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390B1 -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390B1
KR102417390B1 KR1020170133179A KR20170133179A KR102417390B1 KR 102417390 B1 KR102417390 B1 KR 102417390B1 KR 1020170133179 A KR1020170133179 A KR 1020170133179A KR 20170133179 A KR20170133179 A KR 20170133179A KR 102417390 B1 KR102417390 B1 KR 102417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vehicle
back frame
cover
latc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674A (ko
Inventor
차주현
김길주
유정상
한종석
이지선
원태희
공주열
김준용
홍석원
정찬호
문현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3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225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with ratche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석 시트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래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석 시트의 폴딩시 상기 래치부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는, 차량의 후석 시트(10)의 백프레임(21)이 쿠션(11)으로 폴딩되도록 상기 백프레임(2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에 고정되는 사이드 힌지 브라켓(31)과, 상기차량의 후석 시트(10)의 백프레임(21)에서 상기 차량의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결속 또는 해제되는 래치(51)가 설치되는 부위에 상기 백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상기 래치(51)를 가리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커버(42)와, 상기 백프레임(21)이 세워지면 상기 래치(51)가 노출되도록 상기 래치커버(42)를 하강이동시키는 케이블(33)과, 상기 백프레임(21)이 상기 쿠션(11)쪽으로 폴딩되면 상기 래치(51)를 가리도록 상기 래치커버(42)를 상승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LATCH COVER ASSEMBLY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FOLDING OF REA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석 시트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래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석 시트의 폴딩시 상기 래치부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후석 시트는 필요에 따라 폴딩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적재 용량이 늘어나도록 한다.
예컨대, 승용차에서는 상기 후석 시트를 폴딩함으로써, 차량의 실내와 트렁크가 연통되도록 하여 적재공간이 늘어나도록 한다. 또한, SUV(sport utility vehicle)에서도 상기 후석 시트를 폴딩함으로써, 적재공간을 늘이거나 부피가 큰 적재물이 적재되도록 한다.
상기 후석 시트는 필요에 따라 폴딩이 되지만, 평상시에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에 래치가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석 시트(100)는 쿠션(111)에 대하여 시트백(122)이 폴딩되도록 한다. 상기 차량의 일측에 고정된 사이드 힌지 브라켓(131)에 상기 시트백(122)의 내부에 설치되는 백프레임(121)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상기 시트백(122)이 상기 쿠션(111)으로 폴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백프레임(121)의 일측에는 상기 시트백(122)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트라이커(152)에 고정되는 래치(151)가 설치된다. 상기 백프레임(121)에 마운팅 브라켓(141)을 설치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141)에 레버 등에 의해 결속 또는 해제되는 래치(151)를 설치하고, 상기 차량의 차체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52)가 상기 래치(151)에 결속되면, 상기 시트백(122)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스트라이커(152)가 상기 래치(151)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시트백(122)은 상기 쿠션(111)으로 폴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는 상기 시트백(122)의 폴딩시 상기 래치(151)가 설치된 부위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래치(151)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시트백(122)의 일부가 절개되는 바, 상기 백프레임(121)과 상기 시트백(122)의 패드가 노출되고, 상기 래치(15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비록, 상기 시트백(122)의 절개된 부위에 래치 커버(142)를 설치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래치 커버(142)도 상기 스트라이커(152)의 진입을 위하여 절개된 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의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159275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후석 시트에서 래치가 설치되는 부위에 상기 후석 시트의 시트백이 폴딩되면, 상기 래치가 설치된 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하고, 상기 시트백을 세우면 스트라이커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백프레임에서 상기 차량의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결속 또는 해제되는 래치가 설치되는 부위에 상기 래치를 가리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커버와, 상기 백프레임이 세워지면 상기 래치가 노출되도록 상기 래치커버를 이동시키는 케이블과, 상기 백프레임이 쿠션쪽으로 폴딩되면 상기 래치를 가리도록 상기 래치커버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백프레임에서 상기 래치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래치를 설치하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프레임이 쿠션으로 폴딩되도록 상기 백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에 고정되는 사이드 힌지 브라켓에 상기 