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324B1 -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324B1
KR102128324B1 KR1020200010863A KR20200010863A KR102128324B1 KR 102128324 B1 KR102128324 B1 KR 102128324B1 KR 1020200010863 A KR1020200010863 A KR 1020200010863A KR 20200010863 A KR20200010863 A KR 20200010863A KR 102128324 B1 KR102128324 B1 KR 102128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cover
charging
electric vehic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커버의 손잡이부 양쪽면이 매끄러워 커버를 분리하기 위해 손잡이부를 잡으면 미끄러워서 신속하게 분리할 수 없었고, 또한, 커버의 삽입부가 타이트하게 끼워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차체 일측에 구비되는 충전 인렛부용 AC충전구 및 DC충전구에 결합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돌출된 손잡이부(120a)(120b) 표면과 저면 중 어느 한 곳 또는 양쪽 면 모두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121)를 구비하고,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100a)(100b)의 삽입부 (110a)(110b)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쐐기형 리브(111a)(111b)를 구비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100a)(100b)를 분리하고자 손잡이부(120a)(120b)를 잡으면 돌기부(121)에 접촉되면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100a)(100b)의 삽입부(110a)(110b)를 AC충전구와 DC충전구에 끼우면 삽입부(110a)(110b)에 구비된 리브(111a)(111b)가 AC충전구와 DC충전구의 벽에 밀착되면서 타이트하게 삽입되어 자연적으로는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A cov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charged inlet of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의 손잡이부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커버를 분리 시 미끄러짐 없이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커버의 삽입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충전구에 삽입부가 타이트하게 끼워짐에 따라 임의로 커버가 분리되지 않아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환경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에너지절약과 환경오염 최소화의 대상으로 친환경 자동차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내연기관으로 구성된 자동차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바이오디젤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고, 배터리가 모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BEV(Battery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V), HEV(Hybrid E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EV(Hybrid EV)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 두 종류의 동력을 조합한 자동차로서,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고연비, 고효율을 실현한 것이 특징이 있는 것이며, PHEV(Plug-in Hybrid EV)는 HEV의 배터리를 외부에서 충전해서 쓸 수 있도록 설계한 자동차이며, BEV(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로만 구동되는 자동차이다.
상기 HEV, PHEV 및 BEV 자동차는 공통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차량구동에 활용하게 되는데, HEV는 전기에너지를 차량 내에서 전기에너지를 발전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PHEV와 BEV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PHEV, BEV와 같은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포트를 가지고, 충전포트는 차량의 휠에 인접한 부분 또는 차량의 전방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충전포트는 개구를 가진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충전 리셉터클(charge receptacle)과,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리셉터클은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외부를 향해 노출되어 충전 플러그(charger plug)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충전 플러그는 충전 시 시스템에 충전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즉, 전기자동차에 전기를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힌지 결합된 도어를 열어준 후 다시 충전 리셉터클을 막고 있는 이물질 방지용 커버를 열어준 상태에서 충전플러그를 충전 리셉터클에 꽂아 전기를 충전한다.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기 인렛을 예시한 선행기술이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공개번호 10-2018-0027095호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서는 복수 개의 단자가 수용 배치되는 수용홀더와, 차체에 고정 설치되도록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일단이 상기 수용홀더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서 연장되는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 삽입된 후 차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버스바; 및 상기 접지버스바의 일단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렛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충전기 인렛은 그 자체에 패키지화된 접지 구조를 통해 간편하게 접지시킬 수 있고, 종래 접지를 위해 사용되던 접지 와이어를 배제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개선된 접지 구조를 통해 작업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9-0027095호(2019.03.14. 공개)(발명의 명칭: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렛)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전기자동차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를 구비하여 접지단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지단자에 커버를 끼워 이물질이 접지단자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커버에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커버를 접지단자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부를 잡고 커버를 분리하는 것이나 손잡이부의 양측면이 매끄러워 커버를 손쉽게 빼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를 접지단자에 끼웠을 때 타이트하게 끼워져야 사용치 않을 경우에 커버가 접지단자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나 단순히 커버의 삽입부가 접지단자의 삽입홈내로 삽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커버가 자연적으로 접지단자에서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구에서 커버를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충전구에 끼워진 커버가 자연적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차체 일측에 구비되는 충전 인렛부용 AC충전구 및 DC충전구에 결합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의 손잡이부의 표면과 저면 중 어느 한 곳 또는 양쪽 면 모두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의 삽입부 내주면과 외주면에 다수의 쐐기형 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더스트 커버를 분리하고자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부를 잡으면 돌기부에 손가락이 접촉되면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더스트 커버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스트 커버의 삽입부를 