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444B1 -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444B1
KR101181444B1 KR1020090103128A KR20090103128A KR101181444B1 KR 101181444 B1 KR101181444 B1 KR 101181444B1 KR 1020090103128 A KR1020090103128 A KR 1020090103128A KR 20090103128 A KR20090103128 A KR 20090103128A KR 101181444 B1 KR101181444 B1 KR 10118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pendulum
fixture
seat bel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609A (ko
Inventor
유병개
문찬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9010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444B1/ko
Priority to EP10827096.8A priority patent/EP2493726B1/en
Priority to CN201080042082.6A priority patent/CN102574499B/zh
Priority to PCT/KR2010/007471 priority patent/WO2011053012A2/en
Publication of KR2011004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15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R2022/263Front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석 승객 미탑승시 버클에서 간헐적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펜듈럼에서의 간헐적 소음을 제거하고, 상기 펜듈럼과 버튼을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버클에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결합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상기 펜듈럼을 고정시켜 흔들거리지 않도록 하는 펜듈럼 고정구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버튼 작동과는 별도로 펜듈럼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버튼의 작동시에만 작동하게 하는 펜듈럼 고정구를 제공하여, 펜듈럼 작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며, 펜듈럼 지지를 별물로 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펜듈럼을 지지할 수 있게 하고, 펜듈럼 작동을 버튼과 연개시키지 않음으로써 버튼 및 타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펜듈럼 작동을 위한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가 구비된 안전벨트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에 설치된 버클을 고정하고, 버클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버클커버와; 상기 버클커버 내부에서 부품들이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버클프레임과; 차량용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버클의 내부에 결합된 후 이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버클버튼과;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버클로부터 해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클 내부에 장착되는 펜듈럼과; 상기 버클버튼과 별개로 버클에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결합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상기 펜듈럼을 고정시켜 흔들거리지 않도록 하는 펜듈럼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를 제공한다.
차량, 안전벨트, 버클, 펜듈럼 고정구, 펜듈럼 지지대

Description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Buckle For Safety Bel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서 조수석 승객 미탑승시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에서 펜듈럼에 의해 간헐적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펜듈럼에서의 간헐적 소음을 제거하고, 상기 펜듈럼과 버튼을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버클에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결합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상기 펜듈럼을 고정시켜 흔들거리지 않도록 하는 펜듈럼 고정구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벨트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버튼 작동과는 별도로 펜듈럼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버튼의 작동시에만 작동하게 하는 펜듈럼 고정구를 제공하여, 펜듈럼 작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며, 펜듈럼 지지를 별물로 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펜듈럼을 지지할 수 있게 하고, 펜듈럼 작동을 버튼과 연개시키지 않음으로써 버튼 및 타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펜듈럼 작동을 위한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가 구비된 안전벨트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이를 운전하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도 록 하는 안전장치로써, 에어백장치와 안전벨트장치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장치와 안전벨트 장치는 사고시 시트에 앉아 있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신체중 일부가 차내의 구조물과 접촉하거나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물과 신체사이를 차단하고, 또 신체가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 중 안전벨트장치는 일정한 폭을 갖는 웨빙의 양단을 플로워패널과 센터필라에 고정시키고, 그 사이에 사용자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사고시 사용자의 신체가 전방 또는 사고방향으로 튕겨져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평사시에는 웨빙의 결합 및 해제를 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센터필라에 고정되어 웨빙을 인출하고, 비상시 고정시키는 수단이 내장된 리트렉터와 플라워패널에 설치되어 웨빙의 단부에 구비된 텅(TONGUE)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버클(BUCKLE)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웨빙에 끼워진 벨트 텅과 결합되어 벨트를 고정하는 버클은 벨트 텅과의 결합이 자유롭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평상 시에는 벨트의 착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주고, 비상 시에는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벨트를 잡아 준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을 보면, 자동차의 주행시 특히 험한 도로를 주행할 때, 조수석 승객이 미탑승하여 버클에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체결되지 아니한 경우, 버클에서 간헐적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버클에서 간헐적인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이유는 버클 내부에 장착되는 중량부재인 펜듈럼에 의해서인데, 이러한 중량부재인 펜듈럼은 상기 안전벨트의 텅이 버클에 체 결된 후 결속이 해제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이다. 상기 텅이 버클에 체결되어 그 기능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 덜렁거리며 그 진동으로 인하여 버클 내부의 버클프레임이나 버클버튼과 부딪혀 소음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소음의 다른 원인은 버클프레임 및 버클버튼의 치수적인 문제 때문일 수도 있다. 이러한 소음은 운전을 하는 입장에서 상당히 거슬리고, 운전자의 기분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상기 펜듈럼을 고정시키지 아니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내부에서 덜렁거리며 버클의 프레임과 버튼 등에 지속적으로 반복 충돌하여 종국에는 차량의 안전벨트 버클의 내구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렇게 안전벨트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쉽게 파손되는 경우, 차량 탑승자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협을 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차량의 안전사고 발생시 돌이킬 수 없는 문제를 발생하게 한다.
