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144Y1 -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 Google Patents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144Y1
KR200493144Y1 KR2020190002977U KR20190002977U KR200493144Y1 KR 200493144 Y1 KR200493144 Y1 KR 200493144Y1 KR 2020190002977 U KR2020190002977 U KR 2020190002977U KR 20190002977 U KR20190002977 U KR 20190002977U KR 200493144 Y1 KR200493144 Y1 KR 200493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ring
opening
headres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193U (ko
Inventor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훠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훠링 filed Critical (주)훠링
Priority to KR2020190002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144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1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7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Abstract

차량의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중에서 하나 이상에 간단하게 결합하여 가방 또는 쇼핑백 등을 손쉽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를 제시한다. 제시된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는 몸통부, 몸통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지지봉과 결합하는 결합부, 결합부와 결합하되 지지봉을 일부 감싸도록 결합부와 결합하는 덮개부, 및 몸통부의 타측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포함한다. 결합부는 제 1 개구부를 포함하고, 덮개부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고, 결합부와 덮개부는 제 1 개구부와 제 2 개구부가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Hook for headrest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 또는 쇼핑백 등을 안전하게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운전자 또는 승객들은 착석한 상태에서 상의가 구겨질 수 있으므로 상의를 벗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벗어 놓은 상의의 보관은 시트에 올려두거나 또는 걸고리가 달린 옷걸이에 걸어 창문 측에 마련되어 있는 손잡이에 걸어서 보관하고 있다.
상의를 시트에 올려 두는 경우는 구김의 염려가 있고 먼지 등으로 인한 오손이 염려된다.
그에 따라, 대부분은 옷걸이를 이용하여 창문측의 손잡이에 걸어서 상의를 보관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승차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각종 물품이 들어 있는 쇼핑백 등을 시트 위에 방치하는 경우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해 내용물이 쇼핑백 밖으로 유출되므로 운전에 방해를 주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근래에는 운전석 혹은 조수석 의자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헤드레스트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구성의 옷걸이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부분의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에 있어서도 의자에서 헤드레스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설치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옷걸이의 분해 결합도 용이하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88980호(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걸이대)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신용신안 제20-0489151호(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중에서 하나 이상에 간단하게 결합하여 가방 또는 쇼핑백 등을 손쉽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에 결합되는 걸이에 있어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과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되 상기 지지봉을 일부 감싸도록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덮개부; 및 상기 몸통부의 타측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제 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가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의 중앙에는 결합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결합구멍에는 상기 제 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는 상기 덮개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는 상기 결합구멍의 주변을 따라 상기 결합구멍과는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는 디긋자의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수용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돌기; 및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개구부에 끼워지는 끼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타면에는 제 2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쐐기형상의 고리 고정부가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되고, 상기 고리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고리 고정부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의 일측부는 개구되고,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고리부가 연결된 부위를 상기 몸통부의 전방으로 말아 올리되, 상기 어느 하나의 고리 고정부 근처까지 말아 올린 후에, 상기 고리부의 개구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단부를 서로 대향되게 하고 나서 상기 몸통부를 상기 고리부에 끼우면 상기 고리부가 상기 몸통부를 감싸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고리 고정부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와 상기 덮개부 및 상기 고리부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와 동일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중에서 하나 이상에 간단하면서도 보다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서, 아무리 무거운 가방 또는 쇼핑백이 걸려져 있다고 하더라도 결합부가 지지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방 또는 쇼핑백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덮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와 덮개부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의 저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가 사용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덮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결합부와 덮개부간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의 저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100)는, 도 1에서와 같이 몸통부(10), 결합부(20), 덮개부(30), 및 고리부(40)를 포함한다.
몸통부(10)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데, 실리콘과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구부러졌다가 펴질 수 있다.
결합부(20)는 몸통부(10)의 일측부에 연장되되, 몸통부(10)와는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부(20)는 몸통부(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0)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의 양측 지지봉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결합부(20)는 끼움결합 방식으로 지지봉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0)의 중앙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원형의 결합구멍(20a)이 천공된다.
결합구멍(20a)의 직경은 지지봉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지지봉의 직경에 비해 약간 크다. 결합구멍(20a)에는 소정 폭으로 개구된 개구부(20b)가 형성된다. 개구부(20b)가 개구된 방향을 제 1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개구부(20b)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개구부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결국, 결합부(20)는 개구부(20b)의 개구 영역만큼 서로 이격된 두 개의 팔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차량의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이 결합구멍(20a)에 끼워진다.
