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701B1 -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701B1
KR102265701B1 KR1020190136227A KR20190136227A KR102265701B1 KR 102265701 B1 KR102265701 B1 KR 102265701B1 KR 1020190136227 A KR1020190136227 A KR 1020190136227A KR 20190136227 A KR20190136227 A KR 20190136227A KR 102265701 B1 KR102265701 B1 KR 102265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trim
hook part
rotating piec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235A (ko
Inventor
윤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3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7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68Rear parcel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트림에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후크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후크부가 이격되어 형성된 틈; 상기 후크부와 상기 트림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후크부에 상기 트림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후크부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는 회전편; 상기 회전편과 상기 후크부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편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편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 상기 틈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편이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트림에 장착되되, 상기 구성에 의해 필요시에만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Hook assembly with trim}
본 발명은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시에만 돌출시켜 사용하는 차량의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옷, 가방 등을 걸 수 있는 후크부가 마련된다.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트림 중 러기지 사이드 트림(LUGGAGE SIDE TRIM)(TR)에 마련되는 후크부(H)는 기본 스킨 대비 돌출형으로 되어 있어 외관감성 저하 및 수하물의 로드시 걸림문제 발생, 수하물 로드 중 충돌로 인한 크랙(CRACK)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후크부(H)의 형상으로 인해 트림(TR)에 필연적으로 형성된 홀(HOLE)(HO)로 이물질 유입 가능성이 있으며, 아울러 후크부(H)가 상시 돌출된 형태이므로 인한 차량 내부 인테리어의 감성품질을 저하하며, 승객의 안전성이 저하된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1404호(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8677호(특허문헌 2)가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손잡이에 후크가 형성된 것으로, 브라켓, 브라켓에 수용되는 후크부, 상기 후크부를 돌출시키는 제1압축스프링, 제1압축스프링에 의해 밀리는 후크부의 돌출을 저지시키는 걸림부, 걸림부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또 다른 제2압축스프링, 후크부에 형성되어 걸림부에 걸리는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손잡이 본래의 그립감을 훼손하여, 사실상 적용불가 수준의 IDEA이다.
상기 손잡이는 차량이 이동시 승객이 안정감을 위해 잡는 것인데, 후크부를 넣고자 손잡이 본연의 기능인 안정적인 그립감을 매우 불리하게 만들어 버리므로, 사실상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한 형상이다.
또한, 안내돌기를 눌러서 작동시키려는 의도이나, 다른 외력이 없이 부품 자체의 무게만으로 아래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작동감 저하가 예상된다.
한편, 특허문헌 2는 후크부가 수용되는 브라켓, 브라켓과 후크부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 압축스프링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힘을 받는 후크부, 후크부에 형성되며 경사면을 갖는 걸림부, 후크부에 형성된 규제돌기, 작동되어 걸림부를 밀어냄에 따라 후크부가 돌출되게 하는 걸림 해제버튼으로 이루어진다.
걸림부는 버튼이 내려올수록 하방으로 눌리면 후크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규제돌기가 브라켓의 돌기에 걸림으로써 후크부가 일정 길이만큼만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2는 부품의 숫자가 매우 많다.
특허문헌 2의 도면에 게재된 부품만 9개이며, 상기 9개의 부품을 모두 적용해야만 후크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비용 상승이 수반되며, 외력을 가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연결된 스토퍼가 매우 취약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버튼의 힘이 잘 전달되지 않으며, 버튼이 파손되기 쉽다.
