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671A -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671A
KR20230166671A KR1020220066937A KR20220066937A KR20230166671A KR 20230166671 A KR20230166671 A KR 20230166671A KR 1020220066937 A KR1020220066937 A KR 1020220066937A KR 20220066937 A KR20220066937 A KR 20220066937A KR 20230166671 A KR20230166671 A KR 20230166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ed
powder
noodles
water
puffe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항
Original Assignee
이주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항 filed Critical 이주항
Priority to KR1020220066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671A/ko
Publication of KR2023016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6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91After-treatment of puffed cereals, e.g. coating or sa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23P30/32Puffing or expanding by pressure release, e.g. explosion puffing; by vacuum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8Starc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에서 물과 팽화분을 믹스하여 제조된 면 반죽으로 삶지 않는 면의 제조가 가능한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A) 곡물을 물에 담가서 씻은 후 물의 불림 없이 물기를 빼고 건조하는 단계와, (B) 상기 건조된 곡물을 팽화 공법으로 가압 및 가열한 뒤 대기 중으로 뿜어내어 부풀게 하여 팽화된 곡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C) 팽화된 곡물을 분쇄기에 넣고 30~100메쉬에서 통과율이 100%가 되도록 분말화시켜 팽화가루를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팽화가루에 물을 혼합하여 믹서기에 교반하고 믹싱하여 면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와, (E) 상기 면 반죽을 면기를 이용하여 면을 뽑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oodles using popped powder}
본 발명은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즉석에서 물과 팽화분을 믹스하여 제조된 면 반죽으로 삶지 않는 면의 제조가 가능한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밀가루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쌀의 소비 감소로 인해 잉여 쌀의 양이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근본적인 쌀 소비량을 늘리는 방안으로 쌀을 원료로 하는 다양한 식품으로의 이용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쌀은 알러지가 거의 없는 식품이고 쌀 전분은 다른 곡류의 전분과 비교하여 소화 흡수가 좋고 입자크기가 매우 작아(2 ~ 10㎛)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여러 물질을 표면에 흡착시킬 수 있고, 부드러운 촉감을 주며, 맛이 깨끗하고 용융점이 낮아 흡착된 향미성분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방출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쌀가루로 면을 제조할 경우 밀가루의 글루텐과 같은 단백질이 없어 탄력 있는 면대 형성이 어렵고 또 만들어진 면은 쉽게 퍼지는 성질이 있어, 쌀가루를 이용하여 한국인이 선호하는 부드럽고 찰진 식감의 면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현재 시판되고 있는 면의 경우 섭취를 위해서는 뜨거운 물에 삶아야만 섭취할 수 있어, 가정에서 면 요리를 조리하기 위해서는 면을 삶아야만 하는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즉석에서 물과 팽화분을 믹스하여 제조된 면 반죽으로 삶지 않는 면의 제조가 가능하며, 무첨가물로 100% 쌀로 만든 면으로 자극적이지 않으며 건강한 면으로 제조할 수 있는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팽화가루에 물을 믹싱하는 과정을 통해 간편하고 빠르게 면 반죽을 제조하여 삶지 않는 면을 뽑을 수 있도록 한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팽화가루를 제조할 때, 분유, 유지 또는 대두 단백질 등의 영양보강성분을 첨가하여도 제조할 수 있어, 팽화가루에 영양성을 강화한 영양 강화 팽화가루를 제조할 수 있는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팽화가루로 만들어진 면이 굳는 형상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면 반죽에서 냄새가 나거나 반죽 색의 변화가 없도록 하며, 또한, 면이 시간이 지나거나 냉동과 해동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더라도 고유의 말랑말랑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의 특징은 (A) 곡물을 물에 담가서 씻은 후 물의 불림 없이 물기를 빼고 건조하는 단계와, (B) 상기 건조된 곡물을 팽화 공법으로 가압 및 가열한 뒤 대기 중으로 뿜어내어 부풀게 하여 팽화된 곡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C) 팽화된 곡물을 분쇄기에 넣고 30~100메쉬에서 통과율이 100%가 되도록 분말화시켜 팽화가루를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팽화가루에 물을 혼합하여 믹서기에 교반하고 믹싱하여 면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와, (E) 상기 면 반죽을 면기를 이용하여 면을 뽑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팽화가루와 상기 물의 비율은 팽화가루와 물의 비율은 팽화가루 100중량부에 대해서, 물 50~10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팽화가루에 분유, 유지 또는 대두 단백질 등의 영양보강성분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팽화가루는 밀가루, 전분, 옥수수 가루 중 적어도 하나를 팽화가루 100중량부에 대해서, 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즉석에서 물과 팽화분을 믹스하여 제조된 면 반죽으로 삶지 않는 면을 제조할 수 있어, 손쉽게 면을 제조하여 섭취할 수 있으며, 무첨가물로 100% 쌀로 만든 면으로 자극적이지 않으며 건강한 면으로 제조될 수 있다.