또한, 결합부(20)의 일면(즉, 덮개부(30)가 결합될 면)에는 덮개부(30)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수용부(20c)가 형성된다. 제 1 수용부(20c)는 결합구멍(20a)의 주변을 따라 결합구멍(20a)과는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 1 수용부(20c)는 디긋자의 요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수용부(20c)의 일부는 개구부(20b)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림직하다.
그리고, 제 1 수용부(20c)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구멍(20d)이 형성된다.
상술한 결합부(20)를 차량의 헤드레스트의 지지봉과 결합시키는 방법과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운전석 의자 또는 조수석 의자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에 결합부(20)의 개구부(20b)측을 거의 직각으로 갖다대고 밀게 되면 결합부(20)가 좌우로 조금씩 벌어진다. 이후, 사용자가 지지봉에 대해 결합부(20)를 계속 밀게 되면 결합부(20)의 결합구멍(20a)과 지지봉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는 방향으로 결합부(20)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부(20)의 이동이 개구부(20b)의 길이만큼 이루어진 후에는 지지봉이 결합부(20)의 결합구멍(20a)과 결합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차량의 헤드레스트를 운전석 의자 또는 조수석 의자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면 헤드레스트의 하단의 지지봉이 함께 해당 의자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결합부(20)의 결합구멍(20a)을 관통하도록 지지봉의 하단을 끼우게 되면 지지봉과 결합부(20)는 상호 결합한다. 이와 같이 지지봉과 결합부(20)를 결합시킨 이후에는 해당 헤드레스트를 해당 의자에 장착하면 된다.
덮개부(30)는 결합부(20)의 제 1 수용부(20c)에 수용되어 결합부(20)와 결합된다. 즉, 덮개부(30)는 결합부(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덮개부(30)는 결합부(20)와 결합하되 해당 지지봉을 일부 감싸도록 결합부(20)와 결합된다.
도 3은 덮개부(30)의 저면을 보여주고 있다. 덮개부(30)는 도 3에서와 같이, 디긋자 형태의 소정 두께를 갖는 몸체(30a), 몸체(30a)의 일면(즉, 저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끼움구멍(20d)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0b), 및 몸체(30a)의 일면(즉, 저면)에 형성되되 개구부(20b)에 끼워지는 끼움편(30c)을 포함한다.
덮개부(3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덮개부(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30a)는 일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포함하는데, 결합부(20)와 덮개부(30)를 상호 결합시키게 되면 몸체(30a)의 개구부의 개구된 방향과 결합부(20)의 개구부(20b)의 개구된 방향은 서로 반대이게 결합된다. 몸체(30a)의 개구부의 개구된 방향을 제 2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몸체(30a)의 개구부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2 개구부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덮개부(30)를 결합부(20)에 결합시키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결합된다. 덮개부(30)는 결합부(20)의 제 1 수용부(20c)에 수용되되, 덮개부(30)의 끼움 돌기(30b)는 결합부(20)의 끼움구멍(20d)에 끼워지고, 덮개부(30)의 끼움편(30c)은 결합부(20)의 개구부(20b)에 끼워진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덮개부(30)의 몸체(30a)를 디긋자 형태로 하였으나, 소정 길이의 일자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몸체를 일자 형태로 구성시킨 경우에는 해당 몸체의 양측부에는 끼움구멍(20d)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개구부(20b)에 끼워지는 끼움편이 형성되면 된다. 만약, 덮개부(30)의 몸체(30a)를 일자 형태로 하였을 경우에는 결합부(20)의 제 1 수용부(20c)도 그에 대응되는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는, 덮개부(30)의 몸체(30a)를 중앙이 천공된 4각 링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만약, 덮개부(30)의 몸체(30a)를 중앙이 천공된 4각 링 형태로 하였을 경우에는 결합부(20)의 제 1 수용부(20c)도 그에 대응되는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덮개부(30)를 결합부(20)에 추가로 결합시키면 결합부(20)가 지지봉의 대향된 외주면을 완전히 둘러싸되 결합부(20)에 이격 부위가 전혀 없는 형태가 되어, 아무리 외력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결합부(20)는 지지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100)의 저면을 보면, 도 5에서와 같이 몸통부(10)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쐐기형상의 고리 고정부(10a, 10b)가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된다. 도 5에서는 고리 고정부를 두 개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고리 고정부의 개수는 증가시켜도 무방하다.
고리 고정부(10a)와 고리 고정부(10b)는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고리 고정부(10a, 10b)에는 고리부(40)가 걸리게 된다.
