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776A -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776A
KR20180061776A KR1020160161323A KR20160161323A KR20180061776A KR 20180061776 A KR20180061776 A KR 20180061776A KR 1020160161323 A KR1020160161323 A KR 1020160161323A KR 20160161323 A KR20160161323 A KR 20160161323A KR 20180061776 A KR20180061776 A KR 20180061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nector
moving
plug device
housing
charg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877B1 (ko
Inventor
정재후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77B1/ko
Priority to US16/345,412 priority patent/US20190267758A1/en
Priority to PCT/KR2017/013850 priority patent/WO2018101748A1/ko
Publication of KR2018006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60L11/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차량 커넥터와 결합 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한다.

Description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본 실시예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차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전력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장된 배터리에 저장할 수 있는 충전수단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은, 외부의 충전스테이션과 차량의 배터리를 물리적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은, 차량 커넥터(1)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 진다. 상기 차량 커넥터(1)는 전기자동차에 장착되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는 외부의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차량 커넥터(1)는 하우징(2)의 일면에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가 끼워지는 수용홈(3)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에는, 상기 수용홈(3)에 삽입 시 상기 충전단자(4)가 끼워지는 충전 플러그(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단부 측 일부 영역이 상기 수용홈(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단자(4)와 상기 충전 플러그(5)에 결합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 접속장치에 의할 때, 상기 차량 커넥터(1)와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결합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전기자동차에는 고압의 전력에너지가 공급되므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와 상기 차량 커넥터(1)의 결합이 견고해야만 충전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외면과 상기 차량 커넥터(1)의 외면에 양자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거나,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단면적을 상기 수용홈(3)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와 상기 차량 커넥터(1)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결합력 강화 수단으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를 상기 수용홈(3)에 삽입 또는 상기 수용홈(3)으로부터 분리 시에 과도한 힘을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반복되는 충전으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와 상기 차량 커넥터(1)는 파손되기 쉽고, 이로 인해 상기 충전단자(4)와 상기 충전 플러그(5)의 수밀이 파괴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는 사용상의 편의와 충전의 안전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충전의 안전성을 담보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차량 커넥터와 결합 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입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차량 커넥터로부터 분리 시, 가입축이 바닥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커넥터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을 제외한 케이스의 내부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부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 상에서 전기자동차란,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금속연료전지 자동차, 리튬 이온 배터리 자동차, 니켈 이온 배터리 자동차 등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한 후 이를 구동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자동차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차량 커넥터의 전방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차량 커넥터의 후방은 상기 차량 커넥터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전방은 차량 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후방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방의 반대 방향, 즉 케이블이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커넥터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 장치(10)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커넥터(200)와, 충전 스테이션의 케이블 선단에 장착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상기 전기에너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차량에 장착된다.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상기 배터리로 전달된다.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차량의 외부 영역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외부 영역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커넥터(200) 전면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장착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가 구비된다. 상세히, 베이스(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가 결합되는 장착홀(22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222)에는 후술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장착부(120)가 삽입되어, 상기 장착홀(222)의 내측에 상기 장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222)의 내부에는 차량에 배치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230)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단자(230)는 후술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접속단자(124, 도 4 참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은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에 구비되는 상기 장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30)은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L)의 선단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케이스(201)의 선단, 즉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130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장착부(120)의 단면적은 상기 하우징(13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20)의 전면에는 상기 접속단자(124)가 수용되는 접속단자 수용홈(1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 상기 접속단자(124)의 형성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124)는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충전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 시, 상기 장착부(120)가 상기 장착홀(222)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상기 충전단자(130)와 상기 접속단자(1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부(120)의 단면적은 상기 장착홀(222)의 단면적에 대응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장착부(120)의 단면적을 상기 장착홀(222)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장착부(120)를 상기 장착홀(222)에 삽입하거나, 상기 장착홀(222)로부터 상기 장착부(120)를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과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0)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130a)에 형성된 노출홀(136, 도 5 참조)을 통해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연장된다. 외부로 연장된 상기 걸림부(110)의 단부에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 외주면에도 상기 걸림돌기(112)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리브(2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가 결합 시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선택적인 걸림 및 걸림 해제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0)와 상기 걸림리브(240)에 개수는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서로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가 마주하는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242, 113)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결합될 때에는, 상기 경사면(242, 113)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의 상면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110)의 단부측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돌기(112)의 배면이 상기 걸림리브(240)의 배면에 접촉되면서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분리 시,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해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을 제외한 케이스의 내부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에는 탈착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탈착모듈(300)은,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거나,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를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분리시킨다.
