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957B1 -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957B1
KR102298957B1 KR1020170005917A KR20170005917A KR102298957B1 KR 102298957 B1 KR102298957 B1 KR 102298957B1 KR 1020170005917 A KR1020170005917 A KR 1020170005917A KR 20170005917 A KR20170005917 A KR 20170005917A KR 102298957 B1 KR102298957 B1 KR 10229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or
link means
moving glass
vehicle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530A (ko
Inventor
김승배
남경욱
이진모
박재한
성화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날파 루프 시스템즈 그룹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날파 루프 시스템즈 그룹 비.브이.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9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2Wind deflectors for open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루프 디플렉터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링크수단을 제공하는바, 다중 고정핀 구조를 통해 디플렉터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 패널 개구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는 무빙 글라스, 상기 무빙 글라스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무빙글라스가 개방될 때, 상기 자동차의 천장 전방에서 경사지게 회동하는 디플렉터, 상기 무빙 글라스의 개폐 동작과 연동되고, 상기 디플렉터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디플렉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수단, 상기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무빙 글라스가 개방될 때 상기 디플렉터를 회동시키는 상기 링크수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루프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링크수단 타단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디플렉터 피봇부를 포함하는바, 상기 링크수단의 타단 측면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디플렉터 피봇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글라스가 개방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고정핀은 상기 링크수단의 회전운동을 수행한 이후 길이방향으로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Structure for Support of Sunroof Deflecto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루프의 무빙 글라스가 개방될 때, 자동차의 실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빙 글라스의 전방에 위치되어 회동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루프 패널 상에는 자동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의 공기를 자동차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는 선루프 글라스가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시원한 개방감과 우수한 디자인적 심미감을 위해 자동차의 루프패널 대부분을 유리로 제작하고 그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식의 파노라마 선루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노라마 선루프를 통하여 탑승자는 자동차 주행시와 정차시 자연의 태양광을 더욱 많이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주행중 파노라마 선루프를 개방하여 시원한 주행감을 느낄 수 있다.
더욱이, 개구부의 위치보다 상향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선루프의 개방에 따라 전면에서 유입되는 바람을 박아주는 선루프 디플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운전자의 소음 및 불쾌감을 제공하는 바람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다만, 일반적으로 선루프 디플렉터의 경우, 바람의 저항에 기인하여 디플렉터 자체의 진동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더욱이, 천으로 구성되는 디플렉터의 진동에 따른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선루프 디플렉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선루프 디플렉터는, 자동차의 천장부에 배치된 디플렉터 베이스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디플렉터와 연결되는 링크수단 및 상기 링크수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디플렉터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즉, 자동차의 선루프 글라스 개방시, 상기 디플렉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링크수단은 상승되고, 이때 링크수단에 연결된 디플렉터가 루프 패널 개구부의 전방을 막아 주행풍이 자동차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선루프 디플렉터는, 자동차의 고속주행시 디플렉터에 과다한 공기 저항이 발생함에 따라, 링크수단이 전체적으로 하강하면서 바람소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루프 디플렉터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링크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루프 디플렉터가 공기 저항에 의해 하강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중 고정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루프의 개방에 따라 회동운동과 병진운동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디플렉트 지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개폐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는 무빙 글라스; 상기 무빙 글라스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무빙글라스가 개방될 때, 상기 자동차의 천장 전방에서 경사지게 회동하는 디플렉터; 상기 무빙 글라스의 개폐 동작과 연동되고, 상기 디플렉터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디플렉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수단; 상기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무빙 글라스가 개방될 때 상기 디플렉터를 회동시키는 상기 링크수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루프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링크수단 타단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디플렉터 피봇부;를 포함하는바, 상기 링크수단의 타단 측면 각각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디플렉터 피봇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글라스가 개방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고정핀은 상기 링크수단의 회전운동을 