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643A -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95643A KR20190095643A KR1020180014861A KR20180014861A KR20190095643A KR 20190095643 A KR20190095643 A KR 20190095643A KR 1020180014861 A KR1020180014861 A KR 1020180014861A KR 20180014861 A KR20180014861 A KR 20180014861A KR 20190095643 A KR20190095643 A KR 201900956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vehicle
- parking
- parking area
- charging
- su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02T10/7044—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로서, 전기자동차의 충전 소켓에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 전기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영역으로서, 상기 주차영역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주차영역에 전기자동차를 주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하여 주차영역에 주차된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인, 주차영역; 상기 주차영역 내에 설치되는 발광 주차선으로서, 발광 여부, 발광 밝기 및 발광색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발광 주차선; 상기 주차영역 내에 설치되는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로서, 상기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는 상기 충전 커넥터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상기 주차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충전 커넥터를 인식하는 것인,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 및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광 주차선을 발광시켜 상기 주차영역을 복수의 서브주차영역으로 구획하여 복수의 전기자동차가 각각의 서브주차영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주차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가 위치하는 서브주차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충전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식별된 서브주차영역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영역에 발광 주차선을 배치함으로써 외부에서 충전 중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는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정부에서도 전기자동차에 대한 지원금을 제공하며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현 시점에서 정부의 주도 하에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설비를 늘리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이 발전하였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시키기까지는 몇 시간 이상이 소요되고 있어, 전기자동차를 이용하는 운전자가 불편을 느끼고 있다.
또한, 상당 수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이 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전기자동차를 이용하지 않는 운전자가 주차 공간의 부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주차 공간에 전기자동차 이외의 자동차가 주차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막상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어려운 경우도 있어 전기자동차의 운전자 역시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장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한다거나 충전 인프라를 급격히 구축하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주차영역에 발광 주차선을 설치하고 발광 주차선의 발광 정도를 조절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 중인 운전자가 전기자동차의 계기판이나,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의 충전 게이지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원근거리에서 발광 주차선의 발광 상태를 확인하여 충전 중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주차영역에 발광 주차선을 설치하고 발광 주차선의 발광 정도를 조절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서 수용 가능한 대수의 전기자동차가 충전이 진행 중인 경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대기하려는 운전자가 자신의 전기자동차에서 하차를 하지 않더라도 충전 중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대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주차영역에 발광 주차선을 설치하고 발광 주차선이 발광하는 영역을 조절하여 주차영역을 가변하여 사용함으로써 일반 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로서, 전기자동차의 충전 소켓에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 전기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영역으로서, 상기 주차영역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주차영역에 전기자동차를 주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하여 주차영역에 주차된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인, 주차영역; 상기 주차영역 내에 설치되는 발광 주차선으로서, 발광 여부, 발광 밝기 및 발광색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발광 주차선; 상기 주차영역 내에 설치되는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로서, 상기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는 상기 충전 커넥터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상기 주차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충전 커넥터를 인식하는 것인,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 및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광 주차선을 발광시켜 상기 주차영역을 복수의 서브주차영역으로 구획하여 복수의 전기자동차가 각각의 서브주차영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주차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가 위치하는 서브주차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충전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식별된 서브주차영역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주차영역에 발광 주차선을 설치하고, 일몰 또는 악천후 등의 이유로 주위가 어두워진 것이 조도 센서 또는 타이머에 의해 감지되거나 인식되면 발광 주차선이 자동으로 발광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주차영역의 주차선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주차영역에 발광 주차선을 설치하고,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를 통해 전기자동차가 충전되는 것이 인식되면 프로세서는 발광 주차선의 발광 정도를 조절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 중인 운전자가 전기자동차의 계기판이나,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의 충전 