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260B1 - 복합 전기 접점(複合電氣接點)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전기 접점(複合電氣接點)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260B1
KR820000260B1 KR7802343A KR780002343A KR820000260B1 KR 820000260 B1 KR820000260 B1 KR 820000260B1 KR 7802343 A KR7802343 A KR 7802343A KR 780002343 A KR780002343 A KR 780002343A KR 820000260 B1 KR820000260 B1 KR 820000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die
precious metal
metal
non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 아기라 시바
Original Assignee
다나가 야스이치
주우 가이 덴기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가 야스이치, 주우 가이 덴기 고오교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다나가 야스이치
Priority to KR780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4Co-operating contacts of different materia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 전기 접점(複合電氣接點)의 제조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복합 접점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일부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일부 측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단면도.
제 5 도-제 10 도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상태 설명도.
제 5a 도, 제 8a 도 및 제 9a 도는 접점의 제조 중에 있어서의 형상을 표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전기용 복합접점(電氣用複合接點)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각각 선재(線材)로부터의 절단편인 양 귀금속(貴金屬) 및 비금속(卑金屬)을 한 가운데로 하여 압착성형하여 3금속제의 복합접점을 제조하는 것으로 3금속간에 소성(塑性) 변형을 기생(起生)시키도록 압착하여 양호한 접점의 형을 이룰 수가 있어, 흐름작업이 확실하고 양호하게 제조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완성품인 복합접점(T)의 측단면도를 표시하고, (1)은 은합금인 제1귀금속, (2)는 은합금인 제2귀금속, (3)은 동합금인 비금속으로, 제1귀금속(1)부터 비금속(3) 부분에 걸쳐 족부(T1)을 형성함과 동시에 비금속(3)부터 제2귀금속(2)에 걸쳐 경대(俓大)의 두부(T2)를 형성하는 것이고 도면 중(t)는 반제품의 접점을 표시한다.
(C)는 샨구다이로 호칭(呼稱)하는 제1다이로, 이 제1다이(C)를 지지하는 지지대(4)에 의해 제1다이(C)의 상하위치의 캇팅 파이프(5a)(5b) 및 (5c)를 지지하여 각 파팅 파이프(5a)(5b) 및 (5c)부터는 송출롤(6a)(6b) 및 (6c)에 의해 선재의 비금속선(3'), 제2귀금속선(2') 및 제1귀금속선(1')을 각각 조출(繰出)하도록 설치하고, 각 캇팅파이프(5a)(5b) 및 (5c)의 선단 전방에는 스톱퍼(7a)(7b) 및 (7c)를 각각 고정하나, 스톱퍼(7c)(7a)(7b)의 순(順)에 지지대(4) 측에 위치가 접근하도록 장설한다.
또, (8a)(8b) 및 (8c)는 캇타로, 각각 비금속선(3'), 제2귀금속선(2') 및 제1귀금속선(1')을 절단하여 각각의 절단편을 보지(保持)하여 제1다이(C)의 선단 중심부에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전기 제1다이(C)에 있어서는 그 중심부에 선단에 아루가 붙은 축공(9)을 형성함과 동시에 뭉치(10)을 개장(介裝)한 에지에구도 핀(11)을 축공(9) 내에 선단측이 출퇴(出退)자재로 하여 감삽, 구성한다.
또, 전기 제1다이(C)의 측방에는 헷데잉구다이라 호칭하는 제2다이(D)를 지지대(4)에 고설(固設)하나, 이 제2다이(D)의 선단면 중앙에는 전기 접점(T)의 두부(T2)와 형상이 동일한 요(凹) 형부(型部)(12)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13)은 가동자재의 펀치 손잡이로,이 펀치손잡이(13)의 상하 위치에는 제1펀치(A)와 제2펀치(B)를 횡향(橫向)으로 장설하여, 지지대(4)에 고설한 상하의 제1다이(C) 및 제2다이(D)에 대해 펀치손잡이(13)가 접근하다 떨어지다가 하여 제1펀치(A)가 제1다이(C)에, 또 제2펀치(B)가 제1다이(C) 및 제2다이(D)에 대응하도록 상하 자재로 움직이게 구성한다.
