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548B1 -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 Google Patents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548B1
KR100992548B1 KR1020080111571A KR20080111571A KR100992548B1 KR 100992548 B1 KR100992548 B1 KR 100992548B1 KR 1020080111571 A KR1020080111571 A KR 1020080111571A KR 20080111571 A KR20080111571 A KR 20080111571A KR 100992548 B1 KR100992548 B1 KR 100992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vehicle
hinge
spring
hook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733A (ko
Inventor
박중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54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0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hats, clothes or clothes 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Abstract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힌지브라켓(100); 힌지핀(500)을 매개로 설치된 그립(300);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핀(500)이 관통하는 그립(300)의 힌지홀(320)에는 그립(300)의 이동을 위해 힌지핀(500)이 끼워지는 끼움홈(322)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00)에는 그립(300)이 당겨져 이동될 경우 그립(300)에 연결된 스프링(700)의 일단(740)이 걸림고정되는 걸림부(160)가 형성되어 그립(300)에 제공되는 복원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이 소개된다. 그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에 따르면, 핸들의 그립이 인출된 후 당겨질 경우 인출된 위치에서 고정되고 그립이 다시 올려진 경우 차량의 실내로 밀착되어 그립에 후크의 기능이 부가된다.
접이식 핸들, 핸들 후크

Description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FOLDING HANDLE WITH HOOK FUNCTION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마련되어 손잡이 기능을 하면서도 탑승자의 옷이나 물품을 걸 수 있는 후크 기능이 구비된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험로나 곡선로를 주행할 경우에는 탑승자의 거동이 좌,우로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탑승자가 쏠리지않고 제자리에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실내에는 핸들이 마련된다.
차량용 핸들은 일반적으로 윈도우와 루프 사이의 실내에 마련되는데, 핸들의 그립에 복원력을 주어 평상시에는 그립이 실내에 밀착되고, 탑승자가 당길 경우 전개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핸들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차량용 핸들의 전개상태 사시도이다. 차량 실내의 패널(10)에는 수납홈(12)이 형성되고, 그 수납홈(12)의 하단에는 핸들브라켓(30)이 설치된다. 그립(50)은 그 핸들브라켓(30)에 힌지(32)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그 립(50)이 수납홈(12)에 들어가 차량에 밀착되고, 탑승자가 당길 경우 그립(50)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인출되어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그러한 핸들브라켓(30)에는 후크(34)가 마련되어 탑승자가 옷을 걸거나 물품을 걸 수 있도록 하여 편의를 도모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차량용 핸들에는 그립(50)과 후크(34)가 별개로 구비되어 부품의 수가 증대되고 제작원가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량의 내부에서 그립(50)의 인출 여부와는 관계없이 후크(34)가 항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미관을 손상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후크(34)의 경우 플라스틱 돌기로 성형되어 무거운 물품을 거는데 한계가 있었고, 그 크기가 디자인 설계상 제약되어 단순한 물건이나 옷걸이 정도를 거는 용도로 사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핸들의 그립이 인출된 후 정지되도록 하여 후크 기능을 겸할 수 있는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힌지브라켓; 힌지브라켓에 힌지핀을 매개로 설치된 그립; 및 힌지핀에 설치되며 양단이 힌지브라켓과 그립에 연결되어 그립이 회전된 후 다시 실내측으로 접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핀이 관통하는 그립의 힌지홀에는 그립의 이동을 위해 힌지핀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그립이 당겨져 이동될 경우 그립에 연결된 스프링의 일단이 걸림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그립에 제공되는 복원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은 힌지핀에 의해 관통되는 코일스프링이며 일단이 그립을 지지하고 타단이 힌지브라켓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에는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그립을 지지하는 그립지지부와 그립지지부로부터 절곡되어 그립이 당겨져 이동될 경우 걸림부에 걸림고정되는 걸림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에는 스프링의 그립지지부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그 립이 당겨져 이동될 경우 그립지지부 및 걸림지지부가 함께 이동되어 걸림지지부가 걸림홈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 중 그립의 힌지홀에 결합되는 부분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힌지홀에서 연장되는 끼움홈은 그 단면이 힌지핀이 대응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그립이 당겨져 힌지핀이 끼움홈에 끼워진 후 유동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에 따르면, 핸들의 그립이 인출된 후 당겨질 경우 인출된 위치에서 고정되고 그립이 다시 올려진 경우 차량의 실내로 밀착되어 그립에 후크의 기능이 부가된다.