게이지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원근거리에서 발광 주차선의 발광 상태를 확인하여 충전 중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주차영역에 발광 주차선을 설치하고 발광 주차선의 발광 정도를 조절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서 수용 가능한 대수의 전기자동차가 충전이 진행 중인 경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대기하려는 운전자가 자신의 전기자동차에서 하차를 하지 않더라도 충전 중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여 대기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편하게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주차영역에 발광 주차선을 설치하고 발광 주차선이 발광하는 영역을 조절하여 주차영역을 가변하여 사용함으로써 일반 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 공간을 마련하여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2)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2)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3)의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3)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4)의 블록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4)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2)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2)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3)의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3)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4)의 블록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4)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의 평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은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 주차영역(20), 발광 주차선(30),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 조도 센서(50) 및 프로세서(60)를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을 이용하여 운전자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으며, 예컨대 운전자는 주차영역(20)에 전기자동차를 주차한 상태에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의 충전 커넥터(11)를 전기자동차에 연결시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은 발광 주차선(3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 주차선(30)의 발광 정도를 조절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는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는 케이블(12) 및 충전 커넥터(11)를 포함하고, 충전 커넥터(11)는 케이블(12)에 연결될 수 있다. 충전 커넥터(11)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소켓에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은 하나 이상의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가 복수의 충전 커넥터(11)를 포함하고 있어서, 하나의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기자동차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은 하나의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하나의 전기자동차만을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이 복수의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포함할 때 복수의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운전자가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주차영역(20)은 전기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다. 주차영역(20)은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에 인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주차영역(20)에 전기자동차를 주차시킨 상태에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주차영역(20)에 주차된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영역(20)에 인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가 위치할 수 있어, 주차영역(20)에 복수의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더라도 각각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발광 주차선(30)은 주차영역(20) 내에 설치된다. 주차영역(20) 내에 복수의 발광 주차선(30)이 매립되어 필요에 따라 주차영역(20) 중 원하는 영역을 발광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3)에서 발광 주차선(30)은 주차영역(20) 내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만 매립될 수도 있다. 즉, 주차영역(20) 내에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발광 주차선(30)이 부착되어 전기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여 서브주차영역(21)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 주차선(30)이 발광하지 않더라도 고유의 색(예컨대, 흰색 등)을 가질 수 있는데, 발광 주차선(30)의 고유의 색이 주차영역(20)의 색과 구별되는 경우, 발광 주차선(30)은 발광을 하지 않더라도 주차영역(20)을 구획하여 서브주차영역(21)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낮 시간 동안에 발광 주차선(30)이 발광하지 않더라도 운전자가 발광 주차선(30)을 확인하여 전기자동차를 주차시켜야 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발광 주차선(30)은 프로세서(60)의 제어에 따라 발광 여부, 발광 밝기 및 발광색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60)는 발광 주차선(30)의 디밍(dimming) 여부 및 깜빡거리는 속도 등도 조절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0)는 일몰 또는 악천후 등의 이유로 주위가 어두워진 것이 조도 센서(50)에 의해 감지되면 발광 주차선(30)이 발광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도 센서(50) 대신 또는 조도 센서(50)와 함께 타이머(미도시)가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일몰 시간 또는 일출 시간 등의 발광 주차선(30)의 작동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60)는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해당 작동 시간이 감지되면 발광 주차선(30)을 발광시키거나 발광 주차선(30)의 발광을 종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는 조도 센서(50)를 통해 조도가 일정 수치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발광 주차선(30)을 발광시킬 수 있으며, 조도 센서(50)를 통해 조도가 일정 수치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발광 주차선(30)의 발광을 중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0)가 발광 주차선(30)을 발광시키는 경우, 발광 주차선(30)은 주차영역(20)을 복수의 서브주차영역(21)으로 구획하여 복수의 전기자동차가 각각의 서브주차영역(21)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운전자는 주위가 어두운 상태에서 발광하는 발광 주차선(30)을 통해 서브주차영역(21)을 확인하고 