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989B1 -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989B1
KR101082989B1 KR1020090065830A KR20090065830A KR101082989B1 KR 101082989 B1 KR101082989 B1 KR 101082989B1 KR 1020090065830 A KR1020090065830 A KR 1020090065830A KR 20090065830 A KR20090065830 A KR 20090065830A KR 101082989 B1 KR101082989 B1 KR 101082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connector
hook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467A (ko
Inventor
전성원
최경석
최정욱
강남진
김형락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989B1/ko
Priority to PCT/KR2010/003717 priority patent/WO2011010794A2/ko
Publication of KR20110008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66Comprising two pivoting levers
    • H01R13/62972Wherein the pivoting levers are two leve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는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제1커넥터, 제1커넥터와 결합하도록 내부에 제1커넥터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일측부에 걸림후크가 돌출 형성된 제2커넥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삽입 안내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되며, 일측부에는 걸림후크에 걸림되는 체결록킹후크가 형성된 레버, 체결록킹후크를 걸림후크에 걸림시킨 상태에서, 레버가 제2커넥터에 걸림 결합되도록 레버에 설치되어, 체결록킹후크가 걸림후크에 걸림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커넥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레버가 제2커넥터를 제1커넥터 방향으로 당기도록 제2커넥터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재가 레버를 제2커넥터에 걸림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레버가 임의의 힘에 의해 제2커넥터에 걸림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아, 제1,2커넥터의 상호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를 지렛대로 사용하여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그 하우징이 서로 결합함에 의해 그 내부의 터미널들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시에 결합력을 크게 해야 된다.
이와 같이, 큰 결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일측 커넥터에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가 회전됨에 의해 지렛대의 원리를 응용하여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원활하게 되게 한다. 이를 위해 일측의 커넥터 상에 상기 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용 레버는, 상기 커넥터 상에 설치되는 단자사이즈가 커지거나 단자 개수가 많을 경우, 또는 노이즈를 차단시키는 차폐부재가 부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 간의 체결이 힘들어짐과 더불어 체결이 되더라도 느 슨해며, 이러한 체결의 느슨함에 기인하여 임의의 힘이 상기 레버에 가해질 경우, 상기 레버에 의한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레버에 의해 상호 커넥터를 체결한 상태에서, 레버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넥터 간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는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하도록 내부에 상기 제1커넥터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일측부에 걸림후크가 돌출 형성된 제2커넥터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안내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되며, 일측부에는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되는 체결록킹후크가 형성된 레버와, 상기 체결록킹후크를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제2커넥터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록킹후크가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회전홀이 관통 형성되며, 일 측부에 상기 결합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단부를 상호 연결 결합시키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체결록킹후크가 돌출 형성된 'ㄷ' 형상의 록킹부를 포 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의 양 측면에는 돌출되게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의 일 측부에는 상기 회전홀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위치고정홈들 및 작동구간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걸림되면서, 상기 회동판을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작동구간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록킹후크가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 체결되는 각도까지 상기 회동판이 회동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넥터의 일 측부에는 걸림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레버의 내 측부에는 제1체결단 및 제2체결단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레버의 록킹부가 삽입되어 상기 록킹부의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휨방지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장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제1체결단에 걸림되게 제1이탈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걸림대와, 상기 본체에 연장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제2체결단에 걸림되게 제2이탈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2걸림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의 내 측부에는 체결방지걸림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대의 