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650B1 -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 Google Patents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650B1
KR101180650B1 KR1020090109435A KR20090109435A KR101180650B1 KR 101180650 B1 KR101180650 B1 KR 101180650B1 KR 1020090109435 A KR1020090109435 A KR 1020090109435A KR 20090109435 A KR20090109435 A KR 20090109435A KR 101180650 B1 KR101180650 B1 KR 101180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uggage room
vehicle
panel
pane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774A (ko
Inventor
고철규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6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5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about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룸 내의 수화물을 보호하고 차 실내 공간을 미려하게 하는 용도로 설치되는 스크린을 테일 게이트 트림을 열 때 자동으로 스크린이 접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러기지 룸, 스크린, 해제부재, 구속부재, 테일 게이트

Description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SCREEN FOR LUGGAGE ROOM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룸 내의 수화물을 보호하고 차 실내 공간을 미려하게 하는 용도로 설치되는 스크린을 테일 게이트 트림을 열 때 자동으로 스크린이 접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일 게이트 타입의 자동차에 있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뒷 좌석(1)과 테일 게이트(2) 사이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부 즉, 러기지 룸(10)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러기지 룸(10)에 적재되는 화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특히, 뒷 좌석으로 수화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스크린(screen;20)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스크린(2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도 2 에서와 같이, 스크린 하우징(screen housing;21)과, 스크린보드(screen board;22) 그리고 판넬부(23)로 대별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 하우징(21)의 내측에 테엽스프링(미도시)이 마련되고, 이 테엽스프링에 의해 회전되는 지지축(미도시)에 상기 스크린보드(22)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판넬부(23)가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보드(22)을 펼쳐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판넬부(23)를 잡아당겨 지지축(미도시)에 감겨 있는 스크린보드(22)가 스크린 하우징(21)의 인출구(21a)를 통해 인출되도록 한 다음 자동차의 후방 즉 테일 게이트(2)가 위치한 부분에 설치되는 행거(30)에 상기 판넬부(23)를 고정시켜 러기지 룸(10)에 보관되는 수화물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은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스크린보드(22)를 접었다 폈다하여 러기지 룸(10)에 보관되는 수화물을 가릴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우선 사용자가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2)를 오픈한 다음 다시 행거(30)에 고정된 판넬부(23)를 이격시켜 스크린보드(22)가 스크린 하우징(21) 내로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러기지 룸(10)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 경우, 매번 사용자가 직접 행거(30)에서 판넬부(23)를 이격시켜야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보드를 펼쳐 러기지 룸 내에 보관되는 수화물을 가릴 경우에는 사용자가 판넬부를 당겨 행거에 고정시키지만 스크린 보드를 접을 경우에는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를 여는 동작만으로 스크린 보드가 자동으로 스크린 하우징 내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러기지 룸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테엽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지지축이 마련된 스크린 하우징과,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지지축에 일단이 권선되며 타단이 판넬부와 결합되어 러기지 룸 내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스크린 보드와, 상기 러기지 룸 내로 인출된 판넬부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한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에 있어서,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 되어 테일 게이트의 오픈시 상기 구속부재에 구속된 판넬부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판넬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앙 일부분이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형성된 해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일 게이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속부재에 구속된 판넬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판넬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자동차 운행중 발생되는 떨림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넬부의 양측 끝단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ㄴ"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판넬부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해제부재에 의해 판넬부가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질 경우 구속된 판넬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의 중앙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은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를 오픈하는 동작만으로 스크린 보드를 구속하고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없이도 수화물을 가리고 있는 스크린 보드를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여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 는 도 3 의 A부분 부분확대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 은 테일 게이트를 닫을 경우 해제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를 오픈하는 동작만으로 러기지 룸 내에 보관된 화물을 가리고 있는 스크린 보드를 쉽고 간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스크린 하우징(110)과, 스크린 보드(120)와, 판넬부(130)와, 구속부재(140)와, 해제부재(150)를 포함한다.