래치커버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상기 케이블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게 설치되는 와이어가 감기는 릴이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릴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백프레임이 상기 쿠션으로 폴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프레임의 하부에는 하부 브라켓에 상기 백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이 상기 사이드 힌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힌지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힌지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을 관통하는 관통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로드에 상기 릴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브라켓과 일체로 체결되는 케이블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케이블 브라켓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프레임에서 상기 래치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부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에 상기 래치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하단은 절곡되게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커버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상기 케이블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게 설치되는 와이어는 상기 케이블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래치커버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래치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커버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상기 래치커버의 승강을 안내하는 커버 가이드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가이드는, 상기 커버 가이드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래치커버의 둘레를 둘러싸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래치커버의 둘레를 파지하여 상기 래치커버의 승강을 안내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에 따르면, 시트백이 폴딩되면 래치가 설치된 부위를 폐쇄하여 백프레임과 시트백의 패드가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래치가 설치된 부위가 폐쇄되므로, 이물질이 시트백의 내부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래치가 설치된 부위아 커버링되므로 외관이 향상됨과 더불어 스트라이커의 작동이 원활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가 적용된 차량의 후석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가 시트 폴딩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는 도 6의 A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8는 도 6의 B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에서 시트 폴딩 전후의 케이블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는, 차량의 후석 시트(10)의 백프레임(21)이 쿠션(11)으로 폴딩되도록 상기 백프레임(2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에 고정되는 사이드 힌지 브라켓(31)과, 상기차량의 후석 시트(10)의 백프레임(21)에서 상기 차량의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결속 또는 해제되는 래치(51)가 설치되는 부위에 상기 백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상기 래치(51)를 가리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커버(42)와, 상기 백프레임(21)이 세워지면 상기 래치(51)가 노출되도록 상기 래치커버(42)를 하강이동시키는 케이블(33)과, 상기 백프레임(21)이 상기 쿠션(11)쪽으로 폴딩되면 상기 래치(51)를 가리도록 상기 래치커버(42)를 상승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가 적용된 차량의 후석 시트(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석 시트(10)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쿠션(11)과 상기 탑승자의 등과 허리를 지지하는 시트백(22)을 포함한다.
상기 후석 시트(10)는 차종에 따라 적재공간을 늘이기 위하여, 상기 시트백(22)이 상기 쿠션(11) 쪽으로 폴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백(22)의 내부에 설치된 백프레임(2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이 상기 쿠션(11) 쪽으로 폴딩되도록 한다.
상기 백프레임(21)은 상기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는 사이드 힌지 브라켓(3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백프레임(21)의 하부에는 하부 브라켓(21a)이 상기 백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힌지 브라켓(31)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관통로드(31a)가 상기 하부 브라켓(21a)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백프레임(2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이 폴딩된다.
상기 백프레임(21)의 상부에는 상부 브라켓(21b)이 상기 백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21b)에는 래치(51)가 설치된다. 상기 래치(51)는 레버와 같은 수단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는 스트라아커(미도시)와 결속되거나 해제된다. 상기 래치(51)와 상기 스트라이커가 결속되면, 상기 백프레임(21)은 폴딩이 불가능해지고, 상기 래치(51)와 상기 스트라이커가 해제되면, 상기 백프레임(21)은 폴딩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스트라이커의 진입 또는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백(22)의 일부가 절개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개된 부위가 노출되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이물질이 유입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백프레임(21)의 폴딩에 연동하는 래치커버(42)가 설치된다.
