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870A - 보호 캡 - Google Patents

보호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870A
KR20220005870A KR1020200083563A KR20200083563A KR20220005870A KR 20220005870 A KR20220005870 A KR 20220005870A KR 1020200083563 A KR1020200083563 A KR 1020200083563A KR 20200083563 A KR20200083563 A KR 20200083563A KR 20220005870 A KR20220005870 A KR 2022000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ap
charging
housing
close contac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778B1 (ko
Inventor
박수환
이우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200083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7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의 충전부가 형성된 하우징에 탈착되는 보호 캡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일 측으로 배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충전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측보강부와, 상기 충전부와 밀착되는 내측보강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고정력을 향상시켜 임의로 충전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부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보호 캡{Protective Cap}
본 발명은 보호 캡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부에 결합되어 이를 보호하는 보호 캡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고갈 및 환경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친환경 차량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필요성이 또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친환경 차량은 수소연료 전지 자동차, 바이오디젤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이 있으며, 이 중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동차로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고연비, 고효율을 실현한다.
이때 전기자동차는 충전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충전부는 외부 충전기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동력원인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충전부 내부에는 충전 단자들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충전 단자들과 외부 충전기의 정확한 결합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충전부에는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충전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충전을 하지 않을 때에는 충전부에 보호 캡을 결합시키며, 충전 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억지 끼움 방식으로 충전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보호 캡은 충전부에 반복적인 탈착에 의해 고정력이 저하되면서 임의로 충전부에서 이탈되어 분실되거나,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 외력 등에 의해 충전부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호 캡의 반복적인 탈착 및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에도 충전부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하는 동시에 충전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호 캡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보호 캡은 차량의 충전부가 형성된 하우징에 탈착되는 보호 캡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일 측으로 배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충전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측보강부와, 상기 충전부와 밀착되는 내측보강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보강부는 상기 바디의 일 측에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결합부에서 이격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말단에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측보강부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보강부는 상기 바디의 일 측에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충전부를 형성하는 충전단자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보강부는 절개되어 복수의 밀착리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착리브의 일 측에는 상기 충전부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보강부는 말단이 상기 충전부와 결합되는 방향에서 외측으로 테이퍼져 제1 경사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보강부는 말단이 상기 충전부와 결합되는 방향에서 내측으로 테이퍼져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보강부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사이에 제1 공극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극에는 상기 외측보강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보강리브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보강부는 상기 결합부에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캡은 충전부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반복적인 탈착에도 일정 이상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충전부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전부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보강부는 말단에 밀착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보호 캡이 충전부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1,2 경사면이 형성되어 보호 캡 탈착 시 충전부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보강부의 일 측에는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어 보호 캡의 반복적인 탈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보강부는 충전부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가져 차량의 운행되는 환경에 맞춰 최적화된 보호 캡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보호 캡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2a-2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2b-2b 방향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보호 캡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위치 및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4a-4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4b-4b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도 4(b)의 내측보강부의 결합 과정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보호 캡의 사시도.
도 7도 6의 보호 캡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위치 및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a)는 도 7의 8a-8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7의 8b-8b 방향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보호 캡의 사시도.
도 10(a)는 도 9의 10a-10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8의 10b-10b 방향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보호 캡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위치 및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a)는 도 11의 12a-12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1의 12b-12b 방향의 단면도.
도 13은도 12(b)의 내측보강부의 결합 과정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보호 캡의 사시도.
도 15는 도 15의 보호 캡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위치 및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6(a)는 도 15의 16a-16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6(b)는 도 15의 16b-16b 방향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보호 캡은 제1 실시예를 우선적으로 설명하고,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의 외측면은 충전부의 보호 캡이 삽입되어 밀착되는 내부면 중 외측으로 배치되는 내부면으로 정의하고, 내측면은 충전부의 보호 캡이 삽입되어 밀착되는 내부면 중 내측으로 배치되는 즉, 충전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부면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보호 캡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2a-2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2b-2b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호 캡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위치 및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4a-4a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3의 4b-4b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b)의 내측보강부의 결합 과정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차량의 충전부(53)가 형성된 하우징(50)에 탈착되는 보호 캡(10)은 상기 충전부(53)의 일 측으로 배치되는 바디(110), 상기 결합부(130)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50)에 밀착되는 보강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140)는 상기 충전부(53)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50)의 외측면(51)에 밀착되는 외측보강부(141)와, 상기 충전부(53)와 밀착되는 내측보강부(14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호 캡(10)은 차량의 충전부(53)에 결합되는 것으로, 충전부(53)는 차량의 매설되고, 전기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충전기와 결합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일 측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이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 운행 등 충전 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호 캡(10)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하우징(50)은 차량의 매설되어 충전부(53)와 충전 인렛이 결합될 수 있도록 충전 단자가 일정 패턴을 가지며 수용되고, 보호 캡(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50)의 외측 내부면은 외측면(51)으로 정의하고,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결합부(130)의 외측에 형성된 내부면은 내측면(52)으로 정의된다.
