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460B1 -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460B1
KR102493460B1 KR1020200088523A KR20200088523A KR102493460B1 KR 102493460 B1 KR102493460 B1 KR 102493460B1 KR 1020200088523 A KR1020200088523 A KR 1020200088523A KR 20200088523 A KR20200088523 A KR 20200088523A KR 102493460 B1 KR102493460 B1 KR 102493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power cable
couple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833A (ko
Inventor
성경모
Original Assignee
성경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경정밀(주) filed Critical 성경정밀(주)
Priority to KR102020008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4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가정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ICCB(In Cable Control Box)의 양측으로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의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ICCB의 양측에 전원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을 플러그와 소켓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결합된 커넥터는 쉽게 분리할 수 없도록 고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이는 ICCB의 양측에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고, 그 전원케이블의 끝에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을 각각 설치하여 일반 가정이나 주차장의 충전스테이션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ICCB의 양측에는 소켓을 직접 설치하고, 상기 전원플러그가 구비된 상기 전원케이블과 상기 충전아웃렛이 구비된 상기 전원케이블에는 각각 플러그를 설치하여 플러그와 소켓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에 의해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이 ICCB에서 각각 착탈 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충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소켓에는 오 결합방지 홈과 오 결합방지 돌기를 다른 개수와 다른 위치에 형성하여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의 플러그를 ICCB의 다른 소켓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토록 한 후, 상기 플러그에는 하우징 외측에 1개의 방수패킹을 설치하고, 상기 소켓에는 하우징의 외측에 2개의 방수패킹을 설치하여 충전 중 물기에 의한 누전과 쇼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전원케이블에 설치된 각각의 플러그 외측에는 가이드링과 핸들링으로 이루어진 커플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을 잠금 및 해지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를 구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Connector coupler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가정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ICCB(In Cable Control Box)의 양측으로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을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의 휴대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ICCB의 양측에 전원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을 플러그와 소켓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결합된 커넥터는 쉽게 분리할 수 없도록 고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휘발유나 경유 등과 같은 화석 연료를 직접 연소하여 동력을 얻었으나, 이때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대기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를 촉진하는 주범이 되고 있어 유해가스 경감 차원으로 LPG와 LNG 등을 사용하는 자동차가 많이 보급되었으나, LPG와 LNG를 사용하는 자동차 역시 적은 양이지만 여전히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와 같은 녹색 교통수단의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졌고, 이제는 화석 연료 자동차 대비 전기자동차의 사용비율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모터를 돌려서 운행하는 자동차를 의미하며,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차체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탑재하여 탑재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고, 충전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로 모터를 돌려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전기자동차의 사용에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는 방법은 전기자동차용 전기충전소에서 충전아웃렛을 전기자동차의 충전플러그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과, ICCB의 양측에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이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로 가정의 콘센트에 전원플러그를 연결하고 충전아웃렛을 자동차에 결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충전방법 중에서 휴대용 충전기로 충전하는 방법은 집이나 회사에서 전기자동차를 운행하지 않는 시간에 배터리를 충전할 때 주로 사용되지만, 전기자동차를 운행하던 중 충전이 필요할 때 주변에 전기충전소가 없으면 일반 가정용 전원으로 