수행한 이후 길이방향으로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빙 글라스가 폐쇄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링크수단이 전방으로 병진운동을 수행한 이후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링크수단의 끝단 측면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고정핀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디플렉터와 가까운 위치에 구성되는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무빙 글라스 개방에 따라, 상기 제 1 고정핀이 높이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이후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핀은 상기 제 1 고정핀이 길이방향 이동함에 따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무빙 글라스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의 높이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빙 글라스가 폐쇄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링크수단에 위치하고, 상기 무빙 글라스 전단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빙 글라스 내 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커맨드 슈;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링크수단의 길이방향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바, 공기 저항에 따른 디플렉터의 진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플렉터 진동에 따라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추가적인 부품 없이도 선루프 디플렉터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자동차의 선루프 디플렉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선루프 무빙 글라스가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디플렉터 지지구조와 접하는 링크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선루프 무빙 글라스가 개방되는 상태에서 디플렉터 지지구조의 회전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선루프 무빙 글라스가 개방되는 상태에서 디플렉터 지지구조의 병진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선루프 무빙 글라스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디플렉터 지지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주파수에 따라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소리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주파수에 따라 디플렉터의 떨림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자동차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핀(21)을 링크수단에 제공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31)를 포함하는 디플렉터 피봇부(30)를 구성하는바, 상기 고정핀(21)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고정하여 디플렉터의 회동을 형성하는 링크수단(20)을 고정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디플렉터(미도시)는 자동차의 천장부에 배치된 루프 패널(5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디플렉터와 연결되는 링크수단(20)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즉, 루프 패널(50)에 고정되는 디플렉터는 상기 링크수단(20)과 결합되는 일단에 권취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바, 상기 디플렉터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권취롤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디플렉터 천이 전개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디플렉터는 무빙 글라스(10)가 개방되는 경우, 자동차의 천장 전방에서 경사지게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루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링크수단(20)의 일단은 상기 디플렉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루프 패널(50)에 위치하는 디플렉터 피봇부(30)와 체결되는바, 상기 디플렉터 피봇부(30)를 중심으로 링크수단(20)이 회동되도록 구성되고, 회전운동이 완료된 이후 순차적으로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루프 패널(50) 상에서 무빙 글라스(10)의 개방시 상기 링크수단(20)이 회동되는바, 일단에 연결되는 디플렉터가 전개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링크수단(20)과 연결되어 링크수단(20)의 회동을 수행하도록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0)를 포함하는바, 디플렉터 전개를 보다 용이하게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40)는 링크수단(20)과 디플렉터 피봇부(30)에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일정한 길이방향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링크수단(20)의 회전운동 및 병진운동을 수행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디플렉터 피봇부(30)는 루프 패널(50)에 고정되어 링크수단(20)의 타단과 접하여 구성되는바, 링크수단(20)의 회전에 따른 힌지 역할을 수행하고, 링크수단(20)의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링크수단(20)에 위치하는 고정핀(21)과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디플렉터 피봇부(30)는 가이드부(31)를 포함하는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고정핀(21)은 가이드부(31)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고정핀(21)은 상기 가이드부(31)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바, 무빙 글라스(10)가 개방될 때 링크수단(20)의 회전운동 및 병진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도 2에서는, 각각 링크수단(20)의 측면에는 두 개의 고정핀(21)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고정핀(21)은 각각 두 개의 가이드부(31)로 삽입되어 구성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디플렉터와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 1 고정핀(21a), 이에 대응되는 가이드부(31)를 제 1 가이드부(31a)로 구성하고, 디플렉터와 먼쪽에 위치하는 고정핀(21)을 제 2 고정핀(21b) 및 상기 제 2 고정핀(21b)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제 2 가이드부(31b)를 포함한다.
선루프의 개방을 수행하기 위해 무빙 글라스(10)가 루프 패널(50)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디플렉터는 전개되는바, 상기 디플렉터의 회전운동을 선행하도록 링크수단(20)의 움직임이 설정된다. 즉, 링크수단(20)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디플렉터의 구성은 자동차의 높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전개된다.