타 측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록킹부에 상기 본체가 완전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1체결단에 걸림되는 제1체결방지단과, 상기 본체에 연장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레버의 록킹부에 상기 본체가 완전 삽입되기 전에 상기 체결방지걸림돌기에 걸림되는 제2체결방지단이 돌출 형성된 체결방지대를 더 구비 하여, 상기 제1체결방지단과 상기 제2체결방지단이 각각 상기 제1체결단 및 상기 체결방지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본체의 휨방지고정홀에 상기 레버의 록킹부가 완전 삽입되기 전의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의 일 측부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후크들 및, 상기 제2커넥터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가 대응되게 걸림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립결합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시, 상기 결합후크들과 상기 조립결합홈을 상호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커넥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레버가 제2커넥터를 제1커넥터 방향으로 당기도록 제2커넥터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재가 레버를 제2커넥터에 걸림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레버가 임의의 힘에 의해 제2커넥터에 걸림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아, 제1,2커넥터의 상호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커넥터(100), 제2커넥터(200), 레버(300), 고정부재(4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커넥터(100)의 외관 및 골격은 제1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10)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 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하우징(110) 내부에는 복수의 터미널공(130)들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터미널공(130)들로 케이블(도면미도시)과 연결된 터미널(도면미도시)들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터미널공(130)의 내부에는 각각의 상기 터미널들을 고정시키는 랜스(도면미도시)와 같은 고정구조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공(130)에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터미널공(130) 사이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과 상기 터미널공(130) 사이를 밀폐시키는 씰링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1하우징(110) 내부에는 노이즈쉴드(도면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노이즈쉴드는 상기 터미널들을 모두 감쌀 수 있게, 대략 상기 제1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유사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110)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노이즈쉴드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고전압 및 고전류에 의해 상기 터미널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양 측면에는 회전축(12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20)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이후 설명될 상기 레버(3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20)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걸림단(121)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121)은 상기 회전축(120)에 설치되는 상기 레버(3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레버(300)의 일부에 걸림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1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회전축(120)에 인접하게 고정돌기(150)를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돌기(150)는 이후 설명될 상기 레버(300)의 위치고정홈(314)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300)를 일정한 위치상태로 회동되지 않게 걸림 고정시키거나, 상기 레버(300)의 작동구간홈(3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레버(300)를 일정한 각도까지 회동될 수 있게 걸림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 단부 외측 둘레에는 결합후크(160)를 복수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결합후크(160)는 이후 설명될 상기 제2커넥터(200)의 조립결합홈(250)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 단부가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 단부에는 링 형상을 가지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1씰링(14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씰링(140)은 상기 제1하우징(110)이 이후 설명될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210) 사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이 상기 제1하우징(110) 및 상기 제2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제1하우징(110) 내측에는 인터락(도면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인터락은 고전압/고전류 조건 하에서 상기 제1,2커넥터(100)(200)의 터미널 간 체결 직전 또는 해제 직후에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즉, 체결과정에서 상기 터미널들이 체결된 후 상기 인터락 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제2커넥터(200)의 인터락이 후에 체결되어 신호를 ECU(도면미도시)에 보내면 그 때 하나의 상기 터미널로 전력이 공급되게 하며, 해제과정에서 상기 인터락 또는 상기 제2커넥터 상의 인터락이 먼저 해제되어 그 신호를 ECU에 보내면, 하나의 상기 터미널에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쇼트 또는 스파크 발생이 없는 안전한 해제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커넥터(200)는 