긴급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할 때도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충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CCB(1)의 양측에 전원케이블(2)(3)을 설치하고, 그 전원케이블(2)(3)의 끝에 전원플러그(4)와 충전아웃렛(5)을 각각 구비하여 일반 가정의 전원으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휴대용 충전기는 일반 가정의 전원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것이므로 각 가정마다 동일하지 않은 전압이나 전류의 세기는 물론 가정에 설치된 전원콘센트의 상태나 먼지 등의 이물로 인하여 충전 과정에서 전원플러그(4)에 열이 많이 발생되어 전원플러그(4)가 부분적으로 녹거나 변형되는 일이 자주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충전기의 전원플러그(4)가 부분적으로 녹거나 변형이 발생되면 ICCB(1)와 전원케이블(2)(3)이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휴대용 충전기는 휴대용 충전기 전체를 교체해야 안전하게 충전을 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휴대용 충전기에 대한 규정이 각 나라마다 조금씩 달라서 일부 나라는 ICCB(1)와 전원케이블(2)(3)이 분리되어도 괜찮지만, 다른 일부 나라는 ICCB(1)와 전원케이블(2)(3)이 고정되어 있어야만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전기자동차 회사는 하나의 휴대용 충전기로 모든 나라의 규정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ICCB(1)와 전원케이블(2)(3)을 고정된 상태로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휴대용 충전기의 전원플러그(4)만이 손상되었어도 소비자는 휴대용 충전기 전체를 새로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일반 가정의 전기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충전기에서 ICCB의 양측에는 소켓을 설치하고,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이 구비된 각각의 전원케이블에는 플러그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하여 휴대용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2개의 전원케이블에 각각 설치된 플러그에는 가이드링과 핸들링으로 이루어진 커플러를 설치하고, 그 커플러와 상기 소켓을 나사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합된 플러그와 소켓이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플러그와 소켓이 고정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각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규정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ICCB의 양측에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고, 그 전원케이블의 끝에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을 각각 설치하여 일반 가정이나 주차장의 충전스테이션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ICCB의 양측에는 소켓을 직접 설치하고, 상기 전원플러그가 구비된 상기 전원케이블과 상기 충전아웃렛이 구비된 상기 전원케이블에는 각각 플러그를 설치하여 플러그와 소켓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에 의해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이 ICCB에서 각각 착탈 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충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소켓에는 오 결합방지 홈과 오 결합방지 돌기를 다른 개수와 다른 위치에 형성하여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의 플러그를 ICCB의 다른 소켓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토록 한 후, 상기 플러그에는 하우징 외측에 1개의 방수패킹을 설치하고, 상기 소켓에는 하우징의 외측에 2개의 방수패킹을 설치하여 충전 중 물기에 의한 누전과 쇼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전원케이블에 설치된 각각의 플러그 외측에는 가이드링과 핸들링으로 이루어진 커플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을 잠금 및 해지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ICCB의 양측에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고, 그 전원케이블의 끝에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을 각각 설치하여 일반 가정이나 주차장의 충전스테이션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충전스테이션에는 소켓을 직접 설치하고, 충전아웃렛이 구비된 상기 전원케이블에는 타측에 플러그를 설치하여 충전스테이션과 전원케이블을 착탈 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충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외측에는 가이드링과 핸들링으로 이루어진 커플러를 설치하여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끼운 상태로 커플러를 회전시켜 잠글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플러그와 소켓에는 오 결합방지 홈과 오 결합방지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충전스테이션의 소켓에 다른 플러그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플러그에는 하우징 외측에 1개의 방수패킹을 설치하고, 상기 소켓에는 하우징의 외측에 2개의 방수패킹을 설치하여 충전 중 물기에 의한 누전과 쇼트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러는 상기 핸들링의 내측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링을 삽입하여 구성하되, 상기 핸들링의 내측면에는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링에는 각홀을 형성하여 핸들링의 내측으로 가이드링을 삽입하면 후크와 각홀이 결합 고정되게 구성하며, 상기 소켓에는 상단 일부가 돌출되게 너트를 매립하여 상기 소켓에 상기 플러그를 끼우면 상기 너트 상단이 가이드홈의 삽입부로 삽입되고, 상기 핸들링을 회전시키면 돌출된 너트가 상기 가이드홈을 안내하여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이 