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239A -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239A
KR20100011239A KR1020080072372A KR20080072372A KR20100011239A KR 20100011239 A KR20100011239 A KR 20100011239A KR 1020080072372 A KR1020080072372 A KR 1020080072372A KR 20080072372 A KR20080072372 A KR 20080072372A KR 20100011239 A KR20100011239 A KR 20100011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arm
sliding bar
window regulator
b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239A/ko
Priority to US12/397,065 priority patent/US7997029B2/en
Priority to CN200910127212.5A priority patent/CN101634214B/zh
Publication of KR2010001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one or more lifting arms
    • E05F11/44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one or more lifting arms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메인암(300)과 힌지(520)로 교차결합되며, 상단부는 글래스 하단(700)을 메인암(300)과 함께 지지하고 하단부는 베이스패널(100)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 서브암(500); 상기 서브암(500)의 하단부에 힌지핀(542)으로 연결설치된 슬라이딩바(540); 및 상기 베이스패널(100)로부터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되며 슬라이딩바(54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드레일(120);을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에 따르면, 슬라이딩레일을 별물로 제작하여 설치하지 않고, 베이스패널상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성형하여 조립에 의한 오차가 감소되고 부품 수가 감소되어 작업공수와 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조립오차의 감소로 인하여 글래스의 상승각이 설계와 일치되어 글래스 승하강시의 품질이 향상된다.
윈도우 레귤레이터, X암, 서브암

