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665B1 - 차량용 컵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665B1
KR100980665B1 KR1020080108793A KR20080108793A KR100980665B1 KR 100980665 B1 KR100980665 B1 KR 100980665B1 KR 1020080108793 A KR1020080108793 A KR 1020080108793A KR 20080108793 A KR20080108793 A KR 20080108793A KR 100980665 B1 KR100980665 B1 KR 100980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up holder
flap
vehicle
elast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801A (ko
Inventor
김주하
박동진
천진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6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마련된 컵홀더를 개선하여 컵의 크기에 따라 플랩을 선택적으로 돌출 시키며 물건의 수납 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컵홀더가 형성된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100)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유동체(200)와; 상기 유동체(200)의 상승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저항수단(300)과; 상기 유동체(200)와 고정체(10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유동체(200)의 하강에 따라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돌출 되는 플랩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컵홀더에 대한 외관미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컵홀더, 탄성체, 플랩, 로크, 후크, 슬롯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 장치{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마련된 컵홀더를 개선하여 컵의 크기에 따라 플랩을 선택적으로 돌출 시키며 물건의 수납 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컵홀더에 대한 외관미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편의장치 중 하나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 사이드패널, 콘솔박스 등 탑승객의 사용이 용이한 위치에 마련되어, 탑승객이 차량 주행 중 컵이나 음료용기를 일시적으로 거치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커버(10), 컵홀더(20), 그리고 핑거(30)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컵홀더(20)는 컵이나 음료용기 등을 거치 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컵홀더(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1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컵홀더(20) 내에 거치 된 컵이나 음료용기 등을 탄력적으로 잡아주어 유동을 방지하는 다수의 핑거(30)가 방사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컵홀더(20) 내에 거치 된 컵이나 음료용기의 직경에 따라 상기 핑거(30)가 탄력적으로 돌출 되면서 그 외주면을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즉, 도 2의 (a)와 같이 비교적 작은 직경의 컵을 컵홀더(20)에 거치 시킬 경우 핑거(30)의 돌출량이 커지는 반면, 도 2의 (b)와 같이 비교적 큰 직경의 컵을 컵홀더(20)에 거치 시킬 경우 핑거(30)의 돌출량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컵이나 음료용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핑거(30)가 항상 돌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는 이로 하여금 외관미를 저감시키고, 이러한 컵홀더(20)에 물건을 수납할 경우 핑거(30)에 걸리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저하시킨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마련된 컵홀더를 개선하여 컵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플랩을 선택적으로 돌출 시킬 수 있어, 컵홀더에 대한 외관미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각종 물건의 수납 시 걸림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컵홀더가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의 상승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저항수단과; 상기 유동체와 고정체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유동체의 하강에 따라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돌출 되는 플랩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유동체의 내주면이 상하로 안내되며, 상기 고정체 및 상기 유동체에는 각각 단턱이 형성되어 이 단턱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메인 탄성체가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유동체에 형성된 후크와, 가이드 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로크와,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하는 수평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하는 경사 슬롯이 형성된 푸시버튼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푸시버튼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로크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후크와 상기 로크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크에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랩수단은 상하 이분 형성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그 상단이 상기 유동체에 회동 가능한 동시에 상하로 안내되는 상부 플랩과, 그 하단이 상기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플랩과, 상기 상부 플랩 또는 상기 하부 플랩을 안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플랩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유동체에는 상기 상부 플랩의 상단을 수용하는 U자형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에 마련된 컵홀더를 개선하여 컵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플랩을 선택적으로 돌출 시킬 수 있어, 컵홀더에 대한 외관미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각종 물건의 수납 시 걸림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저항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저항수단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직경의 컵 또는 음료용기를 거치 시킬 경우 유동체(200)를 누름에 따라 플랩수단(400)이 접히면서 컵홀더의 안쪽으로 탄력적으로 돌출 되며, 비교적 큰 직경의 컵 또는 음료용기를 거치 시킬 경우 저항수단(300)을 해제시킴에 따라 플랩수단(400)이 펴지면서 들어가는 것으로, 제품의 외관미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고정체(100), 유동체(200), 저항수단(300), 그리고 플랩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고정체(100)는 중앙에 컵이나 음료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있는 원통형상의 컵홀더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두 개가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고정체(100)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차체에 고정된다.
