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411A -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411A
KR20130043411A KR1020110107519A KR20110107519A KR20130043411A KR 20130043411 A KR20130043411 A KR 20130043411A KR 1020110107519 A KR1020110107519 A KR 1020110107519A KR 20110107519 A KR20110107519 A KR 20110107519A KR 20130043411 A KR20130043411 A KR 20130043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door
vehicle
hinge
fuel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6825B1 (ko
Inventor
마동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8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연료 주입구에 장착되며, 메인바디와 힌지 연결부로 구성된 연료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에 일측이 힌지 체결되며, 연료 주입구가 형성되는 차체의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연료도어에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힌지 연결부와 힌지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OPEN AND CLOSE DEVICE FOR FUEL DO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를 주입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연료주입구에 장착하여 연료도어의 팝업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연료도어의 개폐작동을 반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탱크가 차체에 장착되고, 이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필러 파이프가 차체의 외측 패널까지 연장되어 연료 주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연료 주입구에는 캡이 장착되고, 차체의 외측 패널에는 연료도어가 장착되어 연료 주입 시, 연료 주입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료도어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되게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는 차체를 구성하는 외측 패널에 형성된 원형의 하우징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캐치가 구비되어 연료도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연료도어를 하우징에 고정시키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캐치는 연료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로서, 연료도어의 회동에 따라 연료도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연료도어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차량의 실내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운전자의 버튼조작에 따라 연료도어의 잠금을 해제시켜 팝업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료도어는 제작의 용이성과 차량의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됨에 따라,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여 연료도어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료도어의 잦은 개폐작동과 연료도어의 변형에 의해 탄성부재가 밀림으로써, 탄성부재의 탄발력이 저하되어 연료도어의 팝업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내구성 및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료를 주입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연료 주입구에 장착하여 연료도어의 팝업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연료도어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연료 주입구에 장착되며, 메인바디와 힌지 연결부로 구성된 연료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에 일측이 힌지 체결되며, 연료 주입구가 형성되는 차체의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연료도어에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힌지 연결부와 힌지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연결부는 일단 상, 하부에 힌지돌기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힌지돌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핀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고정핀에 대향하는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고정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핀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이 상기 힌지 연결부를 향하여 설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과 회전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장착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몸체부의 오목하게 라운드진 내측 중앙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료도어의 폐쇄 시, 상기 고정핀과 회전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내측 중앙에 접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연료를 주입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연료 주입구에 장착하여 연료도어의 팝업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연료도어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도어를 팝업 및 반자동으로 개폐시키는 탄성부재가 고온환경에서 연료도어에 의해 밀려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연료도어의 내구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부분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부분 투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100)는 연료를 주입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연료 주입구에 장착하여 연료도어(110)의 팝업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연료도어(110)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에 구비되는 연료 주입구(미도시)에 장착되며, 메인바디(111)와 힌지 연결부(113)로 구성된 연료도어(110)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힌지 브라켓(120), 탄성부재(130), 및 스토퍼(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힌지 브라켓(120)은 연료도어(110)의 힌지 연결부(113)에 일측이 힌지 체결되며, 연료 주입구가 형성되는 차체의 하우징(미도시)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30)는 연료도어(110)에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힌지 연결부(113)와 힌지 브라켓(120)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30)는 상기 연료도어(110)에 탄발력을 제공함으로써, 연료도어(110)의 개방 시, 차체의 하우징에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연료도어(110)에 팝업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30)는 팝업 작동된 연료도어(110)를 사용자가 차체의 내측과 외측을 향하여 일정각도로 좌, 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차체의 하우징으로부터 연료도어(110)를 반자동으로 완전히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 연결부(113)는 일단 상, 하부에 힌지돌기(115)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12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됨으로써, 상기 힌지 브라켓(120)으로부터 차량의 외측을 향하여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거나, 반대로 미도시된 차체의 하우징을 향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힌지 연결부(113)는 상기 힌지돌기(11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탄성부재(13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핀(121)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120)은 상기 고정핀(121)에 대향하는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130)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핀(11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30)는 힌지 연결부(113)에 형성된 고정핀(12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핀(117)에 힌지 연결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30)는 몸체부(131)와 장착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부(131)는 중앙이 상기 힌지 연결부(113)를 향하여 설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33)는 상기 몸체부(131)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121)과 회전핀(11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각 장착부(133)는 상기 몸체부(131)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며, 상기 고정핀(121)과 힌지핀(117)이 각각 삽입되도록 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탄성부재(133)는 설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진 몸체부(131)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연료도어(110)의 메인바디(111)를 향하여 배치된 상태로, 각 장착부(133)가 고정핀(121)과 힌지핀(117)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연료도어(110)에 탄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140)는 상기 탄성부재(130)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12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40)는 상기 몸체부(131)의 오목하게 라운드진 내측 중앙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1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40)는 상기 연료도어(110)의 폐쇄 시, 상기 고정핀(121)과 회전핀(117)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부재(130)의 길이방향으로 내측 중앙에 접촉된 상태로, 탄성부재(130)를 밀어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140)는 양단부가 라운드진 블록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30)의 몸체부(131)와 접촉된 상태로 밀 경우,
이에 따라, 상기 연료도어(110)는 폐쇄 시, 하우징에 구비되는 미도시된 캐치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111)의 힌지 연결부(113) 반대측이 걸려서 잠긴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40)는 탄성부재(130)의 내측에 오목하게 라운드진 부분에 접촉된 상태로 탄성부재(130)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게 됨으로써, 탄성부재(130)의 탄발력을 더 강화시키게 되며, 운전자나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캐치의 잠금 해제 시, 연료도어(110)가 하우징으로부터 팝업이 원활히 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연료도어(110)의 폐쇄 상태에서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도어(110)의 메인바디(111)가 미도시된 캐치에 의해 잠겨짐으로써, 차체에 형성된 하우징을 폐쇄시켜 연료 주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130)는 몸체부(131)의 오목하게 라운드진 내측이 스토퍼(140)의 일단에 접촉됨으로써, 메인바디(111)를 향하여 밀려 더 라운드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버튼조작을 통해 캐치의 잠금을 해제시키게 되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40)에 의해 밀려 탄성력이 증가된 상태의 탄성부재(130)의 탄발력에 의해 힌지 연결부(113)가 회전됨으로써, 메인바디(111)가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연료도어(110)를 차체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료도어(110)를 완전히 오픈시킬 경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료도어(110)를 상기 힌지돌기(115)와 고정핀(117) 및 힌지핀(121)이 가상 일직선(L) 상에 위치될 때까지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발력이 발휘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이 때, 연료도어(110)는 탄성부재(130)의 탄발력에 의한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아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료도어(110)를 개방시킬 경우에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도어(110)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발력에 의한 회전력이 연료도어(110)에 가해짐으로써, 완전히 오픈될 때까지 차체의 외측을 향하여 자동으로 회전되어 연료 주입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연료도어(110)를 폐쇄시킬 경우에는, 사용자가 연료도어(110)를, 도 5의 상태에서, 차체 측을 향하여 반대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발력에 의한 회전력이 연료도어(110)의 개방작동과는 반대로 작용하도록 상기 연료도어(11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연료도어(110)는 자동으로 폐쇄되어 도 5와 같이 팝업작동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연료도어(110)를 완전히 차체 측으로 밀어 캐치를 통해 잠기게 함으로써, 연료도어(110)의 폐쇄작동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100)를 적용하면, 연료를 주입하도록 차량의 일측에 구비된 연료 주입구에 장착하여 연료도어(110)의 팝업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연료도어(110)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도어(110)를 팝업 및 반자동으로 개폐시키는 탄성부재가 고온환경에서 연료도어(110)에 의해 밀려 변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연료도어(110)의 내구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연료도어 개폐장치 110 : 연료도어
111 : 메인바디 113 : 힌지 연결부
115 : 힌지돌기 117 : 고정핀
120 : 힌지 브라켓 121 : 힌지핀
130 : 탄성부재 131 : 몸체부
133 : 장착부 140 : 스토퍼