이에 상기 펜듈럼의 고정을 위해 종래에는 버클버튼에 펜듈럼고정지지대를 포함하여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고자 했다. 이에 도 1의 종래기술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버클버튼(30)에 펜듈럼고정지지대(31)를 구비하여 펜듈럼(40)을 고정시켜 지지함으로써 상기 펜듈럼(40)이 그 기능을 하고 있지 아니할 때에도 흔들거리거나, 덜렁거리며 소음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펜듈럼(40)의 고정을 위해서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 내부에서 버클버튼(30)이 상기 펜듈럼(40)을 고정시키는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별도의 펜듈럼고정지지대(31)를 구비하고 있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펜듈럼고정지지대를 구비하고 있을지라도 잦은 펜듈럼(40) 및 버클버튼(30)의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펜듈럼고정지지대(31)의 탄성이 저하되고, 반복적인 사용과 내열에 의해서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고정지지대(31)가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면, 당연히 상기의 소음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더 나아가 상기 펜듈럼 및 버클버튼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내열 등으로 상기 고정지지대가 파손되는 경우 그 사태는 더욱더 심각해진다고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펜듈럼고정지지대(31)의 강성 보강에 의한 지지력을 상승시키거나, 상기 버클프레임(20) 및 버클버튼(30)의 치수 등을 변경하여 치수에 맞는 버클을 제작하여 펜듈럼의 고정을 유도할 수도 있겠으나, 이는 단지 임시적인 대책일 뿐, 상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는 될 수 없다. 근본대책으로서는 버클버튼에서 상기 펜듈럼고정지지대(31)를 삭제하고 상기 펜듈럼을 고정할 수 있는 부품을 별물로써 제작하여 추가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대책으로 인하여 상기 버클버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안전벨트의 버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펜듈럼 작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며, 자동차가 험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안전벨트의 버클에서 펜듈럼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버클버튼과 별도의 펜듈럼 작동을 통해 펜듈럼이 버클버튼 및 버클프렘임 등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이 발생하거나, 변형이 일어나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고, 종국적으로는 안전벨트 버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안전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안전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펜듈럼을 지지하는 별도의 펨듈럼고정구를 제공하여 버클버튼과는 연개시키지 않고 별도로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항상 안정적으로 펜듈럼의 지지를 수행할 수 있고, 이렇게 펜듈럼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버클버튼 및 타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벨트에 설치된 버클을 고정하고, 버클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버클커버와; 상기 버클커버 내부에서 부품들이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버클프레임과; 차량용 안전벨트의 텅이 버클의 내부에 결합된 후 이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버클버튼과;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버클로부터 해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클 내부에 장착되는 펜듈럼과; 상기 버클버튼과 별개로 버클에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결합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상기 펜듈럼을 고정시켜 흔들거리지 않도록 하는 펜듈럼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클프레임은 상기 펜듈럼고정구가 버클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펜듈럼고정구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펜듈럼고정구는 상기 펜듈럼고정구 결합공에 고정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펜듈럼고정구는 상기 펜듈럼의 흔들거림을 방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펜듈럼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버클프레임의 펜듈럼고정구 결합공에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결합가이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클커버는 상기 펜듈럼고정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펜듈럼고정구를 고정하는 펜듈럼고정구 압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펜듈럼고정구는 상기 펜듈럼고정구 압박돌기가 내입되어 압착고정시킬 수 있는 압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클프레임은 상기 펜듈럼고정구 가 결합 고정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펜듈럼고정구는 상기 버클프레임의 결합홈에 결합고정된 후 상기 이탈방지홈에 