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111B1 - 전선 절연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절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111B1
KR102378111B1 KR1020200056975A KR20200056975A KR102378111B1 KR 102378111 B1 KR102378111 B1 KR 102378111B1 KR 1020200056975 A KR1020200056975 A KR 1020200056975A KR 20200056975 A KR20200056975 A KR 20200056975A KR 102378111 B1 KR102378111 B1 KR 10237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body
insulating
insulator
electric wire
insul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920A (ko
Inventor
김성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11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085Cable junctions for coaxial cables or hollow conductors

Landscapes

  • Insulating Bodie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절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부에 접속부가 구비되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절연부와, 접속부를 감싸도록 제1절연부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접속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절연부와, 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에 연결되고, 제2절연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제2절연부를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절연장치{INSULATING APPARATUS FOR POWER CABLE}
본 발명은 전선 절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선 절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전기계량기, 차단기, 전등기구 등의 전기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기 장치에 구비되는 단자에 절연피복을 제거한 도전체를 직접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해당 전선이 작업상 활선상태인 경우 감전, 합선등의 위험에 매우 취약하다. 이에 따라 활선상태의 전선을 전기 장치와 분리시킨 뒤 각각의 전선에 대해 테이핑 작업 등 절연 작업이 시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절연 작업의 경우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절연 테이핑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동일, 유사계량기교체 시 연결된 전선의 위치 및 순서, 형태가 바뀌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절연테이핑 작업 시 그 요소들의 변화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재배치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위험과 긴 작업시간, 고도의 주의를 요하게 된다. 또한, 각 전선이 매우 근접하여 상간 혼촉 우려가 높고, 고소의 사다리 작업에 따른 추락등의 2차 사고우려가 큰 문제점들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078188호(2020.02.11 등록, 발명의 명칭: 간접활선용 종단 절연캡)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선이 전기 장치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자동으로 전선의 단부를 절연할 수 있는 전선 절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는: 단부에 접속부가 구비되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절연부; 상기 접속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절연부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절연부; 및 상기 제1절연부와 상기 제2절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절연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제2절연부를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제1수용부가 구비되는 제1절연부몸체; 상기 제1절연부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복원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절연부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절연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좁아지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절연부는, 상기 제1절연부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가 구비되는 제2절연부몸체; 상기 제2절연부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복원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절연부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이탈방지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는 상기 제1절연부몸체로부터 상기 제1수용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전선을 상기 제1수용부에 고정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내주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는 전선의 둘레를 감싸는 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에 의해 활선상태의 전선을 절연시킬 수 있어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는 복원부에 의해 전선을 전기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선의 단부가 절연됨에 따라 별도의 절연 작업을 요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는 제1이탈방지부와 제2이탈방지부의 작동에 의해 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는 가압부에 의해 제1절연부몸체가 전선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전선에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절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절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10)는 활선 상태의 전선(1)이 계량기, 차단기 등의 전기장치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전선(1)을 자동으로 절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선 절연장치(10)는 전선(1)의 단부에 구비되어 전기장치의 내부로 삽입되는 접속부(2)가 전기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접속부(2)를 자동으로 감싸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시킨다.
접속부(2)는 예를 들어 전선(1)의 피복이 제거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구리 재질의 도전체 등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10)는 제1절연부(100), 제2절연부(200), 복원부(300)를 포함한다.
제1절연부(100)는 단부에 접속부(2)가 구비되는 전선(1)이 삽입되고, 삽입된 전선(1)이 내부에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절연부(100)는 전선(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절연부(100)는 전선(1)의 외주면에 가압 고정됨으로써 전선(1)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등 상대운동 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절연부(100)는 활선상태의 전선(1)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에폭시고무,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질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제2절연부(200)는 제2절연부(200)는 제1절연부(100)에 결합되어 전선(1)의 단부, 즉 접속부(2)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절연부(200)는 접속부(2)의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속부(2)가 외부의 다른 물체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절연부(200)는 제1절연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절연부(200)는 외력에 의해 제1절연부(100)를 따라 일측으로 슬라이드 되며 접속부(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절연부(200)는 활선상태의 접속부(2)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에폭시고무,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질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복원부(300)는 제1절연부(100)와 제2절연부(200)에 연결되고, 제2절연부(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제2절연부(200)를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부(100)와 제2절연부(2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이 각각 제1절연부(100)와 제2절연부(200)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10)의 각 구성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절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절연부(100)는 제1절연부몸체(110), 제1지지부(120), 제1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한다.
제1절연부몸체(110)는 양측이 개구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1절연부몸체(11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전선(1)이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1수용부(111)가 구비된다.