또한 슬라이딩 기능을 제어하는 스토퍼 부분 역시 취약하여 파손 및 유동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될 우려가 매우 높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1404호(1998.12.3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8677호(2006.03.3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시에만 돌출시켜 사용하는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이 용이한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이 안전한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안정적인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는, 차량 트림에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미돌출 또는 일부가 돌출되는 후크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후크부가 이격되어 형성된 틈; 상기 후크부와 상기 수용부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후크부에 상기 트림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후크부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며 돌출편이 형성된 회전편;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 돌출시 상기 돌출편이 수용되는 수용홈; 상기 회전편과 상기 후크부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편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돌출편이 내측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트림에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는, 상기 후크부의 외측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수용되는 궤적규제홈이 내외측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는, 상기 트림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내측 단부가 지지되는 내측지지관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관과 마주보는 상기 후크부의 측편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외측 단부가 지지되는 외측지지관이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이 상기 후크부와 상기 트림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는,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후크부의 하면과 상기 회전편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는, 상기 회전편의 외측 단부가 상기 틈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는, 상기 후크부의 양측에 내외방향으로 길이가 긴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후크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는, 상기 회전편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편이 상기 걸림부의 내측에 걸린 위치일 때 상기 베이스의 외측이상기 틈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 즉 후크부, 수용부와 걸림부가 형성된 트림, 인장스프링, 회전편, 토션스프링만으로 후크부의 선택적 돌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부가 미사용시 돌출되지 않으므로 차량 내부 인테리어가 미려하다. 또한 종래 후크부와 달리 이물질 삽입 및 차체가 보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부를 외측으로 당겼다가 놓으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부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후크부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스프링이 트림 내측과 후크부 내측에 걸리며, 후크부에 인장스프링의 일부가 수용된다. 이로 인해 승객에게는 인장스프링이 거의 노출되지 않으므로 승객이 다칠 위험성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부의 양측편에 형성된 리브가 후크부와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고, 후크부의 외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수용되는 궤적규제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부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므로 구조가 안정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포함하는 후크어셈블리가 장착된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A'의 확대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2c는 도 2b 상태에서 후크어셈블리가 돌출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3a는 도 1의 후크어셈블리의 돌출이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B-B 단면도
도 4a는 후크부와 인장스프링을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
도 4b는 후크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토션스프링의 설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토션스프링의 설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다른 사시도
도 7은 토션스프링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트림의 수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후크어셈블리의 돌출상태와 미돌출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0은 종래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부분의 후크부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후크어셈블리가 장착된 러기지 사이드 트림(T)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A-A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b 상태에서 후크어셈블리가 돌출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1의 후크어셈블리가 돌출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A-A 단면도이고, 도 4a는 후크부(200)와 압축스프링(600)을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4b는 후크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토션스프링(400)의 설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토션스프링(400)의 설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다른 사시도이고, 도 7은 토션스프링(4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트림(T)의 수용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후크어셈블리의 돌출상태와 미돌출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부터 도 9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차량 트림(T)에 형성된 수용부(100); 상기 수용부(100)에 수용되어 미돌출 또는 일부가 돌출되는 후크부(200); 상기 수용부(100)와 상기 후크부(200)가 이격되어 형성된 틈(500); 상기 후크부(200)와 상기 트림(T)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후크부(200)에 상기 트림(T)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600); 상기 후크부(200)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며 돌출편(330)이 형성된 회전편(300); 상기 수용부(1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 돌출시 상기 돌출편(33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70); 상기 회전편(300)과 상기 후크부(200)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편(300)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400); 상기 틈(500)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용부(100)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70)에 수용된 상기 돌출편(330)이 내측에 걸리는 걸림부(160);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 즉 후크부(200), 수용부(100)와 걸림부(160)가 형성된 트림(T), 압축스프링(600), 회전편(300), 토션스프링(400)만으로 후크부(200)의 선택적 돌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부(200)가 미사용시 비돌출형이므로 차량 내부 인테리어가 미려하다. 또한 종래 후크부(200)와 달리 이물질 삽입 및 차체가 보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부(200)와 트림(T)의 걸림이 유지되므로, 승객이 필요시 한손으로 회전편(300)을 누르고 후크부(200)를 당기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후크부(200)가 돌출 고정될 수 있어 승객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 수용부(100), 후크부(200), 회전편(300) 및 토션스프링(400)을 후크어셈블리라 한다.
한편, 상기 회전편(300)의 외측 단부가 상기 틈(500)에 위치된다. 따라서 후크부(200)를 원위치시키고 싶을 때 승객이 손가락을 틈(500)으로 넣어 회전편(300)을 누르기가 쉽다.
상기 후크부(200)의 외면에는 스토퍼(25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00)에는 상기 스토퍼(250)가 수용되는 궤적규제홈(111)이 내외측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승객이 후크부(200)를 당기면 일정 지점까지만 돌출되고, 전방을 향해 똑바로 돌출되도록 후크부(200)의 궤적이 규제된다. 따라서 승객이 후크부(200)를 사용하기 편하다.
상기 트림(T)에는 상기 압축스프링(600)의 내측 단부가 지지되는 내측지지관(13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관(131)과 마주보는 상기 후크부(200)의 측편에는 상기 압축스프링(600)의 외측 단부가 지지되는 외측지지관(270)이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600)이 상기 후크부(200)와 상기 트림(T)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후크부(200)의 후술될 내측편(230)에 가린 압축스프링(600)이 승객에게 노출되지 않아 압축스프링(600)에 손가락이나 옷이 끼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적고, 압축스프링(600)이 후크부(200)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승객이 다칠 위험성이 적다.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상기 후크부(200)의 하면과 상기 회전편(300) 사이에 배치된다.
