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906A -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 Google Patents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906A
KR20190064906A KR1020170164231A KR20170164231A KR20190064906A KR 20190064906 A KR20190064906 A KR 20190064906A KR 1020170164231 A KR1020170164231 A KR 1020170164231A KR 20170164231 A KR20170164231 A KR 20170164231A KR 20190064906 A KR20190064906 A KR 20190064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harging
protrusion
inlet connector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미
박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17016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4906A/ko
Publication of KR20190064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아웃렛 커넥터가 삽입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전면에 충전구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구의 주연부에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이 구비된 인렛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인렛커넥터 하우징과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함몰홈에 삽입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함몰홈에 삽입시에 상기 충전구가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보호캡과; 상기 보호캡이 상기 인렛커넥터 하우징에 역삽입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몰홈과 상기 돌출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역조립 방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INLET CONNECTOR HAVING WATERPROOFING PART}
본 발명은 충전구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구에 결합되는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 모터/제어기술도 점점 발달하여 고출력, 소형이면서 효율이 높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DC모터를 AC모터로 변환함에 따라 출력과 EV의 동력성능(가속성능, 최고속도)이 크게 향상되어 가솔린차에 비하여 손색없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고출력화를 추진하면서 고회전함에 따라 모터가 경량소형화되어 탑재중량이나 용적도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소나 가정의 상용 AC 전원과 연결된 아웃렛 장치를 전기자동차에 구비된 인렛장치에 삽입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인렛 커넥터의 충전구 보호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넷 커넥터의 충전구 보호구조는 아웃렛 커넥터가 삽입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전면에 충전구(11)가 형성되고, 충전구(11)의 주연부에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12)이 구비된 인렛커넥터 하우징(10)과, 인렛커넥터 하우징(10)과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몰홈(12)에 삽입되는 돌출부재(21)와, 돌출부재(21)의 배면에 구비되어 돌출부재(21)를 함몰홈(12)에 삽입시에 충전구(11)가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커버(22)로 이루어지는 보호캡(2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전면은 개구 형성되며 아웃렛 커넥터를 삽입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구(11)의 주연부에는 충전구(11)의 외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1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함몰홈(12)의 형상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좌우가 대칭인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함몰홈(12)에 삽입되는 보호캡(20)의 돌출부재(21)의 형상도 함몰홈(12)과 대응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에 구비된 충전구(11)의 상측에는 복수의 충전단자가 배치된 원형상의 충전공(13)이 마련되어 있는데, 충전공(13)도 전면이 개구 형성되어 아웃렛 커넥터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우징(10)의 전면 둘레에는 하우징(10)이 차량에 설치시에 차량의 판면과 긴밀하게 접촉되어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씰링부재(14)가 구비되어 있다.
보호캡(20)은 하우징(10)에 구비된 충전구(11)의 둘레에 형성된 함몰홈(12)에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충전구(11) 측으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보호캡(20)은 함몰홈(12)의 내부로 삽입되며 함몰홈(1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재(21)와, 돌출부재(21)의 배면에 구비되어 돌출부재(21)를 함몰홈(12)에 삽입시에 충전구(11)가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커버(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인렛 커넥터의 충전구 보호구조에 있어서는, 충전구(11)의 둘레에 형성된 함몰홈(12)과 보호캡(20)에 형성되어 함몰홈(12)에 삽입되는 돌출부재(21)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캡(20)의 상하좌우가 바뀐 형태로도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보호캡(20)이 정확하게 충전구(1)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지 않아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충전구(11)의 내부로 침투하여 충전구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충전구 보호구조가 정확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충전구의 내부로 수분이나 먼지 및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하여 충전구의 충전터미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는, 아웃렛 커넥터가 삽입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전면에 충전구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구의 주연부에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이 구비된 인렛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인렛커넥터 하우징과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함몰홈에 삽입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함몰홈에 삽입시에 상기 충전구가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보호캡과; 상기 보호캡이 상기 인렛커넥터 하우징에 역삽입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몰홈과 상기 돌출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역조립 방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역조립 방지부는 상기 충전구의 둘레면 일측에 둘레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역조립 방지홈과, 상기 역조립 방지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돌출부재의 판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역조립 방지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홈과 상기 돌출부재는 타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역조립 방지홈은 상기 충전구의 하측 둘레면의 장방변 중앙에 절개 형성되고, 상기 역조립 방지리브는 상기 돌출부재의 장방변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의 외면에는 복수의 복수의 체결돌기가 상기 돌출부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배치되고,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상기 