내입되어 상기 펜듈럼고정구가 상기 버클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펜듈럼 작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며, 상기 펜듈럼의 지지를 별물로 하게 함으로써 항상 안정적으로 펜듈럼을 지지할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해 자동차가 험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도 안전벨트의 버클에서 펜듈럼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펜듈럼을 지지하는 별도의 펨듈럼고정구를 제공하여 버클버튼과는 연개시키지 않고 별도로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항상 안정적으로 펜듈럼의 지지를 수행할 수 있고, 이렇게 펜듈럼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버클버튼 및 타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버클버튼과 별도의 펜듈럼 작동을 통해 펜듈럼이 버클버튼 및 버클프렘임 등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이 발생하거나 변형이 일어나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고, 종국적으로는 안전벨트 버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 고, 차량의 안전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안전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안전벨트 제공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버클버튼에 펜듈럼고정지지대가 형성되어 펜듈럼을 고정하는 경우 상기 버클버튼은 안전벨트의 결속 및 해제의 잦은 사용에 따라 반복적으로 사용될 것인데, 이로써 상기 펜듈럼고정지지대도 반복적인 잦은 사용으로 탄성 및 강성이 약해지거나, 열이 발생하는 등으로 노후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쉽게 파손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펜듈럼고정구를 적용하는 경우 이러한 펜듈럼고정구는 그 기능이 오직 상기 펜듈럼을 고정 지지하여 진동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내구성이 견고한 버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 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차량용 안전벨트에 구비되는 버클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전벨트 버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 버클버튼(30), 잠금래치(50) 등으로 구성되며, 베이스 프레임(10) 내에는 벨트 텅(도면에 미도시) 및 버클버튼(30)과 연동하여 잠금래치(50)를 잠금/해제하는 버클프레임(2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 버클는 벨트 텅이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잠금래치(50)는 버클프레임(20)의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후방의 피벗축을 중심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10도 정도 들어올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래치 상면에 접하고 있는 잠금 바(60)도 위쪽으로 올라가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10)과 버클버튼(30) 사이에 형성된 삽입 슬롯으로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A)으로 벨트 텅이 삽입되면, 먼저 벨트 텅 선단 모서리 부분에 의해 버클프레임(20)에 장착된 이젝터(21)가 뒤쪽으로 가압된다. 이와 동시에 이젝터(21) 상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캔틸레버(23)는 이젝터(21)에의 피벗지지점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프링을 압축하여 뒤쪽으로 밀린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바(60)가 캔틸레버 선단의 만곡 절곡부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가면서, 하향 가압되어 아래쪽에 접하고 있는 잠금 래치(50)를 가압하게 되며, 가압된 잠금래치(50)는 피벗축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내려오면서 삽입된 벨트 텅의 걸림 슬롯에 삽입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벨트 텅과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 벨트버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버튼(30)의 내부 공간에 중량의 고정부재인 펜듈럼(40)을 구비한다. 중량부재인 펜듈럼(40)은 벨트 텅이 버클에 내입되어 결속되는 경우에 작동하게 된다. 즉, 펜듈럼(40)은 상기와 같이 잠금래치(50)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잠금바(60)가 잠금래치(50)를 이탈시키지 아니하도록 중량을 주는 기능을 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관계 및 기능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펜듈럼(40)의 중량부가 힌지점으로 피벗팅할 수 있도록 하는 피벗암, 상기 펜듈럼(40)의 중량부가 상기 잠금바(60)를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푸시암, 상기 잠금바(60)가 상기 푸시암의 선단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하는 만곡한 형태의 걸림홈 등을 포함하여 중량부가 자체하중으로 잠금바(60)를 압박 구속하여 종국적으로 상기 잠금래치(50)가 상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펜듈럼의 기능을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인 제20-0416588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도록 한다.)