결합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핸들링에 형성된 나사홀로 나사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소켓의 너트에 체결하여 상기 커플러가 구비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으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완전히 고정되도록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ICCB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에는 각각의 소켓을 설치하되, ICCB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에 각각의 전원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전원케이블 끝에 소켓을 각각 설치한 후, 전원플러그의 전원케이블과 충전아웃렛의 전원케이블에는 커플러가 구비된 플러그를 각각 설치하여 소켓과 플러그를 결합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커플러는 전기자동차용 휴대용 충전기의 ICCB 양측에 소켓을 설치하고,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이 구비된 각각의 전원케이블에는 플러그를 각각 설치하여 플러그와 소켓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을 ICCB에서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플러그로부터 충전아웃렛을 통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안정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케이블에 각각 설치된 플러그에는 가이드링과 핸들링으로 이루어진 커플러를 설치하고, 그 커플러와 소켓을 나사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합된 플러그와 소켓이 고정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각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규정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휴대용 충전기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휴대용 충전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플러그측 커플러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커플러를 결합 위치로 회전시킨 확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아웃렛측 커플러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커플러를 결합 위치로 회전시킨 확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도 9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커플러를 결합 위치로 회전시킨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커넥터와 커플러의 결합 전 상태를 보인 핸들링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1차 결합인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보인 핸들링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2차 결합인 커플러의 결합상태를 보인 핸들링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소켓이 전원케이블에 의해 ICCB의 양측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에 의한 소켓이 전원케이블에 의해 충전스테이션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7는 본 발명에 의한 소켓을 충전스테이션에 직접 설치한 것과 전원케이블로 연결 설치한 것을 함께 설치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가정용 전기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휴대용 충전기(100)는 ICCB(110)의 양측에 너트(123)가 매립된 소켓(120)(120')을 설치하고, 전원플러그(150)의 전원케이블(140)과 충전아웃렛(160)의 전원케이블(140')에 플러그(130)(130')를 각각 설치하여 소켓(120)(120')과 플러그(130)(130')의 단자(125)(135)를 결합하여 전원플러그(150)와 충전아웃렛(160)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전원플러그(150)의 전원케이블(140)과 충전아웃렛(160)의 전원케이블(140')에 설치된 플러그(130)(130') 외측에는 핸들링(210)과 가이드링(220)으로 이루어진 커플러(200)(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커플러(200)(200')는 나사홀(212)이 형성된 핸들링(210)의 내측으로 가이드홈(222)이 형성된 가이드링(220)을 삽입하여 핸들링(210)의 후크(211)와 가이드링(220)의 각홀(221)에 의해 결합 고정되게 구성하고, 상기 소켓(120)(120')에 매립된 너트(123)는 돌출된 너트(123)의 상단이 가이드홈(222)을 안내하게 하며, 가이드링(220)이 결합된 핸들링(210)을 회전시켜 플러그(130)(130')와 소켓(120)(12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핸들링(210)의 상기 나사홀(212)에는 나사(230)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소켓(120)(120')의 너트(123)에 체결하여 커플러(200)(200')와 플러그(130)(130') 및 소켓(120)(120')을 완전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기충전소 외의 일반 가정이나 회사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사용하는 휴대용 충전기(100)의 ICCB(110)와 전원플러그(150) 및 충전아웃렛(160)을 플러그(130)(130')와 소켓(120)(120') 및 커플러(200)로 간편하게 착탈하거나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아웃렛(160)은 그 충전케이블(140')에 설치된 플러그(120')를 ICCB(110)의 소켓(120')에서 분리하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파트 주차장이나 공공장소의 주차장 등에 설치된 충전스테이션(300)의 소켓(120")에 연결하여 전기자동차를 주차해 놓는 동안에 편리하게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즉, 도 2 내지 도 9와 같이 휴대용 충전기(100)의 ICCB(110)로 일반 가정 등에서 충전할 때나 주차 중에 충전스테이션(300)에서 커플러(200)(200')와 플러그(130)(130') 및 소켓(120)(120')(120")에 의해 전원플러그(150)와 충전아웃렛(160)을 착탈하는 과정을 도 10 내지 도 12를 통해 살펴본다.
