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008A -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008A
KR20240021008A KR1020220099437A KR20220099437A KR20240021008A KR 20240021008 A KR20240021008 A KR 20240021008A KR 1020220099437 A KR1020220099437 A KR 1020220099437A KR 20220099437 A KR20220099437 A KR 20220099437A KR 20240021008 A KR20240021008 A KR 20240021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window
guide
power ca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0519B1 (ko
Inventor
김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22009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51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9943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0519B1/ko
Priority to PCT/KR2023/011563 priority patent/WO2024035029A1/ko
Publication of KR2024002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승하강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윈도우가 고정결합되어 윈도우와 함께 도어 내부에서 승하강하고 상기 윈도우에 전원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제1전기접속부가 마련된 캐리어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주변부에 고정설치되며 외부의 전원이 접속되는 제2전기접속부가 마련된 브라켓; 및 일측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제1전기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브라켓의 제2전기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전기접속부를 통하여 전원으로 공급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1전기접속부로 전달하는 플렉시블 연결수단를 포함하되, 상기 플렉시블 연결수단의 일측은, 상기 제1전기접속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전기접속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레시블 연결수단은 상기 제1전기접속부와 제2전기접속부의 사이에서 펴지거나 만곡되면서 전원의 전기적 신호를 캐리어 플레이트에 전달시키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for windows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며 윈도우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윈도우가 승하강하면서 도어의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 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순환괘적 운동을 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 윈도우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최근 자동차 도어에 설치되는 윈도우는 외부의 비나 바람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뿐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즉, 윈도우에 회로패턴을 설치한 후에 평상시에는 투명하지만 필요하면 소정의 정보나 영상을 재생하는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선팅과는 달리 외부의 빛에 따라서 차광성을 달리하는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윈도우에 열선을 내장시키는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윈도우 전원공급수단은, 무선으로 전원을 연결하거나 유선으로 전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중에서 무선으로 전원을 연결하는 방식은 비용이 고가이므로 전체적으로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서 신호가 종종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의 경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전선을 이용하여 승하강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전선이 굽혀졌다 펴지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전선이 쉽게 끊어지거나 전선이 주변 다른 구성품에 부딪히면서 소음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의 위치를 가이드 하는 케이블 안내수단을 별도로 마련하는 경우가 기술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 안내수단에 전선이 삽입되어 설계자가 원하는 경로를 따라서 전선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케이블 안내수단을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 케이블 안내수단의 내부공간이 비교적 협소하여 전선을 가이드 수단에 결합하는 것이 쉽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종별로 다른 사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량마다 다른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각 차량별로 각각 다른 제품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원도우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케이블이 윈도우의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안내수단에 의하여 위치안내되도록 하여 전선이 꼬이거나 단락되는 일이 없게 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은, 케이블 안내수단이, 베이스와 회전체가 후크형태의 걸림수단에 의하여 원터치 형태로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어서 조립구조를 단순화하고 싸이클 타임을 축소할 수 있게 되며, 기타 불필요한 구성품을 생략할 수 있어서 제품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윈도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및 도어 내부에서 승하강하는 윈도우를 따라서 이동하는 전원케이블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 안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안내수단은, 캐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와,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상호 연결하고 전원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플렉시블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에 대하여 제1걸림수단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1회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에 고정설치되는 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에 대하여 제2걸림수단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2회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는,
상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는, 제1회전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제2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체에 대하여 회전축과 직각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제1회전체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케이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일측벽에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절개부에 끼워걸리도록 상기 제1절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되며,
전원케이블은 상기 제1결합부와 함께 제1절개부를 통하여 제1회전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이 상기 제1절개부에 끼워져 삽입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은 한 쌍의 제1결합부의 사이를 통과하여 절개부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제1베이스의 중앙에는 제1구멍이 형성되고, 제1회전체의 중앙에는 제1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걸림수단은, 원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베이스에 고정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세워지며 제1베이스와 제1회전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기둥부와, 상기 제1회전체의 표면에 돌출되며 제1통공 주변부에 걸리는 제1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윈도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및 도어 내부에서 승하강하는 윈도우를 따라서 이동하는 전원케이블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 안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안내수단은, 캐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와, 가이드 레일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상호 연결하고 전원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플렉시블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에 대하여 제1걸림수단에 의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1회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의 주변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에 대하여 제2걸림수단에 의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2회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는,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면서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하강에 따라서 굽혀지거나 펼쳐지고,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는 회전하고,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는, 상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에 대하여 각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렉시블 가이드와 제1,2회전체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함으로서 케이블 진입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함으로서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렉시블 가이드와 제1, 2회전체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서, 플렉시블 가이드는 공용화할 수 있게 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전원공급수단의 정면도.