더 바람직하게, 디플렉터가 전개되기 위해 상기 링크수단(20)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고정핀(21a)이 자동차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진 제 1 가이드부(31a)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고정핀(21a)이 제 1 가이드부(31a)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 2 고정핀(21b)은 제 2 가이드 전단에 위치하여 힌지로서 작용하는바, 링크수단(20)의 시계 방향 회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플렉터가 자동차와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전개된 이후, 상기 링크수단(20)은 병진운동을 수행하여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바, 제 1 가이드부(31a) 및 제 2 가이드부(31b)에 구성되는 길이방향 가이드홀을 따라 상기 제 1 고정핀(21a) 및 제 2 고정핀(21b)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링크수단(20)은 제 1 고정핀(21a) 및 제 2 고정핀(21b)와 함께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링크수단(20)의 회전운동에 따라 전개된 디플렉터 또한 링크수단(20)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핀(21a) 및 제 2 고정핀(21b)이 각각 제 1 가이드부(31a) 및 제 2 가이드부(31b)의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이 완료된 경우, 제 1 고정핀(21a) 및 제 2 고정핀(21b)을 포함하는 링크수단(20)의 높이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는바, 디플렉터의 진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는 반대로, 선루프의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무빙 글라스(10)는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바, 링크수단(20)에 위치하고 상기 무빙 글라스(10) 전단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걸림부(22)와 상기 무빙 글라스(10) 내 측면에는 상기 걸림부(22)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커맨드 슈(11)가 서로 접하여 링크수단(20)과 상기 무빙 글라스(10)가 통합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링크수단(20)은 선루프 폐쇄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전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는바, 제 1 고정핀(21a) 및 제 2 고정핀(21b)은 제 1 가이드부(31a) 및 제 2 가이드부(31b)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가이드홀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후, 무빙 글라스(1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링크수단(20)이 아래로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바, 제 1 고정핀(21a)가 제 1 가이드부(31a)의 곡률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빙 글라스(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무빙 글라스(10)와 링크수단(20)이 접촉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 링크수단(20)은 무빙 글라스(10)가 선루프 닫힘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링크수단(20)과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빙 글라스(10)와 접촉된 링크수단(20)의 경우, 무빙 글라스(10)와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링크수단(20)에는 걸림부(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바, 무빙 글라스(10)의 내측 일부와 걸림형태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무빙 글라스(10)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부(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커맨드 슈(11)를 더 포함하는바, 링크수단(20)의 걸림부(22)와 걸림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무빙 글라스(10)가 선루프 닫힘 상태로 이동하면서 링크수단(20)과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무빙 글라스(10)의 이동력에 의해 링크수단(20)이 상기 무빙 글라스(10)와 동시에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무빙 글라스(10)의 병진운동이 완료되어 선루프가 폐쇄되기 위한 위치에 구성될 경우, 무빙 글라스(10)의 하강에 따라 링크수단(2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전개된 디플렉터는 자동차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디플렉터의 경우, 링크수단(20)에 위치하는 탄성부재(4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전개되고, 무빙 글라스(10)의 이동력에 의해 원복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링크수단(20)이 이동하도록 안내되는 두 개의 가이드부(31)를 따라 상기 링크수단(20)이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디플렉터를 전개하기 위해서 링크수단(20)이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빙 글라스(10)가 루프 패널(50)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링크수단(20)과 상기 무빙 글라스(10)는 분리되는바, 상기 링크수단(20)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부재(40)에 의해 분리된 링크수단(20)은 회전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된다.
즉, 링크수단(20)은 탄성부재(4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링크수단(20) 전면 일단과 결합되어 위치하는 디플렉터를 전개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각각의 링크수단(20) 측면 타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핀(21)을 포함하는바, 상기 링크수단(20)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고정핀(21)은 가이드부(31)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가이드부(31a)는 제 1 고정핀(21a)이 회전하도록 차량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31a)에 삽입되는 제 1 고정핀(21a)이 회전함에 따라 링크수단(20)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는, 제 1 가이드부(31a)는 제 1 고정핀(21a)이 회전하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 2 고정핀(21b)은 제 2 가이드부(31b) 내로 삽입되어 위치하는바, 디플렉터의 전개를 수행하기 위해 링크수단(20)이 전개될 때, 상기 제 2 고정핀(21b)은 제 2 가이드부(31b) 전면 일단에 위치하여 링크수단(20)의 회전운동 중심축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가이드부(31a)의 경사 또는 곡률에 따라 제 1 고정핀(21a)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고정핀(21a)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경우, 제 2 고정핀(21b)은 제 1 고정핀(21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차량의 길이방향 후단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링크수단(20)의 회전운동 이후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병진운동을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무빙 글라스(10)가 일정부분 개방되고 난 이후에는 링크수단(20)의 회전운동이 종료되는바, 디플렉터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핀(21)을 포함하는 링크수단(20)은 선루프 개방시 회전운동을 완료한 이후, 병진운동을 수행하는바, 탄성부재(40)에서 제공하는 장력에 기인하여 상기 링크수단(20)의 병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2에서 개시된 구성으로서, 제 1 고정핀(21a)이 제 1 가이드부(31a)를 따라 회전되도록 선행하여 이동한 이후, 제 1 가이드부(31a)와 제 2 가이드부(31b)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따라 제 1 고정핀(21a) 및 제 2 고정핀(21b)는 차량의 길이방향 후단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고정핀(21)을 포함하는 링크수단(20)의 병진이동을 수행한다.