상기 제1커넥터(100)와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200)의 외관 및 골격은 제2하우징(2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210)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 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 단부가 삽입 설치되도록 내부공간(211)이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내부공간(211)으로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제1하우징(110)이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210) 내부에는 복수의 터미널공(230)들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터미널공(230)들로 케이블(도면미도시)과 연결된 터미널들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터미널공의 내부에는 각각의 상기 제1터미널(140)을 고정시키는 랜스(도면미도시)와 같은 고정구조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공(230)에는 상기 케이블과 상기 터미널공(230) 사이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과 상기 터미널공(230) 사이를 밀폐시키는 씰링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2하우징(210) 내부에는 노이즈쉴드(도면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노이즈쉴드는 상기 터미널들을 모두 감쌀 수 있게, 대략 상기 제2하우징(210)의 내측면에 유사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하우징(210)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노이 즈쉴드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고전압 및 고전류에 의해 상기 터미널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210)의 양 측면에는 결합돌기(22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20)는 이후 설명될 상기 레버(300)의 결합슬릿(313)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300)와 협력하여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0)(2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210)의 일 단부 내측에는 링 형상을 가지는 플렉서블한 재질의 제2씰링(26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씰링(260)은 상기 제2하우징(210)이 유니트(도면미도시)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210)과 상기 유니트 사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이 상기 제2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제2하우징(210) 내측에도 인터락(도면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인터락은 고전압/고전류 조건 하에서 상기 터미널 간 체결 직전 또는 해제 직후에 발생될 수 있는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즉, 체결과정에서 상기 터미널이 체결된 후 상기 제1커넥터(100) 인터락 또는 상기 제2커넥터(200)의 인터락이 후에 체결되어 신호를 ECU(도면미도시)에 보내면 그 때 상기 제1커넥터(100)의 터미널 또는 상기 제2커넥터(200)의 터미널로 전력이 공급되게 하며, 해제과정에서 상기 제1커넥터(100)의 인터락 또는 상기 제2커넥터(200)의 인터락이 먼저 해제되어 그 신호를 ECU에 보내면, 상기 제1커넥터(100)의 터미널 또는 상기 제2커넥터(200)의 터미널에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쇼트 또는 스파크 발생이 없는 안전한 해제를 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2하우징(210)의 일 측부에는 걸림후크(24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후크(240)는 이후 설명될 상기 레버(300)의 체결록킹후크(331)를 걸림시켜, 상기 레버(300)가 상기 제2하우징(210)을 상기 제1하우징(110)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210)의 일 단부 가장자리 둘레에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결합후크(160)에 대응되게 복수의 조립결합홈(250)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조립결합홈(250)에 상기 제2하우징(210)의 결합후크(160)가 삽입 걸림되면서,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210)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210)의 일 측부, 즉, 상기 걸림후크(240)에 인접된 위치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걸림홈(270)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홈(270)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부재(400)가 상기 레버(3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400)의 일 측부가 삽입 걸림된다.
상기 레버(300)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회전축(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제2하우징(210)을 상기 제1하우징(110) 방향으로 당기면서, 상기 제1,2커넥터(100)(200)를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되게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300)는 회동판(310), 연결판(320), 록킹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판(310)은 상기 제1하우징(110)의 회전축(1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판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회동판(310)의 일 측부에는 각각 상기 회전축(120)이 설치되는 회전홀(311)을 관통되게 형성한다. 상기 회전홀(311)에 상기 제1하우징(110)의 회전축(120)이 관통하여 상기 레버(300)가 상기 제1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홀(311)의 내면에는 삽입홈(312)이 일정깊이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12)은 상기 회전축(120)이 상기 회전홀(311)에 삽입될 때, 상기 회전축(120)의 걸림단(121)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판(310) 일 측부에는 상기 결합슬릿(313)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슬릿(213)은 상기 회전홀(311)을 중심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슬릿(313)에는 상기 제2커넥터(200)의 결합돌기(220)가 삽입되어 안내된다.