래치커버(42)는 상기 백프레임(21)의 폴딩에 연동하여 작동한다. 상기 백프레임(21)이 세워지면, 상기 래치(51)가 노출되도록 하강(하부브라켓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백프레임(21)이 폴딩되면, 상기 래치(51)를 가리도록 상승(상부브라켓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래치커버(42)가 상기 래치(51)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케이블(33)이 적용되고, 상기 래치커버(42)가 상기 래치(51)를 가리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51)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마운팅 브라켓(41)이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1)에 상기 래치커버(42)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 가이드(43)가 설치되어, 상기 래치커버(42)가 상기 커버 가이드(4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래치(51)를 가리도록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브라켓(21b)의 일측에는 마운팅 브라켓(41)에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1)에는 상기 커버 가이드(43)가 볼트 등으로 체결된다.
상기 커버 가이드(43)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커버 가이드(43)의 일측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41)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커버 가이드(43)의 둘레는 상기 시트백(22)에서 상기 래치(51)의 설치와 상기 스트라이커(미도시)의 출납을 위해 절개된 부위를 커버한다.
상기 커버 가이드(43)의 내측면에는 상기 커버 가이드(43)으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43a)가 상기 래치커버(42)의 측면 둘레를 감싸, 상기 래치커버(42)가 승강되도록 한다(도 9 참조).
이때, 상기 래치커버(42)는 상기 커버 가이드(43)의 형태를 따라 중간부분의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백프레임(21)가 상기 시트백(22)의 폴딩을 구속/해제하는 상기 래치(51)와 상기 스트라이커는 특성상 상기 시트백(22)의 측면과 후면이 만나는 곳에 설치되는 바, 상기 시트백(22)의 측면과 후면이 만나는 곳의 형상에 맞게 상기 커버 가이드(43)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커버(42)도 이에 맞게 중간부분이 절곡되게 형성된다.
케이블(33)은 상기 백프레임(21)에 세워지면, 상기 스트라이커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치커버(42)를 하강시킨다.
상기 케이블(33)은 상기 내부에 중공인 튜브(33a)와 상기 튜브(33a)의 내부에 상기 튜브(33a)보다 길이가 긴 와이어(33b)가 삽입된 구조를 갖는데, 상기 와이어(33b)의 일단이 상기 사이드 힌지 브라켓(31) 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래치커버(42)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기 백프레임(21)이 폴딩되면 상기 백프레임(21)의 폴딩에 연동하여 상기 래치커버(42)를 하강시킨다.
상기 튜브(33a)는 일단이 상기 하부 브라켓(21a)에 일체로 고정되는 케이블 브라켓(3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41)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된 절곡부(41a)에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케이블 브라켓(34)과 상기 절곡부(41a)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33)의 와이어(33b)가 상기 백프레임(21)의 폴딩시 상기 래치커버(42)를 하강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관통로드(31a)에는 상기 와이어(33b)가 감기는 릴(32)이 고정된다. 상기 사이드 힌지 브라켓(31)이 고정된 구조물이고 상기 릴(32)도 상기 사이드 힌지 브라켓(31) 측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백프레임(21)이 세워지거나 폴딩하면 상기 와이어(33b)가 상기 릴(32)에 감지는 정도가 변하면서 상기 래치커버(42)를 하강시키거나, 상기 래치커버(42)가 상승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와이어(33b)는 상기 백프레임(21)이 폴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릴(32)에 감겨 있어서, 상기 백프레임(21)이 세워지면, 상기 래치커버(42)를 하강시키거나, 상기 백프레임(21)이 폴딩되면, 상기 래치커버(42)가 상승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도 10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백프레임(21)은 폴딩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바, 상기 와이어(33b)는 상기 릴(32)에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따라서, 상기 백프레임(21)이 세워지면, 상기 케이블 브라켓(34)과 상기 릴(32)의 고정부위에 위치하는 와이어의 길이는 L1이 된다. 또한, 상기 백프레임(21)이 폴딩되면, 상기 케이블 브라켓(34)과 상기 릴(32)의 고정부위에 위치하는 와이어의 길이는 L2가 된다. L1이 L2보다 길기 때문에(L1>L2), 상기 백프레임(21)에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블(33)의 와이어(33b)가 상기 릴(32) 쪽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상기 래치커버(42)를 하강시키다. 반대로, 상기 백프레임(21)이 폴딩되면 상기 케이블(33)의 와이어(33b)가 상대적으로 느슨해지므로 상기 래치커버(42)는 상승가능한 상태가 된다.