충전구에 삽입하면 리브가 충전구의 벽에 밀착되면서 타이트하게 삽입되어 인위적으로 더스트 커버를 분리하기 전에는 분리되지 않아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가 AC/DC충전구에 끼워진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손잡이부 일측에만 돌기부가 형성된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손잡이부 타측에만 돌기부가 형성된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손잡이부 양쪽 모두에 돌기부가 형성된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삽입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리브가 형성된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가 AC/DC충전구에 각각 끼워진 후 안쪽면을 예시한 정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결합홈부가 있는 결합부가 형성된 교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라 교류용 더스트 커버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끼워지는 돌기부가 구비된 직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라 교류용 더스트 커버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가 중첩되게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가 AC/DC충전구에 끼워진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손잡이부 일측에만 돌기부가 형성된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손잡이부 타측에만 돌기부가 형성된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손잡이부 양쪽 모두에 돌기부가 형성된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정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삽입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리브가 형성된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가 AC/DC충전구에 각각 끼워진 후 안쪽면을 예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결합홈부가 있는 결합부가 형성된 교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라 교류용 더스트 커버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끼워지는 돌기부가 구비된 직류용 더스트 커버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라 교류용 더스트 커버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가 중첩되게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차체 일측에 구비되는 충전 인렛부용 AC충전구 및 DC충전구에 결합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AC충전구에 끼워지는 삽입부(110a)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손잡이부(120a)가 돌출되어 구비된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 일측면에는 DC충전구에 끼워지는 삽입부(110b)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손잡이부(120b)가 돌출되어 구비된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 일측에는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 및 직류용 더스트 커버(110b)에 결착되는 2가닥의 결착선(210)이 구비되고, 타단은 차체에 고정되는 분실방지용 테더 와이어(200); 로 구성하되 상기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돌출된 손잡이부(120a)(120b) 표면과 저면 중 어느 한 곳 또는 양쪽 면 모두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1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0a)는 AC충전구의 안쪽벽이고, (320a)는 바깥쪽벽이며, (310b)는 DC충전구의 안쪽벽이고, (320b)는 바깥쪽 벽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측면에 삽입부(110a)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손잡이부(120a)가 돌출된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일측면에 삽입부(110b)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손잡이부(120b)가 구비된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를 각각 구비하여 AC충전구(도면중 미도시)와 DC충전구에 각각의 더스트 커버(100a)(100b)를 체결하여 평상 시 이물질이 AC충전구와 DC충전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AC충전구와 DC충전구를 사용하기 위해 더스트 커버(100a)(100b)를 분리 시 미끄러짐 없이 손쉽게 더스트 커버 (100a)(100b)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100a)(100b)의 손잡이부 (120a)(120b)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돌기부(121)를 형성한 것으로 즉, AC충전구를 사용하기 위해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를 분리할 경우 사용자가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부(120a)를 잡게되면 손가락이 돌기부(121)에 접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미끄러짐 없이 좀더 강한 힘으로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를 당길 수 있어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를 좁더 쉽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며,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경우에도 돌기부(121)에 의해 미끄러짐 없이 DC충전구에서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손잡이부(120a)(120b)에 구비된 돌기부(121)는 도2, 도3 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20a)(120b)의 표면이나 저면 중 어느 한 곳에만 형성하거나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양쪽면 모두에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손잡이부(120a)(120b)에 형성된 돌기부(121)에 의해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를 분리 시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 (100b)를 AC충전구와 DC충전구에 타이트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부(110a)(110b)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다수의 리브(111a)(111b)를 구비하였다.
즉,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의 삽입부(110a)를 AC충전구에 끼우면 리브(111a)(111b)가 AC충전구의 안쪽벽(310a)과 바깥쪽 벽(320a)에 각각 밀착되면서 타이트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가 AC충전구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인위적으로 분리하기 전에는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경우에도 DC충전구에 끼우면 삽입부(110b)에 구비된 리브(111a)(111b)가 DC충전구의 안쪽벽(310b)과 바깥쪽벽(320b)에 밀착되면서 이 역시 인위적으로 분리하기 전에는 분리되지 않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삽입부(110a)(110b) 내주면과 외주면에 구비되는 리브(111a)(111b)는 일정부분까지 쐐기형 구조로 형성하여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가 AC/DC 충전구에 더욱 더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는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2가닥의 결착선(210)으로 이루어진 테더 와이어(200)가 설치된 것으로 즉, 테더 와이어(200)의 결착선(210) 중 하나는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에 결착되고 다른 하나는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에 결착되며 이러한 결착선(210)의 타단은 모두 차체에 고정된 테더 와이어(200)에 연결되어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를 분리한 상태로 방치하더라도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 중 어느 한쪽 커버는 결합홈부(131)가 있는 결합부(130)를 형성하고 다른 쪽 커버에는 상기 결합홈부(131)에 결합되는 돌기부(140)를 구비하였다.
