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469Y1 -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469Y1
KR200469469Y1 KR2020080017122U KR20080017122U KR200469469Y1 KR 200469469 Y1 KR200469469 Y1 KR 200469469Y1 KR 2020080017122 U KR2020080017122 U KR 2020080017122U KR 20080017122 U KR20080017122 U KR 20080017122U KR 200469469 Y1 KR200469469 Y1 KR 200469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or
button
ca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787U (ko
Inventor
구장환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7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46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7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7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4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25Small compartments, e.g.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택터와 접촉하는 터미널 단자의 끝단부위를 절곡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구성을 통해 컨택터와 터미널 단자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접촉 노이즈가 감소되며, 컨택터와 터미널 단자가 각각 버튼과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작업 공정이 단순해지고 구성 부품수가 감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불량률이 감소하는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글로브 램프, 컨택터, 터미널 단자, 접촉 노이즈

Description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Glove Lamp Switch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택터와 접촉하는 터미널 단자의 끝단부위를 절곡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구성을 통해 컨택터와 터미널 단자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접촉 노이즈가 감소되며, 컨택터와 터미널 단자가 각각 버튼과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작업 공정이 단순해지고 구성 부품수가 감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불량률이 감소하는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는 운전자 및 승객의 간단한 소지품이나 비상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차량 실내에 구비된 것으로, 차량의 각종 계기판 등이 장착되는 크러쉬 패드의 일측인 조수석 전방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글로브 박스는 크러쉬 패드의 하부 측에 힌지 결합되어 크러쉬 패드 내측으로 글로브 박스에 의한 수납 공간이 위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글로브 박스의 수납 공간에 지도, 책, 또는 기타 물품 등이 수납되는 데, 수납 공간은 크러쉬 패드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므로 수납 공간은 어두우며 특히 야간에는 차량 실내등을 켜더라도 글로브 박스 내부 수납 공간을 환하게 비추기 어려우므로 이를 위해 글로브 박스 내측에 별도의 램프가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브 박스에 장착되는 램프는 일반적으로 글로브 박스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램프를 온/오프 동작시키도록 글로브 램프 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러한 글로브 램프 스위치는 보통 푸시 버튼 형태로 구성되어 글로브 박스가 개방되면 램프가 켜지도록 작동하고 글로브 박스가 폐쇄되면 램프가 꺼지도록 작동한다. 즉, 글로브 램프 스위치는 글로브 박스가 폐쇄되며 크러쉬 패드와 접촉하는 부위에 푸시 버튼이 위치하도록 장착되며, 이에 따라 글로브 박스가 폐쇄되면 글로브 박스에 의해 푸시 버튼이 압착되며 접점 연결이 차단되어 램프가 오프되고, 글로브 박스가 크러쉬 패드로부터 이탈되며 개방되면 푸시 버튼이 압착 해제되고 접점이 연결되어 램프가 온 상태로 된다.