먼저, 소켓(120)(120')(120")과 플러그(130)(130')를 결합할 때는 도 10과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플러그(130)(130')를 소켓(120)(120')(120")에 끼워 주면 소켓(120)(120')(120")의 하우징(121)에 상단이 돌출되게 매립된 너트(123)의 돌출된 상단이 도 11과 같이 커플러(200)(200')의 가이드링(2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2)의 삽입부(223)에 1차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너트(123)가 가이드홈(222)의 삽입부(223)를 통해 1차로 삽입되면 플러그(130)(130')와 소켓(120)(120')(120")의 단자(125)(135)들은 결합이 완료되어 충전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지만, 외력에 의해 다시 빠질 수 있는 것이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러(200)(200')의 핸들링(210)을 회전시키면 후크(211)와 각홀(221)에 의해 결합된 가이드링(22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가이드링(220)은 가이드홈(222)으로 삽입된 너트(123)에 안내되어 가이드홈(222)의 형상대로 회전하게 되고, 소켓(120)(120')(120")의 너트(123)는 가이드홈(222)의 안착부(224)에 위치하게 되므로 소켓(120)(120')(120")과 플러그(130)(130')는 핸들링(210)의 역회전 없이는 분리되지 않는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커플러(200)(200')의 핸들링(210)과 가이드링(220)을 회전시켜 소켓(120)(120')(120")과 플러그(130)(1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냥 사용해도 문제는 없지만, 소켓(120)(120')(120")과 플러그(130)(130')의 더욱 안정된 고정상태를 원하거나 어떤 나라의 구정에 따라 소켓(120)(120')(120")과 플러그(130)(130')의 고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핸들링(210)의 나사홀(212)로 나사(230)를 관통 삽입하여 소켓(120)(120')(120")의 너트(123)에 체결하면 커플러(200)(200')와 소켓(120)(120')(120") 및 플러그(130)(130')를 완전히 고정시킨 상태가 되므로 나라마다 다른 규정도 모두 준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켓(120)(120')(120")과 플러그(130)(130')를 분리할 때는 상기 고정할 때의 역순으로 나사(230)를 풀고, 커플러(200)(200')를 역회전시킨 후, 소켓(120)(120')(120")과 플러그(130)(130')를 서로 멀어지게 벌려주면 가이드홈(222)의 안착부(224)에 있던 너트(123)가 삽입부(223)를 통해 빠지면서 소켓(120)(120')(120")과 플러그(130)(130')도 분리되므로 ICCB(110)나 충전스테이션(300)에서 전원플러그(150)와 충전아웃렛(16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ICCB(110)의 양측에서 전원플러그(150)와 충전아웃렛(160)을 각각 분리할 수 있는 것이므로 ICCB(110)에서 분리한 충전아웃렛(160)은 충전스테이션(300)의 소켓(12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과정에서 전원플러그(150)나 충전아웃렛(160)이 파손되거나 변형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면 변형되거나 파손된 부품만 따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는 소켓(120)(120')(120")의 하우징(121)에 1개의 방수패킹(124)을 설치하고, 플러그(130)(130')의 하우징(131)에는 2개의 방수패킹(133)(134)을 설치함으로써 플러그(130)(130')의 하우징(131)에 설치된 2개의 방수패킹(133)(134) 중에서 선단의 방수패킹(133)으로는 결합된 플러그(130)(130')와 소켓(120)(120')(120") 사이를 방수시킬 수 있고, 플러그(130)(130')의 남은 방수패킹(134)과 소켓(120)(120')(120")의 방수패킹(124)으로는 결합된 플러그(130)(130')와 소켓(120)(120')(120") 및 커플러(200)(200')의 핸들링(210) 사이를 방수시킬 수 있으므로 플러그(130)(130')와 소켓(120)(120')(120")을 결합하여 충전할 때의 확실한 방수 실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중에 누수로 인해 플러그(130)(130')와 소켓(120)(120')(120")의 단자(125)(135)를 통한 누전이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충전기(100)의 ICCB(110) 양측에 설치된 소켓(120)(120')과 충전스테이션(300)에 설치된 소켓(120")의 하우징(121)에는 오 결합방지 돌기(122)를 형성하되, 전원플러그(150)가 연결되는 소켓(120)과 충전아웃렛(160)이 연결되는 소켓(120')(120")에 각각 다른 개수와 다른 위치에 오 결합방지 돌기(122)형성하고, 전원플러그(150)의 플러그(130)와 충전아웃렛(160)의 플러그(130')에는 상기 각각의 소켓(120)(120')(120")에 형성된 오 결합방지 돌기(1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 결합방지 홈(132)을 형성함으로써 전원플러그(150)와 충전아웃렛(160)을 다른 위치에 잘못 결합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아웃렛(160)은 ICCB(110)와 충전스테이션(300)에 모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은 ICCB(110)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300)에 모두 