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534B1 -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534B1
KR101574534B1 KR1020140115485A KR20140115485A KR101574534B1 KR 101574534 B1 KR101574534 B1 KR 101574534B1 KR 1020140115485 A KR1020140115485 A KR 1020140115485A KR 20140115485 A KR20140115485 A KR 20140115485A KR 101574534 B1 KR101574534 B1 KR 101574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haft
concave
cam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희
Original Assignee
(주)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렉코 filed Critical (주)프렉코
Priority to KR102014011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와 덮개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덮개의 1차회전동작을 유발하는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에 평행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어 덮개의 2차회전동작을 유발하는 제2회전부재; 상기 1차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1차회전동작 또는 2차회전동작 중에 제1회전부재 또는 제2회전부재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키는 스토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덮개와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구비함에 있어서 2개의 회전축이 포함되고, 각 회전축이 덮개의 회전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덮개의 회전각도를 보다 크게 확장시킬 수 있어 덮개가 본체의 후면에 중첩되게 접힐 수 있고, 이러한 덮개의 회전동작이 본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힌지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덮개의 작동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Hinge Device for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는 휴대폰에 적용되어 덮개와 본체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휴대통신장비다.
덮개와 본체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폰은 모바일 단말기 중 하나로서 덮개가 본체의 일부위가 힌지장치로 연결되어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체에는 키패드와 송신마이크 및 배터리가 구비되고, 덮개에는 액정화면 및 스피커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덮개를 적정한 각도로 열고 귀에 댄 후 통화를 하게되고, 또는 덮개를 적당한 각도로 열어 세운 상태에서 액정화면을 보면서 각종 작업을 하게 된다.
이에 덮개를 적당한 각도로 열거나 닫을 수 있고, 잦은 개폐작동에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는 힌지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 10-2006-0033199호에는 힌지장치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른 힌지장치는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캠과 상기 고정캠을 관통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삽입되는 가동캠과, 상기 가동캠의 후방에 마련되며, 케이싱 처리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가동캠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이 스프링에 의해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단속하는 단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힌지장치는 하나의 축으로 구성되므로 덮개의 각도 변경시 본체와 연동되므로 회전 각도에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덮개와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2개의 회전축을 구비함으로써 덮개의 회전각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고, 본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와 덮개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내부에 평행되게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에 각기 통하는 제1개구공과 제2개구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결합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제1스프링이 개재된 제1축봉과, 상기 제1축봉에 일측이 결합되어 제1스프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개구공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1요철부가 형성된 제1캠축과, 상기 제1캠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1요철부와 결합되는 제2요철부가 형성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제1지지축으로 구성된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에 평행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결합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제2스프링이 개재된 제2축봉과, 상기 제2축봉에 일측이 결합되어 제2스프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2개구공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3요철부가 형성된 제2캠축과, 상기 제2캠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3요철부와 결합되는 제4요철부가 형성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의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제2지지축으로 구성된 제2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되며 제1회전축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1록킹홀과, 제2회전축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록킹홀이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이 각기 결합되어 고정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연결부재; 상기 블럭의 제1록킹홀에 결합되며 출몰작동되는 제1록킹핀과, 상기 제2록킹홀에 결합되며 출몰작동하는 제2록킹핀으로 구성되고,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은 제1록킹홀과 제2록킹홀에 각기 결합된 코일스프링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스토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은 단면이 원형이되 일측에 수직의 제1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단면이 원형이되 일측에 수직의 제2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캠축은 단면이 원형이되 양측면에 수직의 제3측면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제3요철부가 형성되며 제2캠축보다 직경이 큰 환턱부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환턱부에 상기 제1록킹핀의 일단이 접촉되어 걸림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록킹핀은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일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키와, 