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498A -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 Google Patents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498A
KR20200041498A KR1020180121596A KR20180121596A KR20200041498A KR 20200041498 A KR20200041498 A KR 20200041498A KR 1020180121596 A KR1020180121596 A KR 1020180121596A KR 20180121596 A KR20180121596 A KR 20180121596A KR 20200041498 A KR20200041498 A KR 20200041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harging
interlocking
charging terminal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175B1 (ko
Inventor
김나영
이우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18012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1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고 전면에 교류충전단자와 직류충전단자를 구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면 주연부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교류충전단자와 상기 직류충전단자의 전면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1커버와 제2커버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와; 상기 교류충전단자와 상기 직류충전단자를 동시 개방시에는 상기 제2커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교류충전단자와 상기 직류충전단자를 동시 폐쇄시에는 상기 제1커버를 회전시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CAHRGING INLET HAVING INTERLOCKING TYPE COVER}
본 발명은 충전 인렛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충전 인렛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커버가 상호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자동차를 충전시에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버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교류충전단자와 충전 아웃렛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커버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교류충전단자 및 직류충전단자와 충전 아웃렛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버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은,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며 전면에 교류충전단자와 직류충전단자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완속 충전 아웃렛(1) 및 급속 충전 아웃렛(2)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구비된 상기 교류충전단자와 직류충전단자를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커버(21)와 제2커버(22)로 이루어지는 커버부(2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완속 충전 아웃렛이나 급속 충전 아웃렛과 결합될 수 있는 교류충전단자와 직류충전단자가 마련되어 교류충전단자와 직류충전단자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는 부재이다.
상기 교류충전단자는 완속 충전시에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직류충전단자는 급속 충전시에 교류충전단자와 함께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부(20)는 하우징(10)의 전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교류충전단자와 상기 직류충전단자의 전면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1커버(21)와 제2커버(22)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커버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에 있어서는, 완속 충전시에 사용하는 교류충전단자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제1커버(21)와 급속 충전시에 상기 교류충전단자와 함께 사용하는 직류충전단자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제2커버(22)의 회전 구동이 별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급속 충전시에 제1커버(21)와 제2커버(22)를 각각 개방시키고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각각 폐쇄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충전 인렛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 충전 인렛의 전면에 구비된 복수의 커버의 개폐 운동이 연동되도록 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커버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은,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고 전면에 교류충전단자와 직류충전단자를 구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면 주연부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교류충전단자와 상기 직류충전단자의 전면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시에 상기 하우징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커버와 제2커버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와; 상기 교류충전단자와 상기 직류충전단자를 동시 개방시에는 상기 제1커버나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우징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개될 때까지 회전시키고, 상기 제1커버나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에는 상기 제1커버나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우징의 판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될 때까지 회전시키며, 상기 교류충전단자와 상기 직류충전단자를 동시 폐쇄시에는 상기 제1커버를 회전시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부를;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1커버의 하면과 상기 제2커버의 상면이 상호 접촉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커버, 상기 제2커버가 상기 결합부재와 접촉되는 접촉 영역과, 상기 결합부재의 중심에는 체결공이 직립되게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체결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가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2커버의 상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1커버 하면의 상기 체결공 주연부에 돌출 형성된 연동돌기와, 상기 제1커버의 하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2커버 상면의 상기 체결공 주연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연동돌기가 삽입되는 연동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가 동시에 폐쇄된 상태나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동돌기가 상기 제1커버가 폐쇄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연동홈 단부와 접촉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커버만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동돌기가 상기 제1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연동홈 단부와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충전 인렛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 충전 인렛의 전면에 구비된 복수의 커버의 개폐 운동이 연동되도록 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커버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버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교류충전단자와 충전 아웃렛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커버부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교류충전단자 및 직류충전단자와 충전 아웃렛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커버부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커버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제1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제1커버와 제2커버가 동시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충전 아웃렛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커버부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커버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제1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의 제1커버와 제2커버가 동시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은,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고 전면에 교류충전단자(110)와 직류충전단자(120)를 구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면 주연부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30)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교류충전단자(110)와 상기 직류충전단자(120)의 전면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로 이루어지는 커버부(200)와; 상기 교류충전단자(110)와 상기 직류충전단자(120)를 동시 개방시에는 상기 제1커버(210)나 상기 제2커버(2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우징(100)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개될 때까지 회전시키고, 상기 제1커버(100)나 상기 제2커버(220)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에는 상기 제1커버(210)나 상기 제2커버(2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우징(100)의 판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될 때까지 회전시키며, 상기 교류충전단자(110)와 상기 직류충전단자(120)를 동시 폐쇄시에는 상기 제1커버(210)를 회전시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될 수 있는 교류충전단자(110)와 직류충전단자(120)가 전면에 마련되어 교류충전단자(110)와 직류충전단자(1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는 부재이다.