이러한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에 상하 탄성 이동 가능한 버튼이 장착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버튼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도록 컨택터가 결합되며 이러한 컨택터와 접점 연결 및 연결 해제되도록 램프 및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가 결합된다. 또한,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라 버튼의 결합 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스프링이 장착되며, 또한 버튼의 탄성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스프링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는 그 구성 부품 수가 많고 내부 구조가 복잡하며, 수작업에 의해 조립되고 있으므로 구 성 부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복잡한 이러한 스위치 장치는 그 조립 작업이 매우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부 구성 부품을 일체화함으로써 결합 작업 공정이 감소되어 조립 작업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며 불량률이 감소되는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가 동작하며 스위치 접점이 컨택터에 의해 접촉될 때의 소음이 방지되어 쾌적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는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 편의, 즉 탄성 지지되는 버튼; 상기 버튼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버튼 스프링; 상기 버튼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과 일체로 이동하는 컨택터; 및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컨택터와 접촉 해제되고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면 상기 컨택터와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컨택터와 접촉되는 부위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컨택터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단이 상기 터미널 단자의 경사진 부위에 선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터는 양측단부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단자의 경사진 부위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터 또는 상기 터미널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컨택터와 상기 터미널 단자의 상호 접촉 지점과 인접한 위치에 충격 흡수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터는 상기 버튼에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컨택터와 접촉하는 터미널 단자의 끝단부위를 절곡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구성을 통해 컨택터와 터미널 단자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접촉 노이즈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택터와 터미널 단자가 각각 버튼과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작업 공정이 단순해지고 구성 부품수가 감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불량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의 외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의 일측면을 관통하며 누름 동작되는 버튼(200)과,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되어 버튼(200)과 일체로 이동하는 컨택터(300)와, 컨택터(300)와 접촉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500)와, 버튼(200)의 탄성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버튼 스프링(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덮개(120)로 분리 형성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스 본체(110)에 상기 버튼(200) 등의 구성 부품이 장착된 상태에서 케이스 덮개(120)가 케이스 본체(11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며 내부 공간을 보호하고 구성 부품이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00)이 관통되며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평판부와 평판부에 연결되며 내부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10)에는 스위치 장치가 차량에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면에 고정 클립(13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클립(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양측면에 경사지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하며 차체의 패널 등에 형성된 고정홀(미도시) 등에 맞물림되며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 클립(130)의 절곡된 선단부에는 차체 패널 등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요철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버튼(200)은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케이스(100)의 일측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데, 버튼(200)이 외부로부터 일정 가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면 케이스(100) 내부로 탄성 삽입되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케이스(100) 외부로 관통 돌출되며 탄성 복귀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버튼(200)은 일부가 케이스(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 편의, 즉 탄성 지지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이와 같이 버튼(200)을 케이스(100) 외부로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버튼 스프링(400)이 장착된다. 버튼 스프링(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케이스(100)의 내벽에 장착되는 립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버튼(200)과 버튼 스프링(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00)이 일정한 방향으로 탄성 이동될 수 있도록 버튼(200)이 버튼 스프링(400)에 삽입되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버튼(200)의 하단부에는 버튼 스프링(400)의 내경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부(210)가 버튼 스프링(400)의 내경에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 스프링(400)이 케이스(100) 내부에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케이스(100) 내부에는 버튼 스프링(400)이 안착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튼 스프링(400)의 탄성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버튼(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의 반대쪽 부분의 끝단부에 즉, 전술한 돌출부(210)에 버튼(200)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컨택터(300)가 결합된다. 