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709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709B1
KR101632709B1 KR1020160011714A KR20160011714A KR101632709B1 KR 101632709 B1 KR101632709 B1 KR 101632709B1 KR 1020160011714 A KR1020160011714 A KR 1020160011714A KR 20160011714 A KR20160011714 A KR 20160011714A KR 101632709 B1 KR101632709 B1 KR 10163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stopper
insertion groove
termin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철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케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케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케이텍
Priority to KR1020160011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들 간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와, 스프링과, 단자부 이송유닛과, 조작 레버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터는, 절연성의 제 1 하우징과, 제 1 하우징의 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삽입홈과, 일단이 삽입홈으로 노출되도록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단자부를 갖는다. 제 2 커넥터는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삽입홈 속으로 슬라이딩되어 제 1 하우징에 끼움 결합되는 절연성의 제 2 하우징과,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제 2 하우징의 일단으로 노출되도록 제 2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단자부를 갖는다. 스프링은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에 대해 삽입홈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을 탄성력을 가하도록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된다. 단자부 이송유닛은,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를 삽입홈에 삽입된 제 2 커넥터의 제 2 단자부와 접속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 쪽으로 전진시키기 위해 제 1 하우징에 제 1 단자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조작 레버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움직여 단자부 이송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커넥터 사이의 접속 구조를 개선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unit)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부품이다.
커넥터는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과 PCB에 직접 삽입하는 것 등 모양과 연결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암단자를 갖는 소위 소켓(socket) 커넥터와 수단자를 갖는 소위 플러그(plug) 커넥터가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커넥터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환형(Circular, Round) 커넥터, 각형(Rectangular) 커넥터, 동축(Coaxial, RF) 커넥터, DIN 커넥터 등 다양한 것이 있다.
각종 전기장치에 커넥터를 설치하면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전자 부품에 미리 커넥터를 장치해 놓으면 부품의 증설이나 부속품의 추가 등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고장 발생 시 고장 발생 부분을 커넥터 부분으로부터 빼내어 수리 또는 교환하기 용이하다. 또한 부품을 개별적으로 제작하고 커넥터를 사용하면 전체를 간단히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장치 생산 공정이 단축되고, 큰 기기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분할시켜 두면 설치나 이동 시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전자 장치의 설계에 있어 구성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설계자는 비용, 설치 및 도구, 신뢰성, 유지 보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커넥터를 선정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커넥터 조립체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로 구성된다. 제 1 커넥터(10)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12)이 외골격을 형성하고, 하우징(12)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단자(미도시)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12)의 일측 외면에는 일단에 걸이턱(16)이 마련된 체결레버(14)가 구비된다.
제 2 커넥터(20)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22)이 외골격을 형성하고, 하우징(22)의 내부에 제 1 커넥터(10)의 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미도시)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22)의 외면 일측에는 제 1 커넥터(10)의 체결레버(14)에 대응하는 걸이후드(24)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는 제 1 커넥터(10)의 선단이 제 2 커넥터(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 간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체결레버(14)가 걸이후드(24)를 관통하여 걸이턱(16)이 걸이후드(24)에 걸림으로써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가 단단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 간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체결레버(14)의 중간을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걸림턱(16)을 걸이후드(24)에서 걸림 해제한 후,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시 사용자가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손으로 잡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야 한다. 따라서 좁은 공간이나 틈새에서는 이들 커넥터(10)(20)를 결합 또는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의 분리시, 체결레버(14)를 누름과 동시에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겨야 하므로, 분리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공개특허공보 제2012-0006307호 (2012. 01. 