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156B1 -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156B1
KR100747156B1 KR1020050072108A KR20050072108A KR100747156B1 KR 100747156 B1 KR100747156 B1 KR 100747156B1 KR 1020050072108 A KR1020050072108 A KR 1020050072108A KR 20050072108 A KR20050072108 A KR 20050072108A KR 100747156 B1 KR100747156 B1 KR 10074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ulb
lamp
locking guid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622A (ko
Inventor
배문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2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1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31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autonomous vehicle travel
    • B60Q3/735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autonomous vehicle travel for preventing discomfort, e.g. for preventing motion sickness or for anticipating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5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interior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주램프가 수용되는 주램프수용부를 갖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스페어 벌브가 수용되는 벌브수용부와; 상기 벌브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주램프 이외의 스페어 벌브가 마련되어 주램프를 즉시 교체할 수 있다.
차량, 자동차, 램프, 벌브, 스페어

Description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INTERIOR LAMP UNIT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가 채용된 자동차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램프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 상태의 가이드 핀과 가이드 홈의 위치를 나타낸 커버의 측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의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 상태의 가이드 핀과 가이드 홈의 위치를 나타낸 커버의 측면도이고,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10 : 램프하우징
13 : 주램프수용부 14 : 삽입공
20 : 주램프 23 : 스페어 벌브
30 : 벌브수용부 40 : 커버
60 : 힌지축 70 : 비틀림 코일스프링
75 : 판스프링 80 : 락킹 가이드 핀
90 : 락킹 가이드 홈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페어 벌브를 보관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다양한 기능의 실내등이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실내등에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천정면에 장착되는 맵램프(Map Lamp),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룸램프(Room Lamp), 레져 차량의 후방공간에 장착되는 카고램프(Cargo Lamp)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101)는 실내의 천정재인 헤드라이닝(103)과, 헤드라이닝(103)과 루프 외측패널(미도시) 사이에 배치된 루프 내측패널 (104)에 결합된다. 즉, 램프조립체(101)는 헤드라이닝(103)에 형성된 설치구 및 루프 내측패널(104)에 형성된 결합구를 통해 체결부재(150)에 의해 장착된다. 램프조립체(101)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램프(120)를 수용하는 램프하우징(110)과, 램프하우징(110)의 개구부에 설치된 렌즈(115)로 구성되어 있다.
램프하우징(110)의 외측면에는 램프(120)와 연결되어 램프(120)를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한 버튼(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탑승자는 버튼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차량의 실내를 조명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에 있어서는, 램프의 수명이 다했을 경우 교체할 램프를 구비하지 않아 교환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를 즉시 교체할 수 있도록 스페어 벌브가 마련된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주램프가 수용되는 주램프수용부를 갖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스페어 벌브가 수용되는 벌브수용부와; 상기 벌브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하우징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벌브수용부는 상기 램프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벌브수용부 및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벌브수용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벌브수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이 상기 벌브수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에 접촉되며, 상기 커버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는 락킹 가이드 핀과;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벌브수용부에 대해 걸림유지 또는 걸림해제 가능하게 상기 락킹 가이드 핀을 안내하는 락킹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가 채용된 자동차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램프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램프조립체(1)는 운전석(2)과 조수석 사이 전방측에 장착되어 탑승자가 야간에 물품을 찾거나 메모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램프조립체(1)는 실내의 천정인 헤드라이닝(3)과, 헤드라이닝(3)과 루프 외측패널(미도시) 사이에 배치된 루프 내측패널(4)에 결합된다. 램프조립체(1)는 개구부(12)가 형성되고 내부에 주램프(20)가 수용되는 주램프수용부(13)와, 주램프수용부(13)의 주램프(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튼(11)을 갖는 램프하우징(10)과; 램프하우징(10)의 개구부(12)에 설치되어 주램프(20)로부터 발산된 빛을 차량 실내로 확대 굴절시키는 렌즈(15)와; 램프하우징(10) 내에 램프하우징(10)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스페어 벌브(23)가 수용되는 벌브수용부(30) 와; 벌브수용부(30)를 개폐하는 커버(40)를 포함한다.