탄성부재는 상기 래치커버(42)는 절곡부(41a)와 상기 래치커버(42) 사이에서 상기 래치커버(42)를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 하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33b)가 느슨해지면(백프레임이 폴딩되면), 상기 래치커버(42)를 상승시켜, 상기 커버 가이드(43)에 형성된 홈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내부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33b)가 관통하고, 하단을 상기 절곡부(41a)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래치커버(42)의 하단에 지지되는 스프링(4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에 세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백프레임(21)이 세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블(33)의 와이어(33b)가 상기 릴(32)에 최대로 감긴 상태이다. 상기 와이어(33b)가 상기 릴(32)에 최대로 감겨 있으므로, 상기 절곡부(41a)와 상기 래치 커버(42)로 노출되는 와이어(33b)의 양은 최소가 되므로, 상기 래치커버(42)는 하강하면서, 상기 커버 가이드(43)의 홈이 개방되어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어 래치(51)에 치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44)은 압축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에 세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이 폴딩시에는 상기 와이어(33b)가 상기 릴(32)로부터 풀리고, 상기 스프링(44)이 상기 래치커버(42)를 상승시킨다.
상기 래치(51)와 상기 스트라이커가 해제되면,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이 폴딩될 수 있다.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이 폴딩되어 상기 쿠션(11)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케이블 브라켓(34)도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릴(32)에 감겨있는 와이어(33b)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릴(32)에 감겨진 와이어(33b)의 길이가 줄어들어 느슨해지면, 상기 와이어(33b)는 상기 래치커버(42)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압축된 상태의 상기 스프링(44)은 원래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래치커버(42)를 상승(상부브라켓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 가이드(43)의 홈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이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가이드(43)의 홈이 상기 래치커버(42)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되므로, 미관이 향상되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폴딩된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을 다시 세우면, 상기 와이어(33b)는 상기 릴(32)에 다시 감기는 상태가 되어 상기 와이어(33b)가 다시 상기 래치 커버(42)를 당기게 된다. 상기 백프레임(21)과 상기 시트백(22)이 세워지면, 상기 와이어(33b)의 하단이 상기 릴(3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릴(32)에 감져는 와이어(33b)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상기 래치 커버(42)를 하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 가이드(43)의 홈이 개방되고, 이를 통하여 스트라이커의 진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 가이드를 삭제하고, 대신 상기 마운팅 브라켓(41)의 일측을 연장하여 형성된 연장부(41b)가 상기 커버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41b)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41)의 양단을 연장하여, 상기 래치커버(42)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커버 가이드 없이도, 상기 래치커버(42)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10 : 후석 시트 11 : 쿠션
21 : 백프레임 21a : 하부 브라켓
21b : 상부 브라켓 22 : 시트백
31 : 사이드 힌지 브라켓 31a : 관통로드
32 : 릴 33 : 케이블
33a : 튜브 33b : 와이어
34 : 케이블 브라켓 41 : 마운팅브라켓
41a : 절곡부 41b : 연장부
42 : 래치커버 43 : 커버가이드
43a : 파지부 44 : 스프링
51 : 래치 100 : 시트
111 : 쿠션 121 : 백프레임
122 : 시트백 131: 사이드 힌지 브라켓
141 : 마운팅브라켓 142 : 래치커버
151 : 래치 152 : 스트라이커

Claims (13)

  1. 차량의 후석 시트의 백프레임에서 상기 차량의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결속 또는 해제되는 래치가 설치되는 부위에 상기 래치를 가리도록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커버와,
    상기 백프레임이 세워지면 상기 래치가 노출되도록 상기 래치커버를 이동시키는 케이블과,
    상기 백프레임이 쿠션쪽으로 폴딩되면 상기 래치를 가리도록 상기 래치커버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프레임에서 상기 래치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래치를 설치하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백프레임이 쿠션으로 폴딩되도록 상기 백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에 고정되는 사이드 힌지 브라켓에 상기 래치커버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상기 케이블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게 설치되는 와이어가 감기는 릴이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릴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백프레임의 하부에는 하부 브라켓이 상기 백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이 