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688B1 -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688B1
KR102571688B1 KR1020160120817A KR20160120817A KR102571688B1 KR 102571688 B1 KR102571688 B1 KR 102571688B1 KR 1020160120817 A KR1020160120817 A KR 1020160120817A KR 20160120817 A KR20160120817 A KR 20160120817A KR 102571688 B1 KR102571688 B1 KR 102571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eal
charging
pair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252A (ko
Inventor
오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6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충전용 커넥터는 중공 형상으로 하우징 부와; 상기 하우징 부의 종공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충전 단자부와; 상기 다수의 충전 잔자부의 타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 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에 서로 다른 방향의 고정력을 형성하여 끼움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의 외측을 따라 후퇴가 가능한 이너씰 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FOR FILLING A CONNECTOR}
본 발명은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버다 상세하게는 충전용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이너씰의 고정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이너씰의 이탈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자동차의 개발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는 모터의 구동을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구비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것으로, 이를 위해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야 한다.
예컨대,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구성으로, 전기자동차에 충전용 커넥터(이를, '인렛커넥터'라 함)가 구비되어야 하며, 충전스테이션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커넥터와 결합되는 충전용 커넥터(이를 '플러그커넥터'라 함)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들 충전용 커넥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해 질 수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에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고전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전술한 충전용 커넥터들도 고전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즉,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 역시 용량이 커져야 하므로 터미널 자체의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충전용 커넥터 역시 큰 사이즈로 제공된다.
또한, 전기자동차에 설치되는 충전용 커넥터는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방수성능 역시 우수해야 한다. 만일, 그렇지 않을 경우 누전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따르게 된다. 이 때문에 충전용 커넥터에는 실링 등의 방수를 위한 부품들이 사용된다.
또한, 전기자동차에 설치되는 충전용 커넥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사이즈로 제공되므로, 상대 측 커넥터(즉, 플러그커넥터)와 결합 시 작업자가 큰 힘을 인가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때, 충전용 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이 작업자의 힘(즉, 외력)에 의해 밀리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터미널을 지지하는 리어홀더 등의 부품을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구성된 종래의 충전용 커넥터의 경우 와이어의 유동시 실링의 형상 변형 등이 유발되어 목표하는 수준의 방수성능 확보가 어려웠고, 터미널의 밀림 현상이 나타나 터미널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플러그를 수회 삽발하는 경우, 커넥터에 설치되는 이너씰에 반복적인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플러그의 삽발되는 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이너씰은 커넥터 하우징의 내주에 형성되는 접착재를 사용하여 고정되거나 홈에 단순히 끼워져 설치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상기 외력에 의해 쉽게 유동되어 하우징의 내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이너씰이 이탈됨에 따라 정상적인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0639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차량용 충전 커넥터의 씰링 구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용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이너씰의 고정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이너씰의 이탈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는 중공 형상으로 하우징 부와; 상기 하우징 부의 종공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충전 단자부와; 상기 다수의 충전 잔자부의 타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 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에 서로 다른 방향의 고정력을 형성하여 끼움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의 외측을 따라 후퇴가 가능한 이너씰 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씰 부는, 상기 하우징 부의 중공으로 돌출되도록 탄성홈이 형성되는 돌기 몸체와, 상기 돌기 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와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연장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연장 몸체는,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하우징 부의 외측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보조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의 단면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연장 몸체는, 끝단을 따라 곡률이 형성되는 단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홈은, U 형상 또는 V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에는, 씰 설치홈이 형성된다.
상기 씰 설치홈은,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가 끼워지는 제 1끼움홈과, 상기 제 2연장 몸체가 끼워지는 제 2끼움홈과, 상기 보조 돌기가 끼워지는 제 3끼움홈과, 상기 제 1끼움홈을 상기 하우징 부의 중공에 노출시키는 노출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출홀을 통해, 상기 돌기 몸체의 중앙부는, 상기 하우징 부의 중공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끼움홈에는, 상기 돌기 몸체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 몸체가 상기 외력에 이해 후퇴되도록 설정된 후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충전용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이너씰의 고정 위치를 유지함과 아울러, 이너씰의 이탈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충전용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는 크게 하우징 부(100)와, 충정 단자부(200)와, 커버부(300)와, 이너씰 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 및 구성 간의 결합 관계를 통한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 부(10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중공 형상이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부(100)는 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하우징 부(100)는 일측을 개방되며,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3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부(100)는 다중의 겹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 부(100)의 중공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충전 단자부(200)가 설치된다.