컨택터(300)는 버튼(200)의 돌출부(210)에 의해 중심부가 관통된 형태로 결합되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돌출부(210)에 삽입된 버튼 스프링(400)은 컨택터(300)에 의해 삽입 깊이가 제한되며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버튼(200)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컨택터(300)는 케이스(100) 내부에서 버튼(200)과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데, 컨택터(300)는 상하 이동하며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된 터미널 단자(500)와 접촉 및 접촉 해제된다. 즉,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터미널 단자(500)와 컨택터(300)는, 버튼(200)이 케이스(100)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면 컨택터(300)와 터미널 단자(500)는 접촉 해제되고 버튼(200)이 케이스(100) 외측 방향으로 다시 탄성 지지되어 복귀되면 컨택터(300)와 터미널 단자(500)는 다시 접촉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케이스(100)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터미널 단자(500)가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 장착되는데, 이때, 터미널 단자(500)가 외부로 돌출되며 관통하는 케이스(100)의 일측면은 버튼(200)이 외부로 돌출되며 관통하는 케이스(100)의 일측면과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터미널 단자(500)의 외부로 돌출된 부위가 전선을 통해 램프 및 전원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장착되는 2개의 터미널 단자(500)는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2개의 터미널 단자(500)의 사이에 상하 이동하는 컨택터(300)가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한 터미널 단자(500)의 끝단부는 각각 컨택터(300)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2개의 터미널 단자(500)는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2개의 터미널 단자(500) 사이에 버튼(200)과 함께 상하 이동하는 컨택터(300)가 위치되며, 컨택터(300)는 터미널 단자(500)가 평행한 부분에서는 터미널 단자(500)와 접촉되지 않고 끝단부의 절곡된 부위에서 2개의 터미널 단자(500)와 모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가 작동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전술한 터미널 단자(500)와 컨택터(300)의 구조에 따라 2개의 터미널 단자(500)는 스위치 장치 내에서 고정 접점으로 기능하고 하나의 컨택터(300)는 가동 접점으로 기능하는데, 1개의 터미널 단자(500)에는 전원 단자(미도시)가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터미널 단자(500)에는 램프(미도시)가 전선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서로 이격되게 장착되는 2개의 터미널 단자(500)가 케이스(100) 내부에서 컨택터(300)와 접촉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전원 단자로부터 터미널 단자(500) 및 컨택터(300)를 통해 전류가 공급되어 램프가 온 상태가 되며, 컨택터(300)와 터미널 단자(500)가 접촉 해제되면 2개의 터미널 단자(5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전원 단자로부터 램프로의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램프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때, 컨택터(300)가 터미널 단자(500)와 접촉되는 상태는 도 2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터(300)가 상향 이동한 상태이고 이는 버튼(200)이 버튼 스프링(400)에 의해 케이스(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램프가 온 상태가 되고, 반대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00)이 외부로부터 가압되며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되면 컨택터(300)는 하향 이동하며 터미널 단자(500)와 접촉 해제되고 이에 따라 전류가 차단되어 램프는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글로브 박스가 차체의 패널 등에 폐쇄되며 스위치 장치의 버튼(200)이 가압되면 램프가 오프 상태로 되고, 글로브 박스가 차체의 패널 등으로부터 개방되어 스위치 장치의 버튼(200)이 가압 해제되면 램프가 온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500) 끝단부의 절곡된 부위인 탄성 절곡부(510)는 절곡된 형태의 특성상 컨택터(300)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이 발생하며 충격이 흡수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컨택터(300)가 버튼 스프링(400)에 의해 버튼(200)과 함께 탄성 지지되며 상향 이동할 때, 터미널 단자(500)의 탄성 절곡부(510)는 컨택터(300)의 상향 이동에 대한 제한을 가하며 컨택터(300)와 접촉하는데, 이 경우 탄성 절곡부(510)는 절곡 형성되는 형태의 특성상 탄성력을 내재하여 컨택터(300)의 상향 이동력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컨택터(300)와 터미널 단자(500)의 접촉시에 발생되는 접촉 노이즈는 이와 같은 탄성 절곡부(510)의 충격 흡수 기능을 통해 현저히 감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는 별도의 충격 흡수 장치가 없이 단순한 구조를 통해 컨택터(300)와 터미널 단자(500)와의 접촉 노이즈가 제거되어 스위치 동작시에 발생되는 소음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한편, 이 경우 컨택터(300)와 터미널 단자(500)의 탄성 절곡부(5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터(300)와 터미널 단자(500)의 접촉 지점과 인접한 위치에 별도의 충격 흡수재(600)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충격 흡수재(600)를 별도로 컨택터(300) 또는 터미널 단자(500)에 부착함으로써, 탄성 절곡부(510)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한 소음 방지 기능에 더하여 보조적으로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충격 흡수재(600)는 스티로폼 또는 실리콘과 같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다양하게 형 성될 수 있으며, 컨택터(300) 또는 탄성 절곡부(510)에 부착되는 방식은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거나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부착이 용이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터미널 단자(500)의 탄성 절곡부(510)의 내측면에 선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한 평판형 구조를 통해 컨택터(30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컨택터(300)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단자(500)에 접촉되는 부위인 양측단부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컨택터(300)의 양측단부가 절곡되어 컨택터 절곡부(310)가 형성되고, 이때 컨택터 절곡부(310)의 경사 각도는 터미널 단자(500)의 탄성 