바디(110)는 보호 캡(10)이 충전부(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 단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충전부(53)의 외측을 모두 덮도록 배치된다. 바디(110)의 일 측에는 충전부(53)를 직접 감싸 보호하는 결합부(130)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사용자가 충전부(53)로부터 보호 캡(10)을 보다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파지부(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110)는 충전부(53)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의 보호캡에서는 급속 충전부(53)와 완속 충전부(53)의 외측 각각을 덮도록 분리되어 형성되었으나, 급속 충전부(53)와 완속 충전부(53)를 모두 덮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바디(110)의 일 측에서 연장되되, 보호 캡(10)이 충전부(53)에 결합 시 삽입을 안내하는 동시에 결합부(130)가 충전부(53)에 결합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결합부(130)의 일 측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보호 캡(10)은 완속 충전부(53)와 결합되는 보호 캡(10)의 가이드부(120)는 결합부(13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급속 충전부(53)와 결합되는 보호 캡(10)의 가이드부(120)는 결합부(130)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수용공간(131)에 형성되어 충전 단자가 배치되는 충전부(53) 사이 또는 충전부(53)가 형성되지 않는 하우징(50)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20)는 보호 캡(1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결합 후에는 보호 캡(10)의 고정력을 보강한다.
결합부(130)는 바디(110)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어 충전부(53)를 감싸도록 하우징(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보호 캡(10)이 하우징(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부(53)를 보호하는 동시에 하우징(50)의 외측면(51)과 내측면(52)에 밀착되어 보호 캡(1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결합부(130)는 충전부(53)의 형상에 따라 바디(110)의 일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보호 캡(10)이 충전부(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부(53)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31)을 형성한다.
또한 결합부(130)는 내측보강부(142)의 위치에 대응하여 내측보강부(142)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지지리브(132)가 더 형성된다. 지지리브(132)를 내측보강부(142)의 외측에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내측보강부(142)가 미리 설계된 변형 거리 이상 밴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지지리브(132)는 이격된 정도가 외측보강부(141)가 돌출된 정도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보호 캡(10)과 충전부(53)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50)의 외측면(51)에 밀착되어 고정력 향상시키는 효과 또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호 캡(10) 사용 시 내측보강부(142)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반복적인 보호 캡(10)에 탈착에 의해 고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보강부(140)는 결합부(130)에서 돌출되어 보호 캡(10)이 충전 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50)의 일 측에 밀착되어 결합부(130)의 고정력을 보강하여 보호 캡(10)이 임의로 충전부(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보강부(140)는 충전부(53)를 형성하는 하우징(50)의 외측면(51)에 밀착되는 외측보강부(141)와, 충전부(53)와 밀착되는 내측보강부(142)로 형성되어 보다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때 외측보강부(141)는 결합부(13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거리 이격 형성되어 여러 방향으로 밀착되어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동시에 말단부는 보호 캡(10)이 충전부(53)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1 경사면(1411)이 형성되어 삽입 시 외측보강부(141)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최소화한다.
내측보강부(142)는 바디(110)에서 연장되는 연장바(1421)와, 연장바(1421)의 말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밀착돌기(1422)와 밀착돌기(1422)의 전단에 경사진 제2 경사면(1423)으로 형성되어 보호 캡(10)이 충전부(53)에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부(53)의 일 측에 밀착되어 외측보강부(141)와 함께 보호 캡(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내측보강부(142)는 결합부(130)와 동일선 상에 형성되되, 결합부(130)에서는 분리되어 바디(110)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는 외팔보로 형성되고, 말단부에 수용공간(131)으로 돌출되어 밀착돌기(1422)가 형성되어 보호 캡(10)과 충전부(53) 결합 시 하우징(50)의 내측면(52)과 밀착돌기(1422)와의 밀착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이에 따라 내측보강부(142)는 탄성 변형에 따라 복원력이 발생되면서 충전부(53)에 보다 강한 힘으로 밀착되어 보호 캡(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삽발력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해지지 않는다.
