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50Y1 -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 Google Patents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50Y1
KR200463550Y1 KR2020110001671U KR20110001671U KR200463550Y1 KR 200463550 Y1 KR200463550 Y1 KR 200463550Y1 KR 2020110001671 U KR2020110001671 U KR 2020110001671U KR 20110001671 U KR20110001671 U KR 20110001671U KR 200463550 Y1 KR200463550 Y1 KR 200463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ength
insulating cap
bellow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224U (ko
Inventor
강유복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10001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5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에 관한 것으로, 소켓 접속부에 직접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21)와 전선 피복을 탈피한 동선 둘레를 압착고정하면서 에워싸고 있는 압착부(22)를 갖춘 압착단자(20)와 전선(30)을 일체로 고정하는 압착단자의 절연 캡(10)은 중공의 관형상 길이부로 이루어지고, 길이부의 일측 단부에 상기 터미널부(21)의 유출입을 돕는 개구부(11)와; 길이부에 나사 형태의 주름이 잡힌 모양으로 형성된 벨로우즈부(12); 및 벨로우즈부(12) 내부에 나사 형태의 주름을 따라 배열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13);으로 구비되며, 절연 캡(10)의 전반적인 길이부는 벨로우즈부(12)의 수축 또는 확장으로 길이조절되며, 벨로우즈부의 수축시, 압착단자(20)의 터미널부(21)가 절연 캡(10)의 개구부(11)를 통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Insulation cap for connecting socket}
본 고안은 벨로우즈부를 갖춘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압착단자의 절연 캡을 도시한 것으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100)은 소켓 접속부와 직접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210;terminal)와 전선 피복을 탈피한 동선 둘레를 압착고정하면서 에워싸고 있는 압착부(220)를 갖춘 압착단자(200)를 전선(30)의 동선에 전기 접속되는 경계부분과 함께 전선 피복의 일부를 덮어씌운다.
종래기술에 따른 압착단자의 절연 캡(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단자(200)의 압착부(220)와 전선(30)의 일측 단부를 덮어 씌어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데, 이때 터미널부(210)가 통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게 된다.
접속시, 저압전주에서 인입선까지 대부분 활선 상태로 작업을 하고 있어 항시 감전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압착단자(200)의 터미널부(210)는 전압선 간의 혼촉 또는 외함과 통전되어 작업자의 감전 사태와 아크 손상으로 인한 전기 계기의 고장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일측 단부에는 터미널부의 유출입을 돕는 개구부와; 절연 캡의 길이조절가능토록 나사 형태의 주름이 잡힌 모양으로 형성된 벨로우즈부; 및 벨로우즈부 내부에 나사 형태의 주름을 따라 배열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중공의 관형상으로 된 절연 캡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절연 캡의 전반적인 길이부는 벨로우즈부의 수축 또는 확장으로 길이조절되며, 벨로우즈부의 수축시, 압착단자의 터미널부가 절연 캡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전압 인가를 가능하게 하는 대신에, 길이수축된 절연 캡의 개구부를 지나 돌출된 터미널부는 다른 부속품들과 혼촉되기도 전에 소켓 접속부로 삽입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절연 캡이 소켓 접속부에서 분리되면, 다시 말하자면 벨로우즈부 내에 스프링의 압착력이 제거되면서 절연 캡의 길이부가 원상태로 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터미널부는 절연 캡 내부로 수용되게 될 것이다. 물론, 터미널부가 절연 캡 내부로 수용되므로 외부 부속품과의 혼촉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은 비접속시 압착단자의 터미널부를 절연 캡 내부에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압착단자의 터미널부가 평상시 절연 캡으로 둘러싸여 있어 활선상태 하에서도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캡은 벨로우즈부를 구비하여 소켓 접속부에 접속시 터미널부가 절연 캡의 수축작용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돌출될 수 있게 조립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절연 캡은 스프링의 복원력을 수단으로 하여 절연 캡의 수축 및/또는 확장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절연 캡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소켓 접촉시 본 고안에 따른 절연 캡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압착단자의 절연 캡의 사시도이다.