그리고, 유동체(200)의 상면에는 상기 컵홀더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저면에는 상기 고정체(100)에 형성된 컵홀더의 외경보다 다소 큰 직경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동체(200)는 상기 고정체(100)로부터 일정 높이 승강이 가능한 형태를 이루며, 상기 유동체(200)와 고정체(100)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별도로 부가하여, 상기 유동체(200)가 상기 고정체(100)로부터 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저항수단(300)은 상기 고정체(100)로부터 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상기 유동체(200)의 상승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상기 유동체(200)를 눌러 하강시켰을 때 상기 저항수단(300)에 의해 상기 유동체(200)가 하강한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며, 이 저항수단(300)을 해제시킴에 따라 상기 유동체(200)가 해제되어 탄력적으로 상승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플랩수단(400)은 상기 유동체(200)와 상기 고정체(1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체(200)의 하강에 따라 컵홀더의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돌출 되었다가, 상기 유동체(200)의 상승에 따라 컵홀더의 내벽 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컵홀더의 내경과 거의 비슷한 외경을 갖는 컵이나 음료용기의 경우에는 컵홀더에 거치 된 상태에서 유동이 미비하게 발생하게 되지만, 컵홀더의 내경에 비하여 작은 외경을 갖는 컵이나 음료용기에 대해서는 상기 플랩수단(400)이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컵이나 음료용기를 컵홀더에 거치 시킬 경우에는 유동체(200)를 눌러 저항수단(300)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킴에 따라 플랩수단(400)이 컵홀더의 안쪽으로 돌출 되며 컵 이나 음료용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저항수단(300)을 해제시킴에 따라 플랩수단(400)이 컵홀더의 내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됨으로써 외관미의 저하나 걸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을 지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유동체(200)의 내주면이 상하로 안내되며, 상기 고정체(100) 및 상기 유동체(200)에는 도 6과 같이 각각 단턱(110)(210)이 형성되어 이 단턱(110)(2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메인 탄성체(500)가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즉, 상기 고정체(100)로부터 상기 유동체(200)를 탄력적으로 상승시키는 메인 탄성체(500)를 마련하되, 이 메인 탄성체(500)가 상기 고정체(100)와 상기 유동체(200) 사이의 단턱(110)(2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탄성체(5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이물질이 작동부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외관미가 떨어지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3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체(200)에 형성된 후크(310)와, 가이드 핀(32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후크(310)에 대응하는 로크(320)와, 상기 가이드 핀(321)을 안내하는 수평 슬롯(33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100)에 고정된 하우징(330)과, 상기 가이드 핀(321)을 안내하는 경사 슬롯(341)이 형성된 푸시버튼(340)과, 상기 하우징(330)으로부터 상기 푸시버튼(340)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로크 탄성체(35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저항수단(300)의 구성요소 가운데 우선, 후크(3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체(20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유동체(200)의 하단이 외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로크(320)는 상기 후크(310)에 대응하는 요소로서 상기 유동체(200)의 하강 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310)가 이 로크(320)에 걸쳐져 일시적으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로크(320)는 수평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여 컵홀더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컵홀더의 바깥쪽으로 후퇴하게 되며,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크(320)가 컵홀더로부터 바깥쪽으로 후퇴할 경우 걸쳐져 있던 후크(310)가 해제되면서 상기 유동체(200)가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크(310)와 상기 로크(320)는 도 5와 같이 각각 서로 대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310)의 하강에 따라 상기 로크(320)에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크(320)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가이드 핀(32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핀(321)은 아래에서 설명할 수평 슬롯(331)과 경사 슬롯(341) 내에서 안내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 슬롯(331)은 상기 고정체(100)에 고정된 고정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 핀(321)이 상기 수평 슬롯(331) 내에 위치하여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로크(320)는 오직 수평방향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해 진다.