스크린 하우징(11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뒷좌석의 후면에 형성되는 러기지 룸(10)의 사이드 트림(12) 양측에 양단이 각각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지지축(112)과, 상기 지지축(112)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테엽스프링(114)과, 상기 지지축(112)과 테엽스프링(114)을 감싸며, 후술하는 스크린 보드(1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스크린 보드(120)가 삽입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구(116a)가 형성된 커버부재(116)로 이루어진다.
스크린 보드(12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축(112)에 권선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지지축(112)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부재(116)의 인출구(116a)를 통해 러기지 룸(10)으로 인출되어 러기지 룸(10) 내에 적재되는 수화물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 보드(120)는 상기 지지축(112)에 원활히 권취되는 동시에 수화물을 시야에서 차단시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부재(116)의 인출구(116a)를 통해 러기지 룸(10) 내에 위치된 타단에는 판넬부(130)가 결합되도록 한다.
판넬부(130)는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 하우징(110) 내에 권취되는 스크린 보드(120)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부(132)와, 후술하는 구속부재(140)에 걸림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부(134)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스크린 보드(120)의 일단이 항상 스크린 하우징(110)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인출구(116a)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부재(140)는 자동차의 러기지 룸(10)의 후방 즉,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20)가 위치된 사이드 트림(22)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판넬부(130)를 구속함으로써, 인출된 스크린 보드(120)가 상기 스크린 하우징(110)에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판넬부(130)의 걸림부(134)가 안착되어 걸릴 수 있도록 한 안착부(14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해제부재(150)는 테일 게이트의 오픈시 상기 구속부재에 구속된 판넬부를 해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동차 테일 게이트(20)의 게이트 트림(22)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일 게이트(20)의 오픈시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재(140)의 안착부(142)에 안착된 상기 판넬부(130)를 하방향에서 가압하여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넬부(130)의 구속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해제부재(150)는 탄성스프링(152)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구속부재(140)에 판넬부(130)의 걸림부(134)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20)를 닫을 경우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부(130)의 끝단이 상기 해제부재(15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해제부재(150)는 탄성스프링(152)에 의해 후방이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테일 게이트(20) 방향(화살표방향)으로 밀렸다가 상기 탄성스프링(152)의 탄성력에 의해 판넬부(13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사용된 해제부재(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부(130)의 손잡이부(132)가 위치된 중앙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한 쌍을 구비하여 상기 판넬부(130)의 양측 끝단 하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부재(150)가 위치된 테일 게이트(20)의 게이트 트림(22) 상부 양측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부재(160)가 마련된다.
상기 완충부재(160)는 상기 구속부재(140)에 의해 구속된 판넬부(130)의 상면을 가압하여 자동차 운행시 발생되는 떨림을 방지하여, 상기 판넬부(130)와 테일 게이트(20)의 게이트 트림(22)과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의 작동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차량의 러기지 룸(10) 내에 수화물을 적재하고 이를 차단하여 외관상 미려한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스크린 하우징(110)의 인출구(116a)를 통해 러기지 룸(10) 내에 노출된 판넬부(130)를 잡아당겨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20)측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보드(120)가 펼쳐지도록 한다.
이후, 판넬부(130)를 구속부재(140)의 안착부(142)에 안착시켜 스크린 보드(12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된 수화물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테일 게이트(20)를 닫아 판넬부(130)의 하부에 해제부재(150)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화물의 차단작업을 완료하도록 한다.
한편, 테일 게이트(20)를 열게 되면, 해제부재(150)가 상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판넬부(130)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구속부재(140)의 안착부(142)에 안 착되어 구속되어 있던 판넬부(130)가 구속부재(140)에서 이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크린 하우징(110) 내에 테엽스프링(114)에 의해 탄성지지된 지지축(11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지지축(112)과 일단이 연결된 스크린 보드(120)가 자동으로 권취됨으로서 수화물이 육안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20)를 여는 동작만으로 쉽고 간편하게 적재물을 차단하고 있는 스크린 보드(120)를 접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의 기술은 매우 단순하나, 그 기술적 효과는 매우 크다는 점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장점은 매우 명확하다 할 것이다.
도 1 은 자동차의 러기지 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자동차의 러기지 룸에 종래의 스크린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 는 도 3 의 A부분 부분확대도;
도 6 은 도 5 의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
도 7 은 테일게이트를 닫을 경우 해제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러기지 룸 12 : 사이드 트림
20 : 테일 게이트 22 : 게이트 트림
110 : 스크린 하우징 112 : 지지축
114 : 테엽스프링 116 : 커버부재
116a : 인출구 120 : 스크린 보드
130 : 판넬부 132 : 손잡이부
134 : 걸림부 140 : 구속부재
142 : 안착부 150 : 해제부재
152 : 탄성스프링 160 : 완충부재