주램프수용부(13)의 상부면에는 벌브수용부(30)가 삽입되는 삽입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스페어 벌브(23)는 벌브홀더(50)에 지지되어 커버(40)의 내측면과 일체로 결합된다. 이에 탑승자가 커버(40)를 개방할 때 탑승자의 눈에 스페어 벌브(23)가 쉽게 띄게 되므로 취급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와 같이, 주램프(20)를 대체할 스페어 벌브(23)를 벌브장착구조 내에 제공한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벌브홀더(50)는 벌브가 삽입되는 몸체(51)와, 몸체(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40)에 결합되는 결합편(52)으로 구성된다. 이 때, 벌브홀더(50)는 충격 등의 외부 힘으로부터 스페어 벌브(23)를 보호하고 후술할 체결홈(44, 도 5참조)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고무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벌브수용부(30)는 램프하우징(10)의 삽입공(14)에 삽입되어 헤드라이닝(3)과 램프하우징(30) 사이에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벌브수용부(30)는 램프하우징(10)의 삽입공(14) 내측으로 삽입되는 케이싱(31)과, 케이싱(31)에 형성되어 케이싱(31)의 상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32, 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벌브수용부(30)와 커버(40)에는 힌지축(60)이 결합됨으로써, 커버(40)는 힌지축(6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때, 힌지축(60)에는 커버(40)가 탄성적으로 개폐되도록 비틀림 코일스프링(70)이 삽입되어 있다.
커버(40)는 힌지축(60)을 지지하는 축지지부(41)와, 축지지부(41)로부터 연 장 형성되어 스페어 벌브(23)가 결합되는 벌브결합부(43)로 구성된다. 커버(40)의 내측면에는 스페어 벌브(23)가 장착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스페어 벌브(23)가 있음을 탑승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문자 또는 그림을 이용한 표시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지지부(41)의 일영역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0)이 안착되는 안착부(42)가 형성되어 있고, 타영역에는 후술할 락킹 가이드 홈(90)이 형성되어 있다.
벌브결합부(43)에는 벌브홀더(50)의 결합편(52)이 체결되는 체결홈(44)이 일측변에서 내측을 향해 소정 길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편(52)을 체결홈(44)을 따라 내측을 향해 밀어 넣음으로써 벌브홀더(50)는 커버(40)에 체결된다.
비틀림 코일스프링(70)의 일단은 벌브수용부(30)의 상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4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커버(40)를 벌브수용부(30)에 대해 걸림유지 또는 걸림해제시키는 걸림장치 중의 하나로서, 락킹 가이드 핀(80)과 락킹 가이드 핀(80)을 안내하는 락킹 가이드 홈(9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터치 방식으로 커버(40)가 개폐되어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 운행할 수 있다.
락킹 가이드 핀(80)은 대략 "П"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단이 벌브수용부(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커버(40)에 형성된 락킹 가이드 홈(90)을 따라 이동한다. 벌브수용부(30)에는 락킹 가이드 핀(80)을 가압하는 판스프링(75)이 스크류(76)로 체결되어 있다. 이에, 락킹 가이드 핀(80)은 판스프링(75)에 의해 가압되어 커버(40) 회동시 락킹 가이드 홈(90)을 따라 좌우 이동될 수 있다.
락킹 가이드 홈(90)은 축지지부(41)에 락킹 가이드 핀(80)이 일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40)가 개방 및 폐쇄될 때, 락킹 가이드 핀(80)은 락킹 가이드 홈(90)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때 락킹 가이드 홈(90)은 P, Q 구간으로 나뉘어 진다.
여기서, 락킹 가이드 홈(90)에는 락킹 가이드 핀(80)이 역방향(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6과 같은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1)의 커버(40)가 개폐될 때 락킹 가이드 홈(90)에 대한 락킹 가이드 핀(80)의 이동경로를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와 같이 커버(40)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락킹 가이드 핀(80)은 도 7b와 같이 락킹 가이드 홈(90)의 P구간의 a위치에 삽입되어 있다. 커버(40)를 폐쇄하기 위해 커버(40)를 소정 상향 가압하면 커버(40)는 힌지축(60)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된다. 이 때, 커버(40)는 비틀림 코일스프링(70)에 의해 부드럽게 회전되며, 락킹 가이드 핀(80)은 시계방향으로 락킹 가이드 홈(90)의 P구간을 따라 이동한다. 커버(40)를 도 8a와 같이 완전히 폐쇄하기 위해 커버(40)를 계속 상향 가압하면, 락킹 가이드 핀(80)이 도 8b와 같이 b위치에 걸리게 되어 커버(40)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도 7a와 같이 커버(40)를 개방하기 위해 커버(40)를 상향 가압하면 b위치에 있던 락킹 가이드 핀(80)은 Q구간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락킹 가이드 핀 (80)이 a위치에 도달하면 커버(40)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락킹 가이드 홈(90)은 락킹 가이드 핀(80)의 이동방향(즉, P에서 Q방향)을 따라 더 깊게 함몰됨으로써, 락킹 가이드 핀(80)이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의 위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앞좌석과 뒷좌석 사이 또는 실내의 후방공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벌브수용부가 램프하우징과 별도로 제작되어 램프하우징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있으나, 램프하우징과 일체로 제작되어 조립공수를 감소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램프 이외의 스페어 벌브가 마련되어 주램프를 즉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를 제공한다.