1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좁은 공간이나 틈새에서도 커넥터들 간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된 커넥터들 간의 분리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절연성의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삽입홈과, 일단이 상기 삽입홈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단자부를 갖는 제 1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홈 속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에 끼움 결합되는 절연성의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단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단자부를 갖는 제 2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에 대해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을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단자부와 접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 쪽으로 전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하우징에 상기 제 1 단자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단자부 이송유닛;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움직여 상기 단자부 이송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부 이송유닛은,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 일측에 돌출 구비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조작 레버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돌출부에 접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홈 쪽으로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연결축의 타단에 편심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 디스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 이송유닛의 돌출부는 상기 캠 디스크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오목하게 굽은 오목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오목면에는 상기 캠 디스크 쪽으로 돌출된 제 1 멈춤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캠 디스크의 외주면에는 상기 캠 디스크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홈 쪽으로 전진시킨 회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멈춤 돌기에 걸려 상기 캠 디스크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제 2 멈춤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하우징이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 1 단자부의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에 구비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조작 레버에 접하여 상기 조작 레버를 움직이지 못하게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의 끝단이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는 그 끝단이 상기 조작 레버의 스토퍼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스토퍼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하우징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제 1 커넥터의 삽입홈으로 진입할 때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스토퍼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의 끝단을 상기 조작 레버의 스토퍼 삽입홈에서 이탈시키는 록킹 해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단자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또 다른 단자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측면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고, 제 1 커넥터에 결합되는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이나 틈새에서도 커넥터들 간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조작 레버를 간단히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 간의 전기적 연결을 손쉽게 단속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 1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 1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 1 커넥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스토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 간의 전기적 접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 1 커넥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 1 커넥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 1 커넥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와, 단자부 이송유닛(140)과, 조작 레버(150)와, 스토퍼(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종래의 커넥터 어셈블리와 다르게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를 측면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10)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 1 하우징(111)과, 제 1 하우징(11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1 단자부(116)를 구비한다. 제 1 하우징(111)의 내측에는 외측면으로 개방되는 삽입홈(112)이 마련된다. 삽입홈(112)은 제 1 하우징(111)의 선단부 및 양쪽 측면 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1)의 내측에는 설치 공간(113)이 마련된다. 제 1 하우징(111)의 일단(선단부)에는 출입구(114)가 구비되고 제 1 하우징(111)의 타단(후단부)에는 개방부(115)가 형성된다. 제 1 단자부(116)는 제 1 하우징(111)에 의해 보호되도록 제 1 하우징(111)에 내장된다.
제 1 단자부(116)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단자(미도시)를 갖는다. 제 1 단자부(116)는 그 일단이 제 1 하우징(111)의 출입구(1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 하우징(111)의 설치 공간(113)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단자부(116)는 제 1 하우징(111)의 삽입홈(112)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그 일부분이 삽입홈(112) 중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단자부(116)는 제 1 하우징(111)의 내면에 접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만 직선 이동할 수 있고, 그 이외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제 1 단자부(116)의 타단에는 상하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부(117)가 구비된다. 제 1 단자부(116)의 타단에는 제 1 케이블(118)이 연결된다. 제 1 케이블(118)은 제 1 하우징(11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양한 전기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1)의 일측 끝단에는 한 쌍의 걸림 돌기(119)가 구비된다. 이들 걸림 돌기(119)는 제 1 커넥터(110)에 대한 제 2 커넥터(130)의 슬라이드 끼움 결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걸림 돌기(119)는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의 결합 후 제 1 커넥터(110)에 대한 제 2 커넥터(130)의 전후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 1 하우징(111)의 내측에는 한 쌍의 걸림턱(120)이 구비된다. 이를 한 쌍의 걸림턱(120)은 제 1 단자부(116)를 사이에 두고 제 1 단자부(116)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 1 하우징(111)의 설치 공간(113)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12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1 하우징(111)의 일측면에는 스토퍼(160)의 설치를 위한 스토퍼 설치홈(121)이 마련된다. 스토퍼 설치홈(121)은 제 1 하우징(111)의 외부 및 삽입홈(112) 쪽으로 개방된다.