또한, 상기 회동판(310)의 일 측부에는 상기 회전홀(311)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위치고정홈(314)들 및 작동구간홈(315)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홈(314)에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고정돌기(150)가 삽입 걸림되어, 상기 회동판(310)을 일정한 위치에서 회동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반면에, 상기 작동구간홈(315)에 상기 고정돌기(150)가 삽입된 경우, 이후 설명될 상기 록킹부(330)의 체결록킹후크(331)가 상기 제2하우징(210)의 걸림후크(240)에 걸림 체결될 수 있는 각도까지 상기 회동판(310)을 회동되게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연결판(320)은 상기 회동판(310)들의 단부를 상호 연결 결합시키는 판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판(320)에 의해 한 쌍의 상기 회동판(310)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 판(320)에 의해 상기 회동판(210)의 회전에 의해 전달되는 힘이 상기 제1커넥터(100)에 균형을 이루면서 골고루 분배되도록 하여 상기 제1,2커넥터(100)(200)의 조립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록킹부(330)는 상기 제2하우징(210)의 걸림후크(240)에 걸림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록킹부(330)는 상기 연결판(320)의 일 측부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부(330)는 작업자의 누름힘에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ㄷ'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330)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후크(240)에 걸림되는 체결록킹후크(331)가 돌출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300)의 회동판(310) 내측부에는 제1체결단(340) 및 제2체결단(350)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동판(310)에 상기 제1,2체결단(340)(350)이 형성되어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부재(400)의 일 측부가 상기 제2하우징(210)의 걸림홈(270)에 삽입 걸림되고, 타 측부는 상기 제1,2체결단(340)(350)에 각각 걸림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레버(300)의 내측부에는 체결방지걸림돌기(360)를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방지걸림돌기(360)는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부재(400)를 상기 레버(300)의 록킹부(330)에 완전 삽입 체결되기 전 설치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재(400)를 일측부를 걸림시킨다. 즉, 상기 체결방지걸림돌기(360)는 상기 고정부재(400)에 작업자의 밀림힘이 발생되기 전까지는, 상기 고정부재(400)가 상기 걸림홈(270) 및 상기 제1,2체결단(340)(350)에 걸림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레버(300)에 대해 설치위치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레버(300)의 체결록킹후크(331)가 상기 제2하우징(210)의 걸림후크(240)에 걸림된 상태에서 작업자나 충격에 의한 임의의 힘이 작용되더라도 해제되지 않는 고정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레버(300)가 상기 제2커넥터(200)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레버(300)에 설치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400)는 본체(410), 제1걸림대(420), 제2걸림대(4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410)는 상기 레버(300)의 록킹부(330)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410)에는 상기 레버(300)의 록킹부(330) 일 단이 삽입되도록 휨방지고정홀(411)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휨방지고정홀(411)에 상기 록킹부(330)가 삽입되면서, 임의의 힘에 의해 상기 록킹부(430)가 탄성변형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록킹부(330)에 누름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체결록킹후크(331)가 상기 걸림후크(240)에 걸림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410)의 일 측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200)의 걸림홈(270)에 대응 삽입되는 걸림돌기(4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410)에는 체결방지대(440)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방지대(440)의 일 측부에는 상기 레버(300)의 록킹부(330)에 상기 본체(410)가 완전 삽입되기 전에 상기 체결방지걸림돌기(360)에 걸림되도록 제2체결방지단(4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체결방지단(441)이 상기 체결방지걸림돌기(360)에 걸림되면서, 임의의 힘이 작용하기 전까지 상기 본체(410)가 상기 록킹부(300)에 완전 삽입되지 않게 그 설치위치를 걸림 유지시킨다.
상기 제1걸림대(420)는 상기 본체(410)의 일 측부에 연장 형성된 상태로 상기 레버(300)에 연결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1걸림대(420)의 일 측부에는 상기 레버(300)의 제1체결단(340)에 걸림되는 제1이탈방지돌기(4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대(420)의 타 측부에는 제1체결방지단(422)을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체결방지단(422)은 상기 레버(300)의 록킹부(330)에 상기 본체(410)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1체결단(340)에 걸림되면서, 임의의 힘이 작용하기 전까지 상기 본체(410)가 상기 록킹부(300)에 완전 삽입되지 않게 그 설치위치를 걸림 유지시킨다.