더 바람직하게, 제 1 고정핀(21a)이 회전운동을 수행한 이후, 제 1 고정핀(21a)과 제 2 고정핀(21b)은 제 1 가이드부(31a) 및 제 2 가이드부(31b)의 길이방향 가이드홀을 따라 동시에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링크수단(20)의 측면 타단에 위치하여 가이드부(31)에 삽입되는 고정핀(21)의 경우, 무빙 글라스(10)가 일부개방된 상태까지 링크수단(20)을 회전하도록 안내하고, 회전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가이드부(31) 내에 길이방향 가이드홀 구성에 따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링크수단(20)이 상기 고정핀(21)의 병진운동과 일체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바, 링크수단(20) 일단과 결합되는 디플렉터도 완전 전개되는 기울기가 낮아지도록 변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선루프 디플렉터가 완전 전개된 상태에서 각 구성 간의 결합관계를 되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디플렉터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링크수단(20)에 위치하는 고정핀(21)은 가이드부(31)에 끝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다수의 고정핀(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가이드부(31)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 측면에 두 개 이상의 고정핀(21)으로 구성되는 링크수단(20)의 경우,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구간에서 각각의 고정핀(21)이 자동차 루프 패널(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31)에 위치하는바, 링크수단(20)의 높이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링크수단(20)의 높이 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는 경우, 상기 링크수단(20)의 일단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디플렉터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동시에 구속할 수 있는바, 디플렉터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플렉터의 개방단계를 3개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바, 도 4에서는 1단계로서, 링크수단(20)의 회전운동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더욱이, 도 5에서는 2단계로서 링크수단(20)의 병진운동단계를 도시하고 있고, 마지막으로, 도 6에서는 3단계로서, 디플렉터의 완전 개방을 통해 링크수단(20)과 디플렉터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단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바람소리를 측정한 결과 데이터를 비교예와 비교하여 도시하고 있다.
<비교예>
종래 기술로서, 링크수단(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디플렉터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선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소음 및 진동을 측정하였는바, 운전자 헤드 레스트에 위치하는 소음측정기를 통해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측정하였다.
개별 측정방식은 각각의 비교예를 통해 개시하도록 하겠다.
<비교예 1>에서는 디플렉터를 최대 개방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의 소음을 측정한 데이터로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100KM/h인 경우, 16~24Hz에서 최대 소음으로 104dB가 측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2>에서는 디플레터의 최대 개방보다 50mm축소 개방을 수행하였는바, 비교예 1과 동일한 주행속도에서 16~24Hz에서 최대 소음으로 101dB가 측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3>에서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다른 자동차 사양에 장착된 동일한 선루프의 완전 개방 상태의 디플렉터의 실내 유입 바람 소음을 측정한 데이터로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100KM/h인 경우, 16~24Hz에서 최대 소음으로 104dB가 측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실시예>에서는 비교예 1 및 2와 동일한 자동차 사양에 장착된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에 대한 실험값을 도시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 측면에 두 개로 구성되는 고정핀(21)을 포함하는 링크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21)에 각각 대응되는 가이드부(3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었는바,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100KM/h인 경우, 16~24Hz에서 최대 소음 97.3dB가 측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소리가 16~24Hz에서 최대 6.7dB 감소함을 나타내고 있다.
즉, 비교예 1, 2와 비교예 3을 살펴볼 경우, 자동차 사양이 변경되더라도 디플렉터 최대 개방상태에서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의 크기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두 개의 고정핀(21)을 포함하여 디플렉터 상하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형성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는 비교예들과 비교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이 6.4% 이상 감소함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의 디플렉터 진동 측정한 결과를 비교예들과 비교하여 도시하고 있다.
<비교예>는 상기 도 7에서 개시된 동일한 환경에서 측정되었는바, 소음을 기반으로 디플렉터의 진동을 측정하였다.
디플렉터의 진동을 측정한 비교예의 실험환경은 아래 각각 개시하였다.
<비교예 1>에서는 디플렉터를 최대 개방하여 발생하는 디플렉터 진동을 측정한 데이터로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100KM/h인 경우, 16~24Hz 및 60~70Hz에서 디플렉터 진동이 약 128dB가 측정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2>에서는 디플레터의 최대 개방보다 50mm축소 개방을 수행하였는바, 비교예 1과 동일한 주행속도에서 16~24Hz 및 60~70Hz에서 디플렉터 진동이 127dB가 측정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 3>에서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다른 자동차 사양에 장착된 동일한 선루프의 완전 개방 상태의 디플렉터의 진동을 측정한 데이터로서,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100KM/h인 경우, 16~24Hz 및 60~70Hz에서 디플렉터 진동이 122dB로 측정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실시예>에서는 비교예 1 및 2와 동일한 자동차 사양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선루프 디플렉션 지지구조에 대한 실험값을 도시하는바, 두 개로 구성되는 고정핀(21)을 포함하는 링크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21)에 각각 대응되는 가이드부(3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었다.