또한, 그립이 후크의 기능을 함으로써 돌출된 형상의 별개의 후크가 불필요하여 내부 디자인이 개선되고, 후크의 크기가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 되어 후크에 걸 수 있는 물품의 크기가 증대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의 사시도이다. 그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힌지브라켓(100); 힌지브라켓(100)에 힌지핀(500)을 매개로 설치된 그립(300); 및 힌지핀(500)에 설치되며 양단이 힌지브라켓(100)과 그립(300)에 연결되어 그립(300)이 회전된 후 다시 실내측으로 접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0);으로 구성 된 차량용 접이식핸들로서, 상기 힌지핀(500)이 관통하는 그립(300)의 힌지홀(320)에는 그립(300)의 이동을 위해 힌지핀(500)이 끼워지는 끼움홈(322)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00)에는 그립(300)이 당겨져 이동될 경우 그립(300)에 연결된 스프링(700)의 일단(740)이 걸림고정되는 걸림부(160)가 형성되어 그립(300)에 제공되는 복원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기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은 힌지브라켓(100), 그립(300), 스프링(700)으로 구성된다. 도 2는 그립(300)과 스프링(700)이 중점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힌지브라켓(100)의 경우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힌지브라켓(100)은 그 상단면이 차량의 내부에 고정되고, 그립(300)은 그러한 힌지브라켓(100)을 감싸는 형태이며 그립(300)이 힌지브라켓(100)을 감싼 부분을 힌지핀(500)이 관통한다. 그립(300)은 힌지핀(50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며, 그 회전시 복원력을 그립(300)에 제공하도록 힌지핀(500)에는 스프링(700)이 설치된다. 스프링(700)의 일단(740)은 그립(300)에 걸리고, 타단(720)은 힌지브라켓(100)에 걸리도록 한다. 탑승자가 그립(300)을 돌릴 경우 그립(300)이 차량의 실내면을 기준으로 인출되고 손잡이 기능을 한다. 탑승자가 그립(300)을 놓을 경우 그립(300)은 스프링(700)의 복원력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측으로 다시 돌아가 밀착된다.
도 3은 힌지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힌지브라켓(100)에는 그립(도면 미도시)이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그립과 힌지브라켓(100)을 힌지핀(500)이 관통한다. 힌지핀(500)에는 코일스프링(700)이 설치되는데, 코일스프링(700)의 일단(740) 은 그립에 걸리고, 타단(720)은 힌지브라켓(100)에 걸린다. 코일스프링(700)의 일단(740)은 두 번 절곡된 형태로 될 수 있다. 코링스프링(700)의 일단(740)은 단부에서 절곡되어 그립을 지지하는 그립지지부(742)와 그립지지부(742)에서 절곡되어 힌지브라켓(100)에 걸리는 걸림지지부(744)로 구성된다. 힌지브라켓(100)에는 걸림지지부(744)가 걸리는 걸림부(160)가 형성된다. 걸림부(160)는 돌기형의 후크로써 그립이 하강되어 스프링(700)의 일단(740)을 누를 때 하강되는 걸림지지부(744)를 걸어 고정한다.