즉,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에 결합홈부(131)가 구비된 결합부(130)를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에는 결합홈부(131)에 안착되는 돌기부(140)를 형성하여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일부위가 서로 중첩되면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에 결합홈부(131)가 구비된 결합부(130)를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에 결합홈부(131)에 안착되는 돌기부(140)를 형성하여 이 역시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일부위가 중첩되면서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100a,100b : 교류/직류용 더스트 커버 110a,110b : 삽입부
111a,111b : 리브 120a,120b : 손잡이부 121,140 : 돌기부 130 : 결합부
131 : 결합홈부 200 : 테더 와이어
210 : 결착선

Claims (4)

  1. 전기자동차의 차체 일측에 구비되는 충전 인렛부용 AC충전구 및 DC충전구에 결합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면에는 AC충전구에 끼워지는 삽입부(110a)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손잡이부(120a)가 돌출되어 구비된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
    일측면에는 DC충전구에 끼워지는 삽입부(110b)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손잡이부(120b)가 돌출되어 구비된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
    일측에는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 및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에 결착되는 2가닥의 결착선(210)이 구비되고, 타단은 차체에 고정되는 분실방지용 테더 와이어(200);
    로 구성하되 상기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돌출된 손잡이부(120a)(120b) 표면과 저면 중 어느 한 곳 또는 양쪽 면 모두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121)를 구비하여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가 쉽게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 중
    한쪽 커버는 결합홈부(131)가 있는 결합부(130)를 다른 쪽 커버에 중첩 가능하게 돌출형으로 구비하고,
    다른 쪽 커버는 상기 결합부(130)와 중첩되는 부위에 결합홈부(131)와 결합되는 돌기부(140)를 구비하여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는,
    삽입부(110a)(110b)가 AC충전구 및 DC충전구에 타이트하게 끼워지도록 삽입부(110a)(110b)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다수의 리브(111a)(111b)를 구비하여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교류용 더스트 커버(100a)와 직류용 더스트 커버(100b)의 삽입부(110a)(110b) 내주면과 외주면에 구비된 리브(111a)(111b)는 일정부분까지 쐐기형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KR1020200010863A 2020-01-30 2020-01-30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KR102128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863A KR102128324B1 (ko) 2020-01-30 2020-01-30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863A KR102128324B1 (ko) 2020-01-30 2020-01-30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324B1 true KR102128324B1 (ko) 2020-06-30

Family

ID=7112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863A KR102128324B1 (ko) 2020-01-30 2020-01-30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870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유라 보호 캡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7758A1 (ja) * 2013-03-19 2014-09-25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KR20170077453A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아웃렛 커넥터
CN206532952U (zh) * 2017-03-14 2017-09-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充电插座防护盖
KR20190027095A (ko) 2017-09-06 2019-03-1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렛
KR101982805B1 (ko) * 2017-12-21 2019-05-28 주식회사 유라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KR20190064906A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유라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WO2019221653A1 (en) * 2018-05-18 2019-11-21 Scania Cv Ab Cover arrangement for a combined charging receiv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7758A1 (ja) * 2013-03-19 2014-09-25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KR20170077453A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아웃렛 커넥터
CN206532952U (zh) * 2017-03-14 2017-09-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充电插座防护盖
KR20190027095A (ko) 2017-09-06 2019-03-1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렛
KR20190064906A (ko) *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유라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KR101982805B1 (ko) * 2017-12-21 2019-05-28 주식회사 유라 연동형 커버를 구비한 충전 인렛
WO2019221653A1 (en) * 2018-05-18 2019-11-21 Scania Cv Ab Cover arrangement for a combined charging recei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870A (ko) *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유라 보호 캡
KR102481778B1 (ko) * 2020-07-07 2022-12-27 주식회사 유라 보호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6586B2 (en) High-voltage terminal assembly with integral high-voltage interlock
EP2858848B1 (en) Manufacturing service disconnect that is part of busbar
US11046196B2 (en) Charge port covering assembly and method
US5401174A (en) Universal charge port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s
CN105144520A (zh) 电力转换装置和接线盒
US10017061B2 (en) Charging system with luminescent portion
CN103153689B (zh) 用于连接车辆与插座的装置
WO2015050667A1 (en) Portable holde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with an inline electronics module
KR102128324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US9975440B1 (en) Charge port covering assembly and method
CN109983600A (zh) 电池组模块连接器筒
CN105529763B (zh) 电动车辆充电机
KR102029370B1 (ko)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렛
JP5472532B2 (ja) 車両
US11217916B2 (en) Automotive booster cable system
JP5821007B2 (ja) 電動車両用充電コネクタ保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動車両用充電装置
KR101380573B1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US11996646B2 (en) Charging connector for vehicle
KR20190064906A (ko)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WO2017201033A1 (en) Push fit main 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geometrical lockout features
CN216750438U (zh) 电动车用供电连接器的防水结构
KR20200068533A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어댑터
KR102493460B1 (ko)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KR102590201B1 (ko) 자동차 충전 커넥터
KR102651087B1 (ko)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