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407A -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407A
KR20120138407A KR1020110057866A KR20110057866A KR20120138407A KR 20120138407 A KR20120138407 A KR 20120138407A KR 1020110057866 A KR1020110057866 A KR 1020110057866A KR 20110057866 A KR20110057866 A KR 20110057866A KR 20120138407 A KR20120138407 A KR 20120138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handle
fixing member
lever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규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8407A/ko
Publication of KR2012013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수밀성, 내구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수밀성, 내구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 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대기보존법 제정에 의하여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의무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그린카(Green car,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 및 각종 전장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배터리가 장착된다.
전기자동차(EV)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전기자동차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의 용량을 늘리는 것은 차체의 무게를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어 한번의 완충으로 전기자동차가 운행가능한 거리는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가정용 충전설비를 비롯하여 중 장거리의 운행 중 언제 어디서나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많은 충전 스테이션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전기 자동차의 차체에는 수전측 커넥터인 인렛(Inlet)이 마련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는 전기 에너지를 전기 자동차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인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급전측 커넥터가 마련된다.
한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는 비 또는 눈 등의 환경에 노출되기 쉬운 외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설치 환경에서 내부 전기기기로 수분이 침투하여 고장이 발생하거나 사용자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방수성능이 우수하여야 하며,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수밀성, 내구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케이블이 수용된 터미널 케이스와 상기 터미널 케이스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레버를 록킹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레버와 록킹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 케이스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케이스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핸들을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가 제 1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레버가 고정부재에 의하여 록킹되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아우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레버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해제버튼은 핸들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은 상기 해제버튼이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핸들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이 제 2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해제버튼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면, 상기 고정부재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레버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레버에 의해 터미널 케이스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는 상기 해제버튼이 상기 핸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경우 상기 핸들의 회전을 록킹시키기 위한 잠금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핸들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핸들 및 아우터 케이스에 각각 마련되며 핸들의 특정 회전 각도에서 상호 결합되기 위한 돌기부 및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고정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렛에 장착되거나 상기 인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케이스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핸들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래치는 상기 인렛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을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치는 상기 인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와 고정부재는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후크부를 가지고, 상기 레버는 상기 후크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캐쳐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와 캐쳐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 1돌기 및 제 2돌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는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레버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장방형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의 일 종단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케이스는 터미널 조립체가 수용되는 제 1영역과 케이블이 수용되는 제 2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2영역은 제 1영역에 대하여 아우터 케이스의 하부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하부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는 수밀성, 내구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감소시키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개념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터미널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의 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스테이션(10)은 전력 변환 장치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전력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C) 및 상기 케이블(C)의 일 종단부가 장착되고, 선택적으로 전기 자동차(20)의 인렛(24)에 삽입되기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는 케이블(C)을 통하여 충전 스테이션(10)으로부터 전기 자동차(20)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충전 스테이션(10)은 케이블(C)로 연결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를 통해 전기 자동차(2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기 전기 자동차(200)는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와 장착되는 인렛(Inlet, 24)과 배터리(21)와 인버터(22) 및 구동 모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스테이션(10)은 전력 사업자로부터 계통 전원을 공급받으며, 계통의 AC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21)를 직접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에는 복수 개의 제 1터미널 조립체(미도시, 도 5참조)가 구비되고, 상기 인렛(204)에는 상기 제 1터미널 조립체에 대응되는 제 2터미널 조립체가 구비되며, 충전 중 사용자 미숙 등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와 인렛(2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와 인렛(24)에는 상호 대응되는 체결 수단이 마련되며 있고,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의 제 1터미널 조립체와 인렛(24)의 제 2터미널 조립체가 접속되는 것과 동시에 상호 결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충전 스테어션(10)을 통한 전기 자동차(20)의 충전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가 상기 전기 자동차(20)의 인렛(24)에 삽입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 측에서 전기 자동차(20)의 연결 유무를 확인하게 되고, 상기 전기 자동차(20) 측에서도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연결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누전 여부를 확인하여 안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의 커넥터(100)를 통하여 해당 전압 및 전류를 생성하여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21)를 충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터미널 조립체는 전력 공급 터미널 이외에도 제어신호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터미널을 통해 상기 충전 스테이션(10)과 전기 자동차(20)는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상호 제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의 개념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터미널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는 아우터 케이스(110)와 터미널 케이스(130)와 레버(140)와 고정부재(150) 및 핸들(16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1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의 내부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케이블(C)이 수용된 터미널 케이스(130)와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14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레버(140)를 록킹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50) 및 상기 고정부재(150)가 레버(140)와 록킹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160)을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에는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 중 전방 측(인렛 측)에는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가 장착되고, 후방 측에는 상기 핸들(16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는 제 1터미널 조립체(121 내지 125, 이하 터미널 조립체)가 수용되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터미널 조립체(121 내지 125)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터미널 장착구(122)를 갖는다.