Description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A SUB-ARM ASSEMBLY FOR A WINDOW REGULATOR}
본 발명은 차량의 윈도우 글래스를 지지하며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메인암과 서브암 중 서브암의 하단부를 베이스패널상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는 윈도우 글래스가 설치되어 승강된다. 그 글래스의 승하강은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와 서브암을 살펴본다.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글래스의 하단(70)을 지지하는 메인암(30)과 서브암(50) 및 메인암(30)을 구동하는 구동부(도면 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메인암(30)과 서브암(50)의 상단은 글래스의 하단(70)을 지지하고, 메인암(30)의 하단은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조립체(32)가 설치되며, 서브암(50)의 하단은 베이스패널(10)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다. 메인암(30)과 서브암(50)은 힌지를 매개로 교차되도록 결합된다. 구동부의 작동시 메인암(30)과 서브암(50)이 X자 형에서 회동되며 글래스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이다.
도 2 및 3을 참고하여 종래의 서브암 어셈블리를 살펴본다. 서브암(50)의 하단은 베이스패널(10)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패널(10)에는 슬라이딩 레일패널(54)이 결합되고, 그 레일패널(54)에는 슬라이딩부(52)가 결합되어 슬라이딩된다. 서브암(50)의 하단부는 그 슬라이딩부(52)에 힌지로 결합되어 슬라이딩시마다 결합되는 각도가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는 베이스패널(10)에 슬라이딩 레일패널(54)을 볼팅 결합하고, 그 슬라이딩 레일패널(54)에 슬라이딩부(52)를 결합하여 조립오차가 증대되고 작업공수가 증가되었다. 이러한 오차의 차이로 인하여 글래스의 승하강시 글래스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승하강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오차는 특히 슬라이딩 레일패널(54)의 장착오차에 의하여 크게 발생되는데, 슬라이딩 레일패널(54)은 조립각이 미세하게 틀어져도 그 레일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글래스가 기울어지는 각은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립오차를 감소시켜 슬라이딩각과 글래스의 상승각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메인암과 힌지로 교차결합되며, 상단부는 글래스 하단을 메인암과 함께 지지하고 하단부는 베이스패널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 서브암; 상기 서브암의 하단부에 힌지핀으로 연결설치된 슬라이딩바; 및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되며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슬라이딩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부와 이 안내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슬라이딩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슬라이딩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부와 이 안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바의 상단과 하단에는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길이방향의 플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베이스패널의 일측에서 가압되어 타측으로 돌출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에 따르면, 슬라이딩레일을 별물로 제작하여 설치하지 않고, 베이스패널상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성형하여 조립에 의한 오차가 감소되고 부품 수가 감소되어 작업공수와 원가가 절감된다.
조립오차의 감소로 인하여 글래스의 상승각이 설계와 일치되어 글래스 승하강시의 품질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메인암(300)과 힌지로 교차결합되며, 상단부는 글래스 하단(700)을 메인암(300)과 함께 지지하고 하단부는 베이스패널(100)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 서브암(500); 상기 서브암(500)의 하단부에 힌지핀(542)으로 연결설치된 슬라이딩바(540); 및 상기 베이스패널(100)로부터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되며 슬라이딩바(54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드레일(120);을 포함한다.
베이스패널(100)은 도어패널 또는 레귤레이터가 장착되는 모듈패널일 수 있다.
서브암(500)과 메인암(300)의 상단은 글래스의 하단(700)을 지지하고, 메인암(300)의 하단부에는 기어조립체(320)로 인하여 회전구동된다. 서브암(500)의 하단부는 베이스패널(100)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다. 메인암(300)과 서브암(500)은 X자 형으로 교차결합되어 글래스를 지지하며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이다. 서브암 어셈블리를 통하여 그 서브암(500)의 하단부는 베이스패널(10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서브암(500)의 슬라이딩을 위하여 서브암(500)의 하단부에는 슬라이딩바(540)가 힌지핀(542)을 매개로 연결설치된다. 슬라이딩바(540)의 슬라이딩시 힌지핀(542)에 의하여 슬라이딩바(540)와 서브암(500)이 이루는 각도가 자연스럽게 변화된다.
슬라이딩바(540)의 결합을 위하여 베이스패널(100)에는 그 베이스패널(100)로부터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되며 슬라이딩바(54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드레일(120)이 마련된다. 가이드레일(120)은 베이스패널(100)과 일체로 성형되어 부품 수가 감소되고, 별물 제작후 조립이 아니기 때문에 조립오차의 발생이 감소되는 것이다.
가이드레일(120)의 성형은 프레스 공법을 사용하여 베이스패널(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압하여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레일(120)은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양단이 개방된 형상으로써, 그 공간부에 슬라이딩바(54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딩바(540)의 길이는 서브암(500) 하단부의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충분한 길이가 되도록 설계함이 필요하다.
도 5를 참고하여 가이드레일의 일 실시예를 살펴본다. 가이드레일(120)은 슬라이딩바(54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부(120a)와 이 안내부(120a)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슬라이딩바(5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부(12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양 절곡부(120b)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그 절곡부(120b)의 사이로 서브암(500)의 힌지핀(542)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딩바(54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안내부(120a)의 사이에서 밀착되어 슬라이딩바(540)가 유동됨이 없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내부(120a)의 상단에는 각각 슬라이딩바(540) 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0b)가 형성되어 슬라이딩바(54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그러한 가이드레일(120,120')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가이드레일은, 슬라이딩바(54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부(120a)와 이 안내부(120a)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도면 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양 안내부(120a)의 상단을 이어주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슬라이딩바가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안내부(120a)의 사이에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암의 힌지핀(542)이 지나갈 수 없는 구조이고, 따라서 가이드레일(120)은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연결부는 힌지핀(542)의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서브암(500)의 하단은 슬라이딩바(540)에 힌지핀(542)으로 연결설치되고, 그 슬라이딩바(540)는 베이스패널(100)에 일체로 성형된 가이 드레일(120,120')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글래스가 상승될 때는 서브암(500)이 세워지며 슬라이딩바(540)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고, 글래스가 하강될 때는 서브암(500)이 누으며 슬라이딩바(540)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이때 서브암(500)의 하단은 슬라이딩바(540)에 힌지핀(542)으로 연결설치되어 서브암(500)의 각도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바(54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가이드레일(120,120')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길이방향의 플렌지부(544)가 형성되도록 한다. 슬라이딩바(540)의 양단에는 플렌지부(544)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 1에 도시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의 슬라이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의 슬라이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를 확대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패널 120 : 가이드레일
120a : 안내부 120b : 절곡부
500 : 서브암 540 : 슬라이딩바
542 : 힌지핀 544 : 플렌지부