도 2은 도 1의 전원공급장치의 일구성인 케이블 안내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케이블 안내수단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케이블 케이블 안내수단의 결합 배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케이블 안내수단의 조립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3의 일 구성인 제1가이드부와 플렉시블 가이드의 분리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설치된 윈도우(미도시)에는 소정의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패턴에 유선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때, 가이드 레일(160)은, 도어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 내부의 이너패널(미도시)에 고정설치된다. 가이드 레일(16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얇은 직사각형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게 연장된 일측이 절곡되어 절곡부(161)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 레일(160)은 별도의 구성품으로서 도어의 이너패널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듈플레이트(20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70)는,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으로서, 가이드 레일(160)의 절곡부(16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캐리어 플레이트(170)에는 윈도우(미도시)가 장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캐리어 플레이트(170)가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서 승하강 이동하게 되면, 캐리어 플레이트(170)에 설치된 윈도우도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도어의 개방된 영역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70)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순환괘적이동하는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수단(180)에 의하여 와이어(181)가 정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캐리어 플레이트(170)는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윈도우 레귤레이터에서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00)는, 전원케이블(110)과, 케이블 안내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케이블(110)은,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170)에 설치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원케이블(110)은 한 쌍의 전선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윈도우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제1커넥터(1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전원(162)으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그 신호는 전원케이블(110)을 거쳐서 제1커넥터(172)에 전달된다. 제1커넥터(172)에는 윈도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윈도우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서 윈도우 케이블을 통해서 윈도우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케이블(110)을 통하여 유선으로 전기적 신호가 윈도우에 접속됨에 따라서 안정적으로 신호공급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전원(162)은 가이드 레일(16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윈도우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172)는, 캐리어 플레이트(170)에 설치되어 있으며 캐리어 플레이트(170)에서 윈도우를 지지하는 지지부(171)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커넥터(172)는 소켓으로서 내부에 소정의 핀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전원케이블(110)은, 전원으로부터 제2가이드부(140)를 통하여 플렉시블 가이드(150)를 거쳐서 제1가이드부(130) 내에 삽입된 후에, 제1커넥터(17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원케이블(110)은, 플렉시블 가이드(150) 내부를 고정설치되어 플렉시블 가이드(150)와 함께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플렉시블 가이드(150)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서 이동되므로 전원케이블(110)이 불필요하게 요동하는 일이 없게 되고 소정의 곡률 내에서 휘어지거나 펼쳐지게 됨으로서 단선의 위험도 없게 된다.
상기 케이블 안내수단(120)은, 제1커넥터(172)와, 전원 사이에 배치된 전원케이블(11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안내수단(120)은, 정해진 경로 내에서 전원케이블(110)의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안내수단(120)은, 캐리어 플레이트(170)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110)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130)와, 가이드 레일(160)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110)을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140)와, 상기 제1가이드부(130)와 제2가이드부(140)를 상호 연결하고 전원케이블(110)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플렉시블 가이드(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이드부(130)는, 캐리어 플레이트(170)에 고정설치되는 제1베이스(131)와, 상기 제1베이스(131)에 대하여 제1걸림수단(13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케이블(110)이 내부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1회전체(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베이스(131)는, 캐리어 플레이트(170)의 제1커넥터(172) 주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캐리어 플레이트(170)의 배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베이스(131)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 중앙에는 제1걸림수단(133)이 통과하는 제1구멍(1311)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베이스(131)는 제1회전체(1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전원케이블(110)은 제1베이스(131)를 거쳐서 제1커넥터(172)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회전체(13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 후에 제1커넥터(172)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회전체(132)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제1통형본체(1321)와, 제1통형본체(1321)의 상부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1통공(1321a)이 형성된 제1중앙부(1322)를 포함한다. 제1통공(1321a)는 제1통형본체(1321)의 상부 중앙에서 제1중앙부(1322)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통형본체(1321)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며 플렉시블 가이드(150)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절개부(1321b)가 마련되고, 상기 제1통형본체(1321)의 내부에는 케이블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제1베이스(131)로부터 유입되거나 또는 외부에서 유입된 전원케이블(110)은 제1통형본체(1321)의 케이블 수용공간을 거쳐서 제1절개부(1321b)를 통해서 플렉시블 가이드(150) 내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절개부(1321b)는 제1통형본체(1321)의 일측벽의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1절개부(1321b)는 수평방향 단면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제1절개부(1321b)에는 플렉시블 가이드(150)의 제1결합부(155)가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하여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155)는 상기 제1절개부(1321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제1결합부(155)가 제1절개부(1321b)에 결합된 후에는 제1회전체(132)의 회전축과 직각인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가이드(150)의 제1결합부(155)는 제1절개부(1321b)의 하단을 통해서 삽입되어 상단까지 슬라이드 이동하여 끼워진 후에는 제1회전체(132)의 회전축과 