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8167A -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 Google Patents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167A
KR20120108167A KR1020110025766A KR20110025766A KR20120108167A KR 20120108167 A KR20120108167 A KR 20120108167A KR 1020110025766 A KR1020110025766 A KR 1020110025766A KR 20110025766 A KR20110025766 A KR 20110025766A KR 20120108167 A KR20120108167 A KR 2012010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cas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규연
임재범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8167A/ko
Publication of KR2012010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일체화할 수 있고,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각 터미널의 삽입 반발력을 낮출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의 인렛으로부터 분리 시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케이블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Connector, charg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on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일체화할 수 있고,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각 터미널의 삽입 반발력을 낮출 수 있으며, 분리 시 아크 발생을 방지하고 케이블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 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경우 대기보존법 제정에 의하여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의무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그린카(Green car,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 및 각종 전장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배터리가 장착된다.
전기자동차(EV)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전기자동차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의 용량을 늘리는 것은 차체의 무게를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어 한번의 완충으로 전기자동차가 운행가능한 거리는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가정용 충전설비를 비롯하여 중 장거리의 운행 중 언제 어디서나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많은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전기 자동차의 차체에는 수전측 커넥터인 인렛(Inlet)이 마련되고,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에는 전기 에너지를 전기 자동차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인렛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급전측 커넥터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Coupler)가 마련된다.
한편,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에서는 완속 및 급속 겸용 충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상기 AC/DC 겸용 충전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는 하나의 커넥터에 AC와 DC 인터페이스가 함께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일체화할 수 있고,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각 터미널의 삽입 반발력을 낮출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의 인렛으로부터 분리 시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인터락 핀으로 급속/완속 충전을 차단할 수 있고, 부품 수를 감소시키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케이블 간 간섭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 수밀성 및 동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삽입되는 커넥터로서, 제 1영역 및 제 2영역으로 구획되는 터미널 케이스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에 장착되는 AC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장착되는 DC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그라운드 터미널 및 각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인렛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며, 각 전력 공급 터미널의 인렛 방향의 선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인터락(Interlock) 핀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각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은 제 2영역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는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과 제 1영역 사이에 배치된 쉴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락 핀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락 핀은 AC 전력 공급 터미널의 선단보다 1mm 내지 5mm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그라운드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기 자동차의 인렛과 접속 또는 분리되고, 제 1영역 및 제 2영역으로 구획된 터미널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장착되며,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핸들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과 제 2영역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AC 및 DC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그라운드 터미널 및 각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인렛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며, 각 전력 공급 터미널의 인렛 방향의 선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인터락(Interlock) 핀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AC 전력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제 1케이블과 DC 전력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제 2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그라운드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그라운드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케이블은 DC 통신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는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힌지 결합된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가 상기 인렛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는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힌지 결합된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이 제 1영역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력 변환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전력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며, 충전을 위하여 전기 자동차의 인렛과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기 자동차의 인렛과 접속 또는 분리되고, 제 1영역과 제 2영역으로 구획되는 터미널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장착되며,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핸들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과 제 2영역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AC 및 DC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그라운드 터미널 및 각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인렛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며, 각 전력 공급 터미널의 인렛 방향의 선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인터락(Interlock) 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락 핀이 상기 인렛으로부터 분리되면 각 전력 공급 터미널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인렛과 상기 인렛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와 전력 변환을 위한 인버터와 구동을 위한 모터 및 상기 인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과정 중 상기 충전장치의 제어부와 통신하면서 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는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일체화할 수 있고,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각 터미널의 삽입 반발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는 하나의 인터락 핀으로 급속/완속 충전을 차단할 수 있고, 부품 수를 감소시키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는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케이블 간 간섭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는 내구성, 수밀성 및 동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터미널 케이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케이블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록킹 유닛(150)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의 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은 전력 변환 장치와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전력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C) 및 상기 케이블(C)의 일 종단부가 장착되고, 선택적으로 전기 자동차(20)의 인렛(24)에 삽입되기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 이하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00)는 케이블(C)을 통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로부터 전기 자동차(20)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는 케이블(C)로 연결된 커넥터(100)를 통해 전기 자동차(20)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자동차(200)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와 장착되는 인렛(Inlet, 24)과 배터리(21)와 인버터(22) 및 모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는 전력 사업자로부터 공급된 계통 전원을 AC전력 및 DC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21)를 직접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는 AC전력으로만 전기 자동차(20)를 충전(완속)시킬 수도 있고, DC전력으로만 전기 자동차(20)를 충전(급속)시킬 수도 있으며, AC전력과 DC전력으로 전기 자동차(20)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를 통한 전기 자동차(20)의 충전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의 커넥터(100)가 상기 전기 자동차(20)의 인렛(24)에 삽입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 측에서 전기 자동차(20)의 연결 유무를 확인하게 되고, 상기 전기 자동차(20) 측에서도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의 연결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누전 여부를 확인하여 안전 상태로 판단(인터락 핀이 인렛에 삽입)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의 커넥터(100)를 통하여 해당 전압 및 전류를 생성하여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21)를 충전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터미널 케이스(12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케이블(C)의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의 일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는 제 1영역(120a) 및 제 2영역(120b)으로 구획되는 터미널 케이스(120)와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1영역(120a)에 장착되는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에 장착되는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에 장착되는 제어신호 터미널(미도시)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에 장착되는 그라운드 터미널(미도시) 및 각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과 상기 인렛(24)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에 장착되며, 각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의 인렛 방향(24)의 선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인터락(Interlock) 핀(123)을 포함한다.