또한 밀착돌기(1422)의 전단 즉, 밀착돌기(1422)가 하우징(50)가 가장 먼저 접촉되는 말단을 의미하며, 전단에는 보호 캡(10)이 충전부(53)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로 경사진 제2 경사면(1423)이 형성되어 삽입 시 내측보강부(142)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보호 캡(10)은 충전부(53)에 결합된 상태어서 하우징(50)의 외측면(51)에 여러 방향으로 밀착되는 외측보강부(141)를 구비하여 보다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하여 보호 캡(10)이 임의로 충전부(5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 변형하는 내측보강부(142)를 구비하여 보호 캡(10)의 삽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부(53)의 설계 변경 없이 보호 캡(10)에 추가적인 구조를 형성하여 활용할 수 있어 제품의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보호 캡(1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보호 캡의 사시도이고, 도 7도 6의 보호 캡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위치 및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a)는 도 7의 8a-8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7의 8b-8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차량의 충전부(53)가 형성된 하우징(50)에 탈착되는 보호 캡(20)은 상기 충전부(53)의 일 측으로 배치되는 바디(210), 상기 결합부(230)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50)에 밀착되는 보강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240)는 상기 충전부(53)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50)의 외측면(51)에 밀착되는 외측보강부(241)와, 상기 충전부(53)와 밀착되는 내측보강부(242)로 형성되는 것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보강부(240)에 그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보호 캡(20) 또한 바디(210)의 일 측면에서는 결합부(230)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타 측면에서는 파지부(211)가 형성되어 보호 캡(20) 탈착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기며, 결합부(230)의 일측에는 가이드부(220)가 형성되어 보호 캡(20)의 결합을 안내하고, 결합부(230)의 내측으로 충전부(5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31)이 형성된다.
보강부(240)는 하우징(50)의 외측면(51)에 밀착되는 외측보강부(241)와, 하우징(50)의 내측면(52) 즉, 충전부(53)와 밀착되는 내측보강부(242)로 형성되고, 외측보강부(241)의 말단에는 보호 캡(20)과 충전부(53)의 결합 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제1 경사면이 형성된다.
내측보강부(242)는 연장바(2421)와, 연장부의 말단부에 수용공간(231)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돌기(2422)와, 밀착돌기(2422)의 전단에 보호 캡(20)이 충전부(53)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2 경사면(2423)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외측보강부(241)와 지지리브(232)가 동일선 상에 형성되고, 내측보강부(242)와 결합부(230)가 동일선 상에 형성되어, 외측보강부(241)와 결합부(230) 사이에는 제1 공극(24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강부(240)는 하우징(50)과의 밀착면적이 최대가 되면서도 제1 공극(246)으로 소정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보호 캡(20)의 삽발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다만, 제1 공극(246)에 의해 고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공극(246)을 따라 외측보강부(241)와 결합부(230)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246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보호 캡(20)은 결합부(230)와 보강부(240)는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보강부(240)와 하우징(50)의 밀착면을 최대화하며, 이는 차량의 운행 조건에 따라 보다 강한 삽발력 및 고정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적합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보호 캡의 사시도이고, 도 10(a)는 도 9의 10a-10a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10(b)는 도 8의 10b-10b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보호 캡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위치 및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2(a)는 도 11의 12a-12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1의 12b-12b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13은도 12(b)의 내측보강부의 결합 과정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보호 캡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5의 보호 캡과 하우징이 결합되는 위치 및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6(a)는 도 15의 16a-16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6(b)는 도 15의 16b-16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차량의 충전부(53)가 형성된 하우징(50)에 탈착되는 보호 캡(30,40)은 상기 충전부(53)의 일 측으로 배치되는 바디(310,410), 상기 결합부(330,430)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50)에 밀착되는 보강부(340,44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340,440)는 상기 충전부(53)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50)의 외측면(51)에 밀착되는 외측보강부(341,441)와, 상기 충전부(53)와 밀착되는 내측보강부(342,442)로 형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보강부(340,440)에 그 차이점이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와 제4 실시예는 충전부(53)의 타입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하는 것으로 제1 실시예와 달리하는 내측보강부(342,442)의 기술적 특징은 동일하게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의 보호 캡(30,40) 또한 바디(310,410)의 일 측면에서는 결합부(330,430)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타 측면에서는 파지부(311,411)가 형성되어 보호 캡(30,40) 탈착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기며, 결합부(330,430)의 일측에는 가이드부(320,420)가 형성되어 보호 캡(30,40)의 결합을 안내하고, 결합부(330,430)의 내측으로 충전부(5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31,431)이 형성된다.
보강부(340,440)는 하우징(50)의 외측면(51)에 밀착되는 외측보강부(341,441)와, 하우징(50)의 내측면(52) 즉, 충전부(53)와 밀착되는 내측보강부(342,442)로 형성되고, 외측보강부(341,441)의 말단에는 보호 캡(30,40)과 충전부(53)의 결합 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제1 경사면(3411,4411)이 형성된다.