결국, 상기와 같이 펜듈럼(40)의 주요 기능 및 작동은 버클에 벨트 텅이 내입되어 결속 잠금되는 경우에 그 작동을 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바(60)의 하향 압박을 더욱더 견고히 하여 잠금래치(5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국적으로 벨트 텅이 상기 버클에서 해제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안전성을 더욱더 확고히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버클에 벨트 텅이 결속되어 잠금상태가 되지 아니하는 경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펜듈럼(40)은 상기 잠금바(60)와 접촉되지 않고, 압박을 가하지 아니하여 펜듈럼(40)이 고정이 되지 아니하므로, 자체 중량에 의해 덜렁거리거나 주변 부품인 버클버튼(30) 및 버클프레임(20) 등에 부딪혀 소음과 파손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버클버튼(30)에 펜듈럼고정지지대(31)를 포함하여 상기 펜듈럼(40)이 그 기능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 즉 버클에 버클 텅이 내입되어 잠금되는 상태가 아닌 해제된 상태인 경우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기 펜듈럼고정지지대(3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순히 상기 펜듈럼(40)이 덜렁거리면서 주변의 부품과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데, 상기 버클버튼(30)과 일체화된 탄성이 강하고 강성이 큰 부재로 형성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펜듈럼고정지지대(31)는 상기 버클버튼(30)의 잦은 사용 및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펜듈럼고정지지대(31)가 열 등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고 이렇게 파손된 경우 상기 펜듈럼(40)은 덜렁거리거나 주변의 부품인 버클버튼(30) 및 버클프레임(20)에 부딪혀 소음을 유발하며 부품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는데, 종국적으로는 안전벨트의 내구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버클버튼(30)에 장착된 펜듈럼고정지지대(31)의 역할을 하는 별도의 부품인 펜듈럼고정구를 제공하여 소음을 제거하여 보다 쾌적한 운전환경을 마련하고, 부품의 파손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의 안전벨트 버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 버클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듈럼고정구가 장착된 버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버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듈럼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듈럼고정구가 장착되는 버클 내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듈럼고정구가 장착된 상태의 내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내부 상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펜듈럼 고정구가 장착된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펜듈럼고정구가 장착된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장치는 도 2의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인 펜듈럼고정구(500)가 버클버튼(300)과는 별개로 버클프레임(200)에 장착되어 펜듈럼(4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로써 버클에 벨트 텅이 내입된 잠금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상기 펜듈럼(4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덜렁거리거나 주변 부품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장치는 버클커버(100), 버클 프레임(200), 버클버튼(300), 펜듈럼(400) 및 펜듈럼고정구(500)를 포함한다.
상기 버클커버(10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안전벨트에 설치된 버클을 고정하고, 버클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종래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에서 사용되는 상부 케이스(Top-Cover)로 기능하는 외부케이스로서의 통상적인 구성에 해당하나,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게 될 펜듈러고정구(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압박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펜듈럼고정구 압박돌기(110, 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듈럼고정구 압박돌기(110, 110')는 상기 버클 커버의 안쪽에 중앙부 양측에 좌우대칭 한쌍으로 구비된다. 펜듈럼고정구 압박돌기(110,110')는 하기에서 설명할 펜듈럼고정구(5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펜듈럼고정구(50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데, 하기의 펜듈럼고정구의 압박홈(570,570')과 상응하는 구성으로 하기의 압박홈(570,570')에 내입되어 펜듈럼고정구(500)가 상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압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펜듈럼고정구 압박돌기(110,110')의 기능은 도 9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클프레임(20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클커버(100) 내부에서 부품들이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프레임으로써 상술한 버클의 작동관계(도 1 참조)에서 알 수 있듯이 이젝터(21), 캔틸레버(23) 등이 장착되어 버클의 기능을 수행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상기 버클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펜듈럼고정구(500)가 결속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펨듈럼고정구(500)가 결합될 수 있는 펜듈럼고정구 결합홈(230, 230')과, 상기 펜듈럼고정구가 하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펜듈럼고정구 이탈방지홈(250, 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듈럼고정구 결합홈(230, 23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버클프레임 양측에 대칭으로 직각의 관통공으로 형성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걸림돌기(510, 5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상기 펜듈럼고정구 결합홈(230, 230')은 하기의 펜듈럼고정구(500)가 버클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걸림돌기(510, 510')가 상기 버클프레임(200) 내측 하향으로 압박되어 상기 결합홈(230, 230')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이는 도 7 및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한다.