또한, 각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120a)은 제 2영역(120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그라운드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1영역(120a)에 장착될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그라운드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AC/DC 충전을 위하여 별도의 제어신호 터미널과 그라운드 터미널을 구비하지 아니하고, 단일 및/또는 한조의 터미널을 공통으로 사용하게 하기 위함이다.
추가로,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1영역(120a)과 제 2영역(120b)에는 상기 제1영역(120a) 및 제2영역(120b)의 터미널들을 영역별 또는 전체적으로 아우러서 감싸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격벽(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전면에는 제 1영역(120a)을 둘러싸는 격벽과 제 2영역(120b)을 둘러싸는 격벽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커넥터(100)의 결합시 외부 환경과 각 단자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먼지나 수분 등이 단자의 결합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단자 간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전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터락 핀(123)은 각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과 인렛(24)의 전기적 접속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락 핀(123)이 상기 인렛(24)에 삽입되면, 각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을 통하여 전기 자동차(20)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터락 핀(123)이 상기 인렛(24)으로부터 분리되면 전기 자동차(20)의 충전이 차단된다.
사용자 부주위 등으로 인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이 상기 인렛(24)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아크가 발생하게 되며, 인명 피해 및 화재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이 상기 인렛(24)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이 이탈되기 전에 충전이 중단되어야 한다.
상기 인터락 핀(123)은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 측(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과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 측(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100)에서는 AC 전력 공급 터미널과 DC 전력 공급 터미널 중 어느 한 전력 공급 터미널이 분리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인터락 핀(123)으로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배치되는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120b)은 상기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이 배치되는 제 1영역(120a)보다 상기 인렛(24)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보다 큰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삽입 반발력을 낮추기 위해서는 상기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인렛(24)에 먼저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100)는 상기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배치되는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120b)이 제 1영역(120a)보다 돌출된 구조를 가지므로 커넥터(100)를 인렛(24)에 삽입 시, 상기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먼저 삽입되고, 상기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제 2영역(120b)과 제 1영역(120a) 사이에 배치돈 쉴드 부재(12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과 제 1영역(120a)은 쉴드 부재(125)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이러한 쉴드 부재(125)를 통하여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과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 사이를 차폐할 수 있으며, 양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 사이의 전기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쉴드 부재(125)는 금속 재질로 편조된 메쉬(mesh) 구조를 갖는 커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락 핀(123)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1영역(120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락 핀(123)은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의 선단보다 1mm 내지 5mm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0)가 상기 인렛(2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먼저 삽입되고, 차례로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과 인터락 핀(123)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이 인렛(24)으로부터 분리되거나,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상기 인렛(24)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인터락 핀(123)이 먼저 상기 인렛(24)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충전 과정이 중단될 수 있으며, 아크 및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100)는 아우터 케이스(11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기 자동차(20)의 인렛(24)과 접속 또는 분리되는 터미널 케이스(120)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20)에 장착되며, 내부에 케이블(C)이 수용되는 핸들(130)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AC 및 DC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에 장착되는 제어신호 터미널(미도시)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에 장착되는 그라운드 터미널(미도시) 및 각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과 상기 인렛(24)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에 장착되며, 각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의 인렛(24) 방향의 선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인터락(Interlock) 핀(1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C)은 AC 전력 공급 라인(161)을 포함하는 제 1케이블(160)과 DC 전력 공급 라인(171)을 포함하는 제 2케이블(170)을 포함한다.