내측보강부(342,442)는 연장부(3421,4421)와, 연장부의 말단부에 수용공간(331,431)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돌기(3422,4422)와, 밀착돌기(3422,4422)의 전단에 보호 캡(30,40)이 충전부(53)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2 경사면(3423,4423)으로 형성되되, 보호 캡(30,40)과 충전부(53)가 결합된 상태에서 충전부(53)를 형성하는 하우징(50)의 외측 내부면이 아닌, 충전부(53)를 형성하는 하우징(50)의 내측 내부면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내측보강부(342,442)는 충전단자가 배치되는 충전부(53)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제2 공극(346,446)을 형성하고, 밀착돌기(3422,4422)는 연장부(3421,44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충전부(53)의 내측 내부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내측보강부(342,442)는 보호 캡(30,40)이 충전부(53)와 결합되는 경우 제2 공극(346,446)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며,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의 보호 캡(30,40)은 충전부(53)와 밀착돌기(3422,4422)의 접착면적을 조절하여 삽발력을 조정할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내측보강부(342,442)가 하우징(50)과 충전단자의 사이에 배치되므로써 차량 운행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외력을 완화하여 충전단자 파손, 휨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므로 차량 운행 환경이 열악한 경우 적합한다.
상기한 봐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 캡(10,20,30,40)은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되어 다양한 운행 조건에 최적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보호 캡(10,20,30,40)이 하우징(50)의 서로 다른 면에 밀착되며 고정력 및 삽발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의 수명 및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20,30,40 보호 캡
110,210,310,410 바디 111,211,311,411 파지부
120,220,320,420 가이드부
130,230,330,430 결합부 131,231,331,431 수용공간
132,232 지지리브
140,240,340,440 보강부 141.241,341,441 외측보강부
1411,3411,4411 제1 경사면 142,242,342,442 내측보강부
1421,2421,3421,4421 연장바 1422,2422,3422,4422 밀착돌기
1423,2423,3423,4423 제2 경사면
246 제1 공극 2461 보강리브 346,446 제2 공극
50 하우징 51 외측면 52 내측면
53 충전부

Claims (10)

  1. 차량의 충전부가 형성된 하우징에 탈착되는 보호 캡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의 일 측으로 배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충전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외측보강부와, 상기 충전부와 밀착되는 내측보강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강부는
    상기 바디의 일 측에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결합부에서 이격되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강부는
    말단에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측보강부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강부는
    상기 바디의 일 측에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충전부를 형성하는 충전단자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강부는
    절개되어 복수의 밀착리브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리브의 일 측에는 상기 충전부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강부는
    말단이 상기 충전부와 결합되는 방향에서 외측으로 테이퍼져 제1 경사면 형성되고,
    상기 내측보강부는
    말단이 상기 충전부와 결합되는 방향에서 내측으로 테이퍼져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강부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되, 사이에 제1 공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에는
    상기 외측보강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지지리브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강부는
    상기 결합부에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캡.
KR1020200083563A 2020-07-07 2020-07-07 보호 캡 KR102481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63A KR102481778B1 (ko) 2020-07-07 2020-07-07 보호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563A KR102481778B1 (ko) 2020-07-07 2020-07-07 보호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870A true KR20220005870A (ko) 2022-01-14
KR102481778B1 KR102481778B1 (ko) 2022-12-27

Family

ID=7934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563A KR102481778B1 (ko) 2020-07-07 2020-07-07 보호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7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02U (ko) * 1989-06-13 1991-01-24
JP2015173136A (ja) * 2015-07-10 2015-10-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128324B1 (ko) * 2020-01-30 2020-06-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02U (ko) * 1989-06-13 1991-01-24
JP2015173136A (ja) * 2015-07-10 2015-10-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128324B1 (ko) * 2020-01-30 2020-06-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778B1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9362A (zh) 连接器
EP3507842B1 (en)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US9252460B2 (en) Secondary battery
US9997809B2 (en) Battery module
CN107615518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20220005870A (ko) 보호 캡
US11996646B2 (en) Charging connector for vehicle
US11217916B2 (en) Automotive booster cable system
US20220371457A1 (en) Charging connector for vehicle
KR102481777B1 (ko) 충전 인렛 캡
EP4094974A1 (en) Charging connector for vehicle
KR102382584B1 (ko) 충전 인렛
CN115476713A (zh) 用于电动车辆的充电设备及存储
CN216850538U (zh) 连接器和用电设备
CN112771730B (zh) 公连接器和具有该公连接器的收容装置
KR102342859B1 (ko) 충전 인렛
KR102614276B1 (ko)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
US20230090258A1 (en) Charging connector
CN220585624U (zh) 换电连接器、电动车辆及电池
KR102461288B1 (ko) 퓨즈 박스 일체형 커넥터 블록
KR102111767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0147443Y1 (ko) 배터리전원 터미널단자 보호용 캡
CN117397119A (zh) 电池电芯、电池模块、电池组及包括该电池组的车辆
KR20230105560A (ko) 충전장치
KR20220001734U (ko) 밀폐형 차량용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