제 1 커넥터(110)의 제 1 단자부(116)는 복수의 스프링(12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복수의 스프링(125)은 제 1 단자부(116)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제 1 하우징(111)의 설치 공간(113)에 배치된다. 이들 스프링(125)은 제 1 하우징(111)의 걸림턱(120)과 제 1 단자부(116)의 플랜지부(117)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일단이 제 1 하우징(111)의 걸림턱(120)에 지지되고 각각의 타단이 제 1 단자부(116)의 플랜지부(117)에 지지된다. 복수의 스프링(125)은 제 1 단자부(116)에 대해 삽입홈(112)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제 1 단자부(116)는 이에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그 일단이 삽입홈(112) 중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커넥터(130)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 2 하우징(131)과, 제 2 하우징(131)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단자부(132)를 구비한다. 제 2 단자부(132)는 제 1 커넥터(110)의 제 1 단자부(1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단자(미도시)를 갖는다. 제 2 단자부(132)에는 제 2 케이블(133)이 연결된다. 제 2 케이블(133)은 제 2 하우징(13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다양한 전기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커넥터(130)는 제 2 하우징(131)이 제 1 커넥터(110)의 제 1 하우징(111) 측면으로부터 삽입홈(112) 속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제 1 커넥터(110)와 끼움 결합된다.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의 결합시, 제 2 커넥터(130)는 제 1 커넥터(110)의 한 쌍의 걸림 돌기(119)에 의해 가이드되어 안정적으로 제 1 커넥터(110)의 삽입홈(112) 속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의 결합 후, 제 2 커넥터(130)의 제 2 하우징(131)이 제 1 커넥터(110)의 걸림 돌기(119)에 걸림으로써 제 2 커넥터(130)의 제 1 커넥터(110)에 대한 전후 방향 이동은 제한된다. 즉, 제 2 커넥터(130)는 제 1 커넥터(110)의 삽입홈(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커넥터(110)의 측면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으나 제 1 커넥터(110)의 제 1 단자부(116)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단자부 이송유닛(140)은 제 1 커넥터(110)의 제 1 단자부(116)에 구비되는 돌출부(141)와, 제 1 커넥터(110)의 제 1 하우징(111) 내측에 설치되는 캠 디스크(144)를 구비한다. 이러한 단자부 이송유닛(140)은 제 1 단자부(116)와 연결되도록 제 1 하우징(111) 내측에 설치되어 제 1 단자부(116)를 제 1 하우징(11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141)는 제 1 단자부(116)의 외면 일측에 돌출 구비된다. 돌출부(141)는 제 1 단자부(116)의 후방 쪽으로 오목하게 굽은 오목면(142)을 구비한다. 오목면(142)은 캠 디스크(144)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으로 캠 디스크(144)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완만하게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캠 디스크(144)는 그 외주면이 오목면(142)에 접하여 오목면(142)에 대해 미끄러지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오목면(142)에는 한 쌍의 제 1 멈춤 돌기(143)가 구비된다. 이들 한 쌍의 제 1 멈춤 돌기(143)는 오목면(142)의 캠 디스크(144)가 접하는 부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 1 멈춤 돌기(143)는 오목면(142)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반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 1 멈춤 돌기(143)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그 설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캠 디스크(144)는 제 1 커넥터(110)의 제 1 하우징(111)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 1 하우징(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146)에 편심되게 결합된다. 연결축(146)은 그 일단이 조작 레버(150)와 결합되고 그 타단이 캠 디스크(144)와 결합되어 조작 레버(150)와 캠 디스크(144)를 연결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 레버(150)를 회전시키면 캠 디스크(144)가 연결축(146)을 회전 중심축으로 편심되게 회전하게 된다. 캠 디스크(144)의 외주면은 제 1 단자부(116)에 구비된 돌출부(141)의 오목면(142)에 접한다. 따라서 캠 디스크(144)의 편심 회전시 캠 디스크(144)는 돌출부(141)를 제 2 커넥터(130)가 삽입된 삽입홈(112)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캠 디스크(144)의 외주면에는 돌출부(141)에 구비된 한 쌍의 제 1 멈춤 돌기(143)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 2 멈춤 돌기(145)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2 멈춤 돌기(145)는 캠 디스크(144)의 외주면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반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 2 멈춤 돌기(145)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그 설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캠 디스크(144)가 편심 회전하여 돌출부(141)를 삽입홈(112) 쪽으로 전진시키는 회전 각도에 도달할 때, 제 2 멈춤 돌기(145)가 제 1 멈춤 돌기(143)를 타고 넘어가 제 2 멈춤 돌기(145)가 제 2 멈춤 돌기(145)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제 1 멈춤 돌기(143)과 제 2 멈춤 돌기(145)의 작용으로 캠 디스크(144)는 돌출부(141)를 삽입홈(112) 쪽으로 전진시킨 회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부 이송유닛(140)은 조작 레버(150)에 의해 작동된다. 조작 레버(15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움직여 단자부 이송유닛(14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 1 커넥터(110)의 제 1 하우징(111)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조작 레버(150)는 캠 디스크(144)과 결합된 연결축(146)과 결합됨으로써 연결축(146)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레버(150)를 조작하여 캠 디스크(14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 레버(150)의 한쪽 끝단에는 스토퍼 삽입홈(151)이 마련된다. 