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835A -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835A
KR20130124835A KR1020120048280A KR20120048280A KR20130124835A KR 20130124835 A KR20130124835 A KR 20130124835A KR 1020120048280 A KR1020120048280 A KR 1020120048280A KR 20120048280 A KR20120048280 A KR 20120048280A KR 20130124835 A KR20130124835 A KR 2013012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inlet
charging
outer hou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573B1 (ko
Inventor
황창재
하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04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57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인렛터미널과; 상기 인렛터미널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인렛터미널과 전기자동차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내부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인렛터미널과 내부하우징의 단부가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INLET DEVICE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렛터미널과 인렛터미널의 주위를 감싸는 내부하우징에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 안전사고가 발생함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전이 완료된 후에 인렛장치로부터 아웃렛 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 모터/제어기술도 점점 발달하여 고출력, 소형이면서 효율이 높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DC모터를 AC모터로 변환함에 따라 출력과 EV의 동력성능(가속성능, 최고속도)이 크게 향상되어 가솔린차에 비하여 손색없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고출력화를 추진하면서 고회전함에 따라 모터가 경량소형화되어 탑재중량이나 용적도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소에 구비된 아웃렛 장치를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인렛장치에 삽입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와 아웃렛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종래의 인렛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2)는 그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외부하우징(10)과, 외부하우징(10)의 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인렛터미널(20)과, 인렛터미널(2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인렛터미널(20)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하우징(30)과, 인렛터미널(20)과 전기자동차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하우징(10)은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그 외면 일측에는 개구 형성된 외부하우징(1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커버부재(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대향 측의 외부하우징(10) 외면에는 커버부재(11)가 외부하우징(10)의 상면을 차폐시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걸림부재(1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인렛터미널(20)은 외부하우징(10)의 저부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아웃렛장치(1)에 구비된 아웃렛터미널(미도시)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부재로서, 그 외면에는 내부하우징(30)이 구비되어 있다.
내부하우징(30)은 인렛터미널(20)의 외관을 보호함과 동시에 인렛터미널(20)이 아웃렛터미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상면은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는 인렛터미널(2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연결선(40)은 인렛터미널(20)과 전기자동차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인렛장치에 아웃렛장치를 삽입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된 커버부재를 회동시켜 외부하우징(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에 아웃렛장치(1)를 외부하우징(10)에 삽입하면 아웃렛장치(1)에 마련된 아웃렛터미널(미도시)과 외부하우징(10)의 저부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 인렛터미널(20)이 상호 결합된다.
아웃렛터미널(1)와 인렛터미널(20)이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아웃렛터미널(1)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이 아웃렛터미널(1)을 경유하여 인렛터미널(20)로 전달되며, 인렛터미널(20)과 연결된 연결선(40)을 통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에 있어서는, 외부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된 인렛터미널(20)의 단부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되므로 인렛터미널(20)의 단부에 이물질이 부착될 경우에는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기자동차를 충전시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인렛장치(2)로부터 아웃렛장치(1)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충전이 완료된 후에 인렛장치(2)에 삽입된 아웃렛장치(1)를 직접 뽑아서 분리시켜야 한다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렛터미널과 인렛터미널의 주위를 감싸는 내부하우징에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 안전사고가 발생함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전이 완료된 후에 인렛장치로부터 아웃렛 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는,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인렛터미널과; 상기 인렛터미널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인렛터미널과 전기자동차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내부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인렛터미널과 내부하우징의 단부가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차폐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내부하우징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 삽입되는 차폐부재와, 상기 외부하우징의 저부면과 상기 차폐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재의 하부 내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어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에 삽입되는 아웃렛장치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렛장치가 상기 외부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폐부재의 상면에는 그 판면이 교차되게 절개 형성되어 상기 아웃렛장치를 상기 인렛장치에 삽입시에 접혀지고, 상기 아웃렛장치를 상기 인렛장치로부터 이탈시에 펼쳐져서 상기 차폐부재의 상면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별도의 차폐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별도의 커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점과 대향측의 상기 외부하우징에는 상기 커버부재가 닫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걸림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인렛터미널과 인렛터미널의 주위를 감싸는 내부하우징에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 안전사고가 발생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인렛장치로부터 아웃렛 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와 아웃렛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종래의 인렛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와 아웃렛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와 아웃렛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는,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외부하우징(110)과, 외부하우징(110)의 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인렛터미널(120)과, 인렛터미널(120)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하우징(130)과, 인렛터미널(120)과 전기자동차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140)과, 내부하우징(130)의 외면에 내부하우징(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인렛터미널(120)과 내부하우징(130)의 단부가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차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부하우징(110)은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구비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그 외면 일측에는 개구 형성된 외부하우징(11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커버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대향 측의 외부하우징(110) 외면에는 커버부재(111)가 외부하우징(110)의 상면을 차폐시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걸림부재(11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걸림부재(112)는 그 단부가 호상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외부하우징(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커버부재(111)가 걸림부재(11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커버부재(111) 측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압축코일스프링(112a)이 설치된다.