또한, 각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120a)은 제 2영역(120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그라운드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어느 한 영역 (예를 들어, 제 1영역(120a))에 장착될 수 있고, 예비적으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그라운드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2영역(120b))에 별도로 장착될 수 있다.
즉, 단일의 터미널 케이스(120)에 AC/DC 각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과 AC/DC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제어부와 전기 자동차의 제어부 사이에 제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별개의 제어신호 터미널 및 그라운드 터미널이 모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사용환경의 사정(규격, 지역표준의 상이 등)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추가로,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1영역(120a)과 제 2영역(120b)에는 상기 제1영역(120a) 및 제2영역(120b)의 터미널들을 영역별 또는 전체적으로 아우러서 감싸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격벽(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전면에는 제 1영역(120a)을 둘러싸는 격벽과 제 2영역(120b)을 둘러싸는 격벽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커넥터(100)의 결합시 외부 환경과 각 단자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먼지나 수분 등이 단자의 결합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단자 간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전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C)은 멀티 케이블일 수도 있고, 제 1 및 제 2케이블로 분리된 개별 케이블로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에는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 중 전방 측(인렛 방향)에는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가 장착되고, 후방 측에는 상기 핸들(13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케이블(160)은 DC 통신 라인(예를 들어, CAN: 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케이블(170)의 DC 전력 공급 라인(171)에는 대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상기 DC 통신 라인(164)을 DC 전력 공급 라인(171)과 함께 배치시키는 경우에는 DC 전력 공급 라인(171)으로부터 노이즈(noise)가 DC 통신 라인(164)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케이블(160)은 DC 통신 라인(164)를 배치시킴으로써, 간섭을 방지하고 충전 장치(10)와 커넥터(100) 사이의 동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케이블(160)은 인터락 핀(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인터락 라인(1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케이블(160) 및 제 2케이블(170)은 각각 쉴드 부재(172, 166 내지 168)로 둘러싸인 상태로 각각 차폐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제 1케이블(160)은 이너 쉴드(166)와 미들 쉴드(167) 및 아우터 쉴드(168)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DC 통신 라인(164)은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에 장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에 장착된 통신 터미널(1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이 장착되는 제 1영역(120a)과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장착되며 상기 제 1영역(120a)보다 인렛(24) 방향으로 돌출된 제 2영역(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보다 큰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삽입 반발력을 낮추기 위해서는 상기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인렛(24)에 먼저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100)는 상기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배치되는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120b)이 제 1영역(120a)보다 돌출된 구조를 가지므로 커넥터(100)를 인렛(24)에 삽입 시, 상기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먼저 삽입되고, 상기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과 제 1영역(120a)은 쉴드 부재(125)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이러한 쉴드 부재(125)를 통하여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과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 사이를 차폐할 수 있으며, 양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 사이의 전기적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쉴드 부재(125)는 금속 재질로 편조된 메쉬(mesh) 구조를 갖는 커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락 핀(123)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1영역(120a)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락 핀(123)은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의 선단보다 1mm 내지 5mm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0)가 상기 인렛(2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먼저 삽입되고, 차례로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과 인터락 핀(123)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이 인렛(24)으로부터 분리되거나,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이 상기 인렛(24)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인터락 핀(123)이 먼저 상기 인렛(24)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충전 과정이 중단될 수 있으며, 아크 및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는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에 힌지 결합된 레버(14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버(1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가 상기 인렛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는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에 힌지 결합된 레버(14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버(1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이 제 1영역(120a)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에 힌지(H) 결합된 레버(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140)를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는 상기 인렛(24)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터미널(120)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각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과 인터락 핀(123)은 상기 인렛(24)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140)의 회전에 따라 터미널 케이스(120) 전체가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레버(140) 및 터미널 케이스(120)는 상기 레버(14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의 제 2영역(120b)이 제 1영역(120a)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며 전기 자동차(20)의 인렛(24)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록킹 유닛(150)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10)의 커넥터(10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 종단부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 외부로 노출된 하나 이상의 래치(151) 및 상기 래치(151)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래치(151)의 