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059B1 -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059B1
KR100469059B1 KR10-2002-0063919A KR20020063919A KR100469059B1 KR 100469059 B1 KR100469059 B1 KR 100469059B1 KR 20020063919 A KR20020063919 A KR 20020063919A KR 100469059 B1 KR100469059 B1 KR 10046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up
coupling
vehic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168A (ko
Inventor
배유종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0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컵 홀더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장착되는 컵 홀더의 홀더부가 컵의 상부를 받쳐주게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홀더부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하부홀더부재가 컵의 하부를 받쳐주게 하여 주행 중 컵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SUPPORTING CUP HOLDER STRUCTURE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컵 홀더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장착되는 컵 홀더의 홀더부가 컵의 상부를 받쳐주게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홀더부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하부홀더부재가 컵의 하부를 받쳐주게 하여 주행 중 컵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를 위하여 음료수 컵이나 캔을 놓아둘 수 있는 컵홀더를 차량의 중앙패널, 센터콘솔 등에 형성하거나 운전자가 별도로 비치하고 다니다가 자동차의 소정부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차량에는 중앙패널에 컵홀더를 장착한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의 중앙패널에 설치되는 오디오 외 각종 전자장치의 크기가 증대되어 전자장치의 일측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컵 홀더가 개발되는바, 도 1은 종래 컵 홀더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컵 홀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시된 도면은 선행기술인 출원번호 10-2002-38957의 개략적인 기술내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차량의 중앙패널(11)에 액정화면이 있어 텔레비전의 시청이나 비디오 시디(VCD)에 의한 영화 감상이 가능하고, 시디(CD)나 엠디(MD) 그리고 테이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리코딩이 가능한 오디오부(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중앙패널(11)의 일측에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에 컵 홀더(13)가 장착된다.
상기 컵 홀더(13)는 크게 중앙패널(11)에 삽입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슬라이딩되어 하우징(21)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도출되는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에 회동가능 하도록 고정되어 컵을 잡아주는 홀더부(23)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은 홀더부가 컵의 상부만을 고정시켜 주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컵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막아주지 못하여 컵에 들어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의 상부를 받쳐주는 홀더부와 연계되어 작동하는 하부홀더부재가 컵의 하부를 받쳐주도록 하여 컵의 안정적인 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컵홀더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컵 홀더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컵 홀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의 작동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중앙패널 13 : 컵 홀더
21 : 하우징 22 : 몸체부
23 : 홀더부 31 : 하부홀더부재
32 : 삽입부 33 : 스프링
34 : 결합부 35 : 지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중앙패널 일측에 수직으로 하우징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몸체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홀더부가 컵을 잡아주는데, 상기 각 홀더부의 일단은 몸체부에 장착된 핀 삽입부의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결합공과 연결되어 홀더부를 회동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결합핀이 관통함으로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부 한쌍 중 하나의 타단에는 고정돌기, 다른 하나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삽입돌기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컵 홀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와 연계되어 홀더부의 하방에서 양쪽으로 벌어져 컵을 지지해주는 한 쌍의 하부홀더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홀더부재는 핀 삽입부의 일직선상에 연장 배치되고 내부에 홀이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각각의 결합부에 연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결합부 및 스프링을 관통하여 이들을 몸체부에 결합시키는 결합 핀과; 상기 각각의 결합부에서 연결되어 컵 하부를 받쳐주는 지지부와; 상기 각각의 지지부 끝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 회동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의 작동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중앙패널에 설치되는 오디오 외에 각종 전자장치의 장착으로 부족한 공간의 해결을 위해 중앙패널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컵 홀더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상부에서 컵을 잡아주는 홀더부 외에 추가적으로 하부에서 컵을 지지해주는 하부홀더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주목적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의 중앙패널(11)에 오디오부(12)가 설치되고, 중앙패널(11)의 일 또는 양 끝단에 홈(미도시)을 형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13)를 장착시킨다.