이제, 본 고안에 따른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a 소켓 접속되기 전에 본 고안에 따른 절연 캡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소켓 접촉시 본 고안에 따른 절연 캡의 단면도이다.
압착단자(20)는 도 2에 도시되었듯이 터미널부(21)와 압착부(22)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절연 캡(10)은 전선(30) 피복을 탈피한 동선(31) 둘레를 압착고정하는 압착부(22)와 전선(30)을 일체로 고정하면서, 소켓 접속부(미도시)와 접속되는 터미널부(21)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고안은 가늘고 긴 중공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일측 단부는 터미널부(21)의 유출입을 돕는 개구부(11)를 형성하고, 관형상의 길이부에는 벨로우즈부(12;bellows)를 형성한다. 여기서, 개구부(11)는 터미널부(21)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터미널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외부에서의 접촉을 최대한 회피하기 위해서 터미널부보다 약간 크거나 같도록 한다. 덧붙여서, 가늘고 긴 중공의 관형상 길이부의 타측 단부는 전선과 동일한 형상으로 개구되어 전선의 삽입 그리고 일체 고정을 돕는데, 선택가능하기로 전선(30)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벨로우즈부(12)는 수축 및/또는 확장가능하게 나사 형태의 주름이 잡힌 모양의 관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벨로우즈부(12)는 개구부와 반대쪽 단부 근방에 전선 피복에 위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압착부 상에 및/또는 개구부와 근접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벨로우즈부(12)는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스프링(13)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13)은 벨로우즈부(12)의 내부에 나사 형태의 주름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벨로우즈부(12)는 절연 캡의 외부면 및 전선이 맞닿는 내부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스프링(13)이 그 내부 공간에 삽통된다.
스프링(13)은 벨로우즈부(12)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절연 캡(10)의 수축 및/또는 확장 이동을 돕는다. 물론, 스프링(13)은 절연 캡(10)에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 복원력을 수단으로 하여 원상태, 즉 절연 캡의 확장을 유지한다.
소켓 접촉되기 전인 도 1a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절연 캡(10)은 그 내부에 전선(30)의 일 단부와 압착단자(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연장된 길이부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압착단자(20)의 압착부(22) 뿐만 아니라 터미널부(21)도 절연 캡(10)으로 둘러싸이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절연 캡(10)이 전원 공급 라인, 예컨대 소켓 접속부(미도시)와 접속시 절연 캡(10)의 일측 단부, 즉 개구부(11)가 소켓 접속부와 접촉되면서 벨로우즈부(12)의 스프링(13)이 압착된다. 본 고안의 절연 캡(10)에 전반적인 길이부, 특히 벨로우즈부가 수축되고, 개구부(11)가 후퇴되면서 개구부(11)를 통해 압착단자(20)의 터미널부(21)가 외부로 노출된다(도 1b 참조). 이렇게 노출된 터미널부(21)는 소켓 접속부와 전기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절연 캡은 절연 캡(10)의 개구부(11)가 뒤로 밀쳐지면서 활선부위, 즉 압착단자의 터미널부(21)가 절연 캡(10) 외부로 돌출되어 전압인가 상태로 소켓 접속부와 접속한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터미널부(21)가 절연 캡(10) 밖으로 나옴과 동시에 소켓 접속부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실제로 활선부위가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은 아래의 첨부도면과 이를 참조로 하여 기술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10, 100 ----- 절연 캡,
11 ----- 개구부,
12 ----- 벨로우즈부,
13 ----- 스프링,
20, 200 ----- 압착단자,
21, 210 ----- 터미널부,
22, 220 ----- 압착부.
30 ----- 전선,
31 ----- 동선.