함몰홈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의 상부 중앙 영역에는 상기 인렛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충전공과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판면 일부가 절개 형성된 절개면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를 상기 충전구로부터 이탈시에 그립할 수 있는 별도의 손잡이부재가 상기 커버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충전구 보호구조가 정확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충전구의 내부로 수분이나 먼지 및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하여 충전구의 충전터미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구 보호구조가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가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가 정상조립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가 역조립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가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가 정상조립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가 역조립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는, 아웃렛 커넥터가 삽입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전면에 충전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구(110)의 주연부에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120)이 구비된 인렛커넥터 하우징(100)과; 상기 인렛커넥터 하우징(100)과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함몰홈(120)에 삽입되는 돌출부재(210)와, 상기 돌출부재(21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재(210)를 상기 함몰홈(120)에 삽입시에 상기 충전구(110)가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커버(220)로 이루어지는 보호캡(200)과; 상기 보호캡(200)이 상기 인렛커넥터 하우징(100)에 역삽입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몰홈(120)과 상기 돌출부재(210) 사이에 구비되는 역조립 방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전기자동차의 일측에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판면 둘레의 복수의 개소에는 볼트공(10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전면은 개구 형성되며 아웃렛 커넥터를 삽입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구(110)의 주연부에는 충전구(110)의 외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12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함몰홈(120)의 내측 둘레면에는 돌출부재(210)의 외면에 형성된 체결돌기(211)가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홈(121)이 함몰 형성되는데, 체결홈(121)은 함몰홈(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를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0)에 구비된 충전구(110)의 상측에는 복수의 충전단자가 배치된 원형상의 충전공(130)이 마련되어 있는데, 충전공(130)도 전면이 개구 형성되어 아웃렛 커넥터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우징(100)의 전면 둘레에는 하우징(100)이 차량에 설치시에 차량의 판면과 긴밀하게 접촉되어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함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씰링부재(140)가 구비되어 있다.
보호캡(200)은 하우징(100)에 구비된 충전구(110)의 둘레에 형성된 함몰홈(120)에 일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충전구(110) 측으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보호캡(200)은 함몰홈(120)의 내부로 삽입되며 함몰홈(1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재(210)와, 돌출부재(210)의 배면에 구비되어 돌출부재(210)를 함몰홈(120)에 삽입시에 충전구(110)가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커버(220)로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재(210)의 높이는 함몰홈(120)과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하여 이물질이나 수분이 충전구(110)로 침투함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함몰홈(120)의 깊이보다는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출부재(210)의 둘레면에는 함몰홈(120)과의 접촉면적을 추가로 확장하여 이물질이나 수분이 충전구(110)로 침투함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함몰홈(120)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체결홈(121)에 체결되는 체결돌기(211)가 구비되어 있다.
체결돌기(211)는 돌출부재(210)의 외면에 돌출부재(2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체결홈(121)에 삽입됨으로써 함몰홈(120)과 체결부재(21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함으로써 이물질이나 수분이 충전구(110) 측으로 침투함을 최대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커버(220)의 상부 중앙 영역에는 인렛커넥터 하우징(100)에 형성된 충전공(130)과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판면 일부가 절개 형성된 절개면(22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커버(220)의 일측에는 커버(220)를 충전구(110)로부터 이탈시에 그립할 수 있는 별도의 손잡이부재(223)가 커버(22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재(223)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공(223a)이 관통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커버(220)를 충전구(110)로부터 이탈시키기 힘들 경우에 별도의 도구를 관통공(223a)에 삽입한 후에 당겨서 커버(220)를 충전구(1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역조립 방지부(300)는 충전구(110)의 둘레면 일측에 둘레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역조립 방지홈(310)과, 역조립 방지홈(310)과 대응되는 위치의 돌출부재(210)의 판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역조립 방지리브(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역조립 방지홈(310)은 충전구(110)의 둘레면 일측에 둘레면 일부를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절개하여 형성한 홈으로써 커버(220)를 충전구(110)에 체결시에 역조립 방지리브(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조립 방지리브(320)와 충전구(110)의 둘레면 사이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커버(220)를 역방향으로 체결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역조립 방지리브(320)는 돌출부재(210)의 판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220)를 충전구(110)에 정방향으로 체결시에는 역조립 방지홈(310)에 삽입되어 정상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커버(220)를 충전구(110)에 역방향으로 체결시에는 충전구(110)의 둘레면과 간섭되어 커버(220)의 조립이 불가하도록 함으로써 커버(220)를 역방향으로 조립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함몰홈(120)과 돌출부재(210)는 타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구조이므로 상술한 역조립 방지홈(310)과 역조립 방지리브(32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커버(220)를 충전구(110)에 역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역조립 방지홈(310)이 충전구(110)의 하측 둘레면의 장방변 중앙에 절개 형성되고, 역조립 