직각인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전원케이블은 결합부와 함께 제1절개부(1321b)를 통하여 제1회전체(132)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최대한 긴 직선구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서 케이블에 대한 조립성을 증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중앙부(132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걸림수단(133)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1중앙부(1322)를 통과하여 제1통형본체(1321)의 상부로 돌출된 제1걸림수단(133)은 제1후크(1333)가 제1통공(1321a)의 주변부에 걸리게 됨으로서 원터치 방식으로 제1통형본체(132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140)는, 가이드 레일(160)에 고정설치되는 제2베이스(141)와, 상기 제2베이스(141)에 대하여 제2걸림수단(14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케이블(110)이 내부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2회전체(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베이스(141)는, 가이드 레일(160)의 중간위치에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16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160)의 배면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베이스(141)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 중앙에는 제2걸림수단(143)이 통과하는 제2구멍(1311)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2베이스(141)는 제2회전체(14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전원케이블(110)은 제2베이스(141)를 거쳐서 전원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회전체(14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 후에 전원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회전체(142)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제2통형본체(1321)와, 통형본체의 상부 중앙에서 하측으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2통공이 형성된 제2중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통형본체(1321)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되며 플렉시블 가이드(150)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2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통형본체(1321)의 내부에는 케이블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제2베이스(141) 또는 외부에서 유입된 전원케이블(110)은 제2통형본체(1321)의 수용공간을 거쳐서 제2절개부를 통해서 플렉시블 가이드(150) 내에 삽입된다.
제2절개부에는 플렉시블 가이드(150)의 제2결합부(156)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제2결합부(156)는 제2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전원케이블은 상기 제2결합부(156)와 함께 제2회전체에 삽입되어 최대한 케이블의 직선구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서 조립성 증대를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 제2중앙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걸림수단(143)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2중앙부를 통과하여 제2통형본체(1321)의 상부로 돌출된 제2걸림수단(143)은 제2후크가 제2통공의 주변부에 걸리게 됨으로서 원터치 방식으로 제2통형본체(132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수단(133)은, 제1회전체(132)가 제1베이스(131)에서 이탈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걸림수단(133)은, 원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베이스(131)에 고정되는 바닥부(1331)와, 상기 바닥부(1331)에서 세워지며 제1베이스(131)와 제1회전체(132)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기둥부(1332)와, 상기 제1회전체(132)의 표면에 돌출되며 제1통공(1321a) 주변부에 걸리는 제1후크(133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바닥부(1331)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져서 제1베이스(131)의 저면에 끼워걸린다. 상기 제1기둥부(1332)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하부에서 분기하여 복수개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는 복수개의 제1다리(1332a)들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각각이 서로 이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각 다리의 상단에는 제1후크(1333)가 각각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기둥부(1332)는 제1회전체(132)의 제1중앙부(132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후크(1333)는 복수개가 각각 제1회전체(132)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제1통공(1321a)의 주변에 걸림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걸림수단(133)은 제1베이스(131)를 통하여 삽입된 후에 각각의 제1후크(1333)는 서로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제1회전체(132)의 제1통공(1321a)을 통과한 후에는 탄성복원되면서 제1회전체(132)의 상면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걸림수단(133)은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에 공정으로 쉽게 제1회전체(132)와 제1베이스(131)를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어서 조립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걸림수단(143)은, 제2회전체(142)가 제2베이스(141)에서 이탈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걸림수단(143)은, 원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베이스(141)에 고정되는 바닥부(1331)와, 상기 바닥부(1331)에서 세워지며 제2베이스(141)와 제1회전체(132)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2기둥부와, 상기 제1회전체(132)의 표면에 돌출되며 제2통공 주변부에 걸리는 제2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2걸림수단(143)은 제1걸림수단(133)과 동일하게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상기 제2걸림수단(143)은 제2베이스(141)를 통하여 삽입된 후에 각각의 제2후크는 서로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제2회전체(142)의 제2통공을 통과한 후에는 탄성복원되면서 제2회전체(142)의 상면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걸림수단(143)은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에 공정으로 쉽게 제2회전체(142)와 제2베이스(141)를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어서 조립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150)는, 상기 제1회전체(132)와, 제2회전체(142)에서 배출된 전원케이블(110)을 지지하면서 캐리어 플레이트(170)의 승하강에 따라서 "U"자형태로 굽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원케이블(11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150)는 가이드 레일(160)의 면방향을 따라서 접힐 수 있도록 두께보다 높이가 큰 직사각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150)는, 일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제1지지부(151)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지지부(151)와 교대로 배치된 제2지지부(152)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지지부(151)와, 제2지지부(152)는, 각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지지체(153)와, 각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지지체(15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케이블(110)은 제1지지부(151)와, 제2지지부(15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가이드(150)의 양단은 각각 제1회전체(132)의 제1절개부(1321b)와, 제2회전체(142)의 제2절개부에 끼워걸려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가이드(150)의 양단에는 제1결합부(155)와, 제2결합부(156)가 마련된다.