손쉽게 주차영역(20)에 전기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발광 주차선(30)을 제어하여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을 이용하는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발광 주차선(30)은 능동형 발광 주차선일 수 있으며, 예컨대 EL(electroluminescent) 테이프 또는 EL 와이어(wire)가 발광 주차선(30)으로 이용될 수 있지만, 발광이 가능하다면 발광 주차선(30)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면 다양한 재료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는 주차영역(20) 내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는 충전 커넥터(11)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주차영역(2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충전 커넥터(11)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60)는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가 주차영역(20) 내의 어디에 설치되었는지 위치를 알고 있기 때문에, 해당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가 어느 서브주차영역(21) 내에 설치되었는지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에 의해 해당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가 설치된 주차영역(20) 내 특히 서브주차영역(21) 내에 충전 커넥터(11)가 위치하는지 여부가 인식된다면, 프로세서(60)는 해당 충전 커넥터(11)가 어느 서브주차영역(21)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충전 커넥터(11)가 주차영역(20) 내에 위치하면 프로세서(60)는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를 이용하여 충전 커넥터(11)가 위치하는 서브주차영역(21)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는 예컨대 카메라 센서일 수 있으며, 주차영역(20) 내에 전기자동차의 위 또는 아래에 설치되어 충전 커넥터(11)가 주차영역(20) 내 특히 서브주차영역(21) 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충전 커넥터(11)를 인식할 수 있다면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는 주차영역(20) 내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주차영역(20)의 인근에 위치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만큼의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가 주차영역(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를 이용하여 복수의 충전 커넥터(11)가 주차영역(20)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조도 센서(50)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 주위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광 주차선(30)은 조도 센서(5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에는 조도 센서(50)가 충전 소켓 장치(1)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조도 센서(5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 내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60)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 발광 주차선(30),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 및 조도 센서(50)를 제어할 수 있다.
우선, 프로세서(60)는 주차영역(20)을 복수의 서브주차영역(21)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0)는 발광 주차선(30)을 발광시켜 주차영역(20)을 복수의 서브주차영역(21)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전기자동차가 각각의 서브주차영역(21)에 주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주차영역(20) 내의 복수의 서브주차영역(21)이 서로 명확히 구분시키기 위해, 프로세서(60)는 인접한 서브주차영역(21)이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각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싼 발광 주차선(30)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는 급속충전만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 완속충전만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 및 급속충전과 완속충전이 모두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은, 급속충전만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에 인접하여 급속충전만 가능한 서브주차영역(21)의 발광색과, 완속충전만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에 인접하여 완속충전만 가능한 서브주차영역(21)의 발광색과, 급속충전과 완속충전이 모두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에 인접하여 급속충전과 완속충전이 모두 가능한 서브주차영역(21)의 발광색이 달라지도록 각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싼 주차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에 가까이 접근하여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에 적힌 충전 장치의 종류에 대한 문구를 읽지 않더라도, 전기자동차에서 내리지 않은 채로 멀리서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싼 발광 주차선(30)의 색을 확인함으로써 급속충전을 할 수 있는 곳과 완속충전을 할 수 있는 곳을 구분하여 전기자동차를 주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을 이용하면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을 이용하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기 위해 운전자가 사전 예약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60)는 사전 예약이 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는 서브주차영역(21)을 다른 서브주차영역(21)과 구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해당 서브주차영역(21)을 제외한 다른 서브주차영역(21)에 주차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0)는 사전 예약이 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는 서브주차영역(21) 전체를 발광시킴으로써 사전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는 서브주차영역(21)과 구분시킬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0)는 사전 예약이 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는 서브주차영역(21)을 다른 서브주차영역(21)과 구분될 수 있도록 발광 주차선(30)의 색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운전자는 전기자동차에서 내리지 않은 채로 멀리서 서브주차영역(21)의 발광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사전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는 서브주차영역(21)을 선택하여 전기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60)는 발광 주차선(30)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서브주차영역(20) 내에 전기자동차를 주차시켜 충전을 진행하는 경우 충전 시간은 짧게는 수십 분에서 길게는 수시간까지 걸린다.