또, 제1펀치(A)에 있어서는, 그 중심부 선단에 아루가 붙은 축공(14)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축공(14)에 출퇴자재로 이 감삽하는 풋쉬핀(15)의 기부측(基部側) 지축(15a)에는 뭉치(16)을 개장하여 퇴입시에 지축(15a)의 단부가 스톱퍼가 되어 위치 결정이 되도록 구성한다.
전기 제2펀치(B)에 있어서는 그 중심부에 축공(17)을 형성함과 동시, 이 축공(17)에 출퇴상에 감삽하는 풋쉬핀(18)의 기부측 녹 아우트 핀(18a)에는 뭉치(19)를 개장하여, 그 핀(18a)에 의해 위치 결정이 되도록 구성하며, 축공(17)의 선단부가 전기 접점(T)의 족부(T1)와 형상이 같도록 형성한다.
다음에 접점(T)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도에 표시함과 같이 각 비금속선(3'), 제2귀금속선(2') 및 제1귀금속선(1')을 각 스톱퍼(7a)(7b) 및 (7c)에 충합(衝合)하기까지 연출(延出)하여, 그 후에 가등하는 캇타(8a)(8b) 및 (8c)에 의해 각 금속선(3')(2') 및 (1')을 짧게 절단하여 그대로 실인(失印)(가)(나) 및 (마)로 표시함과 동시 가동시켜 가상적으로 표시함과 같이 이동시키면 제 4 도에 표시함과 같이 제1다이 (C)의 축공(9)의 전방에 축공(9)측으로부터 제2귀금속(2), 비금속(3), 제1귀금속(1)의 순으로 나란히 하여 캇타에 의해 보지시키는 상태로 된다.
거기서, 제1펀치(A)가 제1다이(C)에 대응하는 제 4 도의 상태부터, 펀치 손잡이(13)의 이동에 의해 제1펀치(A)를 화살 방향에 이동시키면 제1펀치(A)의 풋쉬핀(15) 선단이 각 금속(1)(3)(2)을 그의 순서에 맞추어 접합시킴과 함께 제1다이(C)의 축공(9)측에 압압하게 되어 거기서 3금속(1)(3)(2)은 후렛슈 면으로 가압착시켜 그 후에 제2귀금속(2)과 비금속(3)의 일부가 축공(9) 내에 감압하여 있는 상태로 에지에구도 핀(11)에 이동시키면 이 부분은 추공(9) 내에 보지되어 있으므로 소성변형을 발생하는 일이 없이 제1귀금속(1)과 비금속(3)이 그의 접합면을 중심으로 하여 소성변형을 이르켜 제 5 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되어 제 5a 도로 확대한 것처럼 변형한다.
이 소성변형에 의하여 접점(T)의 족부(T1)를 이루는 금속(1)과 (3)의 냉간(冷間) 압착이 완성된다.
따라서 각 금속이 제1다이(C)측에 계합(係合)하여 있는 상태로 제 6 도에 표시함과 같이 펀치 손잡이(13) 및 제1펀치(A)를 제1다이(C)측으로부터 떨어지는 화살표(마) 방향에 이동시켜 다시 상방에 (마)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펀치(B)가 제1다이(C)에 대응하도록 하여 다시 펀치손잡이(13) 및 제2펀치(B)를 화살표(다) 방향에 제 7 도에 표시함과 같이 이동시킨다.
거기서, 제 8 도에 표시함과 같이 제2펀치(B)의 풋쉬핀(18)이 충합하여 강타하게 되어, 전기와 같이 제1펀치(A)의 풋쉬핀(15)에 의해 완전히 냉간압착시킨 제1귀금속(1)과 비금속(3)의 부분을 성형시켜 축공(17)의 선단부에 감입하는 상태로되는 제1귀금속(1)과 비금속(3)의 일부가 제 8a 도에 표시함과 같이 축공(17)의 형상에 합치시켜 접점(T)의 족부(T1)를 형성하는 형에 성형시킨다.