이와 함께, 상기 경사 슬롯(341)은 승강 가능한 푸시버튼(340)에 형성된 것으로, 이 푸시버튼(340)을 누름에 따라 도 5의 (b)와 같이 상기 가이드 핀(321)이 경사 슬롯(341)에 의해 상기 수평 슬롯(331) 내에서 컵홀더의 바깥쪽으로 후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푸시버튼(340)은 상기 하우징(330) 내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만 안내되며, 이때, 상기 푸시버튼(340)과 하우징(330) 사이에 로크 탄성체(350)를 부가하여 상기 하우징(330)으로부터 상기 푸시버튼(340)을 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푸시버튼(340)의 상단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기 유동체(200)를 관통하여 돌출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 푸시버튼(340)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동체(200)를 누를 경우 후크(310)가 하강하면서 로크(320) 저면에 걸쳐져 고정되며, 상기 푸시버튼(340)을 누름에 따라 로크(320)가 후퇴하면서 상기 후크(310)를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랩수단(400)은 상하 이분 형성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그 상단이 상기 유동체(200)에 회동 가능한 동시에 상하로 안내되는 상부 플랩(410)과, 그 하단이 상기 고정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플랩(420)과, 상기 상부 플랩(410) 또는 상기 하부 플랩(420)을 안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플랩 탄성체(4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반대로 상부 플랩(410)이 고정체(100)에 연결되고, 하부 플 랩(420)이 유동체(200)에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랩수단(400)은 도 6과 같이 중앙이 상하로 이분된 절첩식 날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 플랩(410)의 상단은 양측으로 돌기가 돌출 되어 이 돌기가 상기 유동체(200)에 회동 가능한 동시에 상하로 안내 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체(100)의 하단 또한 양측으로 돌기가 돌출 되어 이 돌기가 상기 고정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상부 플랩(410)과 하부 플랩(420)은 서로 링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플랩(410) 또는 하부 플랩(420) 중 어느 하나가 플랩 탄성체(430)에 의하여 컵홀더의 안쪽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플랩 탄성체(430)가 상부 플랩(410)을 탄성 지지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유동체(20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플랩(410)의 상단을 수용하는 U자형 가이드슬롯(2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유동체(20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상부 플랩(410)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가이드슬롯(220)에 걸쳐져 플랩수단(400)이 평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유동체(200)가 하강한 경우에는 도 6의 (b)와 같이 상기 플랩 탄성체(430)에 의해 플랩수단(400)의 중단이 꺾이면서 컵홀더의 안쪽으로 탄력적으로 돌출 되어, 컵홀더 내에 거치 된 컵 또는 음료용기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하여 컵홀더의 직경에 비해 비교적 작은 외경을 갖는 컵 또는 음료용기를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유동체(200)를 누르면 메인 탄성체(500)에 의해 상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탄성 지지되던 상기 유동체(200)가 하강하여 후크(310)의 경사면이 저항수단(300)의 로크(320)의 경사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크(320)는 컵홀더(20)의 바깥쪽으로 밀렸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도 5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310)가 로크(320)의 저면에 걸쳐져 고정된다.
이와 함께, 플랩수단(400)은 플랩 탄성체(430)에 의하여 컵홀더의 안쪽으로 꺾여져 들어오게 됨으로써 컵 또는 음료용기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컵홀더 내에 거치 된 비교적 작은 직경의 컵이나 음료용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항수단(300)의 푸시버튼(340)을 누르게 되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버튼(340)에 형성된 경사 슬롯(341)과 하우징(330)에 형성된 수평 슬롯(331)에 로크(320)의 가이드 핀(321)이 안내되어 상기 로크(320)가 컵홀더의 바깥쪽으로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로크(320)에 걸쳐져 있던 유동체(200)의 후크(310)가 해제되면서 상기 유동체(200)는 메인 탄성체(500)에 의하여 도 6의 (a)와 같이 상방향으로 상승하며, 그 최대 상승 높이는 상기 유동체(20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220)에 플랩수단(400)의 상부 플랩(410)이 걸려 상기 플랩수단(400)이 평면으로 펴짐에 따라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상기 고정체(100)와 상기 유동체(200)가 서로 인장 스프링이 적용된 예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고정체(100)와 상기 유동체(200)가 서로 압축 스프링이 적용되어, 컵홀더가 형성된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100)를 향해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당겨지는 유동체(200)와; 상기 유동체(200)의 하강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저항수단(300)과; 상기 유동체(200)와 고정체(10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유동체(200)의 하강에 따라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돌출 되는 플랩수단(40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상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컵홀더에 비교적 작은 직경의 컵이나 음료용기를 거치 하고자 할 때에는 유동체(200)를 누름에 따라 플랩수단(400)이 탄력적으로 돌출 되어 컵 또는 음료용기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사용 시에는 저항수단(300)의 푸시버튼(340)을 눌러 유동체(200)를 상승시킴에 따라 돌출 되었던 플랩수단(400)이 컵홀더의 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됨으로써, 외관미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각종 소화물의 수납 시 걸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저항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저항수단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체 110, 210 : 단턱