도 4 및 도 5는 이러한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립(300)을 인출하는 경우 그립(300)은 힌지핀(50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며 스프링(700) 일단(740)의 그립지지부(742)는 그립(300)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그립(300)을 가압한다. 그립(300)에는 걸림홈(340)이 형성되어 스프링(700) 일단(740)의 그립지지부(742)가 끼워져 걸려있도록 한다. 그립(300)이 인출된 상태에서 탑승자에 의해 그립(300)이 당겨져 하강될 경우 걸림홈(340)에 걸려있는 그립지지부(742) 역시 하강되고 스프링(700)의 일단(740)이 전체적으로 하강되며 걸림지지부(744) 역시 하강된다. 걸림지지부(744)는 하강되어 걸림부(160)에 걸리고, 스프링(700)의 타단(720)과 일단(740)이 모두 힌지브라켓(100)에 걸림으로써 그립(300)에는 더 이상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즉, 일단(740)은 그립(300)에 걸리고 타단(720)은 힌지브라켓(100)에 걸려있던 스프링(700)의 양단(720,740)이 그립(300)의 당김에 의해 모두 힌지브라켓(100)에만 걸리게 되어 그립(300)을 더 이상 가압하지 않음으로써 그립(300)에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립(300)의 당김에 의한 이동시 그 이동되는 위치를 규제하고, 당김 후 위치의 고정을 위해 그립(300)의 힌지홀(320)의 상측에는 힌지홀(320)의 상부 내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함입 형성된 끼움홈(322)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힌지핀(500) 중 힌지홀(320)에 삽입되는 부분(520)의 경우는 그 단면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고, 힌지홀(320)에 형성된 끼움홈(322)의 경우도 그 단면을 대응되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하여 그립(300)을 아래로 잡아당길 경우 힌지홀(320)의 상측에 형성된 끼움홈(322)이 차지하는 여유 공간만큼 그립(300)이 아래로 하강하며, 이때, 힌지핀(500) 중 힌지홀(320)에 삽입되었던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부분은 하강한 그립(300)의 끼움홈(322)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그립(300)은 하강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된다.
도 7은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이 작동된 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립(300)을 하방으로 당길 경우 그립(300)의 걸림홈(340)에 걸린 스프링(700)의 그립지지부(742)가 하강되고 걸림지지부(744) 역시 하강된다. 걸림지지부(744)가 걸림부(160)에 걸리고 힌지핀(500)이 그립(300)의 끼움홈(322)에 삽입됨으로써 그립(300)에는 더 이상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고 그립(300)이 하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립(300)이 하강되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탑승자는 그립(300)에 옷을 걸거나 물건을 걸어둘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승자가 후크 기능을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탑승자가 그립(300)을 다시 위로 올리고, 그립(300)이 올려진 경우 스프링(700)의 걸림지지부(744)가 걸림부(160)로부터 이탈하고 그립지지부(742)가 다시 그립(300)을 가압함으로써 그립(300)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한 후크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은 그립(300)이 회전에 의해 인출되는 1 단계와 인출 후 당겨져 고정되는 2 단계의 작동으로 구분되고, 1 단계에서는 스프링(700)의 일단(740)이 그립(300)에 걸리어 그립(300)을 가압하고, 2 단계에서는 스프링(700)의 일단(740)이 힌지브라켓(100)에 걸리어 그립(300)에 가하는 복원력을 해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립(300)이 인출 후 당겨져 고정된 경우에는 그립(300)이 후크의 기능을 함으로써 종래에 요구되던 별물의 후크가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접이식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의 힌지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의 작동 전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의 작동 후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의 그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의 또 다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힌지브라켓 300 : 그립
320 : 힌지홀 322 : 끼움홈
340 : 걸림홈 500 : 힌지핀
700 : 스프링 720 : 스프링의 타단
740 : 스프링의 일단 742 : 그립지지부
744 : 걸림지지부

Claims (5)

  1.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힌지브라켓(100); 힌지브라켓(100)에 힌지핀(500)을 매개로 설치된 그립(300); 및 힌지핀(500)에 설치되며 양단이 힌지브라켓(100)과 그립(300)에 연결되어 그립(300)이 회전된 후 다시 실내측으로 접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0);으로 구성된 차량용 접이식핸들로서,