Claims (5)

  1.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주램프가 수용되는 주램프수용부를 갖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스페어 벌브가 수용되는 벌브수용부와;
    상기 벌브수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하우징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벌브수용부는 상기 램프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수용부 및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벌브수용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벌브수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벌브수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에 접촉되며, 상기 커버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는 락킹 가이드 핀과;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벌브수용부에 대해 걸림유지 또는 걸림해제 가능하게 상기 락킹 가이드 핀을 안내하는 락킹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KR1020050072108A 2005-08-08 2005-08-08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KR100747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108A KR100747156B1 (ko) 2005-08-08 2005-08-08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108A KR100747156B1 (ko) 2005-08-08 2005-08-08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622A KR20070017622A (ko) 2007-02-13
KR100747156B1 true KR100747156B1 (ko) 2007-08-07

Family

ID=4163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108A KR100747156B1 (ko) 2005-08-08 2005-08-08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71B1 (ko) 2018-03-08 2019-06-05 (주)에치씨엘 일측 선가압식 부품 조립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428A (ko) * 2002-11-18 2004-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실내등 장착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428A (ko) * 2002-11-18 2004-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실내등 장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71B1 (ko) 2018-03-08 2019-06-05 (주)에치씨엘 일측 선가압식 부품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622A (ko) 200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303B1 (ko)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
US9481230B2 (en) Sunvisor for vehicles
US10814802B2 (en) Vehicular door
KR100747156B1 (ko) 차량용 내장 램프조립체
EP3144168B1 (en) Deflector device
KR101393285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US7104674B2 (en)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8915021B2 (en) Integrated regulator device of glass and curtain for door
KR20130053307A (ko)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
US20100321944A1 (en) Detent spring and end cap structures for a visor vanity
JP2006142892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JP4410958B2 (ja) 車両用ルーフコンソール装置
WO2018167979A1 (ja) 車両用荷室構造
KR102177003B1 (ko) 자동차용 컵홀더
JP4376272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CN215706013U (zh) 存储控制台
KR100726500B1 (ko) 자동차 선글라스 케이스
KR200469469Y1 (ko) 차량용 글로브 램프 스위치 장치
JP4308415B2 (ja) ルームミラー及び室内灯
KR100435270B1 (ko) 차량의 글러브 박스 조립구조
JP4573744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KR100520769B1 (ko) 자동차의 선글라스 케이스
JP2006027304A (ja) 照明装置および車両天井構造
JP4230336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0120447Y1 (ko) 수납 케이스를 구비한 콘솔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