상세히, 상기 탈착모듈(300)은,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140)와, 상기 조작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200)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조작부(140)와, 상기 조작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140)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150) 및 상기 이동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200)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이동부(150)과 상기 걸림부(110)에 전달한다. 상세히, 상기 조작부(140)는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141)와, 상기 버튼부(14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힘 전달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141)와 상기 힘 전달부(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41)는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30)을 파지 시, 손가락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푸쉬(push)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에는 상기 버튼부(14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조작홀(133, 도 8)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부(141)가 눌러지면, 상기 버튼부(141)에 작용된 가압력이 상기 힘 전달부(142) 로 전달되어, 상기 힘 전달부(142)도 하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힘 전달부(142)는 상기 버튼부(141)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힘 전달부(142)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힘 전달부(142)는 상기 버튼부(141)에 가해진 힘을 상기 걸림부(110) 및 상기 이동부(150)에 전달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힘 전달부(142)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기 조작홀(133)에 하부 영역에 형성된 제 1 공간부(135) 상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부(135)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기 힘 전달부(14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가압축(190)은, 상기 이동부(150)와, 상기 이동부(150)와 연결되는 상기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축(190)은 일단이 상기 조작부(1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충전 플러그(200) 중 상기 충전단자(230)가 형성되는 벽면을 가입한다.
상세히, 상기 가압축(190)은, 일단이 상기 힘 전달부(142)와 상기 제1축(182)을 통해 결합되는 이동부(150)와, 상기 이동부(15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단자(230)가 형성되는 바닥면(252, 도 10참조)을 가압하는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축(182)은 상기 힘 전달부(142)의 하단과 상기 이동부(150)의 상단 중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힘 전달부(142)과 상기 이동부(15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즉, 사용자의 외력을 통해 상기 조작부(14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150)도 상기 제1축(18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60)는 일단이 제2축(184)을 통해 상기 이동부(15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60)는 실질적으로,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에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60)는 상기 힘 전달부(142) 및 상기 이동부(150)에 의해 전달된 가입력을 통해,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압부(160)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60)가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가압부(160)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160)은 일단이 상기 이동부(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측 단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부(150)이 이동되기 위한 관통홀(138, 도 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8)은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 중 상기 접속단자(124)가 수용되는 상기 접속단자 수용홈(12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120)가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에 삽입될 때, 상기 가압부(160)은 이동에 의해 상기 바닥면(252)을 가압할 수 있다. 이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가압축(19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 중 하면의 인접한 제 2 공간부(137)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37)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축(19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0)는 일단이 상기 제1축(18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30)에 형성된 상기 노출홀(136)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힘 전달부(142)가 하방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1축(182)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부(110)도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11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축(134)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축(134)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 영역 중 양 측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1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축(134)은 상기 걸림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기 제1축(18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 전달부(142)에 의해 상기 걸림부(110)의 회전 시 상기 지지축(134)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므로, 상기 제1축(182)에 결합된 일단은 하방으로 이동되고 반대편 타단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축(134)은 상기 걸림부(110)의 받침점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110)의 상면에는 탄성부재(1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하단이 상기 걸림부(1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재(170)의 결합을 위한 탄성부재 결합부(132)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7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걸림부(1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110)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세히, 걸림부(110)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장착 시,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접촉에 의해 상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170)는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130)의 하면과 상기 걸림부(1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압축되게 되고, 하방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의 상측을 통과 시 상기 걸림돌기(112)가 다시 하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140)의 푸시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 상기 걸림부(110)가 상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부재(170)에 의해 상기 조작부(140)는 하방, 즉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110)의 상기 제1축(182)에 결합되는 단부는 상기 힘 전달부(142)와 상기 이동부(15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걸림부(110)의 이동은 타 구동력 전달축(142, 15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부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도 5,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과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은, 상기 충전단자(250)와 상기 접속단자(124)의 접촉을 위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에 형성된 장착홀(222)에 상기 장착부(120)가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걸림돌기(112)의 경사면(113)과 상기 걸림리브(240)의 경사면(242)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걸림부(110)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를 통과하여 상기 걸림리브(240)의 후면에 배치되면,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11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걸림 상태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충전 시 고전압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과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이 완료된 후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이탈 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40)의 버튼부(141)을 푸쉬하게 된다. 