후크부(200)가 당겨져 트림(T)으로부터 돌출되다가 도 3b의 도시처럼 회전편(300)의 후술될 돌출편(330)이 걸림부(160)의 외측에 배치될 때, 토션스프링(400)의 탄성력이 회전편(300)에 작용하고 있으므로 돌출편(330)과 걸림부(160)간에 걸림이 유지되어 후크부(200)가 트림(T)에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 수용부(100)
상기 수용부(100)는 트림(T)의 외측판(TF)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수용부(100)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편(110), 상편(120), 내측편(130), 상편(120)과 마주보는 제1바닥편(141), 제1바닥편(141)과 연결되는 제2바닥편(142), 상기 편들에 둘러싸여 형성되어 후크부(200)가 수용되는 공간인 후크부수용공(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트림(T)을 외측에서 똑바로 볼 때 수용부(100)는 대략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되, 제2바닥편(142)에 의해 하측 일부가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양측편(110)에는 상기 궤적규제홈(111)이 형성된다.
제2바닥편(142)은 제1바닥편(141) 중앙이 하측으로 움푹 파여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60)는 제1바닥편(141) 중앙의 외측 단부에 위치된다.
걸림부(160)는 제1바닥편(141)과 제2바닥편(142)에 일체로 형성되며 판 형상이다.
걸림부(160)는 상기 수용홈(170)과 제2바닥편(142)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수용홈(170)은 돌출편수용홈(170)이라고도 한다.
수용부(100)를 정면으로 볼 때 돌출편수용홈(170)은 내측지지관(131)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다.
제2바닥편(142)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부(200)와 제2바닥편(142) 사이의 틈(500)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커져 승객이 손가락을 넣기가 좋다.
후크부(200)가 상하좌우를 제외한 내외측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궤적규제홈(111)은 상측이나 하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내외방향으로 나란하되, 내외방향 길이가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후크부(200)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도록 궤적규제홈(111)의 폭은 스토퍼(250)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제1바닥편(141), 구체적으로 걸림부(160)와 내측편(130) 사이에 상기 돌출편수용홈(170)이 형성된다.
도 2b와 같이 후크부(200)가 미돌출된 상태일 때 돌출편(330)이 돌출편수용홈(170)에 수용됨으로써 걸림부(160)에 걸린다.
도 2b, 도 3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수용홈(170)은 제1바닥편(14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 후크부(200)
후크부(200)는 트림(T)의 외측판(TF)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외측편(210), 외측편(210)의 양측에 연결된 양측편(220), 양측편(220)의 후측에 연결된 내측편(230), 외측편(210)과 내측편(230)에 연결되어 내외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배치된 연결편(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후크부(200)의 외측편(210) 하단은 제2바닥편(142)과 이격되고, 연결편(240)은 외측편(21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며, 회전편(300)에 둘러싸여 상기 틈(500)이 형성된다.
연결편(240)은 외측편(210) 및 내측편(230)의 중앙보다 다소 하측에 연결된다.
한편, 연결편(240)과 내측편(230)이 연결되는 모서리에는 상기 외측지지관(270)이 돌출 형성된다.
외측지지관(270)은 압축스프링(600)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면(271), 지지면(271)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외관(273), 지지면(271)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내관(275), 외관(273)과 내관(275)이 이격되어 형성된 압축스프링(600)이 수용되는 공간(도면부호 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압축스프링(600)의 내측이 지지되는 내측지지관(131)은 수용부(100)의 내측편(130)에 형성된다.
내측지지관(131)은 내측편(130)에서 외측지지관(27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압축스프링(600)은 후크부(200)와 수용부(100)의 내측편(130) 사이에 위치되되 길이가 내외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외관(273)과 상기 내관(275) 사이에 외측이 삽입되어 지지면(271)에 지지된다.
한편, 도 2b와 같이 후크어셈블리가 원위치된 상태, 즉 후크부(200)가 미돌출된 상태에서 내측지지관(131)이 후크부(200)와 접촉되지 않도록 압축스프링(600)의 길이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후크부(200)가 원위치될 때마다 내측지지관(131)과 접촉되면 내측지지관(131)이나 후크부(200)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후크부(200)의 양측편(220)의 겉면에는 내외방향으로 길이가 긴 리브(221)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221)는 상기 후크부(200)와 상기 수용부(10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후크부(200)가 내외측으로 왕복할 때 양측으로의 흔들림이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250)는 대략 원통 형상이되, 후크부(200)를 도 4(a)와 같이 상측에서 보거나 하측에서 똑바로 볼 때 내측 단부에 경사면(251)을 갖는다.