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전기자동차에서 하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을 이용 중인 운전자가 전기자동차의 계기판이나,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10) 장치의 충전 게이지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원근거리에서 발광 주차선(30)의 발광 상태를 확인하여 충전 중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밖에,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서 수용 가능한 대수의 전기자동차가 충전이 진행 중인 경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을 이용하기 위해 대기하려는 운전자는 충전이 가장 빨리 끝날 확률이 높은 서브주차영역(21) 뒤에서 대기를 하게 된다. 이 때 프로세서(60)가 발광 주차선(30)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면 운전자는 전기자동차에서 내려서 각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의 디스플레이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발광 주차선(30)을 통해 각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예컨대 충전 진행 정도)를 할 수 있으므로 전기자동차에서 내릴 필요가 없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60)는 충전 커넥터(11)가 주차영역(20) 내에 위치하면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를 이용하여 충전 커넥터(11)가 위치하는 서브주차영역(21)을 식별할 수 있다. 충전 커넥터(11)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충전이 시작되는 경우, 프로세서(60)는 식별된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60)는 식별된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 중 현재 전기자동차가 충전된 비율에 해당하는 길이의 발광 주차선(30)의 발광 정도 또는 발광색을, 식별된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다른 발광 주차선(30)의 발광 정도 또는 발광색과 다르게 함으로써, 식별된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면, 현재 전기자동차가 50% 정도 충전이 되었다고 가정한다면, 충전 중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하는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의 전체 길이 중 현재 전기자동차가 충전된 비율인 50%에 해당하는 길이의 발광 주차선(30)을 프로세서(60)가 다른 발광 주차선(30)의 발광 정도 또는 발광색과 다르게 제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자신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를 원하는 운전자는,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의 발광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서브주차영역(21)에 주차된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예컨대 충전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충전이 가장 빨리 끝날 확률이 높은 서브주차영역(21)을 파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0)는 완전히 또는 운전자가 원하는 정도로 충전될 때까지 남은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하인 전기자동차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60)는 남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전기자동차가 주차된 서브주차영역(21)에 대해서는 해당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을 디밍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자신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를 원하는 운전자는,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의 디밍 상태를 확인하여 해당 서브주차영역(21)에 주차된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예컨대 충전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충전이 가장 빨리 끝날 확률이 높은 서브주차영역(21)을 파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0)는 발광 주차선(30)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때 해당 전기자동차가 급속충전 중인지 아니면 완속충전 중인지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60)는 충전 커넥터(11)를 통해 급속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완속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식별된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의 발광색을 달리하거나 디밍 여부를 달리할 수 있으며, 발광 밝기를 달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는 급속충전 중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하는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과, 완속충전 중인 전기자동차가 위치하는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의 발광 밝기, 발광색 또는 디밍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함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자신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를 원하는 운전자가 충전이 가장 빨리 끝날 확률이 높은 서브주차영역(21)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2)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2)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2)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2)은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2)에서 발광 주차선(30)은 주차영역(20) 내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만 매립될 수도 있다. 주차영역(20)의 색이 발광 주차선(30)이 발광하지 않을 때 색과 구별되도록 선택된 경우, 발광 주차선(30)은 발광을 하지 않더라도 주차영역(20)을 구획하여 서브주차영역(21)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2)에서 각 충전 장치의 충전 커넥터(11)마다 충전이 가능한 서브주차영역(21)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프로세서(60)는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40)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어느 충전 커넥터(11)를 통해 충전이 진행되는지를 확인한다면 어느 서브주차영역(21)에 주차된 전기자동차가 충전이 되고 있는지를 확인해서 해당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60)는 이러한 상태에서 발광 주차선(30)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발광 주차선(30)을 이용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3)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3)의 평면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3)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3)에서 주차영역(20)에는 고정적인 주차선이 그려져 있는 것이 아니며, 프로세서(60)의 제어에 따라 발광 주차선(30)이 발광됨으로써 주차선이 생성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60)가 발광 주차선(30)을 발광시키는 경우, 발광 주차선(30)은 주차영역(20)을 복수의 서브주차영역(21)으로 구획하여 복수의 전기자동차가 각각의 서브주차영역(21)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발광 주차선(30)이 발광하지 않는 경우 발광 주차선(30)은 투명색일 수 있으며, 발광 주차선(30)은 발광하지 않는 경우 고유의 색(예컨대, 흰색 등)을 가질 수도 있다.