    상기 힌지핀(500)이 관통하는 그립(300)의 힌지홀(320)의 상측에는 힌지홀(320)의 상부 내면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함입 형성되어 그립(300)이 아래로 당겨져 이동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끼움홈(322)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100)에는 그립(300)이 당겨져 이동될 경우 그립(300)에 연결된 스프링(700)의 일단(740)이 걸림고정되는 걸림부(160)가 형성되어 그립(300)에 제공되는 복원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700)은 힌지핀(500)에 의해 관통되는 코일스프링이며 일단(740)이 그립(300)을 지지하고 타단(720)이 힌지브라켓(10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700)에는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그립(300)을 지지하는 그립지지부(742)와 그립지지부(742)로부터 절곡되어 그립(300)이 당겨져 이동될 경우 걸 림부(160)에 걸림고정되는 걸림지지부(7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립(300)에는 스프링(700)의 그립지지부(742)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340)이 형성되며, 그립(300)이 당겨져 이동될 경우 그립지지부(742) 및 걸림지지부(744)가 함께 이동되어 걸림지지부(744)가 걸림홈(340)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500) 중 그립(300)의 힌지홀(320)에 결합되는 부분(520)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힌지홀(320)에서 연장되는 끼움홈(322) 역시 대응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그립(300)이 당겨져 힌지핀(500)이 끼움홈(322)에 끼워진 후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KR1020080111571A 2008-11-11 2008-11-11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KR100992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571A KR100992548B1 (ko) 2008-11-11 2008-11-11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571A KR100992548B1 (ko) 2008-11-11 2008-11-11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733A KR20100052733A (ko) 2010-05-20
KR100992548B1 true KR100992548B1 (ko) 2010-11-08

Family

ID=4227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571A KR100992548B1 (ko) 2008-11-11 2008-11-11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7551A (zh) * 2012-11-30 2014-06-11 丹阳市飞越车辆附件有限公司 汽车d型拉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0900A (zh) * 2015-09-27 2015-12-16 钟山富源农业科技有限公司 车用多功能拉环安全带设备
CN112971338A (zh) * 2020-12-10 2021-06-18 江门市卡迪慧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带有可折叠结构的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165B1 (ko) 2001-11-23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2008024278A (ja) 2006-07-17 2008-02-07 Takayuki Yoshizaki ハンドル折りたたみ式台車におけるハンドルロック機構の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165B1 (ko) 2001-11-23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JP2008024278A (ja) 2006-07-17 2008-02-07 Takayuki Yoshizaki ハンドル折りたたみ式台車におけるハンドルロック機構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7551A (zh) * 2012-11-30 2014-06-11 丹阳市飞越车辆附件有限公司 汽车d型拉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733A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27644B (zh) 车顶行李架及包含其的车辆
KR20040026615A (ko) 유모차
JP2012082678A (ja) ラゲージルームスクリーンのオートリターン構造
KR100992548B1 (ko)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JP2011037412A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KR10098066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1180650B1 (ko) 차량의 러기지 룸용 스크린
KR101170511B1 (ko) 차량용 카고 스크린 수납장치
CN105986713A (zh) 用于车辆的发动机罩铰链
KR102265701B1 (ko)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KR20200071156A (ko) 코트 훅을 갖춘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KR101673691B1 (ko) 접이식 카고스크린의 레버 록킹장치
KR200409362Y1 (ko) 차량용 옷걸이 커버
JP4203907B2 (ja) 車両用トランクスルー開閉装置
JP2000006722A (ja) 車体設置型の多目的ロープ装置
KR20210000193U (ko)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KR100992542B1 (ko) 화물차량의 게이트 로킹장치
KR100534302B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인출장치
KR101181444B1 (ko)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KR100191605B1 (ko) 자동차용 의복 걸이장치
KR102417390B1 (ko) 차량의 후석 시트의 폴딩에 따라 개폐되는 래치 커버 어셈블리
KR19990041271A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래치 릴리스장치
KR100457911B1 (ko) 자동차의 이동식 콘솔
KR20060014762A (ko) 암레스트 수납형 컵홀더 장치
KR100520770B1 (ko) 차량의 탈착식 더블폴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