고리부(40)는 몸통부(10)의 타측부(즉, 결합부(20)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되는 측부)에 형성된다.
고리부(40)는 4각형상의 링으로 형성되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고리부(4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고리부(40)의 일측부(예컨대, 좌측부 또는 우측부)의 일부는 개구된다. 이는 고리부(40)가 몸통부(10)를 감싸면서 고리 고정부(10a 또는 10b)에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고리부(40)에서, 고리 고정부(10a, 10b)에 맞닿게 되는 측면의 길이는 고리 고정부(10a, 10b)의 길이보다는 조금 길다. 그리하여야 고리부(40)가 고리 고정부(10a 또는 10b)에 완전히 걸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리부(40)는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몸통부(10)와 일체로 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한 몸통부(10)와 고리부(40)의 일체화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고리부(40)를 고리 고정부(10a 또는 10b)에 걸기 위한 작업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부(40)를 고리 고정부(10a)에 거는 것으로 가정한다. 몸통부(10)에서 고리부(40)가 연결된 부위를 몸통부(10)의 전방으로 말아 올리되 고리 고정부(10a) 근처까지 말아 올린 후에, 고리부(40)의 개구부와 몸통부(10)의 일측단부(예컨대, 우측단부)를 서로 대향되게 하고 나서 몸통부(10)를 고리부(40)에 끼우면 고리부(40)가 몸통부(10)를 감싸면서 쐐기형상의 고리 고정부(10a)에 걸리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결합부(20)의 저면에는 제 2 수용부(20e)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결합부(20)가 지지봉에 결합하게 되면 대부분 결합부(20)의 저면이 운전석 의자 또는 조수석 의자의 등받이(도 6에서 70)의 상단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런데, 등받이의 상단면에는 지지봉이 끼워지는 홈을 마감처리한 마감부재(도 6에서 5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마감부재에는 헤드레스트의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감부재는 사각형, 원형, 또는 기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오목한 제 2 수용부(20e)가 없다면 결합부(20)의 저면은 마감부재의 상면과 맞닿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 주행중에 도로 사정에 따라 결합부(20)가 헛돌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부(20)가 헛돌게 되면 걸려 있는 가방 또는 쇼핑백의 좌우로의 움직임이 많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오목한 제 2 수용부(20e)를 형성하게 되면 등받이의 상단면의 마감부재가 제 2 수용부(20e)에 수용되고, 결합부(20)의 저면이 등받이의 상단면에 밀착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가방 또는 쇼핑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가 사용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석 의자 또는 조수석 의자에 설치된 헤드레스트(50)의 지지봉(52)에 결합부(20)의 개구부(20b)측을 거의 직각으로 갖다대고 밀게 되면 결합부(20)가 좌우로 조금씩 벌어진다.
이후, 사용자가 지지봉(52)에 대해 결합부(20)를 계속 밀게 되면 결합부(20)의 결합구멍(20a)과 지지봉(52)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는 방향으로 결합부(20)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부(20)의 이동이 개구부(20b)의 길이만큼 이루어진 후에는 지지봉이 결합부(20)의 결합구멍(20a)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덮개부(30)를 결합부(20)에 결합시킨다. 이 경우, 덮개부(30)는 결합부(20)의 제 1 수용부(20c)에 수용되되, 덮개부(30)의 끼움 돌기(30b)는 결합부(20)의 끼움구멍(20d)에 끼워지고, 덮개부(30)의 끼움편(30c)은 결합부(20)의 개구부(20b)에 끼워진다.
그리고 나서, 걸고자 하는 가방 또는 쇼핑백(60)의 끈 사이로 고리부(40)를 넣고, 고리부(40)가 연결된 부위를 몸통부(10)의 전방으로 말아 올리되 고리 고정부(예컨대, 10a) 근처까지 말아 올린다.