소켓(120)(120')(120")을 직접 설치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ICCB(110)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300)에는 각각의 소켓(120)(120')(120")을 설치하되, ICCB(110)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300)에는 각각의 전원케이블(111)(111')(301)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전원케이블(111)(111')(301) 끝에 소켓(120)(120')(120")을 각각 설치한 후, 전원플러그(150)의 전원케이블(140)과 충전아웃렛(160)의 전원케이블(140')에 설치된 플러그(130)(130')를 소켓(120)(120')(120")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켓(120)(120')(120")과 플러그(130)(130')를 착탈시키기가 좀더 편리해질 뿐만 아니라, 소켓(120)(120')(120")의 전원케이블(111)(111')(301) 길이에 따라 좀더 먼 거리에 위치한 전기자동차에도 충전을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커플러(200)(200')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100)는 전원플러그(150)와 충전아웃렛(160)에는 커플러(200)(200')가 구비된 플러그(130)(130')를 설치하고, ICCB(110)와 충전스테이션(300)에는 소켓(120)(120')(120")을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이를 반대로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전원플러그(150)와 충전아웃렛(160)의 전원케이블(140)(140')에는 소켓(120)(120')을 설치하고, ICCB(110)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300)에는 커플러(200)(200')가 구비된 플러그(130)(130')를 설치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과 작용 및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소켓(120)(120')(120")과 플러그(130)(130')의 설치 위치를 반대로 할 때에도 플러그(130)(130')를 ICCB(110)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300)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CCB(110)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300)에는 전원케이블(111)(111')(301)을 설치하고, 그 전원케이블(111)(111')(301)의 끝에 플러그(130)(130')를 설치하여 충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을 혼합하여 충전스테이션(300)에 직접 설치되는 소켓(120")과 전원케이블(301)에 연결 설치되는 소켓(120")을 함께 설치할 수도 있고, 반대로 충전스테이션(300)에 직접 설치되는 플러그(130')와 전원케이블(301)에 연결 설치되는 플러그(130')을 함께 설치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스테이션(300)에 직접 설치되는 소켓(120")과 전원케이블(301)에 연결 설치되는 소켓(120") 및 직접 설치되는 플러그(130')와 전원케이블(301)에 연결 설치되는 플러그(130')을 모두 함께 설치하여 소비자가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100 : 휴대용 충전기 110 : ICCB
111, 111', 301, 140, 140' : 전원케이블 120, 120', 120" : 소켓
121, 131 : 하우징 122 : 오 결합방지 돌기
132 : 오 결합방지 홈 123 : 너트
124, 133, 134 : 방수패킹 125, 135 : 단자
130, 130' : 플러그 150 : 전원플러그
160 : 충전아웃렛 200 : 커플러
210 : 핸들링 211 : 후크
212 : 나사홀 220 : 가이드링
221 : 각홀 222 : 가이드홈
223 : 삽입부 224 : 안착부
230 : 나사 300 : 충전스테이션

Claims (11)

  1. ICCB의 양측에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고, 그 전원케이블의 끝에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을 각각 설치하여 일반 가정이나 주차장의 충전스테이션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ICCB의 양측에는 소켓을 직접 설치하고, 상기 전원플러그가 구비된 상기 전원케이블과 상기 충전아웃렛이 구비된 상기 전원케이블에는 각각 플러그를 설치하여 플러그와 소켓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에 의해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이 ICCB에서 각각 착탈 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충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소켓에는 오 결합방지 홈과 오 결합방지 돌기를 다른 개수와 다른 위치에 형성하여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의 플러그를 ICCB의 다른 소켓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토록 한 후, 상기 플러그에는 하우징 외측에 1개의 방수패킹을 설치하고, 상기 소켓에는 하우징의 외측에 2개의 방수패킹을 설치하여 충전 중 물기에 의한 누전과 쇼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전원케이블에 설치된 각각의 플러그 외측에는 가이드링과 핸들링으로 이루어진 커플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을 잠금 및 