시험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100KM/h인 경우, 16~24Hz에서 105dB의 디플렉터 진동이 측정되었으며, 60~70Hz에서는 113dB의 디플렉터 진동이 측정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비교할 경우, 디플렉터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형성되는 실시예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최대 23dB의 디플렉터 진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디플렉터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자동차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디플렉터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무빙 글라스
11: 커맨드 슈
20: 링크수단
21: 고정핀
21a: 제 1 고정핀
21b: 제 2 고정핀
22: 걸림부
30: 디플렉터 피봇부
31: 가이드부
31a: 제 1 가이드부
31b: 제 2 가이드부
40: 탄성부재
50: 루프 패널

Claims (8)

  1. 개폐가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는 무빙 글라스;
    상기 무빙 글라스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무빙글라스가 개방될 때, 상기 자동차의 천장 전방에서 경사지게 회동하는 디플렉터;
    상기 무빙 글라스의 개폐 동작과 연동되고, 상기 디플렉터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디플렉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수단;
    상기 링크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무빙 글라스가 개방될 때 상기 디플렉터를 회동시키는 상기 링크수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루프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링크수단 타단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디플렉터 피봇부;를 포함하는바,
    상기 링크수단의 타단 측면 각각 위치하는 두 개의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디플렉터 피봇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글라스가 개방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고정핀은 상기 링크수단의 회전운동을 수행한 이후 길이방향으로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링크수단의 끝단 측면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고정핀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플렉터와 가까운 위치에 구성되는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무빙 글라스 개방에 따라, 상기 제 1 고정핀이 높이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이후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글라스가 닫힘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링크수단이 전방으로 병진운동을 수행한 이후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핀은 상기 제 1 고정핀이 길이방향 이동함에 따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플렉터의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의 높이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글라스가 닫힘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링크수단에 위치하고, 상기 무빙 글라스 전단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글라스 내 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커맨드 슈;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링크수단의 길이방향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KR1020170005917A 2017-01-13 2017-01-13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KR102298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17A KR102298957B1 (ko) 2017-01-13 2017-01-13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917A KR102298957B1 (ko) 2017-01-13 2017-01-13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30A KR20180083530A (ko) 2018-07-23
KR102298957B1 true KR102298957B1 (ko) 2021-09-07

Family

ID=6310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917A KR102298957B1 (ko) 2017-01-13 2017-01-13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9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3390A (ja) 2004-06-25 2008-02-07 ベバスト・アクチ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インドデフレ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2948B2 (ja) * 1997-12-02 2006-10-11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サンルーフのデフレクタ装置
KR100364272B1 (ko) * 2000-08-22 2002-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선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3390A (ja) 2004-06-25 2008-02-07 ベバスト・アクチ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インドデフレ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530A (ko) 201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119B2 (en) Sunshade device
CN103158622B (zh) 用于重载卡车的保险杠台阶
KR101585469B1 (ko)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US10618386B2 (en)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structure
JP2013193601A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KR102298957B1 (ko) 자동차용 선루프 디플렉터 지지구조
KR101081139B1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미러장치
US20170113518A1 (en) Electric door curtain for vehicle
KR101264631B1 (ko) 차량용 롤 블라인드
JP4305105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EP3795395A1 (en) Support mechanism for an open-roof assembly in a vehicle roof
KR20230022529A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장치
CN211390924U (zh) 用于车辆的门的滑动型密封组件
JP6175332B2 (ja)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KR100507526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KR102673162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도어용 실링 어셈블리
CN111483304A (zh) 一种天窗前梁上的挡风网运行轨迹槽装置及其汽车天窗
KR100527139B1 (ko) 자동차용 디플렉터의 지지구조
KR200270078Y1 (ko) 차량용 우산장치
KR100452225B1 (ko) 자동차용 에어토출 그릴장치
KR102670519B1 (ko) 자동차용 윈도우 전원공급장치
KR200154409Y1 (ko) 버스의 루프 도어
KR101531253B1 (ko) 슬레드 연동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선루프 글래스 메카니즘 구동장치
JPS59216725A (ja) 自動車のウインドデフレクタ
JP2024062084A (ja) デフレ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