200 : 유동체 220 : 가이드슬롯
300 : 저항수단 310 : 후크
320 : 로크 321 : 가이드 핀
330 : 하우징 331 : 수평 슬롯
340 : 푸시버튼 341 : 경사 슬롯
350 : 로크 탄성체 400 : 플랩수단
410 : 상부 플랩 420 : 하부 플랩
430 : 플랩 탄성체 500 : 메인 탄성체

Claims (6)

  1. 컵홀더가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로부터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의 상승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저항수단과;
    상기 유동체와 고정체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유동체의 하강에 따라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돌출 되는 플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2. 컵홀더가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향해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당겨지는 유동체와;
    상기 유동체의 하강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저항수단과;
    상기 유동체와 고정체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유동체의 하강에 따라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돌출 되는 플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유동체의 내주면이 상하로 안내되며, 상기 고정체 및 상기 유동체에는 각각 단턱이 형성되어 이 단턱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메인 탄성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유동체에 형성된 후크와, 가이드 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로크와,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하는 수평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핀을 안내하는 경사 슬롯이 형성된 푸시버튼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푸시버튼을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로크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와 상기 로크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크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수단은 상하 이분 형성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그 상단이 상기 유동체에 회동 가능한 동시에 상하로 안내되는 상부 플랩과, 그 하단이 상기 고정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플랩과, 상기 상부 플랩 또는 상기 하부 플랩을 안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플랩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에는 상기 상부 플랩의 상단을 수용하는 U자형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20080108793A 2008-11-04 2008-11-04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0980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793A KR100980665B1 (ko) 2008-11-04 2008-11-04 차량용 컵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793A KR100980665B1 (ko) 2008-11-04 2008-11-04 차량용 컵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801A KR20100049801A (ko) 2010-05-13
KR100980665B1 true KR100980665B1 (ko) 2010-09-07

Family

ID=4227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793A KR100980665B1 (ko) 2008-11-04 2008-11-04 차량용 컵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564A (ko) 2019-04-22 2020-10-30 박민우 자동차용 컵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80Y1 (ko) * 2017-11-23 2018-12-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컵홀더
CN108146313B (zh) * 2018-02-10 2024-04-26 东莞禾盈通用零部件有限公司 一种可升降杯托器
CN110217177A (zh) * 2019-07-02 2019-09-10 东莞广泽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具有物料夹紧功能的汽车储物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629A (ko) * 2005-10-10 200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홀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629A (ko) * 2005-10-10 2007-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홀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564A (ko) 2019-04-22 2020-10-30 박민우 자동차용 컵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801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5318B2 (ja) 車両のカップホルダ挿入型カップアダプタ構造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20070278372A1 (en) Cup holder
KR10098066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0600130B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20120056063A1 (en) Cup holder
JP6905559B2 (ja) 飲料容器保持装置
KR100500780B1 (ko) 컵 홀더 장치
KR101276017B1 (ko) 용기유지장치
CN108454531A (zh) 夹具安装座
KR101192467B1 (ko) 컵홀더를 갖는 차량용 콘솔박스 구조
US7641255B2 (en) Housing type cup holder for a vehicle
KR10096905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2011068173A (ja) 容器保持装置
KR101446092B1 (ko)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
KR100568745B1 (ko) 카고 스크린의 스토퍼장치
KR200286568Y1 (ko) 컵홀더
KR20090049217A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974036B1 (ko) 차량용 컵홀더
KR20070039629A (ko) 컵홀더 장치
KR102265701B1 (ko)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KR100469059B1 (ko)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KR102395177B1 (ko) 차량용 컵홀더
KR200469469Y1 (ko)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KR200198324Y1 (ko) 차량용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