스토퍼 삽입홈(151)은 조작 레버(15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스토퍼(160)의 결합을 위해 구비된다. 스토퍼 삽입홈(151)은 스토퍼(160)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입구가 확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작 레버(150)의 회전 억제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스토퍼(160)는 조작 레버(15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해 제 1 커넥터(110)의 스토퍼 설치홈(121)에 설치된다. 스토퍼(16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 1 커넥터(110)의 제 1 하우징(111)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스토퍼(160)는 제 1 하우징(111)에 결합되는 탄성 변형부(161)와, 탄성 변형부(161)의 끝단에 제 1 하우징(11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부(162)를 갖는다. 탄성 변형부(161)의 일단은 제 1 하우징(111)에 고정되고 탄성 변형부(161)의 타단은 자유단을 이룬다. 탄성 변형부(161)는 수회 절곡된 판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져 외력을 받으면 압축 변형될 수 있다. 걸림부(162)는 탄성 변형부(161)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탄성 변형부(161)의 움직임에 따라 스토퍼 설치홈(121)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스토퍼 설치홈(121) 속으로 후퇴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토퍼(160)는 제 1 하우징(11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끝단이 조작 레버(150)의 스토퍼 삽입홈(151)에 삽입됨으로써 조작 레버(150)를 회전하지 못하게 막는다. 즉, 조작 레버(150)는 스토퍼(160)가 그 스토퍼 삽입홈(15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토퍼(160)에 걸림으로써 회전할 수 없고, 스토퍼(160)가 스토퍼 삽입홈(151)에서 벗어난 상태에서만 회전할 수 있다.
스토퍼(160)는 제 2 커넥터(130)에 구비되는 록킹 해제 돌기(170)에 의해 조작 레버(150)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록킹 해제 돌기(170)는 제 2 커넥터(130)의 제 2 하우징(131) 끝단에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커넥터(130)가 제 1 커넥터(110)의 삽입홈(112) 속으로 진입할 때, 록킹 해제 돌기(170)가 제 1 커넥터(110)의 스토퍼 설치홈(121) 속으로 삽입됨으로써 스토퍼(16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160)의 탄성 변형부(161)가 탄성 변형되고, 이에 의해 스토퍼(160)의 걸림부(162)가 스토퍼 설치홈(121) 속으로 후퇴한다. 그리고 스토퍼(160)가 후퇴하여 조작 레버(150)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조작 레버(15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 제 2 커넥터(130)의 제 2 하우징(131)을 제 1 커넥터(110)의 제 1 하우징(111) 측면으로부터 삽입홈(112)에 삽입한다. 이때, 제 2 하우징(131)의 끝단이 제 1 하우징(111)의 걸림 돌기(119)와 접하여 제 2 커넥터(130)는 걸림 돌기(119)를 따라 제 1 커넥터(110)의 삽입홈(112) 속으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 2 커넥터(130)가 제 1 커넥터(110)의 삽입홈(112) 속으로 진입할 때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커넥터(130)에 결합된 록킹 해제 돌기(170)가 제 1 커넥터(110)의 스토퍼 설치홈(121)을 향해 전진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커넥터(130)가 제 1 커넥터(110)의 삽입홈(112) 속에 완전히 삽입될 때 록킹 해제 돌기(170)가 스토퍼 설치홈(121)에 삽입된다. 스토퍼 설치홈(121)에 삽입되는 록킹 해제 돌기(170)는 스토퍼(160)를 가압하여 스토퍼(160)의 탄성 변형부(161)를 압축시킨다. 이때, 조작 레버(150)의 스토퍼 삽입홈(151) 속에 삽입되었던 스토퍼(160)의 걸림부(162)가 조작 레버(150)로부터 벗어나 조작 레버(150)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 2 커넥터(130)가 제 1 커넥터(110)의 삽입홈(112) 속에 완전히 삽입되고 조작 레버(150)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제 1 커넥터(110)의 제 1 단자부(116)와 제 2 커넥터(130)의 제 2 단자부(132)는 상호 마주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가 조작 레버(150)를 회전시키면 조작 레버(150)와 연결축(146)으로 연결된 캠 디스크(144)가 연결축(146)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편심 회전하게 된다. 캠 디스크(144)는 그 외주면이 제 1 단자부(116)에 구비된 돌출부(141)의 오목면(142)에 접한 상태로 편심 회전함으로써 돌출부(141)를 삽입홈(112)에 삽입된 제 2 커넥터(130) 쪽으로 가압한다. 이때, 제 1 단자부(116)가 스프링(125)을 압축하면서 제 2 커넥터(130)의 제 2 단자부(132) 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단자부(116)가 제 2 단자부(132)에 부분적으로 삽입(또는 제 2 단자부(132)가 제 1 단자부(116)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제 1 단자부(116)의 단자와 제 2 단자부(132)의 단자가 연결되며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캠 디스크(144)가 편심 회전하여 돌출부(141)를 삽입홈(112) 쪽으로 전진시키는 회전 각도에 도달할 때, 캠 디스크(144)의 제 2 멈춤 돌기(145)가 돌출부(141)의 제 1 멈춤 돌기(143)를 타고 넘어감으로써 제 2 멈춤 돌기(145)가 제 2 멈춤 돌기(145)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캠 디스크(144)는 제 1 멈춤 돌기(143)와 제 2 멈춤 돌기(145)의 작용으로 돌출부(141)를 삽입홈(112) 쪽으로 전진시키도록 회전한 회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단자부(116)는 제 2 단자부(132)와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 간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 레버(150)를 반대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 간의 전기적 접속을 끊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 레버(150)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캠 디스크(144)가 편심 회전하면서 돌출부(141)를 전진시켰던 가압력이 해제된다. 