상기 원판부의 타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의 외주에 코일스프링이 결합되어 원판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록킹핀은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원형의 머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에 코일스프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축봉의 일단과 상기 제1지지축의 일단에 각기 결합되며 덮개의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의 장착홈에 돌출 형성된 보스에 각기 끼움결합되는 제1장착편; 상기 제2축봉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축의 일단에 각기 결합되며 본체의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의 장착홈에 돌출 형성된 보스에 각기 끼움결합되는 제2장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와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구비함에 있어서 2개의 회전축이 포함되고, 각 회전축이 덮개의 회전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덮개의 회전각도를 보다 크게 확장시킬 수 있어 덮개가 본체의 후면에 중첩되게 접힐 수 있고, 이러한 덮개의 회전동작이 본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힌지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덮개의 작동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연결부재' 및 '스토핑수단'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캠축과 회전축을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에서 덮개가 0°일때(닫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는 상기 도 6에 대한 스토핑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평면도,
도 8는 상기 도 7에 대한 정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에서 덮개가 90°일때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상기 도 9에 대한 스토핑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평면도,
도 11은 상기 도 10에 대한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에서 덮개가 165°일때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에서 덮개가 270°일때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에서 덮개가 360°일때를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상기 도 14에 대한 스토핑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요부 확대 평면도,
도 16은 상기 도 15에 대한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100)와 덮개(200)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크게 하우징(2); 상기 하우징(2)의 일측에 결합되어 덮개(200)의 1차회전동작을 유발하는 제1회전부재(3); 상기 제1회전부재(3)에 평행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의 타측에 결합되어 덮개(200)의 2차회전동작을 유발하는 제2회전부재(4); 상기 1회전부재(3)와 제2회전부재(4)의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5); 상기 1차회전동작 또는 2차회전동작 중에 제1회전부재(3) 또는 제2회전부재(4)를 선택적으로 록킹시키는 스토핑수단(6); 상기 제1회전부재(3)의 양측에 연결되어 덮개(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장착편(7); 상기 제2회전부재(4)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장착편(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2)은 단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결합구(21)와 제2결합구(22)가 내부에 평행되게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구(21)와 제2결합구(22)에 각기 통하는 제1개구공과 제2개구공이 형성된다.
제1회전부재(3)는, 상기 하우징(2)의 제1결합구(21)에 삽입되며 내부에 제1스프링(32)이 개재된 제1축봉(31)과; 제1축봉(31)에 일측이 결합되어 제1스프링(32)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제1개구공(210)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1요철부(330)가 형성된 제1캠축(33)과; 제1캠축(33)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1요철부(330)와 결합되는 제2요철부(340)가 형성된 제1회전축(34)과; 제1회전축(34)의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제1지지축(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캠축(33)은 원봉형상이되 내부로는 제1지지축(35)이 결합되도록 관통공(333)이 형성되며, 양측에 수직되게 평면부(337)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직경이 큰 환턱부(334)가 형성되고, 상기 환턱부(334)에 제1요철부(330)가 형성된다.
제1요철부(330)는 내주면에 형성되며 대칭되게 형성되는 산(335)과, 산(335)에 이어지는 골(336)로 이루어지는 제1내측 요철부(331)와, 제1내측 요철부(331)의 외측에 형성되며 호형 돌출턱(33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제1회전축(34)은 단면이 원형이되 일측에 수직의 제1측면(345)이 형성되고, 제1지지축(35)이 결합되도록 내부에는 관통공(344)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제2요철부(34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제2요철부(340)는 제1요철부(330)의 제1내측 요철부(331)와 대응되도록 산(341-1)과 골(341-2)로 이루어진 제2내측 요철부(341)와, 제2내측 요철부(341)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호형 돌출턱(332)이 삽입되는 요입부(34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1내측 요철부(331) 및 제2내측 요철부(341)의 산(341-1)과 골(342-2)이 이어지는 부분은 완만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호형 돌출턱(332)은 요입부(342)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34)이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게 되는데, 제1회전축(34)이 약 0~165°까지 회전되도록 요입부(342)의 원주 길이가 설정된다.
한편 제2회전부재(4)는, 제2결합구(22)에 삽입되며 내부에 제2스프링(42)이 개재된 제2축봉(41)과, 상기 제2축봉(41)에 일측이 결합되어 제2스프링(42)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2개구공(22)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3요철부(430)가 형성된 제2캠축(43)과, 상기 제2캠축(43)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3요철부(430)와 결합되는 제4요철부(440)가 형성된 제2회전축(44)과, 상기 제2회전축(44)의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제2지지축(45)으로 구성된다.
제2캠축(43)은 원봉형상이되 내부로는 제2지지축(45)이 결합되도록 관통공(432)이 형성되며, 양측에 수직되게 평면부(433)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직경이 큰 환턱부(434)가 형성되고, 상기 환턱부(434)에 제3요철부(430)가 형성된다.
