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40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5408B1 KR101165408B1 KR20100092598A KR20100092598A KR101165408B1 KR 101165408 B1 KR101165408 B1 KR 101165408B1 KR 20100092598 A KR20100092598 A KR 20100092598A KR 20100092598 A KR20100092598 A KR 20100092598A KR 101165408 B1 KR101165408 B1 KR 1011654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female
- rotation
- male
- female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상호 결합할 때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에 필요한 작업공간을 줄임으로써, 조립할 때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조립되는 숫하우징과, 상기 숫하우징과 접속되도록 상기 숫하우징에 조립되는 암하우징과, 상기 암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암하우징이 상기 숫하우징에 삽입된 후, 상기 암하우징이 상기 숫하우징으로 이동되어 완전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회동을 통해 상기 암하우징을 상기 숫하우징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하우징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상호 결합할 때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에 필요한 작업공간을 줄임으로써, 조립할 때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내연엔진과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거나, 차체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의 일반 차량에 비해 연비 및 유해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인 하이브리드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자동차의 경우에는 일반차량에 비해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하이브리드자동차가 주행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고, 중행 중에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전류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때, 배터리에서 모터로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교류전류로 변환하고, 모터에서 배터리로 공급되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기 위해 배터리와 모터 사이에 인버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모터와 인버터는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이 쌍을 이루는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며, 숫하우징이 인버터에 결합되고, 이 숫하우징에 조립되는 암하우징이 모터에 연결된다. 또한, 암하우징에는 숫하우징에 조립된 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탈방지레버가 마련된다.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커넥터는 인버터에 조립되어 있는 암하우징의 상하 구분을 할 수 없어 숫하우징을 결합할 때 오조립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숫하우징에서 회동되는 이탈방지레버로 인하여 다른 부품과의 간격을 넓게 하여야 하므로, 설치공간을 넓게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상호 결합할 때 오조립을 방지하고,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차량에 조립되는 숫하우징과, 상기 숫하우징과 접속되도록 상기 숫하우징에 조립되는 암하우징과, 상기 암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암하우징이 상기 숫하우징에 삽입된 후, 상기 암하우징이 상기 숫하우징으로 이동되어 완전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회동을 통해 상기 암하우징을 상기 숫하우징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하우징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암하우징과 상기 숫하우징이 조립된 후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상기 암하우징에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 고정부를 상기 암하우징에 지지시키는 회동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작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고정부는, 상기 숫하우징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암하우징이 상기 숫하우징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암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지지되도록 회동되면서 상기 암하우징을 이동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하우징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유도되도록 유도홈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부재는, 바디와, 상기 바디가 상기 암하우징이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지지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만곡지게 형성되는 지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방지부는, 상기 암하우징에 형성되는 걸림부와, 탄성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암하우징이 상기 숫하우징에 완전하게 조립되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암하우징에 지지된 상기 회동 방지부의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상기 회동 방지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회동 방지부가 상기 암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작업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가 상기 회동방지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파지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동 방지부에 삽입되는 후크와, 상기 파지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 방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상기 암하우징에서 회동을 가이드하는 회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가이드부는, 상기 암하우징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 의하면,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상호 결합할 때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버부재와 이탈 방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동 방지부와 이탈 방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동 방지부와 이탈 방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버부재와 이탈 방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동 방지부와 이탈 방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동 방지부와 이탈 방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차량에 조립되는 숫하우징(110)과, 이 숫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암하우징(120)과, 이 암하우징(120)을 숫하우징(110)에 용이하고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하우징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하우징 고정부(130)가 숫하우징(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 방지부(140) 및 이탈 방지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더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하우징 고정부(130)가 숫하우징(110)에서 안정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 고정부(130)를 지지하는 회동 가이드부(16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커넥터(100)는 숫하우징(110)에서 하우징 고정부(130)가 작동될 때 그 작동되는 범위를 줄임과 동시에 숫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넓이를 최소화시켜 그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하우징 고정부(130)의 작동범위 및 노출부위를 감소시킴으로써, 하우징 고정부(130)가 작동될 때 외부의 다른 부품에 충돌하거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숫하우징(110)은 차량의 인버터(도시생략)에 볼트나 나사와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조립되며, 암하우징(120)이 하우징 고정부(130)에 의해 결합된다.