도 1을 참조 하면, 상기 다수의 충전 단자부(200) 각각은, 상기 하우징 부(100)의 내측 타측부에서 연장되며, 단부에 통공이 형성되는 다수의 단자 설치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단자 설치 부재의 내부에는 충전 터미널들이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 터미널들은 하우징 부의 외부 충전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단자 설치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100)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다수의 단자 설치 부재는 충전 플러그와 같은 상대물이 결합되어 각 충전 터미널들과 통전이 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부(300)는 상기 다수의 충전 단자부(200)의 타단을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 부(100)의 타측에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 부(100)의 내측 둘레에 서로 다른 방향의 고정력을 형성하여 끼움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100)의 외측을 따라 후퇴가 가능한 이너씰 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이너씰 부(400)는 내열 및 내식성을 갖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너씰 부(4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이너씰 부(400)는 하우징 부(100)의 중공 내측 둘레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너씰 부(400)는 상기 하우징 부(100)의 내측 둘레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이너씰 부(400)는 돌기 몸체(410)와,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420) 및, 제 2연장 몸체(430)로 구성된다.
상기 돌기 몸체(4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 몸체(410)의 직경은, 하우징 부(100)의 내측 둘레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 몸체(410)는, 하우징 부(100)의 중공으로 돌출되는 탄성홈(411)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홈(411)은, V 또는 U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홈(411)은 다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 몸체(410)의 중앙부 돌출 부위는 하우징 부(100)의 중공에 돌출되는 부위이고, 탄성홈(411)은 돌기 몸체(410)가 후퇴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홈(411)은,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420)는, 돌기 몸체(410)의 양측부에서 설정된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420)는 하우징 부(100)의 내측 둘레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부재이다.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420)는 그 길이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420)는 그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연장 몸체(430)는,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420) 중, 하우징 부(100)의 개구 측에 위치되는 제 1연장 몸체(42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 2연장 몸체(430)는 제 1연장 몸체(420)와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부(100)의 내측 둘레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좋다.
더하여, 상기의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420) 중, 하우징 부(100)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 1연장 몸체(420)에는 보조 돌기(4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 돌기(440)는 라운드 형상의 돌기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이너씰 부(400)는 하우징 부(100)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는 씰 설치홈(110)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씰 설치홈(110)은, 상기 하우징 부(100)의 내측 둘레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420)가 끼워지는 제 1끼움홈(111)과, 상기 제 2연장 몸체(430)가 끼워지는 제 2끼움홈(112)과, 상기 보조 돌기(440)가 끼워지는 제 3끼움홈(113)과, 상기 제 1끼움홈(111)을 상기 하우징 부(100)의 중공에 노출시키는 노출홀(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는 돌기 몸체(110)의 중앙부는, 상기 하우징 부(100)의 중공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끼움홈(111)에는, 상기 돌기 몸체(410)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 몸체(410)가 상기 외력에 이해 후퇴되도록 설정된 후퇴 공간(111a)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돌기 몸체(410)에 형성되는 탄성홈(111a)은, 중앙부에 형성되는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의 양측으로부터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과, 상기 한 쌍의 경사면에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평행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홈(111a)은, 비대칭 형상을 이루되, 경사면의 경우, 하우징 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사면이 다른 경사면 보다 경사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평행면의 경우, 하우징 부(100)의 개구 측에 배치되는 평행면이 다른 평행면도가 평행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하우징 부(100)의 개구를 통해 플러그가 진입되는 경우, 플러그 구조물의 둘레에 접촉되면서, 돌기 몸체(410)가 후퇴 공간(111a) 측으로 용이하게 후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이너씰 부(400)는, 노출홀(114)을 통해 노출되도록 걸치는 돌기 몸체(410), 제 1끼움홈(111)에 끼워지는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420), 제 2끼움홈(112)에 끼워지는 제 2연장 몸체(430)와, 제 3끼움홈(113)에 끼워지는 보조 돌기(440)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의 고정력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를 수만회 삽발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이너씰 부(400)는 하우징 부(100)의 내측 둘레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너씰 부(400)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접착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씰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삽입에 따라, 이너씰 부의 돌기 몸체를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의 내부에 형성되는 후퇴 공간으로 후퇴시킴으로써, 플러그의 삽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너씰 부의 강제 압축 및 고정을 통해 방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충전용 커넥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부