Claims (9)

  1. 차량에 구비되는 연료 주입구에 장착되며, 메인바디와 힌지 연결부로 구성된 연료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에 일측이 힌지 체결되며, 연료 주입구가 형성되는 차체의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연료도어에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힌지 연결부와 힌지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에 장착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는
    일단 상, 하부에 힌지돌기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힌지돌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고정핀에 대향하는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고정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힌지핀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중앙이 상기 힌지 연결부를 향하여 설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과 회전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착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몸체부의 오목하게 라운드진 내측 중앙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료도어의 폐쇄 시, 상기 고정핀과 회전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내측 중앙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KR1020110107519A 2011-10-20 2011-10-20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KR10132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19A KR101326825B1 (ko) 2011-10-20 2011-10-20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19A KR101326825B1 (ko) 2011-10-20 2011-10-20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411A true KR20130043411A (ko) 2013-04-30
KR101326825B1 KR101326825B1 (ko) 2013-11-11

Family

ID=4844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519A KR101326825B1 (ko) 2011-10-20 2011-10-20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8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345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팝업장치
CN110936808A (zh) * 2018-09-21 2020-03-3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加燃料口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244B1 (ko) 2016-11-22 2023-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후크 슬라이딩가이드에 의한 2단 팝업 오픈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9683B2 (ja) 2002-06-05 2008-04-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フューエルフィラーリッド構造
KR100507644B1 (ko) 2002-11-28 200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필라도어의 개방유지구조
KR100587931B1 (ko) 2004-04-20 200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필러 도어의 개폐구조
KR100774766B1 (ko) 2005-12-19 200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도어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345A (ko) 2016-12-15 2018-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팝업장치
US10507726B2 (en) 2016-12-15 2019-12-17 Hyundai Motor Company Pop-up device of fuel door
CN110936808A (zh) * 2018-09-21 2020-03-3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加燃料口门装置
CN110936808B (zh) * 2018-09-21 2023-12-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加燃料口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825B1 (ko) 201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4924B2 (ja) 車両のアームレストヒンジユニット
KR101326825B1 (ko)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KR101428202B1 (ko) 스윙 타입 테일게이트 체커 구조
WO2019052367A1 (zh) 一种滚筒洗衣机
JP3521215B2 (ja) 自動車のドアチェッカ兼用ドアヒンジ
KR100828608B1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의 개폐어셈블리
JP4372794B2 (ja) ペット用ケージ
JP6068972B2 (ja) 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KR102200062B1 (ko) 차량용 충전 포트 커버 구조
KR20070064966A (ko) 차량의 연료도어구조
KR100885727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KR102102895B1 (ko) 차일드 시트용 앵커 커버 장치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JP2020084583A (ja) 蓋開閉構造
KR101117809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CN212971864U (zh) 一种头盔镜片固定机构
KR102298535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의 입구 개폐장치
KR101235919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장치
KR102131386B1 (ko) 트렁크리드의 토션바 홀더 장치
KR100587939B1 (ko) 자동차의 필러 도어 장착구조
CN112984903A (zh) 冰箱
KR101143989B1 (ko) 차량용 선글라스 케이스
JP2014148797A (ja) 引戸用施錠装置及び引戸用施錠装置の組付方法
KR20060055665A (ko) 차량의 연료주유구 도어 개폐장치
KR100812464B1 (ko) 체커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