Claims (5)

  1.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메인암(300)과 힌지(520)로 교차결합되며, 상단부는 글래스 하단(700)을 메인암(300)과 함께 지지하고 하단부는 베이스패널(100)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 서브암(500);
    상기 서브암(500)의 하단부에 힌지핀(542)으로 연결설치된 슬라이딩바(540); 및
    상기 베이스패널(100)로부터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되며 슬라이딩바(54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드레일(120);을 포함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0)은 슬라이딩바(54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부(120a)와 이 안내부(120a)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슬라이딩바(5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부(12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0)은 슬라이딩바(54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어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안내부(120a)와 이 안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54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가이드레일(120)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길이방향의 플렌지부(5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20)은 베이스패널(100)의 일측에서 가압되어 타측으로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KR1020080072372A 2008-07-24 2008-07-24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KR20100011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372A KR20100011239A (ko) 2008-07-24 2008-07-24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US12/397,065 US7997029B2 (en) 2008-07-24 2009-03-03 Sub-arm assembly for window regulator
CN200910127212.5A CN101634214B (zh) 2008-07-24 2009-03-09 用于车窗调节器的辅助臂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372A KR20100011239A (ko) 2008-07-24 2008-07-24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39A true KR20100011239A (ko) 2010-02-03

Family

ID=4156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372A KR20100011239A (ko) 2008-07-24 2008-07-24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97029B2 (ko)
KR (1) KR20100011239A (ko)
CN (1) CN101634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3504B2 (ja) * 2010-11-30 2015-07-0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6425582B2 (ja) * 2015-02-27 2018-11-2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CN104895441A (zh) * 2015-06-27 2015-09-09 芜湖莫森泰克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车门扇形齿式玻璃升降器
JP7371612B2 (ja) 2020-12-23 2023-10-31 株式会社アイシン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211A (en) * 1992-01-13 1993-03-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Guide channel pivot for window regulator
US5201144A (en) * 1992-09-14 1993-04-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ccentrically located aperture in a cam slider for window regulator
GB2288434B (en) * 1994-04-14 1997-05-21 Securistyle Ltd An anti-rubbing block
KR20020038215A (ko) 2000-11-17 2002-05-23 류정열 자동차의 도어윈도우 레귤레이터
JP3923934B2 (ja) * 2003-10-30 2007-06-06 アスモ株式会社 ドアモジュール
KR20070036291A (ko) 2005-09-29 2007-04-0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워윈도우 개폐제한장치
KR100610196B1 (ko) 2006-04-07 2006-08-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34214B (zh) 2014-07-16
CN101634214A (zh) 2010-01-27
US20100018124A1 (en) 2010-01-28
US7997029B2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574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having a removable sliding panel
JP2014234040A (ja) ウインドウガラスの支持構造
US20160052378A1 (en) Vehicular Deflector Device
KR20100011239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서브암 어셈블리
JP6038505B2 (ja) 開閉式天窓
CN102729786B (zh) 用于车辆的偏转器设备
JP2009202627A (ja) サンルーフ装置のスライダ構造
JP4775857B2 (ja) 辷り出し窓及び窓ステー
WO2010109527A1 (ja) エレベータの操作盤
US9975411B2 (en) Sunroof device
CN101987636B (zh) 用于车辆的树脂成型部件
KR20090120269A (ko) 도어글래스 승강장치
KR101713756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JP5741269B2 (ja) 車両用ルーフ装置
KR101724827B1 (ko) 차량용 윈도우 글라스 이동장치
CN201045275Y (zh) 对开折叠纱门
CN209922687U (zh) 多扇门导轨及具有其的电梯门系统
CN214269872U (zh) 一种一体式门导轨架
KR20100011725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
CN220081254U (zh) 一种推拉门扇的密封结构
KR20040017014A (ko) 차량용 암식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CN217048215U (zh) 车门内板及车门
CN209687260U (zh) 一种铝合金门窗窗扇结构
CN210558805U (zh) 电梯门导轨架结构
CN114434139A (zh) 一种汽车天窗机械组的校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