암하우징(120)은 하우징 고정부(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에 작동부(121)가 형성되고, 이 작동부(121)의 내부 상면 및 하면에 하우징 고정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고정돌기(123)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암하우징(120)은 하우징 고정부(130)에 의해 숫하우징(110)에 조립될 때 하우징 고정부(130)가 유도될 수 있도록 유도홀부(125)가 형성된다.
암하우징(120)을 숫하우징(110)에 완전하게 결합시키는 하우징 고정부(130)는 숫하우징(1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131)와, 암하우징(120)의 작동부(1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133)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31)는 숫하우징(110)에서 원형의 돌기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레버부재(133)의 회동을 통해 레버부재(133)에 지지되면서 레버부재(133)로 삽입된다.
레버부재(133)는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에 일정길이 삽입되면 지지부재(131)가 삽입되어 접촉되고, 지지부재(131)에 접촉되어 회동됨에 따라 암하우징(120)을 숫하우징(110)측으로 이동시켜 완전하게 결합시킨다.
이를 위하여, 레버부재(133)는 암하우징(120)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작동부(121)에 삽입되는 바디(133a)와, 암하우징(120)의 고정돌기(123)가 삽입되도록 바디(133a)에 형성되는 고정홈(133b)과, 지지부재(13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부(133c)를 포함한다.
또한, 레버부재(13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바디(133a)의 일측에 파지부(133d)가 더 형성되며, 암하우징(120)의 내부로 회동되어 삽입되면 파지부(133d)가 암하우징(120)에 접촉되면서 암하우징(120)의 내부로 더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디(133a)에는 고정돌기(123)가 고정홈(133b)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123)가 가이드되는 장홈(133e)이 고정홈(133b)측으로 형성되고, 장홈(133e)의 단부에 경사면(133f)이 형성된다.
고정홈(133b)은 바디(133a)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장홈(133e)에 의해 가이드되는 고정돌기(123)가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지지홈부(133c)는 레버부재(133)가 회동됨에 따라 지지부재(131)에 가이드되면서 암하우징(12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고정홈(133b)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만곡진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곡선형을 가지는 지지홈부(133c)에 의해 레버부재(133)가 암하우징(120)의 내부로 회동하면서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레버부재(133)에는 회동 방지부(140)를 지지하는 이탈 방지부재(15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이탈 방지부재(150)가 파지부(133d)를 통해 레버부재(133)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레버부재(133)는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에 삽입되면 지지부재(131)가 지지홈부(133c)의 입구에 삽입되면서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으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부재(133)가 암하우징(120)의 작동부(121) 내부로 회동되면 지지부재(131)에 가이드되는 지지홈부(133c)에 의해 레버부재(133)와 암하우징(120)이 지지부재(131)측으로 이동되면서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에 완전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에 완전하게 조립되면 레버부재(133)가 회동 방지부(140)에 의해 암하우징(120)에 걸림과 동시에 회동 방지부(140)가 이탈 방지부재(150)에 의해 암하우징(1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회동 방지부(140) 및 이탈 방지부재(150)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방지부(140)는 암하우징(120)의 작동부(121)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부(141)와, 이 걸림부(141)에 걸리거나 걸림부(141)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레버부재(133)에 형성되는 걸림판(143)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탈 방지부재(150)는 걸림판(14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레버부재(133)에 삽입된다.
걸림부(141)는 레버부재(133)가 작동부(121)의 내부로 회동됨에 따라 걸림판(143)이 걸릴 수 있도록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쐐기 형태를 가진다.
걸림판(143)은 탄성을 가지도록 레버부재(133)에 형성되며, 레버부재(133)가 작동부(121)의 내부로 회동되면 걸림부(141)에 접촉되어 압축되었다 이완되면서 걸림부(141)에 걸릴 수 있도록 상면에 걸림부(141)와 대응되는 형태의 쐐기형 돌기(143a)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 방지부(140)는 레버부재(133)가 작동부(121)로 회동되어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에 완전하게 조립되면 걸림판(143)의 돌기(143a)가 걸림부(141)에 걸리면서 레버부재(133)가 작동부(121)의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레버부재(133)의 회동을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회동 방지부(140)는 걸림판(143)이 하측으로 압축되면 돌기(143a)가 걸림부(141)에서 이탈되면서 레버부재(133)가 작동부(121)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레버부재(133)의 구속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탈 방지부재(150)는 회동 방지부(140)의 걸림판(143)이 걸림부(141)에서 선택적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걸림판(143)을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이탈 방지부재(150)는 걸림판(143)이 걸림부(14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작업자가 파지하며 걸림판(143)을 지지하는 지지판(151)과, 이 지지판(151)이 레버부재(13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153)를 포함한다.