상기 제2걸림대(430)는 상기 제1걸림대(4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410)의 일 측부에 연장 형성된 상태로 상기 레버(300)에 연결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2걸림대(430)는 상기 제1걸림대(420)에 수평상태로 상기 본체(410) 일 측부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걸림대(430)의 일 측부에는 상기 레버(300)의 제2체결단(350)에 걸림되는 제2이탈방지돌기(431)가 돌출 형성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300)의 체결록킹후크(331)가 상기 제2하우징(210)의 걸림후크(240)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400)의 걸림돌기(412)는 상기 제2하우징(210)의 걸림홈(270)에 삽입 걸림된다. 동시에, 상기 제1걸림대(420)의 제1이탈방지돌기(421)는 상기 레버(300)의 제1체결단(340)에 걸림되며, 상기 제2걸림대(430)의 제2이탈방지돌기(431)는 상기 레버(300)의 제2체결단(350)에 걸림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동작을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제1 및 제2하우징(110)(210)의 터미널공(130)(230)에 케이블과 연결된 터미널들을 각각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110)의 회전축(120)에 상기 레버(300)의 회전홀(311)을 삽입시켜 회동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레버(300)에는 상기 고정부재(400)를 설치한다. 즉, 상기 레버(300)의 록킹부(300)를 상기 본체(410)의 휨방지고정홀(411)에 완전 체결되지 않는 일정깊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대(420)의 제1체결방지단(422)은 상기 레버(300)의 제1체결단(340)에 걸림되게 하고, 상기 체결방지대(440)의 제2체결방지단(441)이 상기 레버(300)의 체결방지걸림돌기(360)에 걸림되게 한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 단부를 상기 제2하우징(210)의 내부공간(211)으로 삽입 결합한다. 즉, 상기 제1하우징(110)의 결합후크(160)를 상기 제2하우징(210)의 조립결합홈(250)에 삽입 걸림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210)의 결합돌기(220)는 상기 레버(300)의 결합슬릿(313)에 삽입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제2하우징(200)에 상기 제1하우징(100)을 결합한 후, 상기 작업자는 상기 레버(30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레버(300)의 체결록킹후크(331)가 상기 제2하우징(210)의 걸림후크(240)에 걸림되게 한다. 이때, 상기 레버(300)는 상기 작동구간홈(315)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상기 결합슬릿(313)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220)가 안내되면서, 상기 제2하우징(210)은 상기 제1하우징(11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1,2커넥터(100)(200)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고정부재(500)에 임의의 힘을 가하면서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본체(410)의 휨방지고정홀(411)로 상기 레버(300)의 록킹부(330)가 완전삽입 설치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400)의 걸림돌기(412)는 상기 제2하우징(210)의 걸림홈(270)에 삽입 걸림된다. 더불어, 상기 제1걸림대(420)의 제1이탈방지돌기(421)는 상기 레버(300) 내측의 제1체결단(340)에 걸림되며, 상기 제2걸림대(430)의 제2이탈방지돌기(431)는 상기 레버(300) 내측의 제2체결단(350)에 걸림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00)는 상기 고정부재(400)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200) 상의 걸림후크(240)에 걸림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는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1커넥터(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레버(300)가 상기 제2커넥터(200)를 상기 제1커넥터(100) 방향으로 당기도록 상기 제2커넥터(200)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400)가 상기 레버(300)를 상기 제2커넥터(200)에 걸림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300)가 임의의 힘에 의해 상기 제2커넥터(200)에 걸림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아, 상기 제1,2커넥터(100)(200)의 상호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 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제1커넥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2커넥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레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외측면도 및 내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고정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도 8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나타낸 고정부재의 완전체결전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2 및 도 13의 고정부재가 완전체결된 상태의 확대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제1커넥터 110: 제1하우징
120: 회전축 140: 고정돌기
160: 결합후크 200: 제2커넥터
210: 제2하우징 220: 결합돌기
240: 걸림후크 250: 조립결합홈
270: 걸림홈 300: 레버
310: 회동판 311: 회전홀
313: 결합슬릿 320: 연결판
330: 록킹부 331: 체결록킹후크
340: 제1체결단 350: 제2체결단
360: 체결방지걸림돌기 400: 고정부재
410: 본체 411: 휨방지고정홀
412: 걸림돌기 420: 제1걸림대
430: 제2걸림대 440: 체결방지대

Claims (6)

  1. 내부에는 제1터미널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하도록 내부에 상기 제1커넥터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일측부에 걸림후크가 돌출 형성된 제2커넥터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안내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되며, 일측부에는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되는 체결록킹후크가 형성된 레버와;