상기 펜듈럼고정구 이탈방지홈(250, 250')은 상기 버클프레임의 양측벽에 대칭으로 구비되는데, 상향으로 함몰될 부분으로써 펜듈럼고정구가 결합 고정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이탈방지홈은(250, 250')은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펜듈럼고정구의 이탈방지돌기(590, 590')가 서로 대응되도록 맞물려 내입된다. 이로써 버클프레임(200)의 결합홈에 고정결속된 펜듈럼고정구(500)는 하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됨과 동시에 좌우로 이탈되는 것도 동시에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버클버튼(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관통된 형상으로 상기 버튼프레임(200) 상측에 결합되는 부재로써 차량용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버클의 내부에 결합된 후 이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버클버튼(300)의 기능은 종래의 버클과 벨트 텅의 결속 잠금과 해제에서 당업자가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대한 작동관계의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20-0416588호에 명확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를 대신하기로 하며,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416588호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종래의 버클버튼은 도 1의 버클버튼(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펜듈럼고정지지대(31)를 포함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펜듈럼(40,400)을 고정하는 기능을 펜듈럼고정구(500)에 의해 수행되게 되므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클버튼(300)은 펜듈럼고정지지대(31)를 제거한 상태로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펜듈럼고정지지대(31)가 상기 버클버튼의 반복적 연속 사용으로 노후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는 안전벨트가 잠금상태가 되지 않는 때에 펜듈럼에서의 소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펜듈럼의 덜렁거림으로 인한 주변 부품과의 마찰 등을 방지할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하여 버클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 안전벨트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펜듈럼(400)은 도 1에서 도시된 펜듈럼(40)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의 버튼 내부에 장착되어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버 클로부터 해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상기 펜듈럼(40,400)의 기능은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데, 그 기능 및 작동에 대해서는 종래의 통상적인 펜듈럼의 기능으로 동일하므로 앞서 설명한 내용을 원용하기로 한다. 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듈럼(400)이 그 기능을 하지 아니하는 때, 즉 안전벨트의 텅이 버클에 내입되지 아니한 때에는 상기 펜듈럼(400)은 하기에서 설명할 펜듈럼고정구(500)에 포함된 펜듈럼지지대(53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되어 덜렁거리거나 주변 부품에 부딪혀 소음을 유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펜듈럼고정구(500)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클버튼과 별개로 버클에 안전벨트의 텅(Tongue)이 결합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상기 펜듈럼을 고정시켜 흔들거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펜듈럼고정구(500)는 상기 버클버튼(300)에 펜듈럼고정지지대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펜듈럼(400)을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종국적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인 버클의 소음을 제거하여 쾌적한 운전환경을 제공하고, 펜듈럼의 내부 부품과의 마찰 등을 방지함으로써 버클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전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차량의 안전사고 발생시 보다 확실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펜듈럼고정구(500)는 상기 버클프레임(200)의 결합홈(230, 230')에 걸림형식으로 결속되어 펜듈럼고정구를 결합하는 걸림돌기(510, 510'), 상기 펜 듈럼(400)에 접촉되어 직접적으로 이를 지지하는 부분인 펜듈럼지지대(530, 530'), 상기 걸림돌기(510,510')가 상기 버클프레임(200)의 결합홈(230,230')에 용이하게 결속되도록 하는 결합가이드(550, 550'), 상기 버클커버(100)에 포함된 압박돌기(110,110')와 상응하여 펜듈럼고정구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압박홈(570, 570') 및 상기 버클프레임(200)의 이탈방지홈(250,250')에 내입되어 펨듈럼고정구가 하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590, 5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510, 51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펜듈럼고정구(500)의 양측 하향 외측으로 대칭 형성된 한쌍의 돌기로써 상기 버클프레임(200)의 펜듈럼고정구 결합홈(230,230')에 내입 결속된다. 이에 상기 걸림돌기(510, 510')는 도 6,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클프레임(200)의 상측에서 내부로 하향 압박되어 결속되는데, 결국에는 상기 펜듈럼고정구 결합홈(230,230)에 상기 걸림돌기(510,510)가 내입되어 걸리는 순간까지 내입된 후 결합되게 된다. 