상기 경사면(251)은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이웃하는 수용부(100)의 양측편(110)으로 경사진 형상이다. 따라서 후크부(200)가 원위치될 때 궤적규제홈(111)을 형성하는 면과의 충돌시 충격이 적다.
--- 회전편(300)
상기 회전편(300)은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311)이 후크부(200)의 양측편(220)에 형성된 홈(223)에 삽입됨으로써 후크부(200)에 대해 힌지식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편(300)은 베이스, 베이스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돌출편(330),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토션스프링(400)의 일단이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된 끼움돌기(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후크어셈블리에는 토션스프링(400)이 위치될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2b, 3b, 4b,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상기 힌지축(311)이 형성된 제1베이스(310)편, 제1베이스(310)편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편(330)이 형성된 제2베이스(320)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후크부(200)의 연결편(240) 하면에 스프링수용홈(260)이 형성된다.
후크부(200)가 미돌출 상태 및 돌출 상태일 때 제2베이스(320)편은 후크부(200)의 하면과 대략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편(300) 중에서 후크부(200)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돌출편(330)밖에 없으므로, 도 2b, 도 3b와 같이 돌출편(330)이 걸림부(160)와 걸린 상태에서 돌출편(330)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후크부(200)가 원위치로 돌아오거나 후크부(200)를 돌출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작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돌출편(330)은 베이스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31), 후크부(200)가 미돌출상태에서 돌출상태가 되거나 돌출상태에서 미돌출상태가 되는 과정에서 걸림부(160)와 접촉 또는 걸림부(160)의 상측을 지나는 하면(333), 하면(333)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걸림면(3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b 같이 후크부(200)가 돌출되거나 도 2b와 같은 상태에서 후크부(200)를 돌출시켜야 할 때, 승객이 손가락으로 회전편(300)을 쉽게 누를 수 있도록 회전편(300)은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회전편(300)은 상기 틈(500)에 외측 단부가 위치될 정도의 길이가 바람직하다.
도 3b와 같이 후크부(200)가 돌출되어 돌출편(330)이 걸림부(160)를 지나친 후에 후크부(200)에 당김힘이 제거되면, 압축스프링(600)에 의해 후크부(200)가 내측으로 다시 당겨지면서 경사면(331)이 걸림부(160)의 외측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돌출편(330)이 걸림부(160)에 걸리므로, 후크부(200)는 내측으로 당겨지지 않고 돌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후크부(200)의 양측편(220) 중 하나의 측편에는 토션스프링(400)의 타단이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된다. 상기 하나의 측편은 도 4b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좌측편이다.
--- 토션스프링(400)
도 7에 도시된 토션스프링(400)은 코일부(410), 코일부(410)의 양측에 연장된 일측과 타측을 포함한다.
토션스프링(400)의 일측은 외측으로 연장된 제1외측연장부(411), 제1외측연장부(411)에서 절곡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 후크부(200)의 상기 끼움돌기(340)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413)로 이루어진다.
토션스프링(400)의 타측은 외측으로 연장된 제2외측연장부(421), 제2외측연장부(421)에서 절곡되어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끼움홀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423)로 이루어진다.
도 2b와 같이 후크부(200)를 측부에서 볼 때 토션스프링(400)의 일측은 토션스프링(400)의 타측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토션스프링(400)의 코일부(410) 일부와 제2외측연장부(421) 일부는 스프링수용홈(260)에 수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3a의 도시와 같이 미돌출된 후크부(200)를 도 3b의 도시와 같이 돌출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3b는 후크부(200)가 돌출이 완료되어 후크로써 사용이 가능한 상태이다.
우선, 도 2b의 상태에서 승객이 틈(500)에 손가락 등을 집어 넣어 회전편(30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해 상측으로 회전시키고 후크부(200)의 외측편(210) 하단을 잡고 외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한다. 이때 당기는 힘에 의해 압축스프링(600)이 인장되면서 후크어셈블리가 외측으로 돌출되기 시작한다. 이후, 어느 시점에 돌출편(330)이 걸림부(160)보다 외측에 위치되면 토션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편(300)이 하측으로 회전되어 돌출편(330)이 걸림부(160)의 외측에 걸린다.