    상기 체결록킹후크를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상기 제2커넥터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록킹후크가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일 측부에는 걸림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레버의 내 측부에는 제1체결단 및 제2체결단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레버의 록킹부가 삽입되어 상기 록킹부의 탄성변형을 방지하는 휨방지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장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제1체결단에 걸림되게 제1이탈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1걸림대 및, 상기 본체에 연장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제2체결단에 걸림되게 제2이탈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2걸림대를 포함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회전홀이 관통 형성되며, 일 측부에 상기 결합슬릿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단부를 상호 연결 결합시키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체결록킹후크가 돌출 형성된 'ㄷ' 형상의 록킹부를 포함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양 측면에는 돌출되게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의 일 측부에는 상기 회전홀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위치고정홈들 및 작동구간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 걸림되면서, 상기 회동판을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작동구간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록킹후크가 상기 걸림후크에 걸림 체결되는 각도까지 상기 회동판이 회동되게 가이드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내 측부에는 체결방지걸림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대의 타 측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록킹부에 상기 본체가 완전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1체결단에 걸림되는 제1체결방지단과,
    상기 본체에 연장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레버의 록킹부에 상기 본체가 완전 삽입되기 전에 상기 체결방지걸림돌기에 걸림되는 제2체결방지단이 돌출 형성된 체결방지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체결방지단과 상기 제2체결방지단이 각각 상기 제1체결단 및 상기 체결방지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본체의 휨방지고정홀에 상기 레버의 록킹부가 완전 삽입되기 전의 설치상태를 유지시키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일 측부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결합후크들 및,
    상기 제2커넥터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가 대응되게 걸림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립결합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시, 상기 결합후크들과 상기 조립결합홈이 상호 체결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090065830A 2009-07-20 2009-07-20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82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830A KR101082989B1 (ko) 2009-07-20 2009-07-20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PCT/KR2010/003717 WO2011010794A2 (ko) 2009-07-20 2010-06-10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830A KR101082989B1 (ko) 2009-07-20 2009-07-20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67A KR20110008467A (ko) 2011-01-27
KR101082989B1 true KR101082989B1 (ko) 2011-11-11

Family

ID=4349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830A KR101082989B1 (ko) 2009-07-20 2009-07-20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2989B1 (ko)
WO (1) WO201101079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573B1 (ko) * 2012-05-07 2014-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1397B (zh) * 2012-09-19 2016-05-18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锁紧功能的矩形电连接器及其组件
KR102078163B1 (ko) * 2014-04-14 2020-0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CN105870722A (zh) * 2015-01-22 2016-08-17 德尔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带悬臂结构的连接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2448B2 (ja) * 2000-07-13 2004-09-08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090022372A (ko) * 2007-08-30 2009-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0944009B1 (ko) * 2007-08-31 2010-02-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커넥터 및 레버타입커넥터의 결합방법
KR100955055B1 (ko) * 2007-12-31 2010-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573B1 (ko) * 2012-05-07 2014-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0794A2 (ko) 2011-01-27
KR20110008467A (ko) 2011-01-27
WO2011010794A3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316B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JP6816945B2 (ja) 直接嵌合および嵌合解除のためのcpaデバイス
US9281614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s
DK2415123T3 (en) Coaxial cable continuity connector
JP5506793B2 (ja) ばね付勢された電気コネクタ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082989B1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US936889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2169220A (ja) コネクタ装置
US20140206222A1 (en) Lever-type connector
JP2007179860A (ja) コネクタ
US20110097922A1 (en) Connector attachable to an attaching object without forming a large opening in the attaching object
JP2015005432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6994880B2 (ja) 回転可能なハウジングを有する電気ケーブルコネクタ
JP201009795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193907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US5273445A (en) Locking electrical connector
TW201740628A (zh) Rj45閘門插口及相關通訊系統
KR100995279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101856382B1 (ko) 커넥터 조립체
JP5151656B2 (ja) ハーネスコネクタの破壊防止構造
KR100798758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액츄에이터 고정구조
JP6328689B2 (ja) 係止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KR100995280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20090022965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4039669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