일 종단부를 아우터 케이스(110) 내부 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해제 버튼(152)을 포함하는 록킹 유닛(1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유닛(150)은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를 전기 장동차(20)의 인렛(24)에 삽입시킬 때, 상기 커넥터(100)와 인렛(24)의 삽입 상태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래치(151)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가 인렛(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렛(24)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록킹 유닛(150)은 상기 해제버튼(152)이 눌리면,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의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을 상기 래치(151)의 자유 단부를 상부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힘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연결 로드(15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해제버튼(152)을 누르게 되면, 상기 연결 로드(154)가 회전 하면서, 상기 래치(151)의 자유 단부를 상부 방향으로 가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 외부로 노출된 래치(151)의 일 종단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 내부로 회전하게 되며, 아우터 케이스(110)와 인렛(24)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 버튼(152)에는 내부에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의 충전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램프(153)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램프(153)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10)는 전력 변환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전력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C) 및 상기 케이블(C)과 연결되며, 충전을 위하여 전기 자동차(20)의 인렛(24)과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커넥터(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는 아우터 케이스(110)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기 자동차(20)의 인렛(24)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터미널 케이스(120)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0)에 장착되며, 내부에 케이블(C)이 수용되는 핸들(130)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AC 및 DC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에 장착되는 제어신호 터미널(미도시)과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에 장착되는 그라운드 터미널(미도시) 및 각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인렛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며, 각 전력 공급 터미널의 인렛 방향의 선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인터락(Interlock) 핀(1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10)의 제어부는 상기 인터락 핀(123)이 상기 인렛(24)으로부터 분리되면 각 전력 공급 터미널(121, 122)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충전 장치의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의 제어부와 CAN 또는 PCM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충전 장치(10)를 구성하는 커넥터(100)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하여 전술한 커넥터(100)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블(C)은 AC 전력 공급 라인(161)과 DC 통신 라인(164)을 포함하는 제 1케이블(160)과 DC 전력 공급 라인(171)을 포함하는 제 2케이블(170)을 포함하며, 각 케이블(160, 170)은 쉴드 부재로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케이스(120)는 AC 전력 공급 터미널(121)이 장착되는 제 1영역(120a)과 DC 전력 공급 터미널(122)과 DC 통신 라인(164)이 연결되는 통신 터미널(124)이 장착되며 상기 제 1영역(120a)보다 인렛(24) 방향으로 돌출된 제 2영역(12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관련된 전기 자동차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가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인렛(24)과 상기 인렛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21)와 전력 변환을 위한 인버터(22)와 구동을 위한 모터(23) 및 상기 인렛(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과정 중 상기 충전장치의 제어부와 통신하면서 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인렛(24)은 상기 커넥터의 아우터 케이스, 터미널 케이스, 각 터미널과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를 갖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는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일체화할 수 있고,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각 터미널의 삽입 반발력을 낮출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의 인렛으로부터 분리 시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는 하나의 인터락 핀으로 급속/완속 충전을 차단할 수 있고, 부품 수를 감소시키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는 급속/완속 충전을 위한 케이블 간 간섭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는 내구성, 수밀성 및 동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20: 전기 자동차
100: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10: 아우터 케이스
120: 터미널 케이스 121: AC 전력 공급 터미널
122: DC 전력 공급 터미널 123: 인터락 핀
124: 통신 터미널 125: 쉴드 부재
130: 핸들 140: 핸들
150: 록킹 유닛 160: 제 1케이블
170: 제 2터미널 C: 케이블
160: 고정 유닛

Claims (25)

  1.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삽입되는 커넥터로서,
    제 1영역 및 제 2영역으로 구획되는 터미널 케이스;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에 장착되는 AC 전력 공급 터미널;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장착되는 DC 전력 공급 터미널;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어신호 터미널;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그라운드 터미널; 및
    각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인렛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며, 각 전력 공급 터미널의 인렛 방향의 선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인터락(Interlock) 핀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은 제 2영역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과 제 1영역 사이에 배치된 쉴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핀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핀은 AC 전력 공급 터미널의 선단보다 1mm 내지 5mm 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그라운드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은 제 1영역보다 상기 인렛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8.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기 자동차의 인렛과 접속 또는 분리되고, 제 1영역 및 제 2영역으로 구획된 터미널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장착되며,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핸들;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과 제 2영역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AC 및 DC 전력 공급 터미널;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어신호 터미널;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그라운드 터미널; 및