절곡부(510)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컨택터(300)가 컨택터 절곡부(310)를 통해 터미널 단자(500)의 탄성 절곡부(510)와 면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택터(300)와 터미널 단자(500)가 면접촉하는 방식으로 서로 접촉되면, 컨택터(300)와 터미널 단자(500)의 결합시에 발생하는 소음은 선접촉에 비해 더욱 감소될 수 있으며 또한 면접촉에 따라 터미널 단자(500)와 컨택터(300)의 물리적 접촉력 및 전기적 접촉력이 강화되어 스위치 장치에 변형 또는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램프에 대한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고 원활하게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터(300)는 버튼(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데, 컨택터(300)가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버튼(200)에 일체로 결 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컨택터(300)와 버튼(200)에 대한 별도의 결합 작업이 없이도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스위치 장치의 조립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단자(500) 또한 케이스(100)의 일측에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마찬가지로 터미널 단자(500)와 케이스(100)에 대한 별도의 결합 작업이 불필요하여 스위치 장치의 조립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의 외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200: 버튼
300: 컨택터 400: 버튼 스프링
500: 터미널 단자 600: 충격 흡수재

Claims (6)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버튼; 상기 버튼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버튼 스프링; 상기 버튼의 일측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과 일체로 이동하는 컨택터; 및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컨택터와 접촉 해제되고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면 상기 컨택터와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컨택터와 접촉되는 부위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컨택터 또는 상기 터미널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컨택터와 상기 터미널 단자의 상호 접촉 지점과 인접한 위치에 충격 흡수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단이 상기 터미널 단자의 경사진 부위에 선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양측단부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단자의 경사진 부위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는 상기 버튼에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상기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KR2020080017122U 2008-12-24 2008-12-24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KR200469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22U KR200469469Y1 (ko) 2008-12-24 2008-12-24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22U KR200469469Y1 (ko) 2008-12-24 2008-12-24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87U KR20100006787U (ko) 2010-07-02
KR200469469Y1 true KR200469469Y1 (ko) 2013-10-14

Family

ID=4445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122U KR200469469Y1 (ko) 2008-12-24 2008-12-24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4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2153A (zh) * 2018-04-20 2018-07-13 安吉县安信信息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力检修的多功能手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387A (ja) * 1996-05-29 1997-12-12 Niles Parts Co Ltd プッシュロックスイッチ装置
KR200319309Y1 (ko) * 2003-04-15 2003-07-07 파츠닉(주) 자동차용 파킹포지션스위치
KR100604653B1 (ko) * 2005-06-15 2006-07-25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푸쉬스위치 승강 구조
KR100838360B1 (ko) 2007-02-13 2008-06-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387A (ja) * 1996-05-29 1997-12-12 Niles Parts Co Ltd プッシュロックスイッチ装置
KR200319309Y1 (ko) * 2003-04-15 2003-07-07 파츠닉(주) 자동차용 파킹포지션스위치
KR100604653B1 (ko) * 2005-06-15 2006-07-25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푸쉬스위치 승강 구조
KR100838360B1 (ko) 2007-02-13 2008-06-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87U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9639B2 (en)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12530571A (ja) 自動引戻し装置および引出しガイド
KR101369672B1 (ko) 자동차용 무선 충전용 핸드폰 수납함
KR200469469Y1 (ko)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KR200391926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푸쉬버튼식 잠금장치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098066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20180061776A (ko)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US20030157830A1 (en) Connector holding structure
KR101867571B1 (ko) 차량용 도어스위치
KR102177003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3918590B2 (ja) カップホルダ
KR101844916B1 (ko) 자동차 도어 트림
KR20150002639U (ko) 컵홀더
KR100747156B1 (ko)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GB2432342A (en) Steering wheel airbag assembly including horn switch
KR20110126423A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 장치
KR0171327B1 (ko) 충격흡수 구조로된 차량용 도어스위치
KR101410813B1 (ko) 트럭의 오버헤드 콘솔
KR200446204Y1 (ko) 차량용 창문잠금 모듈스위치
KR101076498B1 (ko) 소형 스위치 구조
US20220250539A1 (en) Glove box lighting device and glove box
JPS5814127Y2 (ja) グロ−ブボツクスの照明装置
KR20100093757A (ko)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KR20170090984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