이어, 고리부(40)의 개구부와 몸통부(10)의 일측단부(예컨대, 우측단부)를 서로 대향되게 하고 나서 몸통부(10)를 고리부(40)에 끼우면 고리부(40)가 몸통부(10)를 감싸면서 쐐기형상의 고리 고정부(예컨대, 10a)에 안정적으로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아무리 무거운 가방 또는 쇼핑백(60)이 걸려져 있다고 하더라도 결합부(20)는 지지봉(5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방 또는 쇼핑백(60)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몸통부 10a, 10b : 고리 고정부
20 : 결합부 20a : 결합구멍
20b : 개구부 20c : 제 1 수용부
20d : 끼움구멍 20e : 제 2 수용부
30 : 덮개부 30a : 몸체
30b : 끼움돌기 30c : 끼움편
40 : 고리부 50 : 헤드레스트
52 : 지지봉 54 : 마감부재
60 : 가방 또는 쇼핑백 70 : 등받이
100 :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Claims (9)

  1. 차량의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에 결합되는 걸이에 있어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과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되 상기 지지봉을 일부 감싸도록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덮개부; 및
    상기 몸통부의 타측부에 형성된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제 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 개구부와 상기 제 2 개구부가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몸통부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쐐기형상의 고리 고정부가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되고,
    상기 고리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고리 고정부에 걸리게 되고,
    상기 몸통부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고리부의 일측부는 개구되고,
    상기 몸통부에서 상기 고리부가 연결된 부위를 상기 몸통부의 전방으로 말아 올리되, 상기 어느 하나의 고리 고정부 근처까지 말아 올린 후에, 상기 고리부의 개구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단부를 서로 대향되게 하고 나서 상기 몸통부를 상기 고리부에 끼우면 상기 고리부가 상기 몸통부를 감싸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고리 고정부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중앙에는 결합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결합구멍에는 상기 제 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는 상기 덮개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는 상기 결합구멍의 주변을 따라 상기 결합구멍과는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는 디긋자의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수용부의 일부가 상기 제 1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돌기; 및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개구부에 끼워지는 끼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타면에는 제 2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덮개부 및 상기 고리부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와 동일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KR2020190002977U 2019-07-16 2019-07-16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KR200493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77U KR200493144Y1 (ko) 2019-07-16 2019-07-16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77U KR200493144Y1 (ko) 2019-07-16 2019-07-16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93U KR20210000193U (ko) 2021-01-26
KR200493144Y1 true KR200493144Y1 (ko) 2021-02-05

Family

ID=7423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977U KR200493144Y1 (ko) 2019-07-16 2019-07-16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14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408A (ja) 2004-02-17 2005-09-02 Car Mate Mfg Co Ltd 車両用後付製品の取付ベース及びこの取付ベースに取り付ける傘収納ケース
CN204915495U (zh) 2015-06-09 2015-12-30 徐伟宾 一种可隐藏式汽车椅背挂钩
CN206856612U (zh) * 2017-06-12 2018-01-09 广州市普格斯日用制品有限公司 汽车头枕挂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9819A (ja) * 1997-10-30 1999-05-18 Hiroaki Uesugi 自動車の座席の荷物を保持する装置
KR20070088980A (ko) 2006-02-27 2007-08-30 주식회사 태성정밀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걸이대
KR200489151Y1 (ko) 2017-10-19 2019-05-08 하슬기 차량용 헤드레스트 옷걸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408A (ja) 2004-02-17 2005-09-02 Car Mate Mfg Co Ltd 車両用後付製品の取付ベース及びこの取付ベースに取り付ける傘収納ケース
CN204915495U (zh) 2015-06-09 2015-12-30 徐伟宾 一种可隐藏式汽车椅背挂钩
CN206856612U (zh) * 2017-06-12 2018-01-09 广州市普格斯日用制品有限公司 汽车头枕挂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93U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790B2 (en) Pivoting hanger with positive retention
ES2434725T3 (es) Elemento de ajuste para un vehículo de carga
KR200493144Y1 (ko) 차량의 헤드레스트용 걸이
KR100992548B1 (ko)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JP6560662B2 (ja) 車両用収納具、車両用ホルダ、および座席取付型フックを備えた収納具またはホルダ
JP2001225700A (ja) 自動車用収納箱
WO2019082270A1 (ja) 物品の保持構造
KR101061217B1 (ko) 자동차 시트의 배면에 설치된 걸이부.
KR100328855B1 (ko) 차량용 백 홀더
JP5585864B2 (ja) パーセルシェルフの支持構造
JP5771069B2 (ja) ドアトリム
KR101181444B1 (ko)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FR2844433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sac
KR20100006525A (ko) 자동차용 우산 홀더
KR200409362Y1 (ko) 차량용 옷걸이 커버
JP4015969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446960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장착용 접이식 옷걸이
JPH043874Y2 (ko)
JP2005289339A (ja) 車輌用荷物転落防止具
JPH0318310Y2 (ko)
JP3017151U (ja) 自動車用幼児拘束装置
JP4402557B2 (ja) 自動二輪車
JPH11301356A (ja) 車両用シートの荷物固定構造
JPH0212103Y2 (ko)
KR0113362Y1 (ko) 옷걸이 겸용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