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5171A - 링크 타입 드롭 바 - Google Patents

링크 타입 드롭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5171A
KR20240025171A KR1020220103070A KR20220103070A KR20240025171A KR 20240025171 A KR20240025171 A KR 20240025171A KR 1020220103070 A KR1020220103070 A KR 1020220103070A KR 20220103070 A KR20220103070 A KR 20220103070A KR 20240025171 A KR20240025171 A KR 20240025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ance
rail
toe board
top rail
drop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3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5171A/ko
Publication of KR2024002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517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링크 타입 드롭 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이 플랫폼 입구에 설치된 제1 입구 기둥의 상부에 설치된 제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탑 레일(Top rail); 일단이 상기 제1 입구 기둥의 중간 부분에 제2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들 레일(Middle rail); 일단이 상기 제1 입구 기둥의 하부에 대해 제3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토보드(Toe board); 상기 탑 레일의 타단과 상기 미들 레일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링크 플레이트; 및 상기 미들 레일의 타단과 상기 토보드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평상시에는 상기 탑 레일, 상기 미들 레일, 상기 토보드가 수평 상태로 상기 플랫폼 입구를 폐쇄하고, 출입시에는 상기 탑 레일, 상기 미들 레일, 상기 토보드가 상기 제1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링크 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회동하여 상기 플랫폼 입구를 개방하는 링크 타입 드롭 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링크 타입 드롭 바{Link type drop bar}
본 발명은 링크 타입 드롭 바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플랫폼의 입구는 안전을 위해 평상시에는 폐쇄되는 게이트 구조물의 설치가 요구된다.
도 1은 수평 열림 방식의 안전 게이트가 설치된 해양 구조물의 플랫폼 입구에 요구되는 작업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 게이트(Safety gate)(20)는 플랫폼 입구(10)에 설치되며, 수평 열림 방식으로 개폐된다. 안전 게이트(20)의 개방 궤적을 제외하고 선급, 선주사 사양에서 요구하는 작업공간(30)을 확보해야 한다.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수직 방향의 경로에서 L1은 작업공간의 폭(L11)과 안전 게이트(20)의 폭의 합보다 커야 한다.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수평 방향의 경로에서 L2는 작업공간의 폭(L21)과 안전 게이트(20)의 폭의 합보다 커야 한다.
하지만, 설계 및 시공 시 부득이하게 이러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에는 수평 열림 방식의 안전 게이트 대신 수직 열림 방식의 드롭 바(Drop bar)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선급 및 해양공사 규정 중 낙하물(Drop object)에 대해 10mm 이상의 공구, 부속품 등이 플랫폼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보드(Toe board)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플랫폼 입구의 위치가 높은 곳 등 많은 지점에서 드롭 바의 설치가 제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28737호 (2021.10.27. 공개) - 드롭 바 어셈블리
본 발명은 수직 열림 방식의 드롭 바 구조물에 미들 레일과 토보드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낙하물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협소공간 및 고공에 설치된 플랫폼의 입구에서의 드롭 바 설치 제한을 제거한 링크 타입 드롭 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상 시에는 폐쇄된 상태에서 탑 레일, 미들 레일, 토보드가 가로로 놓여져 안전성을 확보하고, 출입 시에는 링크 구조에 의해 접혀져 출입구의 공간이 확보된 개방 상태를 제공하여 원활한 출입이 가능하게 한 링크 타입 드롭 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이 플랫폼 입구에 설치된 제1 입구 기둥의 상부에 설치된 제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탑 레일(Top rail); 일단이 상기 제1 입구 기둥의 중간 부분에 제2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들 레일(Middle rail); 일단이 상기 제1 입구 기둥의 하부에 대해 제3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토보드(Toe board); 상기 탑 레일의 타단과 상기 미들 레일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링크 플레이트; 및 상기 미들 레일의 타단과 상기 토보드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평상시에는 상기 탑 레일, 상기 미들 레일, 상기 토보드가 수평 상태로 상기 플랫폼 입구를 폐쇄하고, 출입시에는 상기 탑 레일, 상기 미들 레일, 상기 토보드가 상기 제1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링크 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회동하여 상기 플랫폼 입구를 개방하는 링크 타입 드롭 바가 제공된다.