이후, 후크부(200)에 가해진 당김힘이 제거되더라도 토션스프링(400)의 탄성력이 회전편(300)을 걸림부(160) 방향으로 누르고 있으므로, 돌출편(330)과 걸림부(160)간에 걸림이 해제되지 않아 후크어셈블리가 원위치로 돌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부(100)에서 돌출된 후크부(200)를 후크로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반대로 도 3b의 도시와 같이 돌출된 후크부(200)를 도 2b의 도시와 같이 미돌출 상태로 원위치시키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3b의 상태에서 승객이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회전편(300)을 상측으로, 즉 토션스프링(400)의 탄성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토션스프링(400)이 비틀리면서 회전편(300)이 상측으로 회전하고 돌출편(330)은 걸림부(160)에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압축스프링(600)의 복원되려는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진 후크어셈블리가 수용부(100) 내측으로 수용되어 도 2b와 같이 수용부(100)에서 미돌출된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수용부 111 : 궤적규제홈
131 : 내측지지관 160 : 걸림부
200 : 후크부 221 : 리브
250 : 스토퍼 270 : 외측지지관
300 : 회전편 330 : 돌출편
331 : 경사면 333 : 하면
340 : 끼움돌기 400 : 토션스프링
413 : 제1끼움부 423 : 제2끼움부
500 : 틈 600 : 인장스프링
T : 러기지 사이드 트림 TF : 외측판

Claims (7)

  1. 차량 트림에 형성된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미돌출 또는 일부가 돌출되는 후크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후크부가 이격되어 형성된 틈;
    상기 후크부와 상기 수용부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후크부에 상기 트림의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후크부에 힌지방식으로 연결되며 돌출편이 형성된 회전편;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 돌출시 상기 돌출편이 수용되는 수용홈;
    상기 회전편과 상기 후크부에 양측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편에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돌출편이 내측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편의 외측이 상기 틈에 배치되는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외측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수용되는 궤적규제홈이 내외측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림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내측 단부가 지지되는 내측지지관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관과 마주보는 상기 후크부의 측편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외측 단부가 지지되는 외측지지관이 형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이 상기 후크부와 상기 트림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후크부의 하면과 상기 회전편 사이에 배치되는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의 외측 단부가 상기 틈에 위치되는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의 양측에 내외방향으로 길이가 긴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후크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는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편이 상기 걸림부의 내측에 걸린 위치일 때 상기 베이스의 외측이상기 틈에 배치되는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KR1020190136227A 2019-10-30 2019-10-30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KR102265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227A KR102265701B1 (ko) 2019-10-30 2019-10-30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227A KR102265701B1 (ko) 2019-10-30 2019-10-30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235A KR20210051235A (ko) 2021-05-10
KR102265701B1 true KR102265701B1 (ko) 2021-06-16

Family

ID=7591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227A KR102265701B1 (ko) 2019-10-30 2019-10-30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7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404Y1 (ko) * 1996-12-02 1999-05-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옷걸이 장치
KR100568677B1 (ko) * 2004-04-08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방식의 쇼핑백 걸이 구조
KR20060014707A (ko) * 2004-08-12 2006-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객보호용 시트백 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235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465B2 (en) Vehicle hood structure
US20020029437A1 (en) Handle structure of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US7748782B2 (en) Tilt adjustment mechanism for child safety seat
EP1624139A2 (en) Door handle device
KR101439006B1 (ko) 차량용 도어트림과 풀핸들의 연결장치
KR102265701B1 (ko)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KR20120009188A (ko)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장치
KR102257777B1 (ko)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KR10098066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CN112810509A (zh) 侧撞保护连动机构及安全座椅底座
KR100992548B1 (ko) 후크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접이식핸들
KR20050120108A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기구
KR100323844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KR920003930Y1 (ko) 자동차의 옷걸이 장치
KR200227359Y1 (ko) 포켓형컵홀더
KR100535580B1 (ko) 선셰이드 장착구조
CN213698609U (zh) 一种安全锤
KR101181444B1 (ko) 차량의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버클장치
KR200287151Y1 (ko) 옷걸이용 홀더의 버튼구조
KR102138322B1 (ko) 테더 클립
KR100219948B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힌지구조
KR0117347Y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백의 잠금장치
KR200146223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스토퍼
JP3242091B2 (ja) 蓋開閉装置
KR100992542B1 (ko) 화물차량의 게이트 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