해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CCB의 양측에 직접 설치되었던 소켓은 상기 전원플러그와 상기 충전아웃렛의 전원케이블에 설치하고, 상기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에 설치되었던 플러그는 상기 ICCB의 양측에 커플러가 구비된 그대로 직접 설치하여 상기 커플러가 구비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이 다른 위치에 설치된 상태로 착탈 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3. ICCB의 양측에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고, 그 전원케이블의 끝에 전원플러그와 충전아웃렛을 각각 설치하여 일반 가정이나 주차장의 충전스테이션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충전스테이션에는 소켓을 직접 설치하고, 충전아웃렛이 구비된 상기 전원케이블에는 타측에 플러그를 설치하여 충전스테이션과 전원케이블을 착탈 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충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외측에는 가이드링과 핸들링으로 이루어진 커플러를 설치하여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끼운 상태로 커플러를 회전시켜 잠글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플러그와 소켓에는 오 결합방지 홈과 오 결합방지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충전스테이션의 소켓에 다른 플러그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플러그에는 하우징 외측에 1개의 방수패킹을 설치하고, 상기 소켓에는 하우징의 외측에 2개의 방수패킹을 설치하여 충전 중 물기에 의한 누전과 쇼트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아웃렛의 상기 전원케이블에 설치되었던 플러그는 커플러가 구비된 그대로 충전스테이션에 직접 설치하고, 충전스테이션에 직접 설치되었던 소켓은 상기 충전아웃렛의 상기 전원케이블에 설치하여 상기 커플러가 구비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이 다른 위치에 설치된 상태로 착탈 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5. 청구항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핸들링의 내측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링을 삽입하여 구성하되, 상기 핸들링의 내측면에는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링에는 각홀을 형성하여 핸들링의 내측으로 가이드링을 삽입하면 후크와 각홀이 결합 고정되게 구성하며, 상기 소켓에는 상단 일부가 돌출되게 너트를 매립하여 상기 소켓에 상기 플러그를 끼우면 상기 너트 상단이 가이드홈의 삽입부로 삽입되고, 상기 핸들링을 회전시키면 돌출된 너트가 상기 가이드홈을 안내하여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을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6. 청구항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핸들링의 내측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기 가이드링을 삽입하여 구성하되, 상기 핸들링의 내측면에는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링에는 각홀을 형성하여 핸들링의 내측으로 가이드링을 삽입하면 후크와 각홀이 결합 고정되게 구성하며, 상기 소켓에는 상단 일부가 돌출되게 너트를 매립하여 상기 소켓에 상기 플러그를 끼우면 상기 너트 상단이 가이드홈의 삽입부로 삽입되고, 상기 핸들링을 회전시키면 돌출된 너트가 상기 가이드홈을 안내하여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이 결합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핸들링에 형성된 나사홀로 나사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소켓의 너트에 체결하여 상기 커플러가 구비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소켓으로 이루어진 커넥터가 완전히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7. 청구항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CCB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에는 각각의 소켓을 설치하되, ICCB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에 각각의 전원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전원케이블 끝에 소켓을 각각 설치한 후, 전원플러그의 전원케이블과 충전아웃렛의 전원케이블에는 커플러가 구비된 플러그를 각각 설치하여 소켓과 플러그를 결합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8. 청구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CCB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에는 커플러가 구비된 각각의 플러그를 설치하되, ICCB의 양측과 충전스테이션에 각각의 전원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전원케이블 끝에 플러그를 각각 설치한 후, 전원플러그의 전원케이블과 충전아웃렛의 전원케이블에는 소켓을 각각 설치하여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9.