둘째, 팽화가루의 특성으로 만들어진 면의 경우 촉감이 부드러우며, 흡습성이 양호하며, 특히 면의 질이 고우며 쉽게 굳지 않고 끈기가 있고 향미 및 외관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셋째, 팽화가루를 제조할 때, 분유, 유지 또는 대두 단백질 등의 영양보강성분을 첨가하여도 제조할 수 있어, 팽화가루에 영양성을 강화한 영양 강화 팽화가루로 제조할 수 있다.
넷째, 팽화가루를 제조할 때, 밀가루, 전분, 옥수수 가루 등을 첨가하여 만들어진 면이 굳는 형상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반죽에서 냄새가 나거나 반죽 색의 변화가 없도록 하며, 또한, 면이 시간이 지나거나 냉동과 해동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더라도 고유의 말랑말랑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쌀을 물에 담가서 깨끗이 씻은 후 물의 불림 없이 물기를 뺀다(S10). 이때, 물의 온도는 10℃ 내지 20℃이다.
이어서, 물기를 뺀 쌀을 대기압하에서 100℃ 근처에서 증발하는 것을 이용한 표준전건법을 이용하여 건조한다(S20). 상기 표준전건법은 고온에서 건조시간을 줄이기 위해 급속히 건조하는 신 속전건법이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 이하의 저온건조를 이용하거나, 15℃ 내지 25℃의 상온에서 자연건조를 할 수 있다. 이때, 쌀의 수분함량을 15%이하로 유지한다.
그리고 건조된 쌀을 팽화 공법으로 가압 및 가열한 뒤 대기 중으로 뿜어내어 부풀게 하여 팽화된 쌀을 제조한다(S30). 이때, 가열을 위한 팽화 온도는 120℃ 내지 140℃의 온도로 가열한다.
그리고 팽화된 쌀을 분쇄기에 넣고 30~100메쉬에서 통과율이 100%가 되도록 분말화시켜 팽화가루를 제조한다(S40). 이때, 보통 쌀가루는 분쇄기에 넣고 분쇄할 때, 12메쉬 통과분이 7-10%밖에 되지 않는데 반해, 팽화 쌀가루는 35%로 분말화가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30~100메쉬 사이에서는 팽화 쌀가루가 보통 쌀가루보다는 월등히 우수한 가루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팽화가루에 물을 혼합하여 믹서기에 교반하고 20분동안 믹싱하여 면 반죽을 제조한다(S50). 팽화가루와 물의 비율은 팽화가루 100중량부에 대해서, 물 50~100중량부를 믹서기에 넣어 혼합한다.
이때, 사용자는 취향에 따라, 팽화가루에 혼합되는 물 대신에 야채쥬스, 과일쥬스 등의 쥬스를 혼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조되는 면은 혼합되는 쥬스에 특성에 따라 야채면이나 과일면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면 반죽을 면기를 이용하여 면을 뽑는다(S60). 이때 뽑아지는 면은 뜨거운 물에 삶거나 튀기는 등의 조리 없이 바로 섭취가 가능한 면으로서, 가정에서 면 요리를 조리하기 위해서는 면을 삶아야만 하는 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팽화분을 이용한 면은 쌀 100%로 만든 면으로 기타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아서 자극적이지 않으며 건강한 면으로 제조된다.