Claims (6)

  1. 차량의 러기지 룸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테엽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지지축이 마련된 스크린 하우징과,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지지축에 일단이 권선되며 타단이 판넬부와 결합되어 러기지 룸 내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스크린 보드와, 상기 러기지 룸 내로 인출된 판넬부를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한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에 있어서,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 되어 테일 게이트의 오픈시 상기 구속부재에 구속된 판넬부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판넬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앙 일부분이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형성된 해제부재와,
    상기 테일 게이트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속부재에 구속된 판넬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판넬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자동차 운행중 발생되는 떨림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판넬부의 양측 끝단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는 "ㄴ"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판넬부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해제부재에 의해 판넬부가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질 경우 구속된 판넬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의 중앙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룸용 스크린.
KR1020090109435A 2009-11-13 2009-11-13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KR101180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435A KR101180650B1 (ko) 2009-11-13 2009-11-13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435A KR101180650B1 (ko) 2009-11-13 2009-11-13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774A KR20110052774A (ko) 2011-05-19
KR101180650B1 true KR101180650B1 (ko) 2012-09-19

Family

ID=4436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435A KR101180650B1 (ko) 2009-11-13 2009-11-13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61041B1 (es) * 2012-11-15 2014-12-23 Seat, S.A. Bandeja enrollable para maletero de vehículo automóvil
CN114954251A (zh) * 2021-02-24 2022-08-30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后备箱的遮物帘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486A (ja) * 2001-08-02 2003-02-18 Hayashi Telempu Co Ltd トノカバー装置
KR200311592Y1 (ko) * 2003-01-28 2003-05-01 한일이화주식회사 러기지 트림 일체형의 카고 스크린 슬라이딩장치
KR100845716B1 (ko) * 2007-06-25 2008-07-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486A (ja) * 2001-08-02 2003-02-18 Hayashi Telempu Co Ltd トノカバー装置
KR200311592Y1 (ko) * 2003-01-28 2003-05-01 한일이화주식회사 러기지 트림 일체형의 카고 스크린 슬라이딩장치
KR100845716B1 (ko) * 2007-06-25 2008-07-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774A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14381B (zh) 具有整体式存储舱的可缩回货物盖
US6435596B1 (en) Automotive double folding tailgate
KR101180650B1 (ko)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JP6348527B2 (ja) 車体後部構造
JP5369990B2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US8540305B2 (en) Hollow torque rod for a closure panel
KR101699355B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커버 조립체
JP2009149218A (ja) 車両の荷室仕切装置
KR100992548B1 (ko)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KR101152332B1 (ko) 자동차의 센터콘솔 암레스트 조립체
JP3748793B2 (ja) 車両の仕切装置
JP4569385B2 (ja) ラゲッジアンダーボックス
KR100836102B1 (ko) 차량용 리어 암레스트
KR101170511B1 (ko) 차량용 카고 스크린 수납장치
KR100685114B1 (ko) 자동차용 사물함 덮개 구조물
KR20090063015A (ko) 차량용 패키지트림 구동장치
KR100674511B1 (ko) 버튼식 화물칸 네트 고정장치
KR100666364B1 (ko) 차량의 2단 센터콘솔 잠금장치
KR100513586B1 (ko) 자동차 시트의 적재장치
KR200181744Y1 (ko) 트렁크 룸 내의 화물 고정 장치
KR100383924B1 (ko) 알브이차량의 침대장치
KR100872441B1 (ko) 자동차용 카고 스크린
KR20050054248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선반용 케이블 감김장치
JP2020183153A (ja) 車両後部構造
KR200366764Y1 (ko) 차량용 화물 고정 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