교류충전단자(110)는 완속 충전시에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고, 직류충전단자(120)는 급속 충전시에 교류충전단자(110)와 함께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 전면의 교류충전단자(110)와 직류충전단자(120)의 주연부 일측에는 하우징(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130)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돌기(130)의 중앙 영역에는 체결핀(101)이 체결되어 후술할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1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200)는 교류충전단자(110)의 전면 주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교류충전단자(110)를 개폐시키는 제1커버(210)와, 직류충전단자(120)의 전면 주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직류충전단자(120)를 개폐시키는 제2커버(2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부(200)를 구성하는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는 상기 교류충전단자(110)와 상기 직류충전단자(120)의 전면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180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커버(210)는 상대적으로 제2커버(2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커버(220)는 상대적으로 제1커버(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1커버(210)의 하면과 제2커버(220)의 상면이 상호 접촉된 상태로 결합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1커버(210) 및 상기 제2커버(220)가 결합부재(110)와 접촉되는 접촉 영역의 중심에는 결합돌기(130)에 형성된 체결공(13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체결공(211, 221)이 관통 형성되고 체결공(131, 211, 221)에는 체결핀(101)이 삽입되어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가 결합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연동부(300)는 제1커버(210)의 회전 운동과 제2커버(220)의 회전 운동이 선택적으로 연동되도록 하여 교류충전단자(110)와 직류충전단자(120)를 동시에 사용시에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가 동시에 개방되도록 하고, 교류충전단자(110)와 직류충전단자(120)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가 동시에 폐쇄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커버(100)나 제2커버(220)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에는 상기 제1커버(210)나 상기 제2커버(220) 중 어느 하나가 하우징(100)의 판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될 때까지 회전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연동부(300)는 제2커버(22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커버(210) 하면의 체결공(211) 주연부에 돌출 형성된 연동돌기(310)와, 제1커버(210)의 하면과 접촉되는 제2커버(220) 상면의 상기 체결공(221) 주연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함몰 형성되어 연동돌기(310)가 삽입되는 연동홈(3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동돌기(310)는 제1커버(210) 하면의 체결공(211) 주연부에서 제1커버(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부재로서, 제2커버(220)에 형성된 연동홈(320)에 삽입된다.
연동홈(320)은 제2커버(220) 상면의 체결공(221) 주연부에 함몰 형성되어 연동돌기(310)가 삽입되며, 선택적으로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가 연동되게 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함몰 형성되어 있다.
연동홈(320)의 폭은 제1커버(210)의 하면에 형성된 연동돌기(310)가 연동홈(320)에 삽입시에 연동홈(320)의 폭방향을 따라 유동하지 않도록 연동돌기(310)의 직경과 유사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동홈(310)은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가 동시에 폐쇄된 상태나 개방된 상태에서는 연동돌기(320)가 제1커버(210)가 폐쇄되는 방향에 위치한 연동홈(320) 단부와 접촉된 상태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연동홈(310)은 제1커버(210)만 개방된 상태에서는 연동돌기(310)가 제1커버(210)가 개방되는 방향에 위치한 연동홈 (320)단부와 접촉된 상태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가 180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동홈(310)은 반 호상의 길이를 갖도록 함몰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시에 커버부를 개폐시키는 과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완속 충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교류충전단자(110) 만을 사용시에 사용자는 제1커버(210)의 일측을 그립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제1커버(210)를 회전시키면 제1커버(21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연동돌기(310)가 원주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함몰 형성된 연동홈(320)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커버(210)만 개방이 이루어진다. (도 7의 상태)
제1커버(210)의 개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교류충전단자(110)에 충전 아웃렛을 삽입하여 전기자동차가 완속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급속 충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교류충전단자(110)와 직류충전단자(120)를 동시에 사용시에 사용자는 제2커버(220)의 일측을 그립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제2커버(220)를 회전시키면 연동돌기(310)가 제1커버(210)가 폐쇄되는 방향에 위치한 연동홈(320)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이므로 제2커버(220)의 회전에 따라 제1커버(210)도 함께 회전 구동되므로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를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의 상태)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의 개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교류충전단자(110)와 직류충전단자(120)에 충전 아웃렛을 삽입하여 전기자동차가 급속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제1커버(210)의 일측을 그립한 상태에서 제1커버(21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동돌기(310)가 제1커버(210)가 폐쇄되는 방향에 위치한 연동홈(320)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이므로 제1커버(210)의 회전에 따라 제2커버(220)도 함께 회전 구동되므로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를 동시에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의 상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은 충전 인렛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 충전 인렛의 전면에 구비된 복수의 커버의 개폐 운동이 연동되도록 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커버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교류충전단자