Claims (6)

  1. 소켓 접속부에 직접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terminal)와 전선 피복을 탈피한 동선 둘레를 압착고정하면서 에워싸고 있는 압착부를 갖춘 압착단자(20)와 전선(30)을 일체로 고정하는 압착단자의 절연 캡에 있어서,
    상기 절연 캡(10)은 중공의 관형상 길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부의 일측 단부에 상기 터미널부(21)의 유출입을 돕는 개구부(11)와;
    상기 길이부에 나사 형태의 주름이 잡힌 모양으로 형성된 벨로우즈부(12;bellows); 및
    상기 벨로우즈부(12) 내부에 상기 나사 형태의 주름을 따라 배열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13);으로 구비되며,
    상기 절연 캡(10)의 전반적인 길이부는 상기 벨로우즈부(12)의 수축 또는 확장으로 길이조절되며, 상기 벨로우즈부의 수축시, 상기 압착단자(20)의 터미널부(21)가 상기 절연 캡(10)의 개구부(11)를 통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부(12)는 상기 스프링(13)의 복원력으로 길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캡(10)의 길이부는 상기 압착단자(20)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부(12)는 상기 절연 캡(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압착부(22)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부(12)는 상기 절연 캡(10) 내부에 수용된 전선(30)의 피복 일부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부(12)는 상기 절연 캡(10)의 개구부(11)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캡.

KR2020110001671U 2011-02-28 2011-02-28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KR200463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71U KR200463550Y1 (ko) 2011-02-28 2011-02-28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71U KR200463550Y1 (ko) 2011-02-28 2011-02-28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24U KR20120006224U (ko) 2012-09-05
KR200463550Y1 true KR200463550Y1 (ko) 2012-11-09

Family

ID=4756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671U KR200463550Y1 (ko) 2011-02-28 2011-02-28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8238A (zh) * 2020-04-21 2020-07-3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应急绝缘装置
KR102378111B1 (ko) * 2020-05-13 2022-03-25 한국전력공사 전선 절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52B1 (ko) 1997-02-04 2005-08-29 뒤르딸 에스아 스프링을구비한접촉연결구
KR100959825B1 (ko) * 2008-01-08 2010-05-28 한국전력공사 충전부 은폐형 계기접속 단자카바
JP2011023267A (ja) * 2009-07-17 2011-02-03 Osaki Electric Co Ltd 導電性部材保護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52B1 (ko) 1997-02-04 2005-08-29 뒤르딸 에스아 스프링을구비한접촉연결구
KR100959825B1 (ko) * 2008-01-08 2010-05-28 한국전력공사 충전부 은폐형 계기접속 단자카바
JP2011023267A (ja) * 2009-07-17 2011-02-03 Osaki Electric Co Ltd 導電性部材保護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24U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870B1 (ko) 접촉 요소
US8317548B2 (en) Electrical connector
TW201014083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US6604954B2 (en) Power plug with safety feature
KR200463550Y1 (ko)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US20130341087A1 (en) Jointing assemblies for electrical cables
US3453377A (en) Grounding connector
JP2008123913A (ja) 内導体端子及び同軸コネクタ
KR102506861B1 (ko) 고전압 케이블 조인트용 차폐커넥터
JP5955897B2 (ja) ジャンパースリーブカバー用クリップ
KR101810127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KR101810128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JP6537273B2 (ja) ケーブル被覆具、ケーブル端末部の被覆方法、及び、ケーブル接続部の被覆方法
JP6616671B2 (ja)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及び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9590410B2 (en) Screen connectors for electrical cables and jointing assemblies comprising the screen connector
RU2653167C2 (ru) Соединитель термопары, приспособленный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газового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го клапана и термопары
JP5782561B2 (ja) 接点形成部材を有する挿入型コネクタ
JP6804036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KR102654073B1 (ko) 플러그-소켓 조립체
KR20200034128A (ko) 고전압 커넥터용 케이블 결합장치
JP2019193416A (ja) ケーブル接続部
JP2002093517A (ja) 高圧ケーブルの中間コネクタ
JP6469494B2 (ja) 接地用クランプ
JP2019221066A (ja) ケーブル接続部
JP4845583B2 (ja) 保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