이때, 제 1 단자부(116)는 복수의 스프링(125)의 탄성 복원력을 받아 원래 위치로 후퇴하여 제 2 단자부(132)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제 1 커넥터(110)의 제 1 단자부(116)와 제 2 커넥터(130)의 제 2 단자부(132) 간의 전기적 접속을 끊은 후, 사용자는 제 2 커넥터(130)를 제 1 커넥터(110)의 측면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제 2 커넥터(130)를 제 1 커넥터(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 2 커넥터(130)가 제 1 커넥터(110)로부터 벗어날 때, 록킹 해제 돌기(170)가 제 1 커넥터(110)의 스토퍼 설치홈(121)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때, 스토퍼(160)가 원래 상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스토퍼(160)의 걸림부(162)가 조작 레버(150) 쪽으로 전진하여 조작 레버(150)의 스토퍼 삽입홈(151) 속에 삽입된다. 스토퍼(160)의 걸림부(162)가 스토퍼 삽입홈(151) 속에 삽입됨으로써 조작 레버(150)는 스토퍼(160)에 걸려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 2 커넥터(130)가 제 1 커넥터(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150)가 작동될 수 없고, 제 1 커넥터(110)의 제 1 단자부(116)가 제 1 하우징(111)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를 측면 방향으로 끼움 결합하고, 조작 레버(150)를 조작하여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이나 틈새에서도 커넥터들(110)(120) 간의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조작 레버(150)를 간단히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제 1 커넥터(110)와 제 2 커넥터(13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손쉽게 단속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단자부 이송유닛(140)이 제 1 커넥터(110)의 제 1 단자부(116)에 돌출 구비되는 돌출부(141)와, 그 외주면이 돌출부(141)와 접하여 편심 회전할 수 있게 제 1 하우징(111)에 설치되는 캠 디스크(144)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단자부 이송유닛은 조작 레버(150)와 연동하여 제 1 단자부(116)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부 이송유닛의 구조에 따라 조작 레버의 구체적인 구조나 조작 움직임 구조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 1 커넥터(110)의 제 1 단자부(116)를 원래의 후퇴 위치로 탄성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125)이 코일 스프링 구조로 제 1 커넥터(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1 단자부(11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의 구조나, 개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스토퍼(160)가 탄성 변형부(161)와 걸림부(162)를 구비하여 탄성 변형부(161)의 움직임에 따라 걸림부(162)가 조작 레버(150)에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스토퍼(160)는 조작 레버(15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의 구조에 따라 제 2 커넥터(130)에 구비되는 록킹 해제 돌기(170) 이외에 스토퍼의 조작 레버 구속 기능을 해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해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 1 커넥터(110)의 제 1 하우징(111)과 제 2 커넥터(130)의 제 2 하우징(131)의 물리적 결합을 위해 제 1 하우징(111)에 제 2 하우징(131)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12)이 구비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은 상호 측면 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다른 결합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제 1 커넥터(110)의 삽입홈(112)에 끼움 결합된 제 2 커넥터(130)의 제 1 커넥터(110)에 대한 전후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커넥터(110)에 걸림 돌기(119)가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제 1 커넥터(110)에 대한 제 2 커넥터(130)의 전후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 요소가 제 1 커넥터 또는 제 2 커넥터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커넥터 어셈블리 110, 130: 제 1, 2 커넥터
111, 131: 제 1, 2 하우징 112: 삽입홈
113: 설치 공간 114: 출입구
115: 개방부 116, 132: 제 1, 2 단자부
117: 플랜지부 118, 133: 제 1, 2 케이블
119: 걸림 돌기 120: 걸림턱
121: 스토퍼 설치홈 125: 스프링
140: 단자부 이송유닛 141: 돌출부
142: 오목면 143, 145: 제 1, 2 멈춤 돌기
144: 캠 디스크 146: 연결축
150: 조작 레버 151: 스토퍼 삽입홈
160: 스토퍼 161: 탄성 변형부
162: 걸림부 170: 록킹 해제 돌기

Claims (7)

  1. 절연성의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측면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삽입홈과, 일단이 상기 삽입홈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단자부를 갖는 제 1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홈 속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에 끼움 결합되는 절연성의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상기 제 2 하우징의 일단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단자부를 갖는 제 2 커넥터;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에 대해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을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단자부와 접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 쪽으로 전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하우징에 상기 제 1 단자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단자부 이송유닛;