발광 주차선(30)이 투명색인 경우, 발광 주차선(30)은 주차영역(20) 내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만 매립 또는 부착될 수도 있다. 즉, 주차영역(20) 내에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발광 주차선(30)이 부착되어 발광 시 전기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여 서브주차영역(21)을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투명색 발광 주차선(30)이 주차영역(20)의 전면에 매립 또는 부착될 수도 있다.
다만, 발광 주차선(30)이 발광하지 않는 경우 고유의 색을 가진다면, 발광 주차선(30)은 주차영역(20)의 전면에 매립 또는 부착된다. 이에 따라 발광 주차선(30)이 발광하지 않는 경우 주차영역(20)은 복수의 서브주차영역(21)으로 구획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60)는 발광 주차선(30)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1을 참조하면 주차영역(20) 내의 복수의 서브주차영역(21)이 서로 명확히 구분시키기 위해, 프로세서(60)는 인접한 서브주차영역(21)이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각 서브주차영역(21)을 둘러싼 발광 주차선(30)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0)는 사전 예약이 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는 서브주차영역(21) 전체를 발광시킴으로써 사전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는 서브주차영역(21)과 구분시킬 수 있으며, 프로세서(60)는 사전 예약이 되어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는 서브주차영역(21)을 다른 서브주차영역(21)과 구분될 수 있도록 발광 주차선(30)의 색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설명 및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리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4)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4)의 블록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4)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4)은 전기자동차 인식 센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인식 센서(70)는 주차영역(20) 내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인식 센서(70)는 예컨대 카메라 센서일 수 있으며, 주차영역(20) 내에 전기자동차의 위 또는 아래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서브주차영역(21)에 위치한 전기자동차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면 전기자동차 인식 센서(7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60)는, 도 14를 참조하면 주차영역(20) 내에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는 경우 전기자동차 인식 센서(70)를 이용하여 주차된 전기자동차의 크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크기에 맞도록 발광 주차선(30)의 발광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서브주차영역(2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4)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크기에 따라 효율적으로 주차영역(20)을 활용할 수 있다.
만약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와 서브주차영역(21) 개수가 같아지는 경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와 주차영역(20) 내에 주차되어 충전을 진행하는 전기자동차의 대수가 같아지는 경우, 프로세서(60)는 주차영역(20) 중 서브주차영역(21)으로 쓰이지 않은 공간이 있다면 발광 주차선(30)을 발광시켜 추가로 서브주차영역(21)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주차영역(20)에 인접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는 동시에 최대 2대까지 충전 가능한 경우, 주차영역(20) 내에 2대의 전기자동차가 주차되어 충전을 진행하여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와 서브주차영역(21) 개수가 같아지는 경우, 즉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와 주차영역(20) 내에 주차되어 충전을 진행하는 전기자동차의 대수가 같아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60)는 주차영역(20) 중 서브주차영역(21)이 생성되지 않은 공간에 대해 발광 주차선(30)을 발광시켜 추가로 서브주차영역(21)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추가로 생성된 서브주차영역(21)에 전기자동차가 주차가 된다고 하더라도 가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가 없기 때문에, 추가로 생성된 서브주차영역(21)은 전기자동차가 아닌 일반 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간 활용의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60)는 추가로 생성된 서브주차영역(21)과 나머지 서브주차영역(21)에서 발광 주차선(30)이 발광하는 발광색 또는 디밍 정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추가로 생성된 서브주차영역(21)은 일반 자동차도 주차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4)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할 수 있는 주차영역(20)에 발광 주차선(30)을 설치하고 발광 주차선(30)이 발광하는 영역을 조절하여 주차영역(20)을 가변하여 사용함으로써 일반 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 공간을 마련하여 주차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5)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1)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5)에서는 주차영역(20) 내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 공간에 일반 자동차가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영역(20)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요일 및 시간대별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요일 및 시간대별로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를 산출하는 것은, 요일 및 시간대별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3)에 포함된 복수의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를 산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60)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보다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가 적은 것으로 확인되는 요일 및 시간대에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와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의 차이에 해당하는 개수의 서브주차영역(21)과, 다른 서브주차영역(21)에서 발광 주차선(30)이 발광하는 발광색 또는 디밍 정도를 다르게 한다.