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이 직접 설치된 충전스테이션에는 전원케이블을 설치하고, 그 전원케이블의 끝에도 소켓을 설치하여 충전스테이션에 직접 설치되는 소켓과 전원케이블을 통해 설치되는 소켓이 함께 구비되도록 한 후, 충전아웃렛의 전원케이블에 설치된 플러그를 충전스테이션의 소켓에 결합할 때 소켓을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10.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가 구비된 플러그가 직접 설치된 충전스테이션에는 전원케이블을 설치하고, 그 전원케이블의 끝에도 커플러가 구비된 플러그를 설치하여 충전스테이션에 직접 설치되는 플러그와 전원케이블을 통해 설치되는 플러그가 함께 구비되도록 한 후, 충전아웃렛의 전원케이블에 설치된 소켓을 충전스테이션의 플러그에 결합할 때 플러그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11. 청구항 제3항, 제4항,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스테이션에는 충전스테이션에 직접 설치되는 소켓과 전원케이블을 통해 설치되는 소켓은 물론 충전스테이션에 직접 설치되는 커플러가 구비된 플러그와 전원케이블을 통해 설치되는 커플러가 구비된 플러그를 모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소켓이나 플러그를 선택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KR1020200088523A 2020-07-16 2020-07-16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KR102493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23A KR102493460B1 (ko) 2020-07-16 2020-07-16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23A KR102493460B1 (ko) 2020-07-16 2020-07-16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833A KR20220009833A (ko) 2022-01-25
KR102493460B1 true KR102493460B1 (ko) 2023-01-30

Family

ID=8004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523A KR102493460B1 (ko) 2020-07-16 2020-07-16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4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495U (ko) * 2013-01-22 2014-07-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휴대용 충전장치
KR20170006754A (ko) * 2015-07-09 2017-01-1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 차량들 간의 배터리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용 케이블
KR102571688B1 (ko) * 2016-09-21 2023-08-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KR102029381B1 (ko) * 2017-12-29 2019-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완속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833A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7139A (en) Extention cord charging device for connecting tools and appliances to plug receptacle in vehicle
US8796551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9821671B2 (en) Wall plu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02957028B (zh) 连接器组件
US9876317B2 (en) Replaceable adapter for use with vehicular battery charging system
US8506315B2 (en) Docking station for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5639256A (en) Feeder connector
US7148580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starting engine-driven power equipment
WO2013076542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N104602946A (zh) 作为汇流条的一部分的制造维修断开
CN103153689A (zh) 用于连接车辆与插座的装置
KR102493460B1 (ko)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KR102093597B1 (ko)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기
KR102029381B1 (ko) 완속 충전기
JP6197551B2 (ja) 給電用コネクタ
KR102128324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CN110635075B (zh) 一种快换电池及电池壳体
CN206451919U (zh) 车用高压电连接器
KR200494858Y1 (ko) 전기차 충전용 커플러
KR102064483B1 (ko) 완속 충전기
JP7313732B1 (ja) 電気自動車の充電延長ケーブル専用のオスメスコネクタ
US11884170B1 (en) Adapter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s
WO2022004161A1 (ja) ケーブル接続装置及び給電制御装置
CN206451946U (zh) 电动汽车用的电连接器
KR101047400B1 (ko)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아웃렛 전선 고정형 충전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