따라서 제 10 도에 표시함과 같이 각 금속을 축공(17)에 감착한 상태로 펀치 손잡이(13) 및 제2펀치(B)가 화살표(라) 방향에 이동하여 제1다이(C)에 에지에구도 핀(11)도 제 9 도와 같이 화살표(라) 방향에 동일한 속도로 제2귀금속(2)의 일단측을 누르면서 돌출하면, 접점(t)은 제2펀치(B)에 의해 그 족부가 보지된다.
이때의 접점(t)의 형상은 제 9a 도와 같으나 실질적으로 제 8a 도와 같은 모양이다.
특히 족부(T1)의 형상에 있어서는 전연 동일하다.
새로이 펀치 손잡이(13) 및 제2펀치(B)가 제 10 도에 표시함과 같이 화살표(바) 방향에 내려가서 화살표(사) 방향에 이동하여 제 4 도의 위치로 된다.
제2펀치(B)의 축공(17) 선단에 계합하여 있는 3금속(1)(3)(2)은 제 9a 도에 표시하는 형상으로 제2귀금속(2)을 먼저로 하여 제2다이(D)의 형부(12)에 들어가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 제2펀치(B)가 새로이 제2다이(D)의 형부(12)에 향하여, 제 5 도와 같이 하여 전진하면, 다시 완전히 냉간압착으로 성형되어진 족부(T1)는 제2펀치의 축공(17)에 의하여 보지되어 있으므로 변형을 일으키는 일없이 두부(T2)를 이루는 2금속(2)과 비금속(3)의 일부가 그 접합면을 중심으로 하여 큰 소형변형을 일으키면서 압착시켜 성형된다.
제 6 도에 표시함과 같이 펀치손잡이(13) 및 제 2 도 펀치(B)가 화살표(라) 방향에 떨어지도록 이동하면 제 6 도에 표시함과 같이 완성품으로 된 접점(T)은 제2펀치(B)와 제2다이(D)로부터 떨어져 그 사이 하방에 낙하한다.
그 장소에서 합해진 접점(T)는 제2펀치(B)에 계합시킨 그대로 제2다이(D)로부터 떨어지나, 제2펀치(B)의 녹아우트 핀(18a)에 의해 압압시키는 풋쉬핀(28)이 접점(T)을 축공(17)내로부터 밀어낸다.
더욱 1개의 접점(T)이 제조되는 사이에 이 장치에 있어서는 제 5 도 및 제 6 도에 표시함과 같이 타의 접점(T)을 제조하는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자재의 제1펀치(A) 및 제2펀치(B)를 고정병설한 제1다이(C) 및 제2다이(D)에 각각 대응 작동되도록 하여 각각 선재(線材)로부터의 절단편인 제1, 제2의 양귀금속(1)(2)의 사이에 비금속(3)을 협입접합하여 각 펀치와 다이에 의해 일부를 소성변형 시키면서 압착하여 순차 압착형성 시키면서 3금속으로부터 되는 복합접점을 소형성(塑形成)하여 제조할 수 있게 되어 흐름작업이 확실 양호하게 제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을 다시 명확히 하기 위해 그 공정을 분해하여 차례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소망(所望)의 길이로 절단시킨 제1귀금속(1), 비금속(3), 제2귀금속(2)을 동일 축 선상에 가지런히 하여 냉간(冷間)으로 예비 압착한다.
2. 제2금속(2)의 전부와 그것에 접합하는 비금속(3)의 일부를 형중에 보지하여 그것들에 변형이 생기지 않게 하여, 제1귀금속(1)과 그것에 접합하는 비금속(3)과의 사이에 그의 접합면을 대원(大圓)으로 하는 소성변형을 발생토록 하여 제1귀금속(1)과 비금속(3) 사이의 냉간 압착을 우선 완결한다.
3. 냉간 압착시킨 제1귀금속(1)과 비금속(3)의 일부를 소망의 형상의 접점의 족부에 성형하여 이 족부를 그대로 형중에 보지하여 그 후의 공정으로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파지한다.