제1지지부(120)는 제1절연부몸체(110)에 연결되고, 복원부(3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부몸체(110)의 하단에 배치되고, 제1절연부몸체(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복원부(300)의 일측을 지지하는 걸림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지지부(120)에는 고리 형상의 걸림부재(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되어 복원부(300)의 일측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복원부(300)와 면 접촉되어 복원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이탈방지부(130)는 제1절연부몸체(110)로부터 연장되어 제2절연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탈방지부(130)는 제1절연부몸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절연부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제1이탈방지부(130)는 후술할 제2이탈방지부(230)의 슬라이드 경로를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제2절연부(200)가 복원부(300)에 의해 타측으로 소정 거리 이상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이탈방지부(130)는 제1절연부몸체(110)의 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좁아지게 구비되는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이탈방지부(130)는 기울어지게 형성된 측면의 경사면에 의해 제1절연부(100)를 제2절연부(200)의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안내됨에 따라 제1절연부(100)와 제2절연부(200)의 조립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이탈방지부(130)는 고분자수지 등 탄성의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됨에 따라 제1절연부(100)와 제2절연부(200)의 조립 시 끼움 결합에 따른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절연부(100)는 가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40)는 제1절연부몸체(110)로부터 제1수용부(111)를 향해 돌출되어 제1수용부(111)에 삽입된 전선을 상기 제1수용부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140)는 제1절연부몸체(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부(140)는 제1절연부몸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140)는 복수개의 지점에서 전선(1)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게 전선을 제1절연부몸체(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부(140)는 제1절연부몸체(110)의 내주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돌출될 수 있다. 즉, 가압부(140)는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의 외주면과 접하는 면이 제1절연부몸체(110)의 내주면과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140)는 전선(1)이 삽입되는 제1절연부몸체(110)의 입구 측에서는 전선(1)의 삽입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전선(1)이 제1절연부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가압력이 점차적으로 강하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절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절연부(200)는 제2절연부몸체(210), 제2지지부(220), 제2이탈방지부(230)를 포함한다.
제2절연부몸체(210)는 제1절연부몸체(110)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절연부몸체(110)로부터 접속부(2)를 향해 연장되어 접속부(2)의 둘레를 감싼다. 이에 따라 제2절연부몸체(210)의 내부에는 제2절연부몸체(21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접속부(2)가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제2수용부(211)가 형성된다.
제2지지부(220) 제2절연부몸체(210)에 연결되고, 복원부(300)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220)는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연부몸체(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대략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복원부(300)의 타측을 지지한다. 제2지지부(220)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지지부(220)와 같이 제2절연부몸체(210)의 내주면으로부터 걸림턱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제2이탈방지부(230)는 제2절연부몸체(210)로부터 연장되고, 제1이탈방지부(130)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2절연부몸체(2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탈방지부(230)는 제2절연부몸체(210)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수용부(211)를 향해 돌출되고, 제1이탈방지부(130)의 하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돌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이탈방지부(230)는 제2절연부몸체(210)가 복원부(300)에 의해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제1이탈방지부(130)와 접촉되어 제2절연부몸체(2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이탈방지부(230)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절연부몸체(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링 형상으로 돌출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1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절연부몸체(1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20)에 복원부(300)의 일측이 접하도록 복원부(300)를 제1절연부몸체(110)의 외주면에 삽입한다.
이후 제1절연부몸체(110)와 복원부(300)를 제2절연부몸체(210)의 내부로 삽입시켜 제1절연부몸체(110)와 제2절연부몸체(210)를 끼움결합시킨다. 이 경우, 제1절연부몸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이탈방지부(130)는 제2절연부몸체(210)의 내주면과 접해 탄성 변형되고, 제2이탈방지부(230)를 통과함에 따라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제1절연부몸체(110)가 제2절연부몸체(210)에 완전히 삽입됨에 따라 복원부(300)의 타측은 제2지지부(220)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복원부(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절연부몸체(210)는 제1절연부몸체(110)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러한 힘은 제1이탈방지부(130)와 제2이탈방지부(230)가 접하게 됨에 따라 상쇄된다.
이후 전선(1)을 제1절연부몸체(110)의 제1수용부(111)로 삽입시킨다. 전선(1)의 단부에 구비되는 접속부(2)는 제1수용부(111)를 따라 제1수용부(111)와 연통된 제2절연부몸체(210)의 제2수용부(211)로 삽입된다. 이 경우, 전선(1)의 외주면은 제1절연부몸체(1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압부(140)에 의해 가압되어 제1절연부몸체(11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수동으로 제2절연부몸체(210)를 제1절연부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도 5 기준)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접속부(2)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와 달리, 작업자는 접속부(2)가 삽입되는 전기장치에 제2절연부몸체(210)의 단부를 접촉시킨 상태로 제1절연부몸체(110)를 밀어줌으로써 제2절연부몸체(210)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절연부몸체(210)가 제1절연부몸체(110)의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복원부(300)는 길이방향으로 수축되어 탄성에너지가 축적된다. 제2절연부몸체(210)가 전기 장치와 접해 지지됨에 따라 복원부(300)는 수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노출된 접속부(2)는 전기 장치의 단자 내부로 삽입되어 전선(1)의 전류를 전기 장치로 공급한다.
이후 전선(1)의 손상 등에 의해 전선(1)을 전기 장치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복원부(300)는 축적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제2절연부몸체(210)는 제1절연부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노출된 접속부(2)를 제2수용부(211)의 내부로 감싸 접속부(2)를 절연시킨다.
한편, 제2절연부몸체(210)가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제2이탈방지부(230)의 상측면이 제1이탈방지부(130)의 하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절연부몸체(210)의 슬라이드 이동이 중지되고 제2절연부몸체(210)가 제1절연부몸체(11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는 전선의 둘레를 감싸는 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에 의해 활선상태의 전선을 절연시킬 수 있어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는 복원부에 의해 전선을 전기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선의 단부가 절연됨에 따라 별도의 절연 작업을 요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는 제1이탈방지부와 제2이탈방지부의 작동에 의해 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연장치는 가압부에 의해 제1절연부몸체가 전선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전선에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전선 2 : 접속부
10 : 전선 절연장치 100 : 제1절연부
110 : 제1절연부몸체 111 : 제1수용부
120 : 제1지지부 130 : 제1이탈방지부
140 : 가압부 200 : 제2절연부
210 : 제2절연부몸체 211 : 제2수용부
220 : 제2지지부 230 : 제2이탈방지부
300 : 복원부