상기 컵 홀더(13)는 크게 중앙패널(11)에 삽입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슬라이딩되어 하우징(21) 내부에 삽입되거나 하우징(21) 외부로 도출되는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에 회동가능 하도록 고정되어 컵을 잡아주는 홀더부(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22)에 한쌍의 홀더부(23)가 장착되는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각 홀더부(23)의 일단은 몸체부(22)에 장착된 핀 삽입부(41)의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결합공(43)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결합공(43)에는 스프링(44)이 장착되어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홀더부(23)가 수평으로 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43)과 스프링(44) 내부에 형성되는 홀에 결합핀(42)이 관통함으로 상기 부품들이 몸체부(22)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홀더부(23) 한쌍 중 하나의 타단에는 고정돌기(5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돌기(51)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삽입돌기(52)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에다가 부가적으로 한 쌍의 하부홀더부재(31)를 장착시키는데, 각각의 하부홀더부재(31) 양 끝단이 상기 홀더부(23)와 연계되어 홀더부(23)의 하방에서 양쪽으로 벌어져 컵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각각의 하부홀더부재(31)는 핀 삽입부(41)의 일직선상에 연장 배치되고 내부에 홀이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34)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결합부(34)에는 스프링(33)이 장착되는데, 이 스프링(33)은 하부홀더부재(31)가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일정 간격 벌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4) 및 스프링(33)을 관통하는 결합 핀(42)이 이들을 몸체부(22)에 결합시키고, 상기 각각의 결합부(34)에서 연결되어 안착되는 컵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지지부(35)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부(35) 끝단에 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23)의 고정돌기(51)에 삽입 회동되는 삽입부(32)가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부(35)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결합부(34)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일정거리 형성되다가 수평으로 형성된 부분에서 컵을 압착하게 되고, 다시 상방으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일정거리 형성되다가 삽입부(32)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일단, 몸체부(22)가 하우징(21)에서 전방으로 도출된 상태로 컵이나 용기를 보관하다가, 사용자가 컵 홀더(13)의 수납을 위해 몸체부(22)를 밀면, 몸체부(22)는 하우징(30) 내부로 슬라이딩되는데, 하우징(21) 내부 양측에 형성된 홀더 안내 가이드(54) 중 하향으로 굴곡 형성된 안내턱(53)이 슬라이딩되는 각각의 홀더부(23)를 눌러주어 상기 홀더부(23)가 자동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홀더부(23) 하부에 형성되는 각 하부홀더부재(31)는 홀더부(23)가 접혀짐에 따라 홀더부(23)의 압박에 의해 접혀지게 된다.
한편, 사용지가 컵 홀더(13)를 사용하고자 하여 상기 컵 홀더(13)를 잡아당겨 몸체부(22)를 하우징(21)에서 전방으로 도출시키면, 상기 홀더부(23)는 전방으로 도출되면서, 안내턱(53)에 의한 압박을 받지 않아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수평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홀더부(23)가 수평으로 펼쳐짐으로서, 외부의 힘이 사라진 하부홀더부재(31)는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간격 벌어지게 되어, 컵을 홀더부(23)에 삽입하면, 컵의 상부는 홀더부(23)가 잡아주고, 컵의 하부는 하부홀더부재(31)가 잡아주어 컵이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컵 홀더 지지구조에 의하면 컵의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도 받쳐주어 컵이 안정적으로 안착됨으로서, 차량의 고속주행이나 노면 상태 불량으로 전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컵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중앙패널 일측에 수직으로 하우징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몸체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홀더부가 컵을 잡아주는데, 상기 각 홀더부의 일단은 몸체부에 장착된 핀 삽입부의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결합공과 연결되어 홀더부를 회동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결합핀이 관통함으로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부 한쌍 중 하나의 타단에는 고정돌기, 다른 하나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삽입돌기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컵 홀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와 연계되어 홀더부의 하방에서 양쪽으로 벌어져 컵을 지지해주는 한 쌍의 하부홀더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부재는 핀 삽입부의 일직선상에 연장 배치되고 내부에 홀이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각각의 결합부에 연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결합부 및 스프링을 관통하여 이들을 몸체부에 결합시키는 결합 핀과;
    상기 각각의 결합부에서 연결되어 컵 하부를 받쳐주는 지지부와;
    상기 각각의 지지부 끝단에 형성되고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 회동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 지지구조.
KR10-2002-0063919A 2002-10-18 2002-10-18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KR10046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19A KR100469059B1 (ko) 2002-10-18 2002-10-18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19A KR100469059B1 (ko) 2002-10-18 2002-10-18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68A KR20040035168A (ko) 2004-04-29
KR100469059B1 true KR100469059B1 (ko) 2005-02-02

Family

ID=3733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919A KR100469059B1 (ko) 2002-10-18 2002-10-18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5101B (zh) * 2014-09-25 2016-12-07 重庆麦斯特精密机械有限公司 微耕机水杯锁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68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JP3887615B2 (ja) 飲料容器のためのホルダ
JP4895550B2 (ja) 自動車用飲料容器ホルダー
US20100090079A1 (en) Cupholder for an automobile
KR100469059B1 (ko) 차량용 컵 홀더 지지 구조
KR100483270B1 (ko) 차량용 컵 홀더구조
KR10074735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98066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380355B1 (ko) 컵 홀더의 컵 지지장치
KR200286568Y1 (ko) 컵홀더
KR200141417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0153197B1 (ko) 자동차용 음료수 홀더 어셈블리
KR10046651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어셈블리
KR102395177B1 (ko) 차량용 컵홀더
KR20050053405A (ko) 차량의 센터콘솔 컵홀더
KR0132242Y1 (ko) 컵받이가 내장된 자동차용 글러브박스
KR100461800B1 (ko) 차량용 카드 홀더구조
KR0116322Y1 (ko) 콘솔박스에서의 컵홀더구조
KR0125516Y1 (ko) 자동차의 원터치 동전함
KR100214990B1 (ko) 차량용 드링크 홀더
KR100212457B1 (ko) 컵 홀더를 설치한 콘솔
KR19980068295U (ko) 승용차용 컵 홀더 구조
KR0173568B1 (ko) 컵 홀더
KR200318675Y1 (ko) 자동차용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