제1결합부(155)는 한 쌍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며, 상측의 제1결합부(155)는 상부지지체(153)에서 연장되는 것이며 하측의 제1결합부(155)는 하부지지체(154)에서 연장되는 것이다. 제1결합부(155)는 상기 제1절개부(1321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제1절개부(1321b)에 삽입된 후에는 회전축과 직각인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게 한다.
제2결합부(156)는 한 쌍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구성되며, 상측의 제2결합부(156)는 상부지지체(153)에서 연장되는 것이며 하측의 제1결합부(155)는 하부지지체(154)에서 연장되는 것이다. 제2결합부(156)는 상기 제2절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단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제2절개부에 삽입된 후에는 회전축과 직각인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게 한다.
제1절개부(1321b)를 통하여 삽입된 전원케이블(110)은, 제1지지부(151), 제2지지부(152), 상부지지체(153), 하부지지체(154) 사이의 공간 내부를 통과한 후에 제2절개부를 통하여 제2회전체(142)로 삽입된다.
플렉시블 가이드(150)는 복수의 제1지지부(151) 및 제2지지부(152)가 서로 교차상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어서 유연하게 접힐 수 있으면서도 상하단을 띠형태의 상부지지체(153)와 하부지지체(154)가 지지하고 있어서 어느정도 강성을 가질 수 있어서 불필요한 처짐이 발생하지 않고 필요한 접힘동작만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가이드(150)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서 유연하면서도 전원케이블(110) 보다는 강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먼저, 캐리어 플레이트(170)가 가이드 레일(160)의 중간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도 2의 실선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원케이블(110)은 "U"자 형태로 만곡되어 있게 된다. 전원으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그 전기적 신호는 가이드 레일(160)에 배치된 전원케이블(110)을 통해서 제1커넥터(172)에 전달된다. 제1커넥터(172)에는 원도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윈도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어서 전기적 신호를 윈도우 케이블을 통하여 윈도우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서 필요한 소정의 전기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캐리어 플레이트(170)가 상승하여 윈도우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회전체(132)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회전체(14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캐리어 플레이트(170)가 최상단까지 상승하게 된 후에는, 만곡된 전원케이블(110)이 거의 펴지게 된다. 전원으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신호는 가이드 레일(160)에 배치된 전원케이블(110)을 통해서 제1커넥터(172)에 전달되고 이후 윈도우 케이블을 거쳐서 윈도우에 전달된다.
