(17)에 관통된 고무 또는 합성수지제의 통상체로서 안내 프레임(20)과의 접당함에 있어서 완충작용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레버(17)에 부설한 돌기(49)에 의하여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제1변속 기구로서의 제1보조 변속기구 및 제2변속 기구로서의 제2보조 변속 기구의 각각 그것들이 2단으로 변속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3단 이상의 복수단으로 변속하는 것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2변속 조작경로(C1)(C2)의 각각 그것을 일부의 경로 부분이 전후방향 즉 제1방향에 있어서 중복하는 상태로서 옆방향, 즉 제2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병치
Figure kpo00001
하여 레버(17)의 제1방향에 있어서의 조작범위를 적게하도록 하였으나 복수의 제2조작 경로(C1)(C2)의 각각 그것을 제1방향으로 1직선상에 배치하여 레버(17)의 제2방향에 있어서의 조작범위를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실시예에서 말한 바와 같이 제1방향을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실시하면 조정자로서 힘을 넘기 쉬운 방향이 전후방향인 까닭에 레버(17)의 조작을 일층 원활하게 행하기 용이하게 되어서 좋다.
또 실시예의 경우 제2연계부재(23)는 레버(17)와 연계되어 있는 때가 많으므로 특별한 견제기구를 설치하지 않은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 제2연계부재(23)에 대한 견제 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Claims (1)

  1. 제1변속 기구와 제2변속 기구와의 공동작동에 의하여 주행 변속을 행하도록 구성한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2방향으로 조작 자재한 1개의 조작레버(17)로서 양변속 기구를 조작함에 있어 전기한 제1변속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제1변속 조작경로(A)를 제1방향으로 향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이 제1변속 조작경로(A)의 복수의 변속위치(Q1)(Q2)의 각각 그것에서 제2방향으로 향하여 보조조작경로(B1)(B2)를 연설하고 또다시 이들의 경로(B1)(B2)의 각각 그것에서 제1방향으로 향하여 제2변속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제2변속 조작경로(C1)(C2)를 복수개 연설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KR7802808A 1978-09-15 1978-09-15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 KR820000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808A KR820000577B1 (ko) 1978-09-15 1978-09-15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808A KR820000577B1 (ko) 1978-09-15 1978-09-15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577B1 true KR820000577B1 (ko) 1982-04-15

Family

ID=1920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808A KR820000577B1 (ko) 1978-09-15 1978-09-15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57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6680A (en) Travel speed change apparatus for a farm vehicle
JPS6145541Y2 (ko)
KR820000577B1 (ko)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장치
JPS5855005B2 (ja) 走行変速装置の操作構造
JPH04133822A (ja) 乗用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US2593297A (en) Control device for change-speed gears
JP2933268B2 (ja) 耕うん機における変速ガイド板構造
JPS6245941Y2 (ko)
JPH081956Y2 (ja) 作業車両用の変速操作装置
JP2024011917A (ja) 変速装置
JPS5914260Y2 (ja) 移動農機の変速操作装置
JPS62234736A (ja) 耕うん機における変速操作装置
JPS585629Y2 (ja) 耕耘機の変速操作装置
JP2601767B2 (ja) 耕うん機
JPS5814259Y2 (ja) 農作業機の走行変速操作装置
JPS6230507Y2 (ko)
JP3059422B2 (ja) 耕うん機
JPS6212666Y2 (ko)
JP4887586B2 (ja) 作業車両の変速レバー装置
JPS6325216Y2 (ko)
JPS624762Y2 (ko)
GB2088974A (en) Traction transmission
JPH10287141A (ja) 歩行型移動農機
JPH0720436Y2 (ja) 変速機構
JP2002205567A (ja) 変速操作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