지지판(151)은 걸림판(143)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레버부재(133)에 삽입되며, 이탈 방지부재(150)의 이동에 따라 걸림판(143)이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상면에 지지돌기(151a)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판(151)은 이탈 방지부재(150)가 레버부재(133)로 삽입되면 지지돌기(151a)가 걸림판(143)의 하측에 접촉되어 걸림판(143)이 하측으로 눌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탈 방지부재(150)가 레버부재(133)에서 돌출되면 지지돌기(151a)가 걸림판(143)에서 이격된다. 그러면, 걸림판(143)이 하측으로 눌리게 된다.
후크(153)는 이탈 방지부재(150)가 레버부재(133)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레버부재(133)에 삽입되어 걸리며, 이탈 방지부재(150)가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상단에 지지리브(153a)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리브(153a)는 걸림판(143)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레버부재(133)에 삽입된다.
이때, 레버부재(133)에는 후크(153)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135) 및 지지리브(153a)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롯(137)이 형성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레버부재(133)가 암하우징(120)에서 회동될 때 보다 안정되게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 가이드부(160)를 더 포함한다.
회동 가이드부(160)는 레버부재(133)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암하우징(120)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63)와, 이 가이드돌기(163)가 삽입되도록 레버부재(133)에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6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회동 가이드부(160)는 레버부재(133)가 회동될 때 가이드홈(161)이 가이드돌기(163)를 따라 레버부재(133)의 회동을 함께 가이드하게 되므로, 레버부재(133)가 더욱 안정되게 회동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하우징(110)에 암하우징(120)을 삽입하여 가조립하게 되면 하우징 고정부(130)의 지지부재(131)가 암하우징(120)의 유도홀부(125)로 삽입되면서 레버부재(133)의 지지홈부(133c)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부재(133)가 작동부(121)의 내부로 회동되면 지지부재(131)가 지지홈부(133c)에 삽입되어 지지면서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측으로 점진적으로 당겨지면서 숫하우징(110)에 삽입된다. 이때, 레버부재(133)가 회동 가이드부(160)의 가이드돌기(163) 및 가이드홈(161)에 의해 안정되게 회동된다.
그리고 레버부재(133)가 작동부(121)에 완전하게 회동되어 삽입되면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에 완전하게 조립되고, 이때, 걸림판(143)의 돌기(143a)가 걸림부(141)에 걸리면서 레버부재(133)가 작동부(121)의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이탈 방지부재(150)를 레버부재(133)로 삽입하면 지지판(151)이 레버부재(133)로 삽입되면서 지지돌기(151a)가 걸림판(143)의 하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걸림판(143)이 하측으로 압축되는 것이 방지되어 레버부재(133)가 암하우징(12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에서 이탈되는 것이 완전하게 방지된다.