이에 상기 걸림돌기(510, 510')는 후크 타입(Hook Type)의 형태로써, 하향으로 내입되기는 쉬우나 상향으로 이탈되기는 어려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후크 타입의 형상은 단순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상기 걸림돌기(510,510')의 기능을 다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펜듈럼지지대(530)는 상기 펜듈럼(400)의 흔들거림을 방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펜듈럼고정구(500) 의 중앙부에 하향으로 형성된 절곡된 바(bar)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캔틸레버이다. 이러한 상기 펜듈럼지지대(530)는 도 2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펜듈럼(400)과 직접 접촉하여 이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펜듈럼(400)이 중량부재이므로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강성이 뛰어나고 탄성이 있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결합가이드(550, 55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펜듈럼고정구(500)의 양측 하향의 말단부에 대칭 형성된 한쌍으로 끝단이 얇아지는 형태로써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가이드(550,550')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볼 때, 상기 버클프레임(200)의 펜듈럼고정구 결합공(230,230')에 상기 걸림돌기(510,510')가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펜듈럼고정구(500)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버클프레임(200)에 하향 내입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박홈(570, 57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펜듈럼고정구(500)의 양측에서 대칭하여 상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오목된 홈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클커버(100)의 압박돌기(110,110')와 상응하는 구조이다. 즉,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버클커버(100)에 형성된 펜듈럼고정구 압박돌기(110,110')는 상기 버클커버가 조립되면서, 상기 상기 펜듈럼고정구(500)가 상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압박홈(570,570')에 내입되어 압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펜듈럼고정구(500)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버클프레임(200)에 결속될 수 있고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돌기(590, 59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펜듈럼고정구(500)의 양측 상부에서 대칭하여 상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이다.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돌기(590,59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펜듈럼고정구(500)가 상기 버클프레임(200)의 결합홈(230,230')에 결합할 때에, 결속 고정된 후에도 더욱더 하향으로 진행할 수 있어 하향 이탈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의 기능을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돌기(590,590')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클프레임(200)의 이탈방지홈(250,250')과 상응하여 상기 이탈방지홈(250,250')에 내입되어 수평으로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듈럼고정구가 장착된 버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버튼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듈럼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듈럼고정구가 장착되는 버클 내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듈럼고정구가 장착된 상태의 내부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내부 상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베이스프레임 20 : 버클프레임
21 : 이젝터 23 : 캔틸레버
30 : 버클버튼 31 : 펜듈럼고정지지대
40 : 펜듈럼 50 : 잠금래치
60 : 잠금바
100 : 버클커버 110,110' : 펜듈럼고정구 압박돌기
200 : 버클프레임 230,230' : 펜듈럼고정구 결합홈
250,250' : 펜듈럼고정구 이탈방지홈 300 : 버클버튼
400 : 펜듈럼 500 : 펜듈럼고정구
510,510' : 걸림돌기 530 : 펜듈럼지지대
550,550' : 결합가이드 570,570' : 압박홈
590,590' : 이탈방지돌기

Claims (7)

  1. 버클커버:
    상기 버클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버클 프레임:
    상기 버클 프레임의 전방측에 전,후진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클 버튼:
    상기 버클 버튼의 슬롯을 통해 삽입된 벨트의 텅이 걸리도록 상기 버클 프레임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잠금 래치:
    상기 벨트의 텅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잠금 래치를 상기 벨트 텅과 결합시키고,
    상기 버클 버튼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잠금 래치를 상기 벨트 텅으로부터 해제시키는 이젝터 조립체;
    상기 버클 버튼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젝터 조립체를 가압하는 펜듈럼; 및