예컨대, 주차영역(20)이 발광 주차선(30)에 의해 4개의 서브주차영역(21)으로 구획되고,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가 4대이고 현재에 해당하는 요일 및 시간대에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가 2대인 경우, 프로세서(60)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4대)와 현재에 해당하는 요일 및 시간대에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2대)의 차이에 해당하는 개수인 2개의 서브주차영역(21)을 일반 자동차가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실을 일반 자동차의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프로세서(60)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와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10)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의 차이에 해당하는 개수의 서브주차영역(21)과, 다른 서브주차영역(21)에서 발광 주차선(30)이 발광하는 발광색 또는 디밍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5: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10: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
11: 충전 커넥터 12: 케이블
20: 주차영역 21: 서브주차영역
30: 발광 주차선 40: 프로세서
50: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 60: 전기자동차 인식 센서
11: 충전 커넥터 12: 케이블
20: 주차영역 21: 서브주차영역
30: 발광 주차선 40: 프로세서
50: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 60: 전기자동차 인식 센서
Claims (5)
-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로서, 전기자동차의 충전 소켓에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
전기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영역으로서, 상기 주차영역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주차영역에 전기자동차를 주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하여 주차영역에 주차된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인, 주차영역;
상기 주차영역 내에 설치되는 발광 주차선으로서, 발광 여부, 발광 밝기 및 발광색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발광 주차선;
상기 주차영역 내에 설치되는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로서, 상기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는 상기 충전 커넥터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상기 주차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충전 커넥터를 인식하는 것인,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 및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광 주차선을 발광시켜 상기 주차영역을 복수의 서브주차영역으로 구획하여 복수의 전기자동차가 각각의 서브주차영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주차영역 내에 위치하면 상기 충전 커넥터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가 위치하는 서브주차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충전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식별된 서브주차영역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서브주차영역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 중 현재 전기자동차가 충전된 비율에 해당하는 길이의 발광 주차선의 발광 정도 또는 발광색을, 상기 식별된 서브주차영역을 둘러싸는 다른 발광 주차선의 발광 정도 또는 발광색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식별된 서브주차영역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커넥터를 통해 급속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완속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된 서브주차영역을 둘러싸는 발광 주차선의 발광색을 달리하거나 디밍 여부를 달리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영역 내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인식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차영역 내에 전기자동차가 주차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주차된 전기자동차의 크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크기에 맞도록 발광 주차선의 발광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서브주차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와 상기 서브주차영역 개수가 같아지는 경우, 상기 주차영역 중 서브주차영역으로 쓰이지 않은 공간이 있는 경우 발광 주차선을 발광시켜 추가로 서브주차영역을 생성하고,
추가로 생성된 서브주차영역과 나머지 서브주차영역에서 발광 주차선이 발광하는 발광색 또는 디밍 정도를 다르게 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요일 및 시간대별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를 산출하고,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보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가 적은 것으로 확인되는 요일 및 시간대에는,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최대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대수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 소켓 장치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평균 대수의 차이에 해당하는 개수의 서브주차영역과, 다른 서브주차영역에서 발광 주차선이 발광하는 발광색 또는 디밍 정도를 다르게 하는 것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861A KR102136832B1 (ko) | 2018-02-07 | 2018-02-07 |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861A KR102136832B1 (ko) | 2018-02-07 | 2018-02-07 |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5643A true KR20190095643A (ko) | 2019-08-16 |