    각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인렛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며, 각 전력 공급 터미널의 인렛 방향의 선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인터락(Interlock) 핀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AC 전력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제 1케이블과 DC 전력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제 2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그라운드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그라운드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케이블은 DC 통신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2. 제 8 항에 있어서,
    제 1케이블 및 제 2케이블은 쉴드 부재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DC 통신 라인은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는 상기 제 1영역보다 제 2영역이 인렛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힌지 결합된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가 상기 인렛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힌지 결합된 레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이 제 1영역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핀은 상기 AC 전력 공급 터미널의 선단보다 1mm 내지 5mm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 1영역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8. 전력 변환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전력 변환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며, 충전을 위하여 전기 자동차의 인렛과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는, 아우터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기 자동차의 인렛과 접속 또는 분리되고, 제 1영역과 제 2영역으로 구획되는 터미널 케이스;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장착되며,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핸들;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과 제 2영역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AC 및 DC 전력 공급 터미널;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어신호 터미널;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는 그라운드 터미널; 및
    각 전력 공급 터미널과 상기 인렛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케이스에 장착되며, 각 전력 공급 터미널의 인렛 방향의 선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인터락(Interlock)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락 핀이 상기 인렛으로부터 분리되면 각 전력 공급 터미널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그라운드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터미널과 상기 그라운드 터미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2영역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AC 전력 공급 라인과 DC 통신 라인을 포함하는 제 1케이블과 DC 전력 공급 라인을 포함하는 제 2케이블을 포함하며,
    각 케이블은 쉴드 부재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케이스는 제 2영역이 제 1영역보다 인렛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핀은 상기 AC 전력 공급 터미널의 선단보다 1mm 내지 5mm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터미널 케이스의 제 1영역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CAN 및 PCM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에 의하여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25. 제 8 항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인렛;
    상기 인렛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의 충전을 위한 배터리;
    전력 변환을 위한 인버터;
    구동을 위한 모터; 및
    상기 인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 과정 중 상기 충전장치의 제어부와 통신하면서 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0110025766A 2011-03-23 2011-03-23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KR20120108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66A KR20120108167A (ko) 2011-03-23 2011-03-23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66A KR20120108167A (ko) 2011-03-23 2011-03-23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67A true KR20120108167A (ko) 2012-10-05

Family

ID=4727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766A KR20120108167A (ko) 2011-03-23 2011-03-23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81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771B1 (ko) * 2012-11-09 2014-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KR101488586B1 (ko) * 2013-03-04 2015-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기차 동적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5643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토이코스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771B1 (ko) * 2012-11-09 2014-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KR101488586B1 (ko) * 2013-03-04 2015-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기차 동적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5643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토이코스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4769B (zh) 机动车辆
Dericioglu et al. A review of charging technologies for commercial electric vehicles
JP5123419B1 (ja) 車両から外部の被給電装置への給電用コネクタ、同コネクタの識別方法、同コネクタの識別システム、及び同コネクタを利用する給電システム、並びに同システムにおいて給電可能な車両
KR20150105651A (ko) 차량
EP2548758A2 (en) Status indic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9845017B2 (en)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CN103066446B (zh) 集成的结构和电连接器
EP3442824B1 (en) A vehicle charging connector comprising a visual indicator part
US9333869B2 (en)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with seven electrical contacts
KR20180028363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연장 코드
KR20120138407A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KR20120108167A (ko)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WO2011013387A2 (en) Charging apparatus and vehicle
CN202034544U (zh) 一种具有锁车功能的电动汽车充电插座
JP5566056B2 (ja) 充電ケーブル
CN110474385B (zh) 一种分体式移动电源
JP2010165619A (ja) 車載充電装置
CN1734832A (zh) 带有充电电缆的蓄电池充电器
KR20130124835A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JP5929813B2 (ja) 電力取出装置
KR101803579B1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101748882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스테이션
JP2020043636A (ja) ポータブル充電装置
CN217087003U (zh) 一种可隐藏式电动车充电接口
RU197676U1 (ru) Станция для зарядки электромоби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