    상기 버클 프레임의 양측 사이의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버클 프레임의 양측에 그 양단이 설치되며, 그 중앙부에 상기 펜듈럼의 일측과 접촉하는 펜듈럼 지지대를 갖는 펜듈럼고정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프레임은 상기 펜듈럼고정구가 상기 버클프레임에 결합되는 펜듈럼고정구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펜듈럼고정구는 상기 펜듈럼고정구 결합공에 고정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펜듈럼고정구는 상기 버클프레임의 펜듈럼고정구 결합공에 상기 걸림돌기가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결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5. 제 1 항, 제 3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커버는 상기 펜듈럼고정구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를 고정시키는 펜듈럼고정구 압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펜듈럼고정구는 상기 펜듈럼고정구 압박돌기가 내입되어 압착고정시킬 수 있는 압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프레임은 상기 펜듈럼고정구가 결합 고정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펜듈럼고정구는 상기 버클프레임의 결합홈에 결합고정된 후 상기 이탈방지홈에 내입되어 상기 펜듈럼고정구가 상기 버클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프레임은 상기 펜듈럼고정구가 결합 고정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펜듈럼고정구는 상기 버클프레임의 결합홈에 결합고정된 후 상기 이탈방지홈에 내입되어 상기 펜듈럼고정구가 상기 버클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KR1020090103128A 2009-10-29 2009-10-29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KR10118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128A KR101181444B1 (ko) 2009-10-29 2009-10-29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EP10827096.8A EP2493726B1 (en) 2009-10-29 2010-10-28 Buckle for safety belt of vehicle
CN201080042082.6A CN102574499B (zh) 2009-10-29 2010-10-28 用于汽车安全带的锁扣
PCT/KR2010/007471 WO2011053012A2 (en) 2009-10-29 2010-10-28 Buckle for safety bel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128A KR101181444B1 (ko) 2009-10-29 2009-10-29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609A KR20110046609A (ko) 2011-05-06
KR101181444B1 true KR101181444B1 (ko) 2012-09-20

Family

ID=4392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128A KR101181444B1 (ko) 2009-10-29 2009-10-29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93726B1 (ko)
KR (1) KR101181444B1 (ko)
CN (1) CN102574499B (ko)
WO (1) WO2011053012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88Y1 (ko) * 2006-03-08 2006-05-22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관성 해제가 방지된 차량용 시트벨트의 버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543B1 (ko) * 2000-12-06 2003-03-29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벨트용 버클장치의 회동수단
US6851503B2 (en) * 2002-10-01 2005-02-08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belt tension sensor assembly
JP4609922B2 (ja) * 2003-10-24 2011-01-12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620621B1 (ko) * 2004-07-30 2006-09-19 이경상 차량의 시트벨트용 버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88Y1 (ko) * 2006-03-08 2006-05-22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관성 해제가 방지된 차량용 시트벨트의 버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3012A2 (en) 2011-05-05
WO2011053012A3 (en) 2011-10-20
CN102574499B (zh) 2015-02-11
EP2493726B1 (en) 2018-10-17
CN102574499A (zh) 2012-07-11
KR20110046609A (ko) 2011-05-06
EP2493726A2 (en) 2012-09-05
EP2493726A4 (en)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2177A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박스의 고정 구조
JP4890363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KR101181444B1 (ko)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JP2002137709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モジュールカバー
KR100820135B1 (ko) 탈착 가능한 베리어 네트를 구비한 커버 스크린
JP5232604B2 (ja) 荷掛けフックの取付構造
WO2014132807A1 (ja) シートベルト保持用ベゼル、シートベルト用ガイドユニット、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5134438B2 (ja) 車両の被操作部操作構造
KR100848459B1 (ko) 자동차용 차일드 앵커
JP2530975Y2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
JP5673251B2 (ja) 車両用シート
CN218929265U (zh) 汽车儿童安全座椅用上拉带组件及儿童安全座椅
JP3811544B2 (ja) 蓋のヒンジ装置
CN215513342U (zh) 一种坐垫防翻转结构
JP4719007B2 (ja) 車両のタング保持構造
JP2535439Y2 (ja) シートベルト用保持具
KR102257777B1 (ko)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KR102265701B1 (ko)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CN211166546U (zh) 一种儿童安全座椅
JP2019084952A (ja) 内装部品の取付構造
CN116279020A (zh) 汽车儿童安全座椅用上拉带组件及儿童安全座椅
JP4015969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3740998B2 (ja) シートベルトの保持構造
JPH0858527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の収納ケース
JP2001171403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