상기 탑 레일의 일단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탑 레일의 부드러운 회동을 유도하는 밸런스 웨이트 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런스 웨이트 구조체는, 상기 제1 입구 기둥에 설치되는 웨이트 케이스와; 상기 웨이트 케이스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런스 웨이트와; 상기 탑 레일의 일단 끝단과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상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 구조체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 케이스를 관통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 설치되는 쿠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레일, 상기 제1 링크 플레이트, 상기 미들 레일이 동일한 제1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링크 플레이트, 상기 토보드가 상기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보드는 하면에 쿠션 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열림 방식의 드롭 바 구조물에 미들 레일과 토보드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낙하물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협소공간 및 고공에 설치된 플랫폼의 입구에서의 드롭 바 설치 제한을 제거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평상 시에는 폐쇄된 상태에서 탑 레일, 미들 레일, 토보드가 가로로 놓여져 안전성을 확보하고, 출입 시에는 링크 구조에 의해 접혀져 출입구의 공간이 확보된 개방 상태를 제공하여 원활한 출입이 가능하게 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수평 열림 방식의 안전 게이트가 설치된 해양 구조물의 플랫폼 입구에 요구되는 작업공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 드롭 바의 개폐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타입 드롭 바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타입 드롭 바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타입 드롭 바의 각 부분에 대한 상세도면,
도 6은 쿠션 플레이트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일반 드롭 바의 개폐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 드롭 바(50)는 플랫폼의 핸드레일 사이의 입구(10)에 설치된다. 일반 드롭 바(50)는 플랫폼 입구(10)의 양측 중 일측에 힌지(5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힌지(52)를 중심으로 일반 드롭 바(50)가 회동함으로써 플랫폼 입구(10)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개방 상태(Open)에서는 스토퍼(54)에 의해 일반 드롭 바(50)의 회전 범위가 제한됨으로써, 플랫폼 입구(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과도한 회전에 의해 플랫폼 입구(10)가 항상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54)에 의해 일반 드롭 바(50)의 회전 범위가 90도 이내로 제한됨으로써, 외력이 사라지면 자중에 의해 폐쇄 상태(Closed)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 드롭 바(50)의 경우,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폐쇄 상태라 할지라도 미들 레일이 없어 플랫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낙상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토보드가 없어 플랫폼의 바닥에 있는 물품이 낙하하여 아래에 있는 사람을 위협하거나 설비의 파손을 야기하는 낙하물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규 구조의 드롭 바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타입 드롭 바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타입 드롭 바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타입 드롭 바의 각 부분에 대한 상세도면이고, 도 6은 쿠션 플레이트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는 링크 타입 드롭 바(100), 제1 입구 기둥(101), 탑 레일(Top rail)(111), 미들 레일(Middle rail)(113), 토보드(Toe board)(115), 제1 링크 플레이트(112), 제2 링크 플레이트(114), 제1 힌지(121), 제2 힌지(123), 제3 힌지(125), 웨이트 레버(Weight lever)(117), 와이어(134), 웨이트 케이스(131), 밸런스 웨이트(133), 쿠션 플레이트(137), 브라켓(103), 제2 입구 기둥(102)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타입 드롭 바(100)는 평상 시에는 폐쇄 상태(CLOSED)에서 탑 레일, 미들 레일, 토보드가 가로로 놓여져 안전성을 확보하고, 출입 시에는 링크 구조에 의해 접혀져 출입구의 공간이 확보된 개방 상태(OPEN)를 제공하여 원활한 출입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 타입 드롭 바(100)는 플랫폼 입구의 양측 중 일측에 설치된 제1 입구 기둥(101)에 상, 중, 하의 높이로 설치되는 탑 레일(111), 미들 레일(113) 및 토보드(115)를 포함한다. 상, 중, 하의 높이는 플랫폼 핸드레일 중 탑 레일, 미들 레일 및 토보드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일 수 있다.
탑 레일(111)의 일단은 제1 입구 기둥(101)의 상단에 제1 힌지(121)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미들 레일(113)의 일단은 제1 입구 기둥(101)의 중간에 제2 힌지(12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토보드(115)의 일단은 제1 입구 기둥(101)의 하단에 제3 힌지(125)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탑 레일(111)의 타단은 폐쇄 상태에서 정방향으로 회동하여 플랫폼 입구의 양측 중 타측에 설치된 제2 입구 기둥(102)의 상단에 설치된 브라켓(103)에 격납될 수 있다. 제2 입구 기둥(102)은 플랫폼을 둘러싼 핸드레일의 기둥(Post)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 레일(111), 미들 레일(113), 토보드(115)가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놓여지도록 회동하여 폐쇄 상태가 되는 회동 방향을 정방향, 그 반대로 회동하여 개방 상태가 되는 회동 방향을 역방향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브라켓(103)은 상부 및 전면이 개구된 구조를 가져, 탑 레일(111)의 타단이 상방으로 진출입 가능할 수 있다. 탑 레일(111)의 타단이 브라켓(103) 내에 진입한 경우, 브라켓(103)은 탑 레일(111)의 타단이 자중에 의해 추가적인 회동을 하는 것을 제한하고 탑 레일(111)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탑 레일(111)의 타단 하부와 미들 레일(113)의 타단 상부 사이에는 제1 링크 플레이트(112)가 결합된다. 제1 링크 플레이트(112)의 양단은 힌지 결합된다.