Claims (6)

  1. 단부에 접속부가 구비되는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절연부;
    상기 접속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절연부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접속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절연부; 및
    상기 제1절연부와 상기 제2절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절연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제2절연부를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제1수용부가 구비되는 제1절연부몸체;
    상기 제1절연부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복원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절연부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절연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절연부는,
    상기 제1절연부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가 구비되는 제2절연부몸체;
    상기 제2절연부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복원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절연부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이탈방지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단부로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좁아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1이탈방지부는 탄성의 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제1절연부와 상기 제2절연부의 조립 시 상기 제2절연부몸체의 내주면과 접해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2이탈방지부를 통과함에 따라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복원부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고리 형상의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절연부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원부의 타측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1절연부몸체로부터 상기 제1수용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전선을 상기 제1수용부에 고정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전선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절연부와 상기 전선의 상대 운동을 방지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막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전선의 외주면과 접하는 면이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내주면과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절연부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절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56975A 2020-05-13 2020-05-13 전선 절연장치 KR10237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75A KR102378111B1 (ko) 2020-05-13 2020-05-13 전선 절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75A KR102378111B1 (ko) 2020-05-13 2020-05-13 전선 절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920A KR20210138920A (ko) 2021-11-22
KR102378111B1 true KR102378111B1 (ko) 2022-03-25

Family

ID=7871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975A KR102378111B1 (ko) 2020-05-13 2020-05-13 전선 절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103B1 (ko) * 2022-01-21 2022-06-24 주식회사 승평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52B1 (ko) * 1997-02-04 2005-08-29 뒤르딸 에스아 스프링을구비한접촉연결구
KR100959825B1 (ko) 2008-01-08 2010-05-28 한국전력공사 충전부 은폐형 계기접속 단자카바
JP2011023267A (ja) * 2009-07-17 2011-02-03 Osaki Electric Co Ltd 導電性部材保護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008A (ko) *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플러그의 감전방지구조
KR200463550Y1 (ko) * 2011-02-28 2012-11-09 한국전력공사 혼촉 방지가능한 소켓 접속용 주름 절연 캡
JP3174391U (ja) * 2011-10-03 2012-03-22 藤田プラントサービス株式会社 プッシュ式接触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352B1 (ko) * 1997-02-04 2005-08-29 뒤르딸 에스아 스프링을구비한접촉연결구
KR100959825B1 (ko) 2008-01-08 2010-05-28 한국전력공사 충전부 은폐형 계기접속 단자카바
JP2011023267A (ja) * 2009-07-17 2011-02-03 Osaki Electric Co Ltd 導電性部材保護カバ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74391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920A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2812A (en) Construction for processing a shield layer of a shielded cable
US6083034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coaxial cable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ame
US20040137771A1 (en) Remakeable connector arrangement
US999786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309872B2 (en) Insulating switching rod
US9793656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200012958A (ko) 감소된 직경의 다중 도전체 케이블 및 이를 위한 접촉 장치
JP4667472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KR20160092941A (ko) 케이블을 갖는 단자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
JP2019503044A (ja) シールドプラグ接続アセンブリ
KR102378111B1 (ko) 전선 절연장치
US3517113A (en) Cable insertion unit for use in electric cable joint and terminal
CA1296402C (en) Sliding current interchange
CN117374619B (zh) 一种防水电缆
KR101975674B1 (ko) 도전성 스프링을 적용한 탄소섬유 차폐 케이블 접속재
US7767917B2 (en) Switch disconnector and switchgear assembly with a switch disconnector
JP5054208B2 (ja) 電力ケーブルの接続部
EP3404679B1 (en) Tulip-type electrical contact comprising a pressing element pressing on the conducting fingers at rest
KR102523707B1 (ko) 차단기의 극 부품 조립체
WO2014043060A1 (en) Telescoping current path structure for dual tank dead tank circuit breaker with parallel resistor assembly
CN104682090B (zh) 具有线保持管的电连接器
JP7164568B2 (ja) コネクタ
CN112038840B (zh) 屏蔽件接地电连接器
US6685513B2 (en) Elastic electrical contact with axial pressure, comprising adjustable connection terminal
JP6211111B2 (ja) ケーブル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