제3요철부(430)는 내주면에 형성되며 대칭되게 형성되는 산(436-1)과, 상기 산(436-1)에 이어지는 골(436-2)로 이루어지는 제3내측 요철부(436)와, 상기 제3내측 요철부(436)의 외측에 형성되며 산(436-1)과 골(436-2)로 이루어지는 외측 요철부(437)로 구성된다.
외측 요철부(437)의 산과 골은 제3내측 요철부(436)의 산(436-1)과 골(436-2)과 동일한 형상 및 위치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캠축(43)의 환턱부(434)에 상기 제1록킹핀(61)의 일단이 접촉되어 걸림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2회전축(44)은 단면이 원형이되 일측에 수직의 제2측면(442)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제2캠축(43)의 제3요철부(430)에 교합되는 제4요철부(440)가 형성된다. 제4요철부(440)는 대칭 형성된 산(440-1)과 그 사이의 골(440-2)로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부재(5)는 제1회전부재(3)와 제2회전부재(4)의 일단부, 즉 제1지지축(35) 및 제2지지축(45)에 결합되어 2개의 회전부재(3,4)가 뒤틀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5)는, 상기 제1회전부재(3)와 제2회전부재(4)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되며 제1회전축(34)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1록킹홀(521)과, 제2회전축(44)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록킹홀(522)이 형성된 블럭(52)과, 상기 블럭(52)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축(35)과 제2지지축(45)이 각기 결합되어 고정되는 브라켓(54)으로 구성된다.
블럭(52)은 직육면체 형상이고, 제1록킹홀(521)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제2록킹홀(522)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브라켓(54)은 블럭(52)의 일단부 양측에 직각되게 형성되며 제1지지축(35)과 제2지지축(45)이 결합되도록 통공(542)이 형성된다.
스토핑수단(6)은 제1회전부재(3) 또는 제2회전부재(4) 중 어느 하나가 회전작동되는 동안 나머지 회전부재(3,4)는 정지상태가 될 수 있도록 정지기능을 하게 된다.
스토핑수단(6)은 블럭(52)의 제1록킹홀(521)에 결합되며 출몰작동되는 제1록킹핀(61)과, 상기 제2록킹홀(522)에 결합되며 출몰작동하는 제2록킹핀(62)으로 구성되고, 제1록킹핀(61) 및 제2록킹핀(62)은 제1록킹홀(521)과 제2록킹홀(522)에 각기 결합된 코일스프링(64)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제1록킹핀(61)은 원판부(610)와, 상기 원판부(610)의 일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키(612)와, 상기 원판부(610)의 타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돌기(614)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612)의 외주에 코일스프링(64)이 결합되어 원판부(610)에 지지됨으로써 돌기(614)가 탄력적으로 출몰작동될 수 있다.
제2록킹핀(62)은 원통형의 몸체(622)와, 상기 몸체(622)의 일측에 원형의 머리부(624)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622)의 외주에 코일스프링(64)이 결합되어 몸체(622)의 끝단이 탄력적으로 출몰작동될 수 있다.
제1록킹핀(61)과 제2록킹핀(62)은 상반되게 출몰작동되면서 제2회전부재(4)와 제1회전부재(3)를 선택적으로 록킹상태가 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즉, 제1회전부재(3)가 회전작동되는 동안(이는 덮개(200)의 회전각도범위가 0°에서 165°까지를 의미한다)에는 제1록킹핀(61)이 작동되어 제2회전부재(4)의 회전작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2회전부재(4)가 회전작동되는 동안(이는 덮개의 회전각도범위가 165°에서 360°까지를 의미한다)에는 제2록킹핀(62)이 작동되어 제1회전부재(3)의 회전작동을 억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축봉(31)의 일단과 상기 제1지지축(35)의 일단에 각기 결합되며 덮개(200)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홈(미도시)에 삽입되고, 이 장착홈의 내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보스(미도시)에 각기 끼움결합되는 제1장착편(7)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2축봉(41)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축(45)의 일단에 각기 결합되며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홈(미도시)에 삽입되고, 이 장착홈의 내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 보스(미도시)에 각기 끼움결합되는 제2장착편(8)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를 닫았을때는 제1회전축(34)의 제1측면(345)이 제1록킹핀(61)의 돌기(614)에 대응되는 상태이며, 키(612)는 제1록킹홀(521) 내에 인입된 상태이므로 제2회전부재(4)에 대한 언록킹상태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를 열기 시작하여 90도까지 개방시킨다.