KR102136832B1 KR102136832B1 (ko) | 2020-07-22 |
Family
ID=6780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4861A KR102136832B1 (ko) | 2018-02-07 | 2018-02-07 |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683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6685A (ko) * | 2010-04-20 | 2011-10-26 | 한국전력공사 |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
KR20120108167A (ko) * | 2011-03-23 | 2012-10-05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
JP2014113078A (ja) * | 2012-12-07 | 2014-06-26 | Toyota Home Kk | 緑化駐車場システム |
KR20150031987A (ko) * | 2013-09-17 | 2015-03-2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20170068877A (ko) | 2015-12-10 | 2017-06-20 | (주) 솔루윈스 | 다수의 전기차 충전을 위한 다중 충전기용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KR101756384B1 (ko) * | 2016-08-26 | 2017-07-27 | (주)드림텍 | 스마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충전 모니터링 방법 |
-
2018
- 2018-02-07 KR KR1020180014861A patent/KR1021368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6685A (ko) * | 2010-04-20 | 2011-10-26 | 한국전력공사 |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
KR20120108167A (ko) * | 2011-03-23 | 2012-10-05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 및 전기 자동차 |
JP2014113078A (ja) * | 2012-12-07 | 2014-06-26 | Toyota Home Kk | 緑化駐車場システム |
KR20150031987A (ko) * | 2013-09-17 | 2015-03-25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기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20170068877A (ko) | 2015-12-10 | 2017-06-20 | (주) 솔루윈스 | 다수의 전기차 충전을 위한 다중 충전기용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KR101756384B1 (ko) * | 2016-08-26 | 2017-07-27 | (주)드림텍 | 스마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충전 모니터링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6832B1 (ko) | 2020-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109886U (zh) | 具有状态显示器的环境灯及其装置 | |
US9648694B2 (en) | Lighting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ctive glare control | |
CN102687594B (zh) | 照明控制设备 | |
US20050046595A1 (en) | Solar powered sign annunciator | |
KR101547680B1 (ko) | 안내표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EP3808900A1 (en) | Solar induction lamp and induction system using same | |
CN210591427U (zh) | 电动车辆的充电显示装置 | |
US20210218272A1 (en) | Light-emitting sign device and low-power predictive diagnosis bidirectional adaptive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 |
JP2008158755A (ja) | 点灯制御システム | |
KR102263597B1 (ko) | 조명 제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
EP3573861A1 (fr) | Dispositif de contrôle d'une matrice de sources lumineuses pour l'éclairage intérieure de l'habitacle d'un véhicule automobile | |
CN103415113A (zh) | 一种led隧道灯系统及led隧道灯的亮度控制方法 | |
CN111976541A (zh) | 一种充电状态的显示方法和装置 | |
KR102136832B1 (ko) | 발광 주차선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 |
CN106332384A (zh) | 智能自行车灯的节电方法 | |
CN117621986A (zh) | 用于机动车辆的灯总成 | |
KR101313317B1 (ko) |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 | |
US20210146823A1 (en) | Adaptive headlights | |
JP2017025488A (ja) | 標識点灯システム及び方法 | |
KR102624786B1 (ko) | 전기 차량의 충전 표시 장치 | |
KR20160109922A (ko) | 다기능 태양광 충전식 보안등 | |
CN113063129B (zh) | 显示灯的控制方法 | |
KR102509866B1 (ko) | 전기 차량의 주차 경로 안내 시스템 | |
KR102386855B1 (ko) | 도로 조명 시스템 및 방법 | |
JP2019067291A (ja) | 信号灯器の点灯制御装置および信号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