    사용자 조작에 의해 움직여 상기 단자부 이송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조작 레버에 접하여 상기 조작 레버를 움직이지 못하게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의 끝단이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는 그 끝단이 상기 조작 레버의 스토퍼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스토퍼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하우징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제 2 하우징이 상기 제 1 커넥터의 삽입홈으로 진입할 때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접하여 상기 스토퍼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스토퍼의 끝단을 상기 조작 레버의 스토퍼 삽입홈에서 이탈시키는 록킹 해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 이송유닛은,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부 일측에 돌출 구비되는 돌출부와,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조작 레버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돌출부에 접하여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홈 쪽으로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연결축의 타단에 편심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 하우징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 디스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 이송유닛의 돌출부는 상기 캠 디스크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오목하게 굽은 오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오목면에는 상기 캠 디스크 쪽으로 돌출된 제 1 멈춤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캠 디스크의 외주면에는 상기 캠 디스크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삽입홈 쪽으로 전진시킨 회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멈춤 돌기에 걸려 상기 캠 디스크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제 2 멈춤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하우징이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 1 단자부의 상기 제 1 하우징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하우징에 구비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삭제
  7. 삭제
KR1020160011714A 2016-01-29 2016-01-29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3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714A KR101632709B1 (ko) 2016-01-29 2016-01-29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714A KR101632709B1 (ko) 2016-01-29 2016-01-29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709B1 true KR101632709B1 (ko) 2016-06-22

Family

ID=5636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714A KR101632709B1 (ko) 2016-01-29 2016-01-29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5065A (zh) * 2020-03-13 2020-06-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169A (ko) * 2002-12-05 200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커넥터가 장착된 전기전자기기
KR20120006307A (ko) 2010-07-12 2012-0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KR20120138407A (ko) * 2011-06-15 2012-12-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KR101443314B1 (ko) * 2013-09-06 2014-09-26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169A (ko) * 2002-12-05 200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커넥터가 장착된 전기전자기기
KR20120006307A (ko) 2010-07-12 2012-01-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KR20120138407A (ko) * 2011-06-15 2012-12-2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
KR101443314B1 (ko) * 2013-09-06 2014-09-26 윤여관 수납유닛 조립체 및 이러한 수납유닛 조립체를 구비한 mc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5065A (zh) * 2020-03-13 2020-06-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8676B2 (en) Frictional locking receptacle with programmable release
US8439695B2 (en)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GB2438478A (en) Connector with lock securing member having a lock releasing portion
US20140213093A1 (en) Auto-locking audiophile power receptacle
US11581682B2 (en) Frictional locking receptacle with programmable release
US9960533B2 (en)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US9214744B2 (en) Connector device
EP3540868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WO2007006336A1 (en) Electrical connector
EP3872936B1 (en) Connector
KR10163270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5046245A (ja) 中継端子および中継コネクタ
CA2907354C (en) Frictional locking receptacle with programmable release
KR10163270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3270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6257916B1 (en) Device for locking two mating connectors
US6257913B1 (en) Latch mechanism for electrical connector
JP2008262718A (ja) コネクタ
CN106560957B (zh) 电源连接器转接头及其组装方法
JP583343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60099855A (ko) 커넥터용 미결합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