한편, 상기 케이블(C)은 장착부(121a)로 삽입된 후 압착 등을 통하여 각 터미널(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미널 조립체(121 내지 125)는 터미널(121)과 상기 터미널(121)의 후방에서 실링 기능을 제공하는 링 형상의 실링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조립체는 상기 실링 부재(123)가 상기 터미널(121)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미널(121)의 장착부(121a)를 둘러싸며 상기 실링 부재(123)의 앞부분에 구비되는 파이프(124) 및 상기 실링 부재(123)의 후단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터미널(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인입을 위한 케이블 도입구가 형성된 리어 홀더(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은 상기 터미널 조립체(121 내지 125)가 수용되는 제 1영역과 케이블(C)이 수용되는 제 2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영역은 제 1영역에 대하여 아우터 케이스(110)의 하부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C)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의 하부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과 함께 케이블(C)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에도 핸들(16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블(C)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140)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레버(14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일 종단부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우터 케이스(110)의 상부로 노출된 레버(140)의 일 종단부(조작부)를 아랫 방향 또는 윗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레버(140)를 힌지축(14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에는 돌기(131)가 마련되며, 상기 레버(140)에는 상기 돌기(131)가 수용되는 장방형의 슬롯(14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140)가 힌지축(14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의 돌기(131)가 상기 슬롯(141) 내부에서 슬라이드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하,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를 인렛(200)으로 삽입시키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핸들(160)을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150)가 제 1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레버(140)가 고정부재(150)에 의하여 록킹되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전기자동차의 인렛(20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핸들(160)의 회전을 통해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레버(140)는 고정부재(150)에 의해 록킹되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여 충전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50)는 아우터 케이스(110)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부재(150)와 레버(14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버튼(152)을 포함하며, 상기 해제버튼(152)은 핸들(16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bar)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100) 내부에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해제버튼(152)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재(150)를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상기 해제버튼(152)이 핸들(16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50)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를 전기자동차의 인렛(200)으로 삽입시킨 후(레버의 회전), 핸들(160)을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150)가 제 1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레버(140)가 고정부재(150)에 록킹되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13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해제버튼(152)과 레버(140)는 조작할 수 없는 상태에 높이게 된다. 한편,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는 핸들(160)을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핸들(160)의 회전을 록킹시키기 위한 잠금부재(18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180)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를 인렛(2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핸들(160)은 상기 해제버튼(152)이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161)을 가지며, 상기 해제버튼(152)은 상기 핸들(1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용홈(161)에 삽입되거나 상기 핸들(16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160)이 제 1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해제버튼(152)은 핸들(160)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사용자가 해제버튼(152)을 가압하여도 상기 고정부재(150)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60)이 제 2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해제버튼(152)은 상기 핸들(1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용홈(161)에 삽입되며, 상기 핸들(160)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해제버튼(152)을 가압하면 상기 고정부재(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160)이 제 2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해제버튼(152)이 상기 수용홈(161)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150)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레버(140)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레버(140)에 의해 터미널 케이스(13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180)는 상기 해제버튼(152)이 상기 핸들(160)에 의하여 지지되는 경우 상기 핸들(160)의 회전을 록킹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잠금부재(180)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병진운동을 통해 상기 핸들(16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상기 핸들(160)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핸들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기적 신호는 전술한 제어신호 터미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잠금부재(180)는 버튼 타입 등의 기계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잠금부재(180)는 핸들(160) 및 아우터 케이스(110)에 각각 마련되며 핸들(160)의 특정 회전 각도에서 상호 결합되기 위한 돌기부 및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8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1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17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 내부에 힌지축(17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170)는 고정부재(1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렛(200)에 장착되거나 상기 인렛(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래치(170)는 고정부재(150)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될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상기 고정부재(150)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터미널 케이스(13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핸들(160)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15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래치(170)는 상기 인렛(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핸들(160)을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150)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치(170)는 상기 인렛(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레버(140)와 고정부재(150)가 록킹되는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재(150)는 후크부(153)를 가지고, 상기 레버(140)는 상기 후크부(153)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캐쳐부(143)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153)와 캐쳐부(143)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 1돌기 및 제 2돌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즉, 핸들(1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50)가 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후크부(153)와 캐쳐부(143)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100)는 수밀성, 내구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품 수를 감소시키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충전 스테이션 20: 전기 자동차