200 : 충전 단자부
300 : 커버부
400 : 이너씰 부
410 : 돌기 몸체
411 : 탄성홈
420 : 제 1연장 몸체
430 : 제 2연장 몸체
440 : 보조 돌기

Claims (9)

  1. 중공 형상의 하우징 부;
    상기 하우징 부의 중공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충전 단자부; 및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에 서로 다른 방향의 고정력을 형성하여 끼움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의 외측 방향으로 후퇴가 가능한 이너씰 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씰 부는,
    상기 하우징 부의 외측 방향으로 후퇴 가능 하도록 탄성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부의 중공으로 돌출되는, 돌기 몸체와,
    상기 돌기 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와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연장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씰 부는 상기 제 1연장 몸체와 제 2연장 몸체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에 축방향 및 반경방향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방향의 고정력을 형성하여 끼움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 부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플러그가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돌기 몸체는 상기 플러그의 둘레에 접촉되면서 하우징 부의 외측 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홈은, 중앙부에 형성되는 평탄면, 상기 평탄면의 양측으로부터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 및 상기 한 쌍의 경사면과 각각 연결되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평행면을 포함하고, 비대칭 형상을 이루고,
    상기 한 쌍의 경사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경사면이 다른 경사면보다 경사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평행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의 개구 측에 배치되는 평행면이 다른 평행면보다 평행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장 몸체는,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하우징 부의 외측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보조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의 단면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장 몸체는,
    끝단을 따라 곡률이 형성되는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홈은,
    U 형상 또는 V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에는, 씰 설치홈이 형성되되,
    상기 씰 설치홈은,
    상기 하우징 부의 내측 둘레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1연장 몸체가 끼워지는 제 1끼움홈과,
    상기 제 2연장 몸체가 끼워지는 제 2끼움홈과,
    상기 보조 돌기가 끼워지는 제 3끼움홈과,
    상기 제 1끼움홈을 상기 하우징 부의 중공에 노출시키는 노출홀을 구비하되,
    상기 노출홀을 통해, 상기 돌기 몸체의 중앙부는, 상기 하우징 부의 중공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끼움홈에는,
    상기 돌기 몸체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 몸체가 상기 외력에 의해 후퇴되도록 설정된 후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KR1020160120817A 2016-09-21 2016-09-21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KR102571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817A KR102571688B1 (ko) 2016-09-21 2016-09-21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817A KR102571688B1 (ko) 2016-09-21 2016-09-21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252A KR20180032252A (ko) 2018-03-30
KR102571688B1 true KR102571688B1 (ko) 2023-08-30

Family

ID=6190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817A KR102571688B1 (ko) 2016-09-21 2016-09-21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460B1 (ko) * 2020-07-16 2023-01-30 성경정밀(주) 전기자동차용 커넥터 커플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11B1 (ko) * 2012-05-21 2013-10-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JP2015213029A (ja) * 2014-05-07 2015-11-26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558B1 (ko) * 2011-08-16 201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배터리 충전용 인터페이스장치
KR102188135B1 (ko) * 2014-04-14 2020-12-07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전력 차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11B1 (ko) * 2012-05-21 2013-10-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JP2015213029A (ja) * 2014-05-07 2015-11-26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252A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1566B2 (ja) 充電コネクタ、端子金具、及びセンサを端子金具に固定する方法
JP7092928B2 (ja) 電気接続装置
JP2020524882A5 (ko)
KR102298899B1 (ko) 전기 장치
CN109075495B (zh) 连接器
US20170110218A1 (en) Wire harness
KR20190011271A (ko) 신속 분리될 수 있는 전기 플러그-인 접속부, 고정 가능한 플러그-인 접속부, 및 전기 콘택트 요소와 도전체 사이에 콘택트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US9431750B2 (en) Connector
KR102571688B1 (ko) 이탈 방지용 이너씰을 갖는 충전용 커넥터
US2958842A (en) Cable connector
CN109792118B (zh) 连接器
KR102277839B1 (ko) 고전압 커넥터
KR20100010333A (ko) 방수시일
JP6146618B2 (ja) コネクタ
KR102571704B1 (ko) 충전용 커넥터
US10819061B2 (en) Power connector
CN106463878B (zh) 一种用于连接器的防水结构
CN106450123B (zh) 用于车载动力电池的连接结构
KR200463550Y1 (ko)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JP2005150112A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の接続領域を絶縁する方法
KR102361579B1 (ko) 커넥터
KR200486517Y1 (ko) 전선릴용 콘센트의 어스단자 접속구조
CN109787025A (zh) 一种连接器和电子设备
JP2007299578A5 (ko)
JP6102619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