덮개(200)가 개방되기 시작하면, 제1장착편(7)의 회전과 동반되어 제1회전부재(3)의 회전작동이 실행된다.
따라서 제1지지축(35)의 회전과 동반되어 제1회전축(34)의 회전이 시작된다.
상기 제1회전축(34)이 회전되어 원형의 외주면이 제1록킹핀(61)의 돌기(614)에 접촉된 후 점차 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키(612)가 제1록킹홀(521)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돌출된 키(612)는 제2캠축(43)의 평면부(433)에 밀착됨으로써 제2캠축(43)의 회전이 불가능한 록킹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회전부재(3)가 회전되는 동안, 즉 덮개(200)가 0°에서 165°까지 회전동되는 동안에는 제2회전부재(4)의 회전은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1회전축(34)이 회전되면 제2요철부(340)와 결합되어 있는 제1요철부(330)로 인해 제1캠축(33)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요철부(330)의 산(335)과 골(336) 및 제2요철부(340)의 산(341-1)과 골(341-2)이 서로 교합되는 과정을 통해 적절한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으며, 1회의 회전은 약 90도간격이 되며 산을 한번씩 지날때마다 90도씩 회전된다.
그러나 제1회전축(34)에 결합된 제1캠축(33)의 회전은 요입부(342)와 돌출턱(332)의 회전 각도범위로 제한될 것이며 대략 0도에서 170도 사이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5도까지 회전되면 제1회전축(34)은 상기 제1요철부(330)와 제2요철부(340)의 캠 구동에 의해 자연적으로 회전되어 제1측면(345)이 제1록킹핀(61)의 돌기(614)에 대응되도록 위치된다.
이런 상태가 됨으로써 제1록킹핀(61)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제1록킹핀(61)은 코일스프링(64)의 복원력으로 인해 인입되어 제2회전부재(4)에 대한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를 더욱 후방으로 회전시켜서 본체(100)의 후면에 닿도록 하여 덮개(200)를 접을 수 있다.
즉, 덮개(200)에 힘을 가하여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이때부터는 제2회전부재(4)의 제2회전축(44)이 회전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축(44)이 회전됨으로써 그 외주면의 원형부위가 제2록킹핀(62)의 머리부(624)를 밀게되어 몸체(622)가 제2록킹홀(522)로부터 돌출되어 제1회전축(34)의 제1측면(345)에 밀착됨으로써 제1회전부재(3)는 록킹상태가 된다.
이후 덮개(200)의 회전은 제2회전부재(4)의 회전작동에 의해 계속 수행된다. 제2회전축(44)의 회전과 그에 결합된 제2캠축(43)의 회전은 각각의 제3내측 요철부(436)와 외측 요철부(437) 및 이에 교합된 제4요철부(440)의 산(440-1)과 골(440-2)에 의한 캠 구동에 의해 일정한 회전각도로 회전되며, 360도까지 회전된 후에는 제2회전축(44)은 캠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제2측면(442)이 제2록킹핀(62)에 위치되고, 제2록킹핀(62)은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코일스프링(64)에 의해 복원되어 제1회전축(34)에 대한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덮개(200)를 다시 닫는 과정은 상기의 역순으로 진행되며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하우징 3 : 제1회전부재
4 : 제2회전부재 5 : 연결부재
6 : 스토핑수단 7 : 제1장착편
8 : 제2장착편 21 : 제1결합구
22 : 제2결합구 31 : 제1축봉
32 : 제1스프링 33 : 제1캠축
34 : 제1회전축 35 : 제1지지축
41 : 제2축봉 43 : 제2캠축
44 : 제2회전축 45 : 제2지지축
52 : 블럭 54 : 브라켓
61 : 제1록킹핀 62 : 제2록킹핀

Claims (6)

  1. 모바일 단말기의 본체와 덮개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내부에 평행되게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에 각기 통하는 제1개구공과 제2개구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결합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제1스프링이 개재된 제1축봉과, 상기 제1축봉에 일측이 결합되어 제1스프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개구공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1요철부가 형성된 제1캠축과, 상기 제1캠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1요철부와 결합되는 제2요철부가 형성된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제1지지축으로 구성된 제1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에 평행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결합구에 삽입되며 내부에 제2스프링이 개재된 제2축봉과, 상기 제2축봉에 일측이 결합되어 제2스프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2개구공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3요철부가 형성된 제2캠축과, 상기 제2캠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3요철부와 결합되는 제4요철부가 형성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의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제2지지축으로 구성된 제2회전부재;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되며 제1회전축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1록킹홀과, 제2회전축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록킹홀이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이 각기 결합되어 고정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연결부재;