미들 레일(113)의 타단 하부와 토보드(115)의 타단 사이에는 제2 링크 플레이트(114)가 결합된다. 제2 링크 플레이트(114)의 양단은 힌지 결합된다.
제1 링크 플레이트(112)의 길이는 폐쇄 상태를 기준으로 탑 레일(111), 미들 레일(113), 토보드(115)가 모두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탑 레일(111)과 미들 레일(113) 사이의 간격에 상응할 수 있다.
제2 링크 플레이트(114)의 길이는 폐쇄 상태를 기준으로 탑 레일(111), 미들 레일(113), 토보드(115)가 모두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미들 레일(113)과 토보드(115) 사이의 간격에 상응할 수 있다.
미들 레일(113)은 플랫폼 핸드레일의 미들 레일에 상응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레일(113)은 입구 기둥(101, 102)의 높이 중 1/2 지점에 상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토보드(115)는 하면이 플랫폼의 바닥에 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토보드(115)는 낙하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가지는 보드(board)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링크 플레이트(114)는 토보드(115)의 타단 하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링크 타입 드롭 바(100)가 폐쇄 상태에 있던 중 출입을 희망하는 작업자에 의해 탑 레일(111)이 역방향으로 회동하는 힘을 받을 경우, 링크 구조에 의해 미들 레일(113)과 토보드(115)도 함께 역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탑 레일(111)과 미들 레일(113) 사이에 연결된 제1 링크 플레이트(112)에 의해 탑 레일(111)의 회동이 미들 레일(113)의 회동을 유발한다. 그리고 미들 레일(113)과 토보드(115) 사이에 연결된 제2 링크 플레이트(114)에 의해 미들 레일(113)의 회동이 토보드(115)의 회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탑 레일(111), 미들 레일(113), 토보드(115), 제1 링크 플레이트(112), 제2 링크 플레이트(114)가 모두 수직에 가깝게 세워짐으로써 플랫폼 입구를 개방하고 출입을 위한 공간 확보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5의 B-B 단면을 참조하면, 탑 레일(111), 제1 링크 플레이트(112), 미들 레일(113)이 출입구의 출입 방향에 수직한 평면 중 동일 평면(제1 평면) 상에 놓여지며, 제2 링크 플레이트(114) 및 토보드(115)는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 상에 놓여진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힌 상태에서 토브드(115)가 미들 레일(113)에 간섭되지 않고 완전 접힘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 경우 일반 드롭 바(50)와 비교할 때 미들 레일(113), 토보드(115), 제1 링크 플레이트(112), 제2 링크 플레이트(114)의 무게로 인해 용이한 개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밸런스 웨이트를 적용함으로써 일반 드롭 바(50)의 무게(예를 들어, 10kg 이하)와 동일하게 개폐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링크 타입 드롭 바(100)는 밸런스 웨이트 구조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 구조체(130)는 제1 입구 기둥(101)의 측면에 설치되는 웨이트 케이스(131)와, 웨이트 케이스(131) 내에서 상하 이동하는 밸런스 웨이트(133)를 포함한다. 웨이트 케이스(131)는 상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밸런스 웨이트(133)가 웨이트 케이스(131)의 내부에 탑재될 수 있다.
탑 레일(111)의 일단의 끝단에는 와이어(134)를 통해 밸런스 웨이트(13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탑 레일(111)의 일단 끝단은 웨이트 레버(117)로서 기능한다.