이 상태에서, 윈도우를 하강시키기 위하여 캐리어 플레이트(170)가 하강하게 되면 제1회전체(1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회전체(14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캐리어 플레이트(170)가 가이드 레일(160)의 중앙을 지날 때에는 전원케이블(110)이 활처럼 만곡되다가 중간을 지난 후에는 서서히 펴지게 되고 캐리어 플레이트(170)가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면 전원케이블(110)이 거의 완전하게 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100)는, 케이블 안내수단(120)이 전원케이블(110)이 위치를 가이드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과도한 요동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플렉시블 가이드(150)는 제1회전체(132)와, 제2회전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케이블 진입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케이블의 직선구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서 케이블 조립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로크의 영향을 받는 플렉시블 가이드를 동일 규격으로 제작할 수있어서 전차종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용화가 가능해져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렉시블 가이드(150)는, 가이드 레일(160)의 면방향과 수평한 방향 내에서는 유연하게 구부러지나, 가이드 레일(160)의 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는 굽혀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동작과정에서 전원케이블(110)이 불필요하게 이동함으로서 주변 고정물에 접촉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가이드부(130)의 제1베이스(131)와, 제1회전체(132)가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가능한 제1걸림수단(133)에 의하여 조립되고 있으므로 조립비용이 절감되어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수를 위하여 제1회전체(132)를 제1베이스(13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각 후크가 중앙에 모이도록 힘을 가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제1걸림수단(133)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서 제1회전체(132)가 제1베이스(131)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서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가 모듈형 판넬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에서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가 도어 내부에 별도로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듈플레이트(200)에 가이드 레일(160)이 일체화된 모듈형 구조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가이드부(140)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레일의 주변부로서 모듈플레이트(14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제2가이드부(140)는 가이드 레일(160)로부터 멀게 위치되지 않으면서도 가이드 레일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전원공급장치 110...전원케이블
120...케이블 안내수단 130...제1가이드부
131...제1베이스 132...제1회전체
133...제1걸림수단 140...제2가이드부
141...제1베이스 142...제2회전체
143...제2걸림수단 150...플레시블 가이드

Claims (6)

  1.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윈도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및 도어 내부에서 승하강하는 윈도우를 따라서 이동하는 전원케이블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 안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안내수단은, 캐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와,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상호 연결하고 전원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플렉시블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에 대하여 제1걸림수단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1회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에 고정설치되는 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에 대하여 제2걸림수단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2회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는,
    상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는, 제1회전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제2회전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체에 대하여 회전축과 직각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케이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일측벽에 하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절개부에 끼워걸리도록 상기 제1절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되며,
    전원케이블은 상기 제1결합부와 함께 제1절개부를 통하여 제1회전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이 상기 제1절개부에 끼워져 삽입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은 한 쌍의 제1결합부의 사이를 통과하여 절개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의 중앙에는 제1구멍이 형성되고, 제1회전체의 중앙에는 제1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걸림수단은, 원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베이스에 고정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 세워지며 제1베이스와 제1회전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기둥부와, 상기 제1회전체의 표면에 돌출되며 제1통공 주변부에 걸리는 제1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6.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윈도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윈도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및 도어 내부에서 승하강하는 윈도우를 따라서 이동하는 전원케이블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 안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안내수단은, 캐리어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와, 가이드 레일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상호 연결하고 전원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플렉시블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에 대하여 제1걸림수단에 의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1회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의 주변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에 대하여 제2걸림수단에 의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원케이블이 내부에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되는 제2회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는, 전원케이블을 지지하면서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하강에 따라서 굽혀지거나 펼쳐지고,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는 회전하고,
    상기 플렉시블 가이드는, 상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에 대하여 각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0220099437A 2022-08-09 2022-08-09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10267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437A KR102670519B1 (ko) 2022-08-09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PCT/KR2023/011563 WO2024035029A1 (ko) 2022-08-09 2023-08-07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437A KR102670519B1 (ko) 2022-08-09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008A true KR20240021008A (ko) 2024-02-16
KR102670519B1 KR102670519B1 (ko) 2024-05-29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5029A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6289B2 (en) Headrest folding device
CN101414740B (zh) 用于连杆的配线布线结构
BRPI0601644B1 (pt) suporte de aparelho eletrônico
CN102729786B (zh) 用于车辆的偏转器设备
JP5915581B2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KR10267051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20240021008A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CN102792537A (zh) 供电布线结构
KR101713756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JP2006240604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JP2005238932A (ja) ハーネスの支持構造
KR102370658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JP2007118678A (ja) スライドドア給電装置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ケーブルガイド取付方法
KR10252212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JP4205611B2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KR20100011239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CN211519211U (zh) 汽车遮阳帘弹片导向机构
KR102298957B1 (ko)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JP5364362B2 (ja) ワイヤドラム式の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CN217917537U (zh) 一种新型汽车电动风口机构
JPH0939662A (ja) 自動車用ドアミラー
CN114347761B (zh) 隐藏式遮阳装置
CN217470565U (zh) 控制装置以及车辆
CN217464294U (zh) 车灯隐藏装置及车灯
JP2008252995A (ja) 給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