방지리브(320)는 돌출부재(210)의 장방변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220)를 충전구(110)에 역방향으로 체결함을 방지하여 커버(220)의 정확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의 커버를 충전구에 체결하는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20)를 충전구(110)에 정상조립한 경우에는 커버(220)에 형성된 역조립 방지리브(320)가 하측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충전구(110)의 둘레에 형성된 함몰홈(120)에 보호캡(200)의 돌출부재(220)가 대응되도록 한 상태에서 커버(220)를 밀어 돌출부재(220)가 함몰홈(11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커버(220)에 구비된 역조립 방지리브(320)가 충전구(110)의 둘레면에 형성된 역조립 방지홈(310)에 삽입되어 커버(220)의 판면이 충전구(110)와 밀착되어 정상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20)가 충전구(110)에 역조립되는 경우에는 보호캡(200)에 형성된 역조립 방지리브(320)가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에서는 보호캡(200)의 돌출부재(220)가 함몰홈(120)과 대응된 상태에서 커버(220)를 밀게 되면 역조립 방지리브(320)가 충전구(110)의 둘레면과 간섭되어 커버(220)가 충전구(110)의 전면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역조립됨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충전구 보호구조가 정확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충전구의 내부로 수분이나 먼지 및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하여 충전구의 충전터미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충전구
120 : 함몰홈 130 : 충전공
140 : 씰링부재 200 : 보호캡
210 : 돌출부재 211 : 체결돌기
220 : 커버 222 : 절개면
223 : 손잡이부재 300 : 역조립 방지부
310 : 역조립 방지홈 320 : 역조립 방지리브

Claims (6)

  1. 아웃렛 커넥터가 삽입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전면에 충전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구(110)의 주연부에 일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120)이 구비된 인렛커넥터 하우징(100)과;
    상기 인렛커넥터 하우징(100)과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함몰홈(120)에 삽입되는 돌출부재(210)와, 상기 돌출부재(21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재(210)를 상기 함몰홈(120)에 삽입시에 상기 충전구(110)가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커버(220)로 이루어지는 보호캡(200)과;
    상기 보호캡(200)이 상기 인렛커넥터 하우징(100)에 역삽입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함몰홈(120)과 상기 돌출부재(210) 사이에 구비되는 역조립 방지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조립 방지부(300)는 상기 충전구(110)의 둘레면 일측에 둘레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역조립 방지홈(310)과, 상기 역조립 방지홈(310)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돌출부재(210)의 판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역조립 방지리브(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120)과 상기 돌출부재(210)는 타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역조립 방지홈(310)은 상기 충전구(110)의 하측 둘레면의 장방변 중앙에 절개 형성되고, 상기 역조립 방지리브(320)는 상기 돌출부재(210)의 장방변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210)의 외면에는 복수의 복수의 체결돌기(211)가 상기 돌출부재(2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체결돌기(211)와 대응되는 상기 함몰홈(120)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체결돌기(211)가 삽입되는 복수의 체결홈(121)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20)의 상부 중앙 영역은 상기 인렛커넥터 하우징(100)에 형성된 충전공(130)과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판면 일부가 절개 형성된 절개면(2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2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220)를 상기 충전구(110)로부터 이탈시에 그립할 수 있는 별도의 손잡이부재(223)가 상기 커버(22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KR1020170164231A 2017-12-01 2017-12-01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KR20190064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231A KR20190064906A (ko) 2017-12-01 2017-12-01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231A KR20190064906A (ko) 2017-12-01 2017-12-01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906A true KR20190064906A (ko) 2019-06-11

Family

ID=6684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231A KR20190064906A (ko) 2017-12-01 2017-12-01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49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24B1 (ko) * 2020-01-30 2020-06-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KR20210082767A (ko) *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충전 인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767A (ko) *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충전 인렛
KR102128324B1 (ko) * 2020-01-30 2020-06-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4024B (zh) 电动车辆用蓄电池组件外罩
CN106004400B (zh) 用于防止接近高压部件的车辆外壳
US10249916B2 (en) Connector barrel for a battery module
KR101394859B1 (ko) 자동차의 bms 커넥터
US20160093856A1 (en) Battery module retention structure
JP2013129220A (ja) 車両用駆動装置
CN110875448B (zh) 电动车辆的蓄电池封装体
EP3507842B1 (en)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JP2011103259A (ja) 車両用の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搭載する車両
CN216529217U (zh) 电池组和包含该电池组的装置
KR20190064906A (ko) 역조립 방지부를 구비한 충전구 보호구조
EP3323162B1 (en) System and method of overmolded terminal posts of a battery module
US10935605B2 (en) Battery array activating assembly and method
KR102029370B1 (ko) 접지 구조를 개선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 인렛
KR102093597B1 (ko)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기
CN217768552U (zh) 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设备
KR101380573B1 (ko) 전기자동차 충전용 인렛장치
KR101395842B1 (ko) 배터리 케이스
KR101646336B1 (ko) 전기자동차용 고전압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US20130040190A1 (en) High voltage secondary battery with earth member
KR102128324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KR102216115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15244775A (zh) 电子设备、电池包及电动车辆
US20240106049A1 (en) Battery case
CN116190900B (zh) 固定支架、电池以及用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