상기 사이드 힌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백프레임이 상기 쿠션으로 폴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힌지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힌지 브라켓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브라켓을 관통하는 관통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로드에 상기 릴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과 일체로 체결되는 케이블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케이블 브라켓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프레임에서 상기 래치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부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에 상기 래치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하단은 절곡되게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커버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상기 케이블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게 설치되는 와이어는 상기 케이블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래치커버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래치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커버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상기 래치커버의 승강을 안내하는 커버 가이드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가이드는,
    상기 커버 가이드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래치커버의 둘레를 둘러싸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래치커버의 둘레를 파지하여 상기 래치커버의 승강을 안내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KR1020170133179A 2017-10-13 2017-10-13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KR102417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79A KR102417390B1 (ko) 2017-10-13 2017-10-13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179A KR102417390B1 (ko) 2017-10-13 2017-10-13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74A KR20190041674A (ko) 2019-04-23
KR102417390B1 true KR102417390B1 (ko) 2022-07-06

Family

ID=6628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179A KR102417390B1 (ko) 2017-10-13 2017-10-13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3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192A (ja) 1999-07-26 2001-02-13 Central Motor Co Ltd 乗物用シート
JP2001301498A (ja) * 2000-04-19 2001-10-31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シートロックの保護装置
JP2014061781A (ja) * 2012-09-21 2014-04-10 Ts Tech Co Ltd 乗物用ラ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471B2 (ja) * 1994-06-01 2004-07-28 アラコ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KR101592758B1 (ko) 2014-08-28 2016-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9192A (ja) 1999-07-26 2001-02-13 Central Motor Co Ltd 乗物用シート
JP2001301498A (ja) * 2000-04-19 2001-10-31 Oi Seisakusho Co Ltd 車両用シートロックの保護装置
JP2014061781A (ja) * 2012-09-21 2014-04-10 Ts Tech Co Ltd 乗物用ラ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674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6833A1 (en) Automated soft tonneau cover with clamping rail
JP4654855B2 (ja) 車両の開閉装置
KR102417390B1 (ko)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JP2007196938A (ja)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JP6303869B2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KR20170072934A (ko) 자동차 창문용 차양 장치
JPS6125571B2 (ko)
CN110733317B (zh) 卷帘组件
CN106608162B (zh) 用于车辆的电动门帘
CN113479140B (zh)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JP2010069928A (ja) 自動車の荷室用カバー装置
CN113525243A (zh)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JP2016101861A (ja) 箱型車両の外折れ式ドア構造物
JP5294390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101180650B1 (ko)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JP2007131145A (ja) 車両のリヤシェルフ構造
KR100288634B1 (ko) 자동차용 가스 스프링의 안전장치
KR970003674Y1 (ko) 자동차의 본넷트 개폐구조
JP6688143B2 (ja) シート装置
JP4237567B2 (ja) 車両の車椅子乗降用スロープ装置
KR102221999B1 (ko) 픽업차량용 전동식 덮개장치
JP2010183742A (ja) ワイヤハーネスの余長吸収装置
KR100916207B1 (ko) 카고 스크린
KR100831477B1 (ko) 장착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KR100570189B1 (ko) 자동차의 커버링 셀프 트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