    상기 블럭의 제1록킹홀에 결합되며 출몰작동되는 제1록킹핀과, 상기 제2록킹홀에 결합되며 출몰작동하는 제2록킹핀으로 구성되고,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은 제1록킹홀과 제2록킹홀에 각기 결합된 코일스프링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스토핑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은 단면이 원형이되 일측에 수직의 제1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축은 단면이 원형이되 일측에 수직의 제2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축은 단면이 원형이되 양측면에 수직의 제3측면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제3요철부가 형성되며 제2캠축보다 직경이 큰 환턱부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환턱부에 상기 제1록킹핀의 일단이 접촉되어 걸림상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핀은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일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키와, 상기 원판부의 타단에 형성된 사각형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의 외주에 코일스프링이 결합되어 원판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록킹핀은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원형의 머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주에 코일스프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봉의 일단과 상기 제1지지축의 일단에 각기 결합되며 덮개의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덮개의 장착홈에 돌출 형성된 보스에 각기 끼움결합되는 제1장착편;
    상기 제2축봉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축의 일단에 각기 결합되며 본체의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본체의 장착홈에 돌출 형성된 보스에 각기 끼움결합되는 제2장착편;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20140115485A 2014-09-01 2014-09-01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1574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485A KR101574534B1 (ko) 2014-09-01 2014-09-01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485A KR101574534B1 (ko) 2014-09-01 2014-09-01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534B1 true KR101574534B1 (ko) 2015-12-04

Family

ID=5486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485A KR101574534B1 (ko) 2014-09-01 2014-09-01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5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524A (ko) * 2019-04-30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246780A1 (en) * 2019-06-03 2020-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233B1 (ko) 2005-09-30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360도 회전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0664215B1 (ko) 2005-09-0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360˚ 순차 거동하는 힌지장치
KR100925248B1 (ko) 2009-02-04 2009-11-05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JP2013249855A (ja) 2012-05-30 2013-12-12 Naturaleza One:Kk 2軸ヒン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215B1 (ko) 2005-09-05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360˚ 순차 거동하는 힌지장치
KR100664233B1 (ko) 2005-09-30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360도 회전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0925248B1 (ko) 2009-02-04 2009-11-05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JP2013249855A (ja) 2012-05-30 2013-12-12 Naturaleza One:Kk 2軸ヒン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524A (ko) * 2019-04-30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31754B2 (en) 2019-04-30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75556B1 (ko) * 2019-04-30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39675A (ko) * 2019-04-30 202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3243B1 (ko) 2019-04-30 2022-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662781B2 (en) 2019-04-30 202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0246780A1 (en) * 2019-06-03 2020-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US11259428B2 (en) 2019-06-03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0031B2 (en) Hinge device applicable to soft display screen
JP3602389B2 (ja) 折り畳み携帯式電話の枢着構造
JP2006233998A (ja)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2006233998A5 (ko)
KR20130059297A (ko) 단말 장치
KR101574534B1 (ko) 모바일 단말기용 힌지장치
EP3016371B1 (en) Opening/clos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3239942A (ja) ヒンジ構造及び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
JP2004204953A (ja)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KR100664184B1 (ko) 듀얼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4772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KR100686095B1 (ko) 힌지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66671A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JP4366965B2 (ja) 携帯端末装置
JP2014110091A (ja) 充電口構造
KR200428621Y1 (ko) 스윙 폰의 반자동스윙힌지장치
JP2007148817A (ja) 携帯機器
JP2002333012A (ja) ヒンジ装置
KR100754346B1 (ko)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JP2004044794A (ja) ヒンジ部材
KR100474633B1 (ko) 휴대폰의 개폐장치
KR100796945B1 (ko) 폴더형 휴대폰의 2클릭 힌지장치
KR100485631B1 (ko) 휴대폰의 커버 개폐 및 로테이션장치
EP1897234B1 (en) Portable terminal
JP2005291384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