폐쇄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져 탑 레일(111)이 역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하면, 밸런스 웨이트(133)의 자중에 의해 탑 레일(111)의 일단을 하방으로 당기는 힘이 함께 적용되어 적은 크기의 외력으로도 탑 레일(111) 및 링크 연결된 미들 레일(113)과 토보드(115)가 함께 회동하여 개방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원위치할 경우, 정방향 회동에 따른 탑 레일(111), 미들 레일(113), 토보드(115)의 하강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133)의 하부에는 쿠션 플레이트(137)가 연결바(136)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연결바(136)는 웨이트 케이스(131)의 하면을 관통하며, 쿠션 플레이트(137)는 웨이트 케이스(131)의 외부에 설치된다.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의 전환에 따라 밸런스 웨이트(133)가 상승할 경우, 연결바(136)를 통해 쿠션 플레이트(137)도 상승하게 되고, 웨이트 케이스(131)의 하면과 만나게 된다. 따라서, 탑 레일(111), 미들 레일(113), 토보드(115)의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지만, 동시에 웨이트 케이스(131)에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쿠션 플레이트(137)가 예컨대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이러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보드(115)의 하면에 쿠션 패드(116)가 설치될 수도 있다(도 5의 B-B 단면 참조).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될 때 토보드(115)가 플랫폼의 바닥과 부딪힘으로 인해 충격이 발생하고 그로 인한 소음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토보드(115)의 하면을 예컨대 고무와 같은 재질의 쿠션 패드(116)로 제작함으로써, 이러한 충격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쿠션 플레이트(137)에 댐퍼 혹은 코일 스프링을 추가 장착함으로써, 밸런스 웨이트(133)의 상승 속도를 줄여 드롭 바의 하강 속도를 줄이고 보다 부드러운 출입구 폐쇄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밸런스 웨이트(133)의 하면과 웨이트 케이스(131)의 바닥면 사이에 거리 센서(혹은 근접 센서)를 장착하고, 밸런스 웨이트(133)의 하면과 웨이트 케이스(131)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제어부(미도시)에서 밸런스 웨이트(133)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추정한 위치 정보 혹은 그 위치 정보에 기초한 해당 드롭 바의 개폐 여부를 제어부에서 메인 컨트롤룸(미도시)으로 전송함으로써,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서도 메인 컨트롤룸에서 각 드롭 바의 개폐 여부에 대해 확인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플랫폼 입구 20: 안전 게이트
30: 작업공간 50: 일반 드롭 바
100: 링크 타입 드롭 바 111: 탑 레일
113: 미들 레일 115: 토보드
112: 제1 링크 플레이트 114: 제2 링크 플레이트
121: 제1 힌지 123: 제2 힌지
125: 제3 힌지 130: 밸런스 웨이트 구조체
131: 웨이트 케이스 133: 밸런스 웨이트
134: 와이어 136: 연결바
137: 쿠션 플레이트

Claims (4)

  1. 일단이 플랫폼 입구에 설치된 제1 입구 기둥의 상부에 설치된 제1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탑 레일(Top rail);
    일단이 상기 제1 입구 기둥의 중간 부분에 제2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들 레일(Middle rail);
    일단이 상기 제1 입구 기둥의 하부에 대해 제3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토보드(Toe board);
    상기 탑 레일의 타단과 상기 미들 레일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링크 플레이트; 및
    상기 미들 레일의 타단과 상기 토보드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평상시에는 상기 탑 레일, 상기 미들 레일, 상기 토보드가 수평 상태로 상기 플랫폼 입구를 폐쇄하고, 출입시에는 상기 탑 레일, 상기 미들 레일, 상기 토보드가 상기 제1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링크 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회동하여 상기 플랫폼 입구를 개방하는 링크 타입 드롭 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레일의 일단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탑 레일의 부드러운 회동을 유도하는 밸런스 웨이트 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런스 웨이트 구조체는,
    상기 제1 입구 기둥에 설치되는 웨이트 케이스와;
    상기 웨이트 케이스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런스 웨이트와;
    상기 탑 레일의 일단 끝단과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상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링크 타입 드롭 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구조체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 케이스를 관통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 설치되는 쿠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링크 타입 드롭 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 레일, 상기 제1 링크 플레이트, 상기 미들 레일이 동일한 제1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링크 플레이트, 상기 토보드가 상기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 상에 배치되는 링크 타입 드롭 바.
KR1020220103070A 2022-08-18 2022-08-18 링크 타입 드롭 바 KR20240025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070A KR20240025171A (ko) 2022-08-18 2022-08-18 링크 타입 드롭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070A KR20240025171A (ko) 2022-08-18 2022-08-18 링크 타입 드롭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5171A true KR20240025171A (ko) 2024-02-27

Family

ID=9005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070A KR20240025171A (ko) 2022-08-18 2022-08-18 링크 타입 드롭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51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37A (ko) 2020-04-17 2021-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롭 바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737A (ko) 2020-04-17 2021-10-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드롭 바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JP4712314B2 (ja) エレベータ設備に保護帯域を形成するためのバッファ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保護帯域形成方法
JP2014511805A (ja) エレベータ装置のトーガードアセンブリ
KR10221206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JP2008044735A (ja) エレベータのトーガード装置
JP201809545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200050555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US20200039796A1 (en) Elevator car apron
JP55721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240025171A (ko) 링크 타입 드롭 바
US11267679B2 (en) Elevator car apron
CN110182672B (zh) 电梯轿厢护脚板系统
JP4454765B2 (ja) エレベータ
JP2002302370A (ja) エレベータの保護板装置
KR20190071555A (ko) 갱폼 안전도어
JP63518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3072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3659958B1 (en) Column-integrated step for elevator systems
JP678525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026633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51110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の可動乗場装置
KR1006339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425689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7231072B1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敷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