120 : 직류충전단자 130 : 결합부재
200 : 커버부 210 : 제1커버
220 : 제2커버 300 : 연동부
310 : 연동돌기 320 : 연동홈

Claims (4)

  1.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고 전면에 교류충전단자(110)와 직류충전단자(120)를 구비하여 충전 아웃렛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면 주연부에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30)가 돌출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교류충전단자(110)와 상기 직류충전단자(120)의 전면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로 이루어지는 커버부(200)와;
    상기 교류충전단자(110)와 상기 직류충전단자(120)를 동시 개방시에는 상기 제1커버(210)나 상기 제2커버(2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우징(100)의 판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개될 때까지 회전시키고, 상기 제1커버(100)나 상기 제2커버(220)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에는 상기 제1커버(210)나 상기 제2커버(22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하우징(100)의 판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될 때까지 회전시키며, 상기 교류충전단자(110)와 상기 직류충전단자(120)를 동시 폐쇄시에는 상기 제1커버(210)를 회전시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동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220)는 상기 제1커버(210)의 하면과 상기 제2커버(220)의 상면이 상호 접촉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커버(210), 상기 제2커버(220)가 상기 결합부재(110)와 접촉되는 접촉 영역과, 상기 결합부재(110)의 중심에는 체결공(131, 211, 221)이 직립되게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31, 211, 221)에는 체결핀(101)이 삽입되어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220)가 상기 결합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300)는 상기 제2커버(220)의 상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1커버(210) 하면의 상기 체결공(211) 주연부에 돌출 형성된 연동돌기(310)와, 상기 제1커버(210)의 하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2커버(220) 상면의 상기 체결공(221) 주연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연동돌기(310)가 삽입되는 연동홈(3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210)와 상기 제2커버(220)가 동시에 폐쇄된 상태나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동돌기(320)가 상기 제1커버(210)가 폐쇄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연동홈(320) 단부와 접촉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커버(210)만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동돌기(310)가 상기 제1커버(210)가 개방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연동홈 (320)단부와 접촉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KR1020180121596A 2018-10-12 2018-10-12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KR10218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96A KR102183175B1 (ko) 2018-10-12 2018-10-12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96A KR102183175B1 (ko) 2018-10-12 2018-10-12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98A true KR20200041498A (ko) 2020-04-22
KR102183175B1 KR102183175B1 (ko) 2020-11-25

Family

ID=7047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596A KR102183175B1 (ko) 2018-10-12 2018-10-12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1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6575B2 (ja) * 1994-07-19 1999-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蓋開閉構造
JP3112226B2 (ja) * 1993-12-27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KR20130124835A (ko) * 2012-05-07 2013-11-1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US20140162480A1 (en) * 2012-12-10 2014-06-12 Michael J. Schutte Electrical Outlet Cover with Safety Lo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2226B2 (ja) * 1993-12-27 2000-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JP2916575B2 (ja) * 1994-07-19 1999-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蓋開閉構造
KR20130124835A (ko) * 2012-05-07 2013-11-1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US20140162480A1 (en) * 2012-12-10 2014-06-12 Michael J. Schutte Electrical Outlet Cover with Safety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175B1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2220B2 (en) Cosmetic case
KR101982805B1 (ko)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KR20200041498A (ko)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KR20200048196A (ko)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의 슬라이드 가이드 구조
CN106032636B (zh) 用于洗衣机的门体组件及洗衣机
US20070170223A1 (en) Nail Magazine for a Nailer
KR20200001038U (ko) 화장품용기
KR101574534B1 (ko)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CN109373685B (zh) 冰箱
US2487090A (en) Combination handbag and change purse
KR20130043411A (ko)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CN111449527B (zh) 烹饪器具和烹饪器具的上盖组件
KR20200005140A (ko) 이중 수납형 화장품 수납용기
JPH064810Y2 (ja) 化粧用コンパクト
JPS6317368Y2 (ko)
JP3738201B2 (ja) パック電池
JP2001072104A (ja) 容器の蓋の構造
JP4135168B2 (ja) 容器の蝶番構造
JP3607719B2 (ja) パチンコ球受口器
CN109373686B (zh) 冰箱
JP3562831B2 (ja) 回転ドア装置
JP3075993U (ja) 回動式鏡又は三面鏡
JPH0112656Y2 (ko)
JPH07153227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02304186A (ja) 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