압축코일스프링(112a)의 일단부는 걸림부재(112)의 일측과 접촉되고, 타단은 외부하우징(110)의 일측과 접촉되어 걸림부재(112)의 단부가 커버부재(111)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한다.
외부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외부하우징(110)에 삽입되는 아웃렛장치(200)에 형성된 걸림홈(210)에 삽입되어 아웃렛장치(200)가 외부하우징(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고리(113)가 구비될 수 있다.
인렛터미널(120)은 외부하우징(110)의 저부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아웃렛장치(200)에 구비된 아웃렛터미널(미도시)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부재로서, 그 외면에는 내부하우징(130)이 구비되어 있다.
내부하우징(130)은 인렛터미널(120)의 외관을 보호함과 동시에 인렛터미널(120)이 아웃렛터미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상면은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는 인렛터미널(12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내부하우징(130)의 외면에는 차폐부재(151)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재(151a)가 걸려서 내부하우징(130)의 외면에서 차폐부재(15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31)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선(140)은 인렛터미널(120)과 전기자동차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킴으로써 충전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차폐부(150)는 내부하우징(13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되어 내부하우징(130)의 외면에 삽입되는 차폐부재(151)와, 외부하우징(110)의 저부면과 차폐부재(151) 사이에 구비되어 차폐부재(151)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152)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151)의 상면과 하면은 개구 형성되어 내부하우징(130)의 외면에 내부하우징(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길이는 차폐부재(151)가 탄성스프링(152)을 최대로 압축시켰을 때에 차폐부재(151)의 단부가 내부하우징(130)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차폐부재(151)의 하부 내면에는 걸림턱(131)에 걸리어 차폐부재(151)가 내부하우징(130)의 외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재(15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151)의 상면에는 그 판면이 교차되게 절개 형성되어 아웃렛장치(200)를 인렛장치(100)에 삽입시에 접혀지고, 아웃렛장치(200)를 인렛장치(100)로부터 이탈시에 펼쳐져서 차폐부재(151)의 상면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별도의 차폐커버(153)가 구비될 수 있다.
차폐커버(153)는 자체 재질이 탄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재질로 형성되어 교차되게 절개 형성된 판면이 아웃렛장치(200)의 인입출에 따라서 차폐부재(151)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100)에 삽입되는 아웃렛장치(200)는 그 내부에 인렛터미널(120)과 접촉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아웃렛터미널(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면 일측에는 외부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된 걸림고리(113)가 삽입되어 아웃렛장치(200)가 외부하우징(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210)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웃렛장치(200)의 외면 타측에는 걸림고리(113)가 걸림홈(210)에 걸린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이탈버튼(22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에 전기자동차 충전용 아웃렛장치를 삽입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된 커버부재(111)를 회동시켜 외부하우징(1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에 아웃렛장치(200)를 외부하우징(110)에 서서히 삽입하게 된다.