100: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10: 아우터 케이스
130: 터미널 케이스 140: 레버
150: 고정부재 160: 핸들
C: 케이블

Claims (21)

  1.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케이블이 수용된 터미널 케이스;
    상기 터미널 케이스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레버를 록킹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레버와 록킹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핸들을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가 제 1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레버가 고정부재에 의하여 록킹되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아우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레버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해제버튼은 핸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해제버튼이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핸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핸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제 2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해제버튼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면, 상기 고정부재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레버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레버에 의해 터미널 케이스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이 상기 핸들에 의하여 지지되는 경우 상기 핸들의 회전을 록킹시키기 위한 잠금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핸들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핸들 및 아우터 케이스에 각각 마련되며 핸들의 특정 회전 각도에서 상호 결합되기 위한 돌기부 및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를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고정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렛에 장착되거나 상기 인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터미널 케이스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핸들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래치는 상기 인렛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을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부재가 제 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치는 상기 인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와 고정부재는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후크부를 가지고,
    상기 레버는 상기 후크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캐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와 캐쳐부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 1돌기 및 제 2돌기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는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레버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장방형의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 종단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는 터미널 조립체가 수용되는 제 1영역과 케이블이 수용되는 제 2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 2영역은 제 1영역에 대하여 아우터 케이스의 하부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하부를 통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21.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선단부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하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이 수용된 터미널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상부로 조작부가 노출되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레버를 록킹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레버와 록킹되도록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키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KR1020110057866A 2011-06-15 2011-06-15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KR20120138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866A KR20120138407A (ko) 2011-06-15 2011-06-15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866A KR20120138407A (ko) 2011-06-15 2011-06-15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407A true KR20120138407A (ko) 2012-12-26

Family

ID=4790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866A KR20120138407A (ko) 2011-06-15 2011-06-15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840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704B1 (ko) * 2016-01-26 2016-06-22 주식회사 씨케이텍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32708B1 (ko) * 2016-01-26 2016-06-22 주식회사 씨케이텍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32709B1 (ko) * 2016-01-29 2016-06-22 주식회사 씨케이텍 커넥터 어셈블리
KR101982983B1 (ko) * 2018-10-04 2019-05-27 김경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101982984B1 (ko) * 2018-10-04 2019-05-27 김경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CN111376726A (zh) * 2018-12-11 2020-07-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电动车的电池充电入口的紧急断开装置
CN111834792A (zh) * 2019-04-19 2020-10-27 睿能创意公司 连接装置、使用该连接装置的车辆及充电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704B1 (ko) * 2016-01-26 2016-06-22 주식회사 씨케이텍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32708B1 (ko) * 2016-01-26 2016-06-22 주식회사 씨케이텍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32709B1 (ko) * 2016-01-29 2016-06-22 주식회사 씨케이텍 커넥터 어셈블리
KR101982983B1 (ko) * 2018-10-04 2019-05-27 김경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101982984B1 (ko) * 2018-10-04 2019-05-27 김경은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CN111376726A (zh) * 2018-12-11 2020-07-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电动车的电池充电入口的紧急断开装置
CN111834792A (zh) * 2019-04-19 2020-10-27 睿能创意公司 连接装置、使用该连接装置的车辆及充电器
CN111834792B (zh) * 2019-04-19 2021-11-30 睿能创意公司 连接装置、使用该连接装置的车辆及充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8407A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CN103872518B (zh) 锁闭装置
JP5491328B2 (ja) プラグロック構造
US8357002B2 (en) Locking device
CN102917904B (zh) 用于机动车辆的致动器和锁定装置
US7950943B2 (en) Electric vehicle control device
US8547059B2 (en) Lock structure for battery charging connector
US8028780B2 (en) Electric vehicle
US20110287649A1 (en) Charging inlet device
US8784124B2 (en) Connector in electric vehicle charger
US20110300736A1 (en) Locking device for power feeding plug
KR20210005504A (ko) 충전 케이블 시스템, 전기 차량 및 전기 차량 충전 방법
JP5394980B2 (ja)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のロック手動解除構造
KR102647877B1 (ko)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KR20180126873A (ko) 충전 커넥터 잠금장치
KR101801396B1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JP5437908B2 (ja) プラグロック構造
JP5385209B2 (ja) プラグロック構造
KR102093597B1 (ko)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기
KR101803579B1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20120108167A (ko)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KR101748882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스테이션
JP2011253672A (ja)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KR20130025654A (ko) 전기자동차의 인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JP5379077B2 (ja)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