이처럼, 팽화가루는 호화분(湖化粉)이어서 점착성이 강해 면대를 쉽게 성형할 수 있으므로 국수, 송편, 만두 등의 껍질을 만들 수 있으며, 분상질이므로 각종 가공식품의 재료로 하면 제조된 가공식품의 촉감을 부드럽게 한다. 또한, 팽화가루는 다공질(多孔質)이므로 흡습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팽화가루의 특성으로 면의 제조시 일반쌀가루 또는 현미분을 넣고 만들어지는 면의 경우에 거칠고 쉽게 굳으며 푸슬푸슬하고 향미 및 외관이 불량하게 제조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팽화가루의 경우에는 면의 질이 고우며 쉽게 굳지 않고 끈기가 있고 향미 및 외관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한편, 팽화가루 원료는 쌀로서 현미, 백미 및 찹쌀로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쌀이 아닌 보리, 밀 등의 다양한 곡물로 채택하여 상술한 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팽화가루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팽화가루를 제조할 때, 분유, 유지 또는 대두 단백질 등의 영양보강성분을 첨가하여도 제조할 수 있어, 팽화가루에 영양성을 강화한 영양 강화 팽화가루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팽화가루를 제조할 때, 밀가루, 전분, 옥수수 가루 등을 팽화가루 100중량부에 대해서, 5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는 팽화가루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면이 굳는 형상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반죽에서 냄새가 나거나 반죽 색의 변화가 없도록 하며, 또한, 면이 시간이 지나거나 냉동과 해동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더라도 고유의 말랑말랑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게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예에 병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A) 곡물을 물에 담가서 씻은 후 물의 불림 없이 물기를 빼고 건조하는 단계와,
    (B) 상기 건조된 곡물을 팽화 공법으로 가압 및 가열한 뒤 대기 중으로 뿜어내어 부풀게 하여 팽화된 곡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C) 팽화된 곡물을 분쇄기에 넣고 30~100메쉬에서 통과율이 100%가 되도록 분말화시켜 팽화가루를 제조하는 단계와,
    (D) 상기 팽화가루에 물을 혼합하여 믹서기에 교반하고 믹싱하여 면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와,
    (E) 상기 면 반죽을 면기를 이용하여 면을 뽑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화가루와 상기 물의 비율은 팽화가루와 물의 비율은 팽화가루 100중량부에 대해서, 물 50~10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화가루는 밀가루, 전분, 옥수수 가루 중 적어도 하나를 팽화가루 100중량부에 대해서, 5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KR1020220066937A 2022-05-31 2022-05-31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KR20230166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937A KR20230166671A (ko) 2022-05-31 2022-05-31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937A KR20230166671A (ko) 2022-05-31 2022-05-31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671A true KR20230166671A (ko) 2023-12-07

Family

ID=8916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937A KR20230166671A (ko) 2022-05-31 2022-05-31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6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2079A (zh) 制作基于豆类的营养产品的方法
KR101960565B1 (ko) 기름에 튀기지 않은 즉석 복원 용기형 건조면의 제조방법
KR101869015B1 (ko) 소스가 첨가된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JP3176922B2 (ja) レジューメ・パスタおよびその製法
CN101461517A (zh) 营养米饭及加工方法
KR101881673B1 (ko) 찹쌀어묵 제조방법
KR102027091B1 (ko) 우거지와 감자를 이용한 식물성 패티의 제조방법
KR101921331B1 (ko) 대마씨를 함유한 육개장 칼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1702809B1 (ko) 칼국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2121595B1 (ko) 단호박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8249A (ko) 현미누룽지 국수와 그 제조방법
KR20230166671A (ko)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KR20200050605A (ko) 영양성분이 균형있게 조합된 식사대용 선식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식사대용 선식
KR101904342B1 (ko) 마늘 떡볶이의 제조방법
KR20200000075A (ko) 즉석 백설기떡 조성물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즉석 백설기의 제조 방법
KR100351503B1 (ko) 산란노계육을 이용한 닭고기스낵 및 그 제조방법
KR101481154B1 (ko) 해조류 함유 곡류 팽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62250B1 (ko) 등겨장의 제조방법
KR20230166668A (ko) 팽화분을 이용한 떡 밀키트의 제조방법
JP2007236314A (ja) 粥の素
KR20150031620A (ko) 빈대떡 프리믹스 가루의 제조방법
JP4545841B2 (ja) 凝固状多孔質健康食品
KR102597892B1 (ko) 만두 고기속 제조방법
KR102510041B1 (ko) 쌀, 채소 및 버섯을 포함하는 분태 형태의 즉석 죽 제조방법
KR102332845B1 (ko) 탕수육 튀김용 조성물