그에 따라, 아웃렛장치(200)에 있는 아웃렛터미널(미도시)이 인렛장치(100)의 차폐커버(153)를 밀어서 차폐커버(153)가 개방되면서 인렛장치(100)의 인렛터미널(120)와 접촉한다
그리고, 아웃렛장치(200)의 삽입이 더욱 진행됨에 따라 아웃렛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된 아웃렛터미널(미도시)의 단부가 차폐부재(151)의 단부와 접촉되고, 아웃렛장치(200)를 외부하우징(110)으로 서서히 삽입함에 따라 차폐부재(151)는 내부하우징(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스프링(152)을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아웃렛장치(200)가 외부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더욱 깊게 삽입되면 아웃렛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된 아웃렛터미널(미도시)과 인렛터미널(120)과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외부하우징(110)에 구비된 걸림고리(113)가 아웃렛장치(200)에 형성된 걸림홈(210)에 삽입되어 아웃렛장치(200)가 인렛장치(10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고, 아웃렛장치(200)를 통하여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아웃렛장치(200)의 일측에 구비된 이탈버튼(220)을 누르면 걸림고리(113)가 걸림홈(210)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탄성스프링(152)의 탄성력에 의하여 차폐부재(151)가 내부하우징(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올라오면서 아웃렛장치(200)를 인렛장치(100)의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인렛터미널(120)과 아웃렛터미널(미도시)이 상호 분리되면 아웃렛장치(200)를 인렛장치(100)에서 이탈시키고, 아웃렛장치(200)가 인렛장치(100)에서 이탈되면 차폐커버(153)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커버부재(111)를 닫음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충전 동작이 완료되어 내부하우징(130)에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 안전사고가 발생함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전이 완료된 후에 인렛장치(100)로부터 아웃렛 장치(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인렛장치 110 : 외부하우징
111 : 커버부재 112 : 걸림부재
113 : 걸림고리 120 : 인렛터미널
130 : 내부하우징 131 : 걸림턱
140 : 연결선 150 : 차폐부
151 : 차폐부재 151a : 돌출부재
152 : 탄성스프링 153 : 차폐커버
200 : 아웃렛장치 210 : 걸림홈
220 : 이탈버튼

Claims (6)

  1.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인렛터미널과;
    상기 인렛터미널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인렛터미널과 전기자동차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선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내부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인렛터미널과 내부하우징의 단부가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하는 차폐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내부하우징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되어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 삽입되는 차폐부재와, 상기 외부하우징의 저부면과 상기 차폐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차폐부재의 하부 내면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어 상기 차폐부재가 상기 내부하우징의 외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에 삽입되는 아웃렛장치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아웃렛장치가 상기 외부하우징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의 상면에는 그 판면이 교차되게 절개 형성되어 상기 아웃렛장치를 상기 인렛장치에 삽입시에 접혀지고, 상기 아웃렛장치를 상기 인렛장치로부터 이탈시에 펼쳐져서 상기 차폐부재의 상면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별도의 차폐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별도의 커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점과 대향측의 상기 외부하우징에는 상기 커버부재가 닫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걸림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KR1020120048280A 2012-05-07 2012-05-07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KR10138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280A KR101380573B1 (ko) 2012-05-07 2012-05-07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280A KR101380573B1 (ko) 2012-05-07 2012-05-07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835A true KR20130124835A (ko) 2013-11-15
KR101380573B1 KR101380573B1 (ko) 2014-04-04

Family

ID=4985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280A KR101380573B1 (ko) 2012-05-07 2012-05-07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5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498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유라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KR102445876B1 (ko) * 2021-03-19 2022-09-21 주식회사 에코루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이 장치에 구비되는 충전 아웃렛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370B1 (ko) 2017-09-06 2019-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렛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9109A1 (en) * 2007-03-06 2008-09-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voltag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082989B1 (ko) * 2009-07-20 2011-11-11 케이유엠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20120025837A (ko) * 2010-09-08 2012-03-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KR101165408B1 (ko) * 2010-09-20 2012-07-12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498A (ko)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유라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KR102445876B1 (ko) * 2021-03-19 2022-09-21 주식회사 에코루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 및 이 장치에 구비되는 충전 아웃렛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573B1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4829B2 (ja) 電気自動車のための保護構造
JP5842181B2 (ja) 電気自動車充電装置
CN103648834B (zh) 车辆
CN105144520A (zh) 电力转换装置和接线盒
JP2010226840A (ja) 車両および充電装置
CN103153689B (zh) 用于连接车辆与插座的装置
KR20190069923A (ko) 차량 탑재 충전기 통합형 저전압 배터리 충전 시스템
CN108973710B (zh) 电动车辆
CN113400964B (zh) 电动交通工具充电端口照明模块
KR101380573B1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EP2999085A1 (en) Power-receiving device, contactless power-feeding system, and cover unit
CN110775168A (zh) 充电端口覆盖组件和方法
US20190023126A1 (en) Charge port covering assembly and covering method
CN109983600A (zh) 电池组模块连接器筒
CN201882014U (zh) 一种插电式混合动力汽车的充电安全警告装置
CN103444036B (zh) 软线收纳装置
JP2012249384A (ja) 車両
JP2011148390A (ja) 車両
JP5351088B2 (ja) 電気自動車及び電気自動車用の補助充電池
KR20110053084A (ko) 동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1646336B1 (ko) 전기자동차용 고전압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KR102128324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CN104716705B (zh) 用于给高电压蓄电池组充电的方法和系统
KR20120108167A (ko)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KR101394030B1 (ko) 차량용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