한편, 암하우징(120)을 숫하우징(110)에서 분리할 때에는 먼저, 지지판(151)의 지지돌기(151a)가 걸림판(143)에서 이격되도록 이탈 방지부재(150)를 레버부재(133)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걸림판(143)이 하측으로 압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림판(143)을 압축하여 걸림판(143)의 돌기(143a)를 걸림부(141)에서 이탈시키면서 레버부재(133)를 작동부(121)의 외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레버부재(133)가 회동됨에 따라 지지홈부(133c)에서 지지부재(131)가 점진적으로 이탈되면서 암하우징(120)이 숫하우징(110)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레버부재(133)가 암하우징(120)의 상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암하우징(120)을 숫하우징(110)에 조립 고정시키므로, 커넥터(100)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숫하우징(110)에 형성되는 하우징 고정부(130)의 지지부재(131)에 의해 숫하우징(110)의 상하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암하우징(12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커넥터 110 : 숫하우징
120 : 암하우징 121 : 작동부
125 : 유도홀부 123 : 고정돌기
130 : 하우징 고정부 131 : 지지부재
133 : 레버부재 140 : 회동 방지부
141 : 걸림부 143 : 걸림판
150 : 이탈 방지부 151 : 지지판
153 : 후크 160 : 회동 가이드부
120 : 암하우징 121 : 작동부
125 : 유도홀부 123 : 고정돌기
130 : 하우징 고정부 131 : 지지부재
133 : 레버부재 140 : 회동 방지부
141 : 걸림부 143 : 걸림판
150 : 이탈 방지부 151 : 지지판
153 : 후크 160 : 회동 가이드부
Claims (12)
- 차량에 조립되는 숫하우징;
상기 숫하우징과 접속되도록 상기 숫하우징에 조립되는 암하우징; 및
상기 암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암하우징이 상기 숫하우징에 삽입된 후, 상기 암하우징이 상기 숫하우징으로 이동되어 완전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회동을 통해 상기 암하우징을 상기 숫하우징측으로 이동시켜 고정하는 하우징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하우징과 상기 숫하우징이 조립된 후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상기 암하우징에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 고정부를 상기 암하우징에 지지시키는 회동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 방지부는,
상기 암하우징에 형성되는 걸림부; 및
탄성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암하우징이 상기 숫하우징에 완전하게 조립되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작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는,
상기 숫하우징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암하우징이 상기 숫하우징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암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지지되도록 회동되면서 상기 암하우징을 이동시키는 레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암하우징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유도되도록 유도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바디;
상기 바디가 상기 암하우징이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지지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에 만곡지게 형성되는 지지홈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하우징에 지지된 상기 회동 방지부의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회동 방지부가 상기 암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작업자가 파지하며, 회동 방지부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이 상기 회동방지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동 방지부에 삽입되는 후크; 및
상기 파지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 방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상기 암하우징에서 회동을 가이드하는 회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가이드부는
상기 암하우징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고정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92598A KR101165408B1 (ko) | 2010-09-20 | 2010-09-20 |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92598A KR101165408B1 (ko) | 2010-09-20 | 2010-09-20 |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0824A KR20120030824A (ko) | 2012-03-29 |
KR101165408B1 true KR101165408B1 (ko) | 2012-07-12 |
Family
ID=4613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92598A KR101165408B1 (ko) | 2010-09-20 | 2010-09-20 |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540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0573B1 (ko) * | 2012-05-07 | 2014-04-04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2856B1 (ko) * | 2019-12-27 | 2021-12-24 | 주식회사 유라 | 커넥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2301B1 (ko) | 2005-10-19 | 2006-10-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 |
-
2010
- 2010-09-20 KR KR20100092598A patent/KR1011654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2301B1 (ko) | 2005-10-19 | 2006-10-1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0573B1 (ko) * | 2012-05-07 | 2014-04-04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0824A (ko) | 2012-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13153B2 (ja) | バッテリ充電用受電コネクタのコネクタロック構造 | |
US9601862B2 (en) | Charge connector | |
JP5231381B2 (ja) | バッテリ充電用受電コネクタのコネクタロック構造 | |
JP2013162550A (ja) | 充電ケーブル用収容装置 | |
JPWO2012053221A1 (ja) | 電気自動車充電装置 | |
JP2012195215A (ja) | 充電用コネクタ | |
US9385465B2 (en) | Terminal spacer | |
KR101165408B1 (ko) | 커넥터 | |
WO2013125573A1 (ja) | ケーブルの収容装置 | |
KR20180126873A (ko) | 충전 커넥터 잠금장치 | |
JP5370862B2 (ja) | コネクタ | |
US10396324B2 (en) | Fixing device | |
KR20180061776A (ko) |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 |
JP2013176227A (ja) | 充電用コネクタ接続構造 | |
KR200441805Y1 (ko) |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 |
KR200416265Y1 (ko) | 전기자동차용 파워케이블의 고정구조 | |
KR101380573B1 (ko) |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 |
JP5622316B2 (ja) | レバー式コネクタ | |
KR20100131559A (ko) |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 |
WO2012053350A1 (ja) | レバー式コネクタ | |
KR102655226B1 (ko) | 전기자동차용 아웃렛 충전기 | |
KR100916421B1 (ko) | 터미널 커넥터 | |
US20150175017A1 (en) | Cover-integrated clamp for electronic part in eco-friendly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 |
JP6406961B2 (ja) | 照明ユニット係止構造 | |
JP2013084524A (ja) | 充電ケーブルロック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