상기 버튼부(141) 푸쉬로 인해, 상기 힘 전달부(142)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10)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지지축(134)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걸림부(110)의 상방 이동은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힘 전달부(142)의 하방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150)와 상기 가압부(160)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가압부(16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부(160)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가압부(160)의 일부 영역은 상기 관통홀(138)을 통해 외부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60)의 전방측 단부가 상기 장착홀(222)의 바닥면(252)을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60)이 상기 바닥면(252)을 밀어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장착홀(22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차량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후방으로 당기는 방식으로 외력을 가해야 했으므로, 보다 많은 힘이 들고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 장치(10)에 의하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을 상기 차량 커넥터(200)으로부터 분리 시에 상기 가압부(160)이 상기 바닥면(252)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차량 커넥터와 결합 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이동부는 제1축에 의하여 연결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가압부는 제2축에 의하여 연결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부 및 상기 조작부에 가해진 힘을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이동부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를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접속단자 수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 수용홈의 일면에는 상기 가압부가 이동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이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축은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충전단자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KR1020160161323A 2016-11-30 2016-11-30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KR102647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323A KR102647877B1 (ko) 2016-11-30 2016-11-30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US16/345,412 US20190267758A1 (en) 2016-11-30 2017-11-29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PCT/KR2017/013850 WO2018101748A1 (ko) 2016-11-30 2017-11-29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기충전장치 및 전기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323A KR102647877B1 (ko) 2016-11-30 2016-11-30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776A true KR20180061776A (ko) 2018-06-08
KR102647877B1 KR102647877B1 (ko) 2024-03-15

Family

ID=6260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323A KR102647877B1 (ko) 2016-11-30 2016-11-30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6636A (zh) * 2019-03-13 2019-06-11 友邦电气(平湖)股份有限公司 用于7kw随车交流充电桩的充电头组件
KR20200006283A (ko) 2018-07-10 2020-01-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충전 리셉터클
KR20200130913A (ko) 2019-05-13 2020-11-23 주식회사 피에스엔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 플러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712A (en) * 1993-12-28 1996-12-17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KR20140060067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JP2014216143A (ja) * 2013-04-24 2014-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接続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712A (en) * 1993-12-28 1996-12-17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KR20140060067A (ko) * 2012-11-09 2014-05-1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JP2014216143A (ja) * 2013-04-24 2014-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接続用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283A (ko) 2018-07-10 2020-01-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충전 리셉터클
CN109866636A (zh) * 2019-03-13 2019-06-11 友邦电气(平湖)股份有限公司 用于7kw随车交流充电桩的充电头组件
KR20200130913A (ko) 2019-05-13 2020-11-23 주식회사 피에스엔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877B1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67758A1 (en)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JP3164959U (ja) 収納可能なusbプラグを備える充放電装置
CN102934291B (zh) 用于插入式电连接器的连接器组件、插入式电连接器及制造的电缆
JP5711574B2 (ja) コネクタ
JP5531895B2 (ja) 充電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車輌の充電口
US20060268504A1 (en) Power tool
KR20180061776A (ko)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KR102604797B1 (ko)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전기자동차
KR101707976B1 (ko)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센싱 모듈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101483149B1 (ko)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단말기용 무선 충전 고정 장치
KR101610390B1 (ko) 전원충전 인터페이스장치
KR20130131033A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20140136392A (ko) 전기 커넥터
JP2013191288A (ja) 電池パック、電動工具、充電器、及び電動工具セット
JP3767977B2 (ja) パック電池
KR20120138407A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US8174236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JP2023031117A (ja) 携帯端末保持構造
JP2014211943A (ja) 電池ユニット
JP2002151198A (ja) 自動車の電源供給スイッチ
CA2997411C (en) Fixing device
JP2014207121A (ja) 電気接続用コネクタ
KR101801396B1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101380573B1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KR101803579B1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