4. 비금속(3)의 나머지 부분과 제2귀금속(2)의 사이에 그 접합면을 대원(大圓)으로 하는 소형변형을 생기도록 하여 양자간의 냉간압착을 완결하여 소망의 접점두부 형상에 성형한다.
이와 같은 공정은 제1귀금속, 비금속, 제2귀금속단선(短線)을 1공정으로 하고 일편에 냉간 압접하기까지의 방법과 다르게 하고 단선간의 접합면에 놓이지 않고, 따라서 각 단선간에 강한 냉간압착면이 보증(保證)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이동자재의 제1펀치(A) 및 제2펀치(B)를 고정 병설한 제1다이(C) 및 제2다이(D)에 각각 대응작동되도록 구성하여, 각각 선재로부터의 절단편 인 제1, 제2의 양귀금속(1)(2)의 사이에 비금속(3)을 협입 접합하여 제1펀치(A)와 제1다이(C)의 사이에 압착시키면서 제1귀금속(1)과 비금속(3)과의 소성 변형시키도록 압착하며, 따라서 제2펀치(B)와 제1다이(C)의 사이에 제1귀금속(1)고 비금속(3)을 성형하여 제1귀금속(1)측의 접점부(T1)을 형성하여, 그 후의 공정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이 접점부(T1)을 제2펀치(B)로 그대로 보지하면서 제2펀치(B)와 제2다이(D)와의 사이에 제2귀금속(2)와 비금속(3)과의 사이에 소성 변형이 생기도록 압착성형시켜 제2귀금속(2)측의 접점부(T2)를 형성하는 복합 전기 접점의 제조장치.
KR7802343A 1978-07-29 1978-07-29 복합 전기 접점(複合電氣接點)의 제조 장치 KR820000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343A KR820000260B1 (ko) 1978-07-29 1978-07-29 복합 전기 접점(複合電氣接點)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2343A KR820000260B1 (ko) 1978-07-29 1978-07-29 복합 전기 접점(複合電氣接點)의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260B1 true KR820000260B1 (ko) 1982-03-10

Family

ID=1920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2343A KR820000260B1 (ko) 1978-07-29 1978-07-29 복합 전기 접점(複合電氣接點)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26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5507A (en) Method for making a tri-metallic composite electrical contact
KR820000260B1 (ko) 복합 전기 접점(複合電氣接點)의 제조 장치
JPH05169183A (ja) 電池極柱用ブッシング鍛造装置及び鍛造ヘッダー
JP3757096B2 (ja) 鍔付スリーブの加工方法
US47162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imetallic contacts, especially bimetallic welded contacts
EP2398113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s for electric resistors
US37471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gle spark plug terminals
JPS6038218B2 (ja) 電気複合接点の製造装置
KR820000261B1 (ko) 전기복합접점(電氣複合接點)의 제조장치
US40141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tact with a tip portion substantially free of burrs
JPH08255528A (ja) 三層接点製造ヘッダおよび三層接点製造方法
JPS5893121A (ja) ダブルコンタクト複合電気接点の製造方法
CN114464473B (zh) 一种高可靠性铆钉型电触头、成型设备及成型方法
CN213591550U (zh) 新型v型连接母线及新型v型连接母线成型装置
CN214866611U (zh) 一种复合组装式安全网-圆棒弯曲成型模具
JP2565951B2 (ja) モールド挿入型電気接点の製造方法
JP2558544B2 (ja) タイロッドエンド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JPS59165317A (ja) 複合電気接点材の製造方法
JP2565949B2 (ja) モールド挿入型電気接点の製造方法
JP3674928B2 (ja) インサート成形部品の製造方法
JPH02189828A (ja) 段付脚部を有するリベット型電気接点の製造方法
JP2830949B2 (ja) 口金ピンとリード線の接続方法
JP2560036B2 (ja) コニカル型電気接点の製造方法
JP3